KR910004760B1 - 선체내의 바닥면에 배관계(配管系)를 설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선체내의 바닥면에 배관계(配管系)를 설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760B1
KR910004760B1 KR1019840000741A KR840000741A KR910004760B1 KR 910004760 B1 KR910004760 B1 KR 910004760B1 KR 1019840000741 A KR1019840000741 A KR 1019840000741A KR 840000741 A KR840000741 A KR 840000741A KR 910004760 B1 KR910004760 B1 KR 91000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hip
transverse
ship according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691A (ko
Inventor
조아킴 프란츠 한스
오토 새들러 칼
쉬미트 윌리
Original Assignee
브롬 운트 보스 아게
귄더 디엘 · 알베르트 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롬 운트 보스 아게, 귄더 디엘 · 알베르트 노만 filed Critical 브롬 운트 보스 아게
Publication of KR84000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체내의 바닥면에 배관계(配管系)를 설비한 선박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palette)상에 배치 설비된 배관계 블록의 개략적 평면도.
제 1a 도는 제 1 도에 나타나 있는 파렛트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배관계 블록을 Ⅱ-Ⅱ선에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
제 3 도는 무장비(無裝備)지역을 구비한 파렛트의 평면도.
제 4 도는 배관의 기준이 되는 좌표계 조직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의 측면도.
제 5 도는 배관계 블록을 구비한 다른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파렛트의 측면도.
제 6 도는 갑판에 대한 파렛트 고정기구의 확대 측면도.
본 발명은, 물, 석유, 공기, 중기등의 유체에 대한 수송용 배관계(配管系)가 적어도 선박내의 갑판위의 일부, 특히, 선박의 바닥면(床面)상에 배치 설비되어 있는 선박, 특히 군함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관계는 통상적으로 선박내의 바닥면상에 지극히 밀집된 상태로 배치 설비되어 있다. 즉, 그러한 배관계는 복도의 바닥면내지는 선체 저부에 대단히 밀집한 상태로 배치 설비되어 있으므로, 배관계를 분해하지 않는한 바닥면을 청소관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같은 이유로 손상된 관의 수리 및 관의 녹제거도 대단히 곤란한 작업으로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배관계로부터 일부의 관 그룹(group)을 분해하여 그러한 작업에 소요되는 장소를 마련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비용이 현저하게 드는 현편, 분해된 관을 다시 결합할 경우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는다든지, 도장부분이 타서 눌는다든지, 후에 문제를 남긴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문두에서 설명한 형식의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관 및 바닥면을 타당하게 적은 비용으로 유지 관리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선박을 새로히 건조하는 경우 극히 간단하게 배관계를 배치 및 설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을 과제로하여 출발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은 선박의 배관계를 다른 배관계로 신속히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하는 것도 과제로 하고 있다. 이것은, 예를들면 선박을 다른 에너지로 움직일 경우, 요컨대, 가스 터빈원동기로부터 디젤엔진 원동기로 교체하는 경우에 유리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배관계가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수직인 횡방향 내지는 종방향 분리면을 따라서 개별배관계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것들이 갑판내지는 선체내의 바닥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치된 파렛트상에 배치 및 설비되어 있으며, 또한 분리면을 경계로 하여 결합하는 배관계 블록의 서로 대치하고 있는 관의 유입구가 서로서로 대응한 좌표상에 배치되어 서로 대치하고 있는 관이 착탈가능한 관이음에 의해서 유밀상태로 연결되므로써 해결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배관계를 구분분할하는 것을 고려하여, 그리고 그에따라 개개의 블록이 비교적 간단히 조립 및 해체시킬수 있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배관계 블록을 1개 또는 여러개 분리해내는 것만으로도 갑판 내지는 선박내의 바닥면에 대하여, 그위에 배관계에 대하여 소요되는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필요에 따라 청소, 도장, 및/또는 수리를 문제없이 해낼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계의 배치 및 설비는 새로 건조하는 경우에도, 배관계 블록을 구비한 파렛트를 선박 외부의 적당한 공장에서 선체의 제조와 병행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매우 유리한 잇점을 가지고 있다. 배관계 블록을 설비한 파렛트는 제조후 적당한 개구부를 통해 선박내부로 운반하여 소정의 장소에 소정의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그곳에서 인접한 배관계 블록을 관이음으로 연결하면 적당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중요한 특징은 선박의 구동 계통을 별도의 구동 계통으로 교체시킬 경우 불필요한 배관계 블록을 파렛트와 함께 제거하고, 이미 완성된 별도 구조의 배관계 블록을 파렛트와 함께 끼워 넣음으로써 배관계를 문제없이 완전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시 결함이 생긴 배관계 블록은 개별적으로 같은 구조의 기성제품 배관 블록으로 대치할 수가 있으므로, 이에 따라서 수리 작업에 수반되는 선박의 정지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수가 있다. 해상에서 배관계 블록에 결함이 생겼을 경우, 같은 파렛트상에 배치 및 설비된 동일한 예비 배관계 블록을 무선으로 주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선박이 항구에 도착할때는 이미 그것이 준비되어 있어, 단시간내에 결함있는 배관계 블록을 교체할 수가 있다.
인접한 배관계 블록들의 경우 대응하는 관들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유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즉, 한쪽관 단부에 먼저 관이음을 움직일수 있는 상태로 장착하고, 이어서 상대되는 관단부가 연결되는 싯점에서 이것들을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유밀 상태로 서로를 조여 체결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모든 관이음을 일제히 움직여서 대응하는 관들을 유밀 상태로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시킬 수 있는 자동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는, 파렛트는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장방형, 특히 정방향의 수평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예를들면 기계실이 좁은 경우에는 파렛트의 치수를 선박의 형태에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파렛트의 수평치수는, 선박의 바닥판을 이루는 격자 유니트를 기준으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그 격자 유니트에 따라 종방향 보강재 또는 횡방향 보강재, 횡방향 벽, 종방향 벽, 더욱 바람직하기는 기판, 승강구, 장착용 및/또는 이동용 개구부가 배치 또는 설치되어 있는 경우이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과 동시 출원된 "종강도부재와 횡강도부재를 설비한 갑판이 복수층으로 된 선박"이라는 명칭의 특허출원에 기재 격자 유니트를 적용하면 특히 유리하다.
파렛트의 중량이 너무 무겁지 않은 경우, 파렛트의 안정성을 높일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가 취해진다. 즉, 이 경우에 파렛트는 횡방향 보강재 및 종방향 보강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이 직각교차 상태로, 바람직한 것은 종방향 내지는 횡방향으로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그 직각 교차점에서 서로 고정연결되어 있다. 횡방향 보강재 및 종방향 보강재는 I빔(I BEAM)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파렛트는 배관계 블록보다도 약간 작은 윤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서로 인접한 파렛트들끼리 방해됨이 없이 선박의 격자 유니트에 맞춰서 장착할 수가 있다.
승강 및 하강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파렛트에 승강용 러그가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배관계 블록의 윤곽안에서 파렛트의 측면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 내부로 반입하기에 용이하도록, 파렛트에는 또한 고도 조정이 가능한 주행 롤러들을 장착할 수 있다.
파렛트를 갑판내지는 선체내의 바닥면에 안전하고 확실하게 장치할 수 있도록, 다음의 실시 형태를 취할수 있다. 다시말해, 적어도 파렛트의 주변부에, 바람직하기로는 파렛트의 전체에 분포되어, 특히 횡방향 보강재 및 종방향 보강재의 교차점에 고정공(固定孔)이 마련되어 있다.
관을 파렛트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파렛트위에, 바람직하기로는, 횡방향 보강재 및 종방향 보강재의 교차점에 지주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주의 높이는 각각 관의 높이에 상응한 것이 유리하다. 지주상단에 복도 바닥면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지주가 관형태이므로, 그 하단이 고정기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여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파렛트를 지주와 고정연결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지주는 단지 복도의 바닥면을 받치는데 사용될뿐 아니라 파렛트를 아래쪽의 선체 저부 또는 바닥에 장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관을 파렛트상에 고정하기 위하여 파렛트 위에는 상술한 이외에 역시 각각 관의 높이에 맞는 높이의 지주를 배치할 수 있다.
가능한한 정연하고 집약적인, 더욱이 일목요연한 배관을 목적으로, 관들은 모두 횡방향 내지 종방향 분리면에 직각으로 유입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파렛트상의 관이 한 개의 분리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열된 관만으로 이루어진 것과 함께 관이 직각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 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상하로 중복해서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파렛트상에 배치 설비된 배관계 블록의 개개의 치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시형태가 고려된다. 즉, 이 실시형태는, 분리면이 정방형의 좌표격자 형태로 분할되어 있고, 또 관의 유입구가 좌표선의 교차점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체 구조의 기준으로서, 격자선 간격이 50 내지 70, 특히 60㎝의 수평격자 유니트를 채용한 경우, 좌표선의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간격은 10 내지 14㎝ 특히 약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배관계는 지장없이 격자 유니트에 맞추어 넣을수가 있다.
조립 작업을 간단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파렛트의 귀퉁이에는 무장비(無裝備)지역이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파렛트 내부에도 좌표격자에 적합하도록 관이 장비되어 있지 않은 무장비 지역을 설치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 1, 1a 및 2 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15)는 각각 3개의 I형 횡방향 보강재(18) I형 종방향 보강재(19)로 구성되어 있고, 그들은 서로 직교하며,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교차점(28)에 대하여는 적당한 보강책이 강구되어 있다. 또한, 교차점(28)에는 수직방향으로 풀린 고정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파렛트(15)를 선체내의 바닥면(14)에 기준대로 고정시킬 수가 있다.
제 2 도에 의하면, 교차점(28)으로부터는 관형의 지주(22)가 상방 수직으로 복도의 바닥면-도면에는 제시되지 않음-아래까지 뻗어있다. 즉, 관형의 지주상단은 복도의 바닥면과 접합되어 있다.
전방 및 후방의 횡방향 보강재(18)의 종단에는 승강용 러그(20)가 장치됨으로써 파렛트를 그위에 배치설비되어 있는 구조 요소를 포함하여, 예를들면, 크레인으로 승강시킬수 있으며 또 운동중에는 이것을 사용하여 고정해 놓을수도 있다. 제 1 도 및 1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렛트는 변의 길이가 180㎝인 정방형 격자(29)에 접합되어 있다. 반드시 정방형 격자(29)의 치수가 상기 치수에 한정될 이유는 없다. 파렛트(15)는 단위 라스터의 배수의 치수를 취할 수가 있다.
횡방향 보강재(18)는 종방향 보강재(19)의 맨끝은 정방향 격자(29)의 측벽보다도 어느 정도 안쪽에 위치하여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예를들면 정방형 격자의 측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빈장소안에 승강용 러그(20)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강용 러그는 관형 지주(22)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훨씬 사용하기 용이하며 유리하다. 이때에 승강용 러그를 장착할 장소는 복도 바닥면 위치에 있다. 물론, 이 경우 관형 지주(22)는 파렛트에 대한 승강력을 파렛트에 전달할수 있도록 고정연결할 필요가 있다.
제 2 도에서, 파렛트 위에는 지주(22) 사이에 별개의 수직 지주(24)가 배치되어 있는바, 이에 대하여는 제 1 도 및 제 2 도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관(16a, 16b, 16c, 16d, 16e, 16f, 16g)이 예를들면, 클립(CLIP)(30)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관(16f)은 적합한 이음쇠(31)에 의하여 중앙의 지주(22)에 고정연결되어 있다.
관(16a 내지 16g)은 각각 정방형 격자(29)의 측면에 대한 횡방향 분리면(11′, 11″) 또는 종방향 분리면(12, 12″)에 각각 유입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관의 종단은 이들의 분리면 보다도 조금 내측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것은 관이음이나 밀봉판등을 위한 공간이다.
제 2 도에서, 관(16a 내지 16g)은 각각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으나, 수평위치는 각각 다르다. 반드시 이들의 수평위치는 소정의 좌표계(제 4 도)에 따라 상하로 중첩되어 있다. 각각의 관은 정방향 격자(29)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고, 내부에 설치된 관굴곡부는 직각으로 이루어져 있다(제 1 도).
이렇게해서 관(16a 내지 16g) 전체로부터 정방형의 배관계 블록(13)이 형성된다.
상호 인접하는 배관계 블록은 각각 같은 형상의 파렛트(15)상에 상대되는 그들 2개의 배관계 블록을 병합한 경우에 관의 종단부들이 상호 일치하도록 배치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호 인접한 파렛트상의 대응하는 관(16a 내지 16g)은, 예를들면, 관이음(17′) 혹은 플랜지(17″)를 통하여 유밀 상태로 상호 연결시킬 수가 있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5)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경우에, 승강용 러그(20)는 각각 중앙의 횡방향 보강재(18) 및 종방향 보강재(19)의 층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타방향외측의 횡방향 보강재(18) 또는 종방향 보강재(19)는 교차점(28)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았다. 바꾸어 말하면, 이부분은 본 발명과 함께 실질적인 정방형의 무장비 지역(26)으로 남겨져 있다. 이 무장비 지역에는 배관되어 있지 않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렛트(15)를 측면에서 본 경우의 개략도이다. 이 경우, 파렛트상에는 정방형의 좌표계(25)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좌표계는 동등한 간격을 갖는 수직방향의 좌표선(32)과 마찬가지로 동등한 간격을 갖는 수평 방향 좌표선(33)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 인접하는 좌표선(32) 또는 (33)의 간격은 12㎝이다. 이 치수는 특히 기본 격자 치수가 60㎝인 격자 유니트를 가지는 선박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관계를 조립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제 4 도에서, 배관계는 그 관축이 좌표선(32 또는 33)의 교점(34)에만 배치되도록 설비되어 있다.
제 4 도에서, 파렛트 좌우양면에 각각 블록 모양으로 각각 4개의 수직좌표선(32) 및 7개의 수평좌표선(33)을 설비한 좌표계(25)이 배치되어 있고, 이것들의 두 좌표계(25)의 사이에는 배관계가 설비되어 있지 않은 무장비 지역(27)이 설치되어 있다.
좌표계가 배치 설비되어 있는 파렛트의 제 4 도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서 본 경우의 측면도는 제 4 도에 도시된 측면도와 모두 동일하다.
제 5 도는 제 4 도에 나타나 있는 좌표계에 따라서 개개의 관이 관연결구(35)에 연결되어 있는 모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관연결구는 모든 같은 크기의 정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한바, 이 관연결구(35)를 상하로 중첩하여 배치 설치한 경우에도 제 4 도에 따른 좌표계 기준이 유지된다. 배관시설을 하지않은 좌표선 교점(34)에는, 상응한 치수를 가진 빈 블록(34)이 충당된다.
상하로 중첩하여 배치 설비되어 있는 블록(34) 또는 관연결구(35)는, 예를들면 홀더(36)등에 의해서 서로 또는 파렛트(15)에 연결 장착될 수 있다. 관의 직경차이에 대하여는, 관연결구(35)의 구멍(37)의 크기를 각각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대처할 수가 있다.
파렛트(15)상에는 또한 별도의 관 고정용 기둥(34, 35)이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5 도에 대하여 종축을 중심으로 90°회전시킨 위치에서도 관 고정용 기둥(34, 35)이 배치되어 있다. 관 고정용기둥의 수 및 위치는 지지해야 할 관의 수 및 위치에 대응한다.
제 6 도에서, 고정기구(23)에 대한 실시형태의 한가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파렛트(15)는 그의 교차점을 통하여 선박내의 갑판 또는 바닥면(14)에 장착할 수 있다. 격자 유니트의 교차점에 대하여(이 경우는 이 격자 유니트에 연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 지지부재가 배치된다), 받침(38)이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대하여 파렛트(15)가 교차점(28)을 통하여 고정 연결된다.
이 연결은 다음과 같이한다. 즉, 관형 고정주(22)에는 고정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공의 저부에 바요넷(baynet)식 고정기구(23)가 배치되어 있으며, 거기에서 일부가 축방향 위로 돌출한 4각형부분(39)을 구비한 볼트(17)를 긴 공구(이것은 상부로부터 지주내부에 삽입된다)를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볼트(17)는 상부에 나사산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부분에 너트(16)가 장착된다. 볼트(17)의 하단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바, 이 부분은 받침(38)을 통해서 바닥면(14)과 고정 연결된 판(45)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부(41)와 상호 작용한다. 제 6 도에 나타나 있는 고정 상태에서는, 볼트하단의 횡방향 연장부분(40)이 개구부(41)에 대하여 직각 위치에 있다.
볼트(17)는 지주(22)의 하부의 고정 블록(44)의 중간을 통과하여 너트(16)를 체결함으로써 볼트 하단의 횡방향 연장부분(40)이 판(45)을 압박한다.
블록(44)의 저변(46)과 볼트(17)의 플랜지 부분(47)의 사이에 있는 코일 스프링(42)에 의해서 볼트(17)가 상방 응력을 받는다.
제 6 도에서, 지주(22)의 하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나사에 너트(43)가 장착된다. 이 너트에 의하여 파렛트(15)의 상향 이동이 제한된다. 너트(43)을 체결함으로써 파렛트(15)는 하방으로 압력을 받게 되고 최후에 받침(38) 위의 판(45)과 접촉한다. 파렛트(15)는 다수의 교점 및 그와 동수의 지주(2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 6 도에 도시된 형태로 여러곳의 파렛트 저면과 받침(38) 위의 판(45) 사이에 빈틈(48)이 생길지도 모른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역에서 파렛트(15)는 받침(38)위의 판(45)위에, 따라서 바닥면(14)위에 틈새없이 받쳐져 있다.
너트(16) 또는 나사(43)와 그들의 맞닿는 면 사이에 와셔(49, 50)가 삽입될 수도 있다.
제 6 도에 나타난 고정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제한다. 바꾸어 말하면, 우선 관형지주(22)안에 위로부터 공구를 삽입하여 그 공구를 사용하여 너트(16)를 풀어낸다. 그 다음 다른 공구를 4각형 부분(39)에 장착하여 너트를 풀 수 있다. 계속해서 4각부분(39)을 회전시켜, 볼트의 횡방향 연장부분(40)과 슬리트(slit)모양의 개구부(41)와 정렬시킨다. 여기에서 4각형 부분(39)으로부터 공구를 떼어내면 횡방향 연장부분(40)의 형상 및 치수가 슬리트 모양의 개구부(41)와 상응하게 위치됨으로써, 횡방향 연장 부분(40)은 코일 스프링의 작용을 받아서 아무런 장애없이 즉시 슬리트 모양의 개구부(41)내부를 위쪽으로 통과하여 빠져나온다. 이런 방법으로 교차점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기구(23)를 전부 해제한 시점에서, 파렛트(15)는 상방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에 지주(22)에 장착되어 있는 승강용 러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력이 지주(22)를 지나 파렛트(15)위로 전달되도록, 고정 블록(44)을 파렛트(15)와 연결하여야 한다.
연결은 상술한 것과 반대방향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우선 파렛트(15)를 받침(38)위로 배치하여 볼트의 횡방향 연장 부분(40)을 슬리트(17) 모양의 개구부(41)안으로 끼워 넣는다. 이어서 볼트(17)의 4각형 부분(39)위에 공구를 장착하여, 볼트(17)를 스프링(42)힘에 대향하여 하방으로 눌러 횡방향 연장 부분이 슬리트 모양의 개구부(41)로부터 완전히 뽑혀 나올때까지 게속한다. 이 시점에서 공구를 90°회전시키고, 계속해서 너트(16)를 조인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상태가 성취된다.
제 6 도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경우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우선 지주(22)만을 판(22)에 고정시켜 놓고 뒤로부터 파렛트(15)를 배치하고, 너트(43)로 고정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파렛트(15)를 지주(22)와도 결합시키므로, 파렛트(15)는 지주(22)와 일체로서 취급할 수가 있다.
관형 지주(22)는 절대적으로 구비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것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이 영역은 동일한 모양으로 교차점에 설치하는 고정기구 조작용 공간으로 남겨 두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승강용 러그는 착탈작업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용 러그의 장착 위치 내지는 고도조정이 가능한 주행용 롤러의 장착위치로서 모서리에 무장비 지역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적 설명인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변형 및 변경을 가할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써 한정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21)

  1. 선박내에 배치된 갑판, 특히, 바닥판상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물, 석유, 공기 및 증기등의 유체를 운송하기 위한 배관계(配管系)를 장비한 성박에 있어서, 상기 배관게는 수직인 횡방향 및 종방향의 분리면(11', 11'', 12', 12'')을 따라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예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각각의 배관계 블록(13)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배관계 블록(13)은 , 상기 갑판 또는 바닥판(!4)상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파렛트(!5)상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면(11', 11'', 12', 12'')에 인접하는 배관계 블록(13)의 상호 대응하는 관(16a-16g)이 분해가능한 관이음(17', 17'')에 의해서 유밀 결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가 모두 같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수평 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가 그 치수와 관련하여 격자 유니트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의 수평 방향 치수가 상기 선박의 평면도를 기초로 하여 선택되는 수평방향 단위 격자로 조립되어 있으며, 그에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의 비임부재, 격벽, 벽면, 기판, 갑판, 승강구, 장착 및/또는 이동용 개구부가 배열 또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는,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교차하여 배치되어 교차점에서 상호견고하게 결합된 횡방향 및 종방향 보강재(18, 19)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보강재(18, 19)가 I형 비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가 상기 배관 블록(13)보다 작은 윤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의 측부에 승강용 러그(20) 및/또는 높이 조절가능한 주행 롤러가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의 측부에 취부된 상기 승강용 러그(20) 및/또는 높이 조절가능한 주행 롤러가 상기 배관블럭(13)의 경계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제9항에 있어서, 최소한 상기 파렛트(15)의 위, 특히 상기 파렛트(15)의 상면에서 상기 횡방향 보강재 및 종방향 보강재(18, 19)의 교차점에 고정공(固定孔)(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1. 제 10 항에 있서, 상기 파렛트(15)의 위, 특히 상기 횡방향 보강재 및 종방향 보강재(18, 19)의 교차점에 고정용 지주(22)가 배치되어있고, 상기 고정용 지주(22)는 필요한 경우 배관 상부에 배치된 바닥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2)가 관 형상을 가지며, 그 하단이 고정 기구(13)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상에서 상기 관(16a-16g)의 높이에 적합한 지주(2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16a-16g) 전체가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의 분리면(11', 11'', 12' 12'')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상의 관(16a-16g)이 상기 분리면(11', 11'', 12', 12'')중 하나에 대해서 수평으로 연장하는 부분 및 직각 굴곡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16a-16g)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평면에 대해서 상하로 중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면(11', 11'', 12', 12'')이 정방향 격자(25)로 분할되고, 상기 관(16a-16g)이 그 단부를 좌표 교점(32, 33)에만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좌표교점(32, 33)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교점(32, 33)의 상기 수평 및 수직 방향 거리가 10-14cm, 특히 12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15)의 네 귀퉁이가 무장비(無裝備)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의 내측에는 상기 좌표 격자(25)에 조립되는 상기 관이 장비되지 않는 영역(2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19840000741A 1983-02-16 1984-02-16 선체내의 바닥면에 배관계(配管系)를 설비한 선박 KR910004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305323.5 1983-02-16
NL3305323.5 1983-02-16
DE19833305323 DE3305323A1 (de) 1983-02-16 1983-02-16 Schiff mit einem auf dem innenboden angeordneten rohrleitung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691A KR840007691A (ko) 1984-12-10
KR910004760B1 true KR910004760B1 (ko) 1991-07-13

Family

ID=619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741A KR910004760B1 (ko) 1983-02-16 1984-02-16 선체내의 바닥면에 배관계(配管系)를 설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561372A (ko)
KR (1) KR910004760B1 (ko)
AR (1) AR243831A1 (ko)
DE (1) DE3305323A1 (ko)
DK (1) DK162036C (ko)
ES (1) ES8507402A1 (ko)
FR (1) FR2540821B1 (ko)
GB (1) GB2135011B (ko)
GR (1) GR81768B (ko)
IT (1) IT1173277B (ko)
NL (1) NL192033C (ko)
TR (1) TR225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459A (en) * 1986-02-13 1988-01-12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Underwater cryogenic pipeline system
CN1046245C (zh) * 1990-04-28 1999-11-10 石川岛播磨重工业株式会社 大型结构的模件框架组装方法及其实施该方法的模制结构
US5226583A (en) * 1990-08-21 1993-07-13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Module frame work for larger structure,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module frame work and coupler for module frame work
DE19532107C2 (de) * 1995-08-31 1997-10-16 Thyssen Nordseewerke Gmbh Schiff mit im Schiffsrumpf angeordneten, sich horizontal erstreckenden ebenen Flächenelementen
US6951324B2 (en) * 2003-09-17 2005-10-04 John Chris Karamanos Universal bracket for transporting an assembled conduit
WO2020023062A1 (en) 2018-07-27 2020-01-30 Cleaver-Brooks, Inc. Modular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system for rapid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7346A (en) * 1959-12-30 1962-05-23 Charlton Weddle And Company Lt Improvements relating to heating apparatus for liquid cargo tanks of shi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92033B (nl) 1996-09-02
TR22559A (tr) 1987-10-22
GB2135011A (en) 1984-08-22
GR81768B (ko) 1984-12-12
KR840007691A (ko) 1984-12-10
NL8400466A (nl) 1984-09-17
DE3305323C2 (ko) 1990-12-13
DK162036C (da) 1992-02-10
ES529558A0 (es) 1985-10-01
US4561372A (en) 1985-12-31
GB2135011B (en) 1986-05-21
IT8419635A0 (it) 1984-02-16
DE3305323A1 (de) 1984-08-16
IT1173277B (it) 1987-06-18
NL192033C (nl) 1997-01-07
GB8403857D0 (en) 1984-03-21
ES8507402A1 (es) 1985-10-01
FR2540821B1 (fr) 1988-06-03
DK162036B (da) 1991-09-09
FR2540821A1 (fr) 1984-08-17
AR243831A1 (es) 1993-09-30
DK72384A (da) 1984-08-17
DK72384D0 (da) 198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82826A (en) Tray for use in refining towers
KR910004760B1 (ko) 선체내의 바닥면에 배관계(配管系)를 설비한 선박
US4057943A (en) Modular scaffolding for assembling the inside of an LNG vessel
KR101335261B1 (ko) 탑 사이드 모듈을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이의 건조방법
US20130327773A1 (en) Internal Floating Roof for Covering Fluid Bodies in Storage Tanks
EP0502047A4 (en) Steel utility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US4490066A (en) Clamping system for heavy "I" beams and the like on oil rigs, etc.
US4630561A (en) Ship having standardized access ways
CN109720502B (zh) 一种单点系泊浮筒转台的建造方法
CN112208726A (zh) 一种卡接型船舶地台架
KR20140000687U (ko)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US20090120020A1 (en) Composite integrated module
US4715308A (en) Grid system
GB2121452A (en) Steel structure of superimposed modules
US4156996A (en) Scaffolding for working on contoured surfaces
JP3141392B2 (ja) 機械プラント用モジュール枠
CN114872861B (zh) 一种自升式风电平台吊臂搁架下加强结构的施工方法
US4716848A (en) Close tolerance pin connection
JPS6322795A (ja) 船舶の解撤方法
JPS6239391A (ja) 舶用竪置き円筒形タンク支持構造
CN218758739U (zh) 一种立柱模板用支撑机构
KR101390670B1 (ko) 강관 거더 및 이를 가지는 거더교용 모듈
KR20110080777A (ko) 핸드레일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CN219325904U (zh) 一种大型集装箱船管弄
RU2245286C9 (ru) Контейнер-цистер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