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528Y1 - 의료용구 소독기 - Google Patents

의료용구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528Y1
KR910004528Y1 KR2019890008818U KR890008818U KR910004528Y1 KR 910004528 Y1 KR910004528 Y1 KR 910004528Y1 KR 2019890008818 U KR2019890008818 U KR 2019890008818U KR 890008818 U KR890008818 U KR 890008818U KR 910004528 Y1 KR910004528 Y1 KR 910004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infection room
link
main body
dis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311U (ko
Inventor
곽노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의기계
정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의기계, 정시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의기계
Priority to KR2019890008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528Y1/ko
Publication of KR910000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5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료용구 소독기
제 1 도, 본 고안 의료용구 소독기의 외부사시도로써 소독실이 형성된 상태.
제 2 도, 본 고안 의료용구 소독기의 외부사시도로써 소독실 구성 텐트가 변형되는 상태.
제 3 도, 본 고안 의료용구 소독기의 측면도로써 일부를 단면한 것임.
제 4 도, 본 고안의 요부인 소독실 구성 후레임의 측면도.
제 5 도, 본 고안의 요부인 소독실 구성 후레임의 평면도.
제 6 도, 본 고안의 요부인 소독실 구성 후레임의 정면도.
제 7 도, 상기 제 4 도중 A부 상세도.
제 8 도, 상기 제 4 도중 B부 상세도.
제 9 도, 상기 제 4 도중 C부 상세도.
제 10 도, 상기 제 4 도중 D부 상세도.
제 11 도, 상기 제 5 도중 E부 상세도.
제 12 도, 상기 제 4 도중 F부 상세도.
제 13 도, 상기 제 4 도중 G부 상세도.
제 14 도, 상기 제 4 도중 H부 상세도.
제 15 도, 상기 제 5 도중 I부 상세도.
제 16 도, 상기 제 5 도중 J부 상세도.
제 17 도, 소독실 승강수단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독실 2 : 본체
3 : 자외선 조사램프 4 : 살균약액분사노즐
11 : 카버 12 : 후레임
13 : 벽장착링크 13a : 리벳
13b : 고정링 13c : 리벳
13d : 고정링 13e : 리벳
13f : 링 13g : 태핑볼트
14 : 천정장착링크 14g : 태핑나사
14h : 링 15 : 바퀴
17 : 사각후레임 17a : 리벳
17b : 태핑볼트 22 : 소독실승강장치
23 : 휀덕트 24 : 본체도어
25 : 제어판넬 26 : 전(全)방향회동 바퀴
본 고안은 병원에서 사용하는 환자용 침대, 환자운반차, 들것, 진찰대, 수술대 및 기타 의료용구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의료용구들이 소독기 위치하게 되는 신규의 절첩식 텐트로 설비하므로써 종래의 것보다, 제작코스트를 훨씬 낮출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설계부담없이 넣은 소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보관, 운반 및 이동이 편리한 의료용구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구 소독기는 피소독용구가 비교적 부피가 큰 의료용구이기 때문에 제어수단과 더불어 최소한 환자용 침대를 수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소독실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소독실내에는 자외선 조사수단 및 살균약액 공급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의료용구 소독기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살균수단이 구성된 소독실로 크게 대별되는 바, 본체와 소독실을 합한 부피는 약 4㎤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병원내에서 이동이 불가능하고, 보관하는데도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통상 소독실은 보관 및 운반시에 제어수단이 구성된 본체에 수장시키고, 소독작업시에는 본체로부터 꺼내어 소독실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독실은 본체내에 수장이 가능하게끔 축소 및 확대 수단이 부여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는 이와같은 소독실을 보관 및 운반시에는 본체 내에 수장하고 작업시에는 소독실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축소 및 확대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먼저, 본 고안과 용도를 같이하는 종래의 수단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소독실 구성수단은 본체와 연결되게끔 다수의 파트를 나눠지는 금속 및 프라스틱제의 탱크(소독실)를 구성하는바, 각 파트는 인출식 낚시대와 같이 바로앞에 구성되는 각각의 파트에 삽입될 수 있게끔 슬라이드 절첩수단을 구성한 것으로 본체로부터 멀리위치하는 파트일 수록 그 용적이 작아지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소독실 구성은 후술하는 몇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본체로부터 멀어질수록 소독실 공간이 적어지므로 이점을 감안하여 본체 및 소독실의 크기를 구성하여야 되므로 공간 및 장치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둘째, 소독실을 구성하는 소재가 금속이므로 중량부담이 크며, 따라서 운반등에 무리가 있다.
셋째, 고가의 소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또한 슬라이드 절첩수단을 부여하는데 따르는 제작코스의 부담이 크다.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신규한 절첩식 텐트로 소독실을 구성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간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하므로써 설계상의 부담을 줄이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독실을 구성하는 커버체가 비닐 및 섬유로 되므로써, 종래보다 중량부담을 줄이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코스트를 줄이는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소독실이 형성된 상태의 외부사시도로써, 제어수단이 구성되는 본체92)에 소독실(1)이 결합되어 설비된다.
제 2 도는 소독실(1)이 변형될 때, 즉 축소 또는 확대될때의 소독실 절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 3 도는 소독실이 형성한 상태의 측면도로서 일부를 단면하고,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소독실(1) 구성의 다수 후레임중 본체측단 후레임(12″)이 본체(2)에 고정부착된다. 상기 본체(2)의 윗부분에 살균약액 분사노즐(4) 및 휀덕트(23)가 장착되고 아랫쪽에는 소독실 승강수단(22)이 장착되는바, 이의 상세한 구조는 제 17도에 의거 후술하기로 하며, 또한, 본체(2)의 바닥에는 4개의 전방향회동바퀴(26)가 장착된다. 소독실(1)의 비닐 또는 섬유제의 커버(11)를 포삽한 후레임중 양측단부를 제외한 후레임(12)의 내측에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자외선 조사램프(3)가 각각 장착되며, 외측단측후레임(12′) 윗부분에는 살균약액 분사노즐(4′)이 장착된다.
제 4 도 내지 제 17 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소독실(1)의 절첩식 텐트의 골조 즉, 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그 중 제 4 도는 측면도, 제 5 도는 평면도이며, 제 6 도는 정면도이다(피소독용구의 출입구를 기준으로 보았음).
도시된 바와같이 터널형상의 소독실(1)의 후레임(12) (12′) (12″)에 커버(11)가 포삽된 상태로, 두개의 알루미늄부재로 체결되어 구성된 각 후레임의 2개의 알루미늄 부재사이에 커버(11)를 개재하고, 리벳으로 체결하였다. 제 4 도 및 더욱이 제 7 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장착되는 후레임(12″)외의 모든 후레임(12) (12′)의 좌우측 하단에는 바퀴(15)가 각각 취부된다.
또한, 후레임(12) (12′) (12″)의 좌, 우면 및 평면(벽면 천정)에는형상의 절첩가능한 벽장착링크 (13) 및 천정장착링크(14)가 장착되어 각 후레임의 연결수단으로 된다. 제 7 도는 A부 상세도이며, 바퀴(15)의 취부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바퀴(15)는 체결축(15a)에 의해 후레임(12) (12′) (12″)의 두개의 부재내에 개재취부된다. 제 8 도는 B부 상세도이며, 링크의 중앙부가 후레임(12)에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2개의 바(Bar) 로 겹설된 링크(13)는 리벳(13a)에 의해 후레임(12)과 고정 부착되며, 부호 13b는 고정링이다. 제 9 도는 C부 상세도로서 출입구쪽 후레임(12′)과 링크(13)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링크(13)는 리벳(13c)에 의해 고정되며, 부호 13d는 고정링이다. 제 10 도는 D부 상세도로서 링크(13)의 단부와 후레임(12)과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링크(13)는 리벳(13e)에 의해 후레임(12)내에서 개재 장착된다.
제 11도는 E부 상세도로서, 전술한 바와같이 후레임의 두개의 부재가 리벳(16a)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부호 16b는 고정링이다.
제 12도는 F부 상세도로서 링크(13)끼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겹설된 링크체는 태핑볼트(13g)로 유착되는 바, 링크(13)는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접힘 및 퍼짐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천정장착링크(14) 또한 상기한 벽장착링크(13)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제 13 도 및 제 14 도는 G부 및 H부 상세도이며, 후레임(12)과 제 6 도에 도시한 바의 수평지지 후레임(17)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후레임의 보강을 목적으로 하며, 수평지지 후레임(17)이 리벳(17a) 및 태핑볼트(17b)로써 체결된다.
제 15 도는 상기 제 16 도와 더불어 후레임(12)과 링크(13)와의 체결상태를 수직방향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제 16 도는 제 9 도와 더불어 출입구측 후레임(12′)과 링크(13)와의 체결상태를 수직방향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도면은 구조를 보다 확실히 나타내기 위함이다.
제 17 도는 상기 제 3 도에 도시된 소독실승강장치에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측 후레임(12″)의 아랫부분 안쪽에 횡으로 승강대(22a)를 장착하고 상기 승강대(22a)를 종방향으로 구성되는 승강구(22b)와 결합하고, 상기 승강구(22b)는 기어드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작하는 기어군(22c) (22d)에 의해 상하 동작 가능케 한다.
이상의 구성으로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동작방법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보관 및 운반등 작업을 하지 않을시에는 후레임(2)에 장착된 링크(13) (14)가 접혀진 상태로, 아울러 커버(11)가 접혀져서 본체(2)내에 수장하게 되는데 제 3 도에 도시된 넓이 W가 수장공간이다. 링크(13) (14)가 접혀져서 소독실(1)이 축소된 상태에서는 소독실을 구성하였던 텐트체를 승강시켜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왜냐하면, 소독실의 텐트부위 및 바퀴(15)가 바닥과 접촉하게 되면 이동에 방해를 받기 때문이다.
그 동작은 기어모터의 작동에 의해 승강구(22b)가 승강함에 따라 승강구(22b)와 결합되고 후레임(12″)과 결합될 승강대(22a)가 상승하므로서 텐트체는 바닥으로부터 알맞는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제 3 도에 도시된 높이 h는 승강공간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본체(2) 바닥에 장착된 전방향 회동바퀴(26)만으로 동작하게 되므로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 작업시에는 승강되어 있는 텐트체를 승강구(22b)를 작동시켜 바퀴(15) 및 텐트체가 바닥에 닿게 하강시킨 다음 출입구측 후레임부터 본체로부터 당기게 되면 접혀졌던 링크(13) (14)가 퍼지면서 소독실(1)을 형성하게 된다.
피소독물인 의료용구는 소독실(1)의 정면쪽으로 출입하게 되는바, 커버부에 슬라이드 파스너등을 봉착하여 출입구로하게 되며, 작업시에는 외부와 차단시킨다.
살균작업은 각 후레임(12)의 내측에 장착된 자외선 조사램프(3)을 통해 빛을 조사하거나, 약액분사노즐(4)을 통해 살균 약액을 분사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의료용구 소독기는 종래와 달리 공간의 손실이 전혀 없으며, 제작코스와 중량부담이 감소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제어수단을 가지는 본체내에 수장 및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소독실을 형성하는 의료용구 소독기에 있어서, 양측단부에 바퀴(15)를 장착한 다수의 후레임(12) (12′) (12″)에 절첩가능한형상의 벽장착링크(13) 및 천정장착링크(14)를 구성하여 각 후레임의 연결수단으로 하고, 링크를 장착한 상기 후레임에 비닐수지 또는 섬유제의 커버(11)를 포삽하여 터널형상의 소독실을 구성하며, 본체 연결측 후레임(12″)을 상하로 동작되는 승강대(22a)와 결합하여 소독실 구성부 승강수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구소독기.
KR2019890008818U 1989-06-26 1989-06-26 의료용구 소독기 KR910004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818U KR910004528Y1 (ko) 1989-06-26 1989-06-26 의료용구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818U KR910004528Y1 (ko) 1989-06-26 1989-06-26 의료용구 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311U KR910000311U (ko) 1991-01-22
KR910004528Y1 true KR910004528Y1 (ko) 1991-06-29

Family

ID=1928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818U KR910004528Y1 (ko) 1989-06-26 1989-06-26 의료용구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5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342B1 (ko) * 1999-10-29 2003-06-02 (주)바이오니아 침구를 자외선과 오존으로 살균, 소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20190017577A (ko) * 2017-08-11 2019-02-20 노지호 병원 제2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병원 침대 및 기구 소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480B1 (ko) * 2001-04-10 2004-05-10 유우영 침대 매트리스의 살균시스템 및 그 살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342B1 (ko) * 1999-10-29 2003-06-02 (주)바이오니아 침구를 자외선과 오존으로 살균, 소독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20190017577A (ko) * 2017-08-11 2019-02-20 노지호 병원 제2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병원 침대 및 기구 소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311U (ko) 199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1748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sterilization of objects
JP3962747B2 (ja) 可動式救急基地
US8668881B2 (en) Vaporized hydrogen peroxide decontamination structure
JP4854665B2 (ja) 携帯型隔離囲繞器
US11484388B2 (en) Mobile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102946A1 (en) Mobile medical facility
US3782265A (en) Assembly for separating a dust-free part from a spa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the same
KR910004528Y1 (ko) 의료용구 소독기
US20040071587A1 (en) Quick setup decontamination stall
KR20190136589A (ko) 환자이송장치
WO2013030537A1 (en) Modular sealable enclosure for assembly in a space
KR102515147B1 (ko) 이동식 침대 살균 시스템
KR200426978Y1 (ko) 카트 살균장치
DE19636154B4 (de) Transportliege mit Kontaminationsschutz
KR102134041B1 (ko) 병원 제2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병원 침대 및 기구 소독 시스템
US20050053533A1 (en) Transportable mass personnel decontamination system
DE2136561A1 (de) Vorrichtung zum desinfizieren von einrichtungsgegenstaenden in krankenhaeusern
CN217919725U (zh) 消毒设备
WO2020043595A2 (de) Vorrichtung zur aufnahme, transport und lagerung von möbelstücken
JPH0421541Y2 (ko)
CN211666342U (zh) 一种集人员、车辆、环境防疫洗消功能的防疫洗消方舱
RU2220059C1 (ru) Мобиль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комплекс
JPH0421542Y2 (ko)
CN2185126Y (zh) 多用途床位消毒车
JPH084614B2 (ja) 各種機器の移動式殺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