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441B1 - 전기신호 전송소자 - Google Patents

전기신호 전송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441B1
KR910004441B1 KR1019870000736A KR870000736A KR910004441B1 KR 910004441 B1 KR910004441 B1 KR 910004441B1 KR 1019870000736 A KR1019870000736 A KR 1019870000736A KR 870000736 A KR870000736 A KR 870000736A KR 910004441 B1 KR910004441 B1 KR 91000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ultrasonic
transducer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474A (ko
Inventor
다께오 요꼬야마
히데도시 야마조에
Original Assignee
쇼화 덴센 덴란 가부시끼가이샤
쓰찌다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8902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45743A/ja
Application filed by 쇼화 덴센 덴란 가부시끼가이샤, 쓰찌다 요시오 filed Critical 쇼화 덴센 덴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7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4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for conducting sound through solid bodies, e.g. wi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4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신호 전송소자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전기신호 전송소자의 정면도.
제 2 도는 동 전기신호 전송소자의 측면도.
제 3 도는 동 전기신호 전송소자의 동작 설명도.
제 4 도는 동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제조할 때의 설명도.
제 5 도는 종래의 전기신호 전송소자의 설명도.
제 6 도(a) (b)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제 7 도(a) (b), 제 8 도 (a) (b) 는 각각 제 2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 1a, 1a', 31a, 31a' : 측면
1b, 1b',31b, 31b' : 정면 S1: 초음파 전반거리
S2: 각 측면간의 거리 S3: 각 정면간의 거리
2 : 입력 전기펄스 3, 3' : 초음파
4, 34 : 입력 트랜스듀서 5 : 출력 전기펄스
6, 36 : 출력 트랜스듀서 15, 16, 45, 46 : 결합면
17, 18, 47, 48 : 반대면 5a, 5b : 스퓨리어스(spurious)
A, B, 49, 50 : 백킹재 33' : 종파 및 횡파의 한쪽의 초음파
33" : 종파 및 횡파이 다른쪽의 초음파
51 : 모우드 변환각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커플러(coupl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신호 전송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회로 또는 기기(機器) 사이에 전기신호를 전송하면서 전기적으로 절연하고저 할 경우 절연체로서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사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포토 커플러는 하나의 패키지에 모울드(mold)되어 제 5 도와 같이 발광소자 LED(발광 다이오드)와 수광소자(또는 포토 트랜지스터)로 되어 있으며, 빛을 매채로하여 입력쪽과 출력쪽의 절연을 한다.
이를 위해서 기기 사이의 전원 전압(바이어스 포함) 등이 자유롭게 설계되며 또한 양 계통의 접지점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으며 또한 노이즈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포토 커플러는 주파수 응답 속도가 늦고, 현재로는 저렴한 범용품으로는 전송할 수 있는 펄스 반복 주파수가 1MHz 이하이며, 10MHz 부근까지의 것도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매우 고가여서 민생용 기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포토 커플러는 신호를 한 방향으로 밖에 전송할 수 없으며 예를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의 인터페이스에 사용할 때는 송수(送受)의 신호선에 1개씩 합계 2개가 필요하게 되며 가격이 고가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주파수 응답 속도가 빠르고 쌍방향 전송이 되며 제조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더구나 전송 전기신호의 홀수차 반사파 스퓨리어스(spurious)를 감쇄시킨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초음파 전반(轉搬) 거리가 각 정면간의 거리 또는 각 측면간의 거리의 어느쪽인가 한쪽 보다도 짧은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와 이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의 초음파 신호입력면 및 출력면에 부착된 입력 전기신호를 초음파로 변환하는 입력 트랜스듀서(transducer) 및 이 초음파를 출력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트랜스듀서와 전술한 입력 트랜스듀서의 전술한 전반매체와의 결합면의 반대면에 이어 맞춰진 백킹(backing)재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본 발명의 전기신호 전송소자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1)에 입력 전기신호로서 입력 전기펄스(2)를 초음파(3)로 변환하는 입력 트랜스듀서(4)와 전술한 초음파(3)를 출력 전기신호로서 출력 전기펄스(5)로 변환하는 출력 트랜스듀서(6)가 부착되어 있다.
고체 전반매체(1)는 초음파를 전반해서 입·출력 트랜스듀서 (4) (6)의 전기적 결합을 분리하는 것이다.
매체(1)는 일반적으로 트랜스듀서의 음향 임피던스에 가까운 임피던스를 가진 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트랜스듀서와 동일한 재질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입·출력 트랜스듀서(4) (6)는 전기펄스(2) (5)를 초음파(3)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압전 재료가 사용된다.
더구나 (7) (8) (9) (10) 는 각각 입·출력 트랜스듀서(4) (6)의 전극이며, (11) (12) (13) (14)는 리이드선이다.
입력 트랜스듀서(4)와 출력 트랜스듀서(6)의 전술한 전반매체(1)와의 결합면(15) (16)의 반대면 (17) (18)에는 그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반사되어 발생하는 3배, 5배… 행정(行程) 반사파의 스퓨리어스를 감쇄하는 백킹재 (A) (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백킹재로서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해서 초음파를 흡수할 수 있으며 또는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1)와 같은 재질을 사용해서 그 표면에 에칭(etching) 또는 부식법으로 산란(散亂)면을 설치하고 초음파를 난반사하여도 좋다.
입력 트랜스듀서(4) 및 출력 트랜스듀서(6)는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1)의 두께(t)(제 2 도)와 같은 두께(T)이며, 또한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의 경계면(19) (20)과 직교(直交)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각 결합면(15) (16) 사이의 거리, 즉 초음파 전반거리(S1)는 전술한 전반매체(1)의 측면(1a) (1a') 사이의 거리(S2)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1b) (1b')는 전반매체의 정면이며, "S3"는 각 정면각의 거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신호 전송소자에 의하면 입력 전기펄스(2)는 입력 트랜스듀서(4)에 의해서 초음파(3)로 변환되어 고체 전반매체(1)를 진행하며 출력 트랜스듀서(6)에 의해서 초음파(3)는 출력 전기펄스(5)로 변환된다.
즉 1배 행정시간(Td) 후에 직접 전달되는 신호로서 출력 전기펄스(5)가 얻어진다.
그 입·출력의 응답을 제 3 도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출력 트랜스듀서(6)의 음향 임피던스와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1)의 음향 임피던스와의 부정합 및 그 출력 트랜스듀서(6)의 전기적 등기 임피던스와 외부에 붙어있는 임피던스와의 부정합에 의해서 직접 전달되는 신호가 출력측에서 반사되며 또한 입력측에서 반사되어 출력측으로 도달되는 3개 행정시간(3Td)의 반사파 스퓨리어스(5a)가 야기되고 그리고 뒤이어 5배 행정시간(5Td)의 반사파 스퓨리어스가 생긴다.
그런데 입력 트랜스듀서(4)와 출력 트랜스듀서(6)의 전반매체(1)와의 결합면(15) (16)의 반대면 (17) (18)에는 백킹재(A) (B)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반사파의 스퓨리어스는 직접 전달되는 상기 신호에 비해서 작으므로 백킹재의 에폭시 수지로 초음파를 흡수하므로서 또는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1)와 같은 재질의 백킹재의 산란면에서 초음파를 난반사하므로써 감쇄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트랜스듀서(4) 및 출력 트랜스듀서(6)는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1)의 두께(t)(제 2 도)와 같은 두께(T)이며, 또한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의 경계면(19) (20)과 직교되어 있으므로 입·출력 트랜스듀서(4) (6)는 0(zero) 모우드 이외의 모우드파를 발신 또는 수신하지 않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띄고 있으므로 비분산 모우드(nondispersive mode) 전기신호 전송소자의 구성을 용이하게 하고, 입력 트랜스듀서(4)에서 방사(放射)된 직진파가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1)의 경계면(19) (20) 사이로 직진해서 출력 트랜스듀서(6)로 입사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전기신호 전송소자는 절연체로서 회로 또는 기기 사이에 전기신호를 전송하면서 전기적으로 절연하려고 할 경우 초음파를 매체로 하고 즉 고체 전반매체를 개재시켜서 입력측과 출력측을 절연해서 전기적 결합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기기 사이의 전원 전압(바이어스를 포함) 등이 자유롭게 설계되며 또한 양 계통의 접지점을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으며 또한 노이즈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전송할 수 있는 펄스 반복 주파수는 입·출력 트랜스듀서의 주파수 응답에 의존하나, 예를들면 압전 단결정 등을 사용하게 되면 주파수가 100MHz 정도까지의 펄스를 전송할 수 있으며 시판되고 있는 범용품의 포토 커플러에 비해서 100배까지의 고속성을 갖게 된다.
또한 포토 커플러는 신호를 한쪽 방향으로 밖에 전송할 수 없으며, 예를들면 이것을 마이크로 컴퓨터의 인터페이스에 사용할 때에는 송수의 신호선에 한 개씩 합계 두 개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전기신호 전송소자에서는 신호를 쌍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어서 한 개로 충분하므로 가격이 저렴하게 된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전에 설계된 형상치수의 직육면체의 경계면(19) (20)을 포함하는 6면을 형성한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1)의 블록(22)을 준비한다.
경계면(19') (20')에 주석 전극(23) (24)을 증착한다.
그 위에 입력 트랜스듀서 스트립(25)과 출력 트랜스듀서 스트립(26)을 배치한다.
입력 트랜스듀서 스트립(25)과 출력 트랜스듀서 스트립(26)의 전반매체(1)와의 결합면(15) (16)의 반대면(17) (18)에는 예를들면 에폭시 수지를 접착해서 백킹재(A) (B) (제 1 도)를 각각 설치하고 이것을 슬라이닝 머신(slicing machine)으로 절단하고 입력 트랜스듀서(4)와 출력 트랜스듀서(6)을 구비한 각 유니트(45)를 얻는다.
이와 같은 제조기법에 의하면 사전에 설계된 형상치수의 다각형의 면을 형성한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의 블록에 입력 트랜스듀서 스트립과 출력 트랜스듀서 스트립을 설치한 형태로 백킹재를 각각 접착한 다음 전체를 각 유니트로 절단해서 얻어진 각 유니트는 고르지 않게 되는 일없이 고품질의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저렴하게 양산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트랜스듀서 및 출력 트랜스듀서는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와 동일한 두께로 절단되므로 비분산 모우드 전기신호 전송소자의 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제 6 도 내지 제 8 도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6 도에 있어서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31), 입력 트랜스듀서(34), 출력 트랜스듀서(36), 각 결합면(45) (46) 사이의 거리(S1) 각 측면(31a) (31a') 사이의 거리(S2) 각 정면(31b) (31b') 사이의 거리(S3), 각 트랜스듀서(34) (36)용의 전극(37) (38) (39) (40) 및 이들에 접속된 리이드선(41) (42) (43) (44)은 전술한 제 1 도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입력 트랜스듀서(34) 및 출력 트랜스듀서(36)의 전반매체(31)와이 결합면(45) (46)의 반대면(47) (48)에는 각각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된 백킹재가 각각 이어 맞추어져 있다.
각 백킹재(49) (50)는 각각 그 백킹제에 이어 맞추어진 트랜스듀서로부터 그 백킹재에 입사된 종파 및 횡파의 한쪽의 초음파(33')를 종파 및 횡파의 다른쪽의 초음파(33")로 모우드 변화하는 모우드 변환 각도(51)의 반사면(52)이 있다.
백킹재로서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흡수할 수는 있으며 또한 초음파 고체 전원매체(31)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해서 반사면(52)을 제외하는 표면에 에칭 또는 부식법으로 산란면을 설치하고 초음파를 난반사하여도 좋다.
특히 이 백킹재는 트랜스듀서의 음향 임피던스에 가까운 임피던스를 가진 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들면 유리와 같은 재질로서 하고트랜스듀서의 경제면에서의 반사를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트랜스듀서(34) 및 출력 트랜스듀서(36)는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31)의 두께(t)(제 6 도(b))와 같은 두께(T)이며 또한 고체 전반매체의 경계면(53) (54)과 직교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신호 전송소자에 의하면 입력 전기펄스(32)는 입력 트랜스듀서(34)에 의해서 초음파(33)로 변환되어 고체 전반매체(31)를 진행시켜서 출력 트랜스듀서(36)에 의해서 초음파(33)는 출력 전기펄스(35)로 변환된다.
즉 1배 행정시간 후에 직접 전달되는 신호로서 출력 전기펄스(35)가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출력 트랜스듀서(36)의 음향 임피던스와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31)의 음향 임피던스와의 부정합 및 그 출력 트랜스듀서(36)의 전기적 등가 임피던스와 외부에 부착된 임피던스와의 부정합으로 인해서 직접 전달되는 상기 신호가 출력쪽에서 반사되고 또한 입력측에서 반사되어서 출력쪽으로 도달되는 3배 행정시간(3Td)의 반사파 스퓨리어스(5a)가 야기되어 순차적으로 5배 행정시간(5Td)의 반사파 스퓨리어스(5d) 등 홀수차의 반사파 스퓨리어스가 생기는 것이다(제 3 도).
그리고 전술한 제 1 실시예는 이 반사파 스퓨리어스를 백킹재에 의해서 감쇄시켜 제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으나 발명자 등은 또다시 이 반사파 스퓨리어스를 제거하는 장치를 연구한 결과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비해서 더욱 확실하게 반사파 스퓨리어스를 제거하는 장치를 고안해 내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전기신호 전송소자는 입력 트랜스듀서(34) 및 출력 트랜스듀서(36)의 전반매체(31)와의 결합면(45) (46)의 반대면(47) (48)의 백킹재의 이어 맞추어진 트랜스듀서로부터 그 백킹재로 입사된 종파 및 횡파의 한쪽의 초음파(33')를 종파 및 횡파의 다른쪽의 초음파(33")로 모우드 변환하는 모우드 변환 각도(51)의 반사면(52)이 있는 백킹재를 이어 맞추는 구성을 채택하고 이것으로 인해서 홀수차의 반사파 스퓨리어스를 제거하도록 연구된 전기신호 전송소자이다.
이것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8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체매체(Ⅰ)와 유체매체(Ⅱ)와의 경계면(55)에 종파(A0)가 α의 각도로 입사되면 반사파 종파(A1)외에 횡파(A2)도 나타나게 된다.
종파의 반사각은 입사각(α)과 동일하지만 횡파의 반사각(β)은 입사각(α)과 다르다
이들의 반사에 있어서의 반사각 상호간의 관계는
sinα/sinβ=Cp1/Cs1 로 된다.
여기서 Cp1은 매체 Ⅰ중의 종파의 전파(傳播) 속도, Cs1은 매체 Ⅰ중의 횡파의 전파 속도이다.
입사종파(A0)와 반사종파(A1)의 강도A1/A0는 매체 Ⅰ의 프와송 비{Poisson's ratio)(σ)(제 7 도(a))를 파라미터로서 입사각(α)에 의존되어 반사종파(A1)의 강도가 0으로 되는 입사각이 있다.
이 반사종파(A1)의 진폭이 0으로 되는 입사각에 있어서는 입사종파(A0)는 완전히 횡파(A2)로의 변환이 생긴다.
예를들면 매체(Ⅰ)가 프와송 비 약 0.22의 납유리, 유체매체(Ⅱ)가 공기인 경우 입사각(α)이 약 55˚에서 반사종파(A1)의 강도가 0으로 되며 입사종파(A0)는 완전히 횡파(A2)로의 변환이 생긴다.
또한 입사파가 횡파일 때는 입사횡파(B0), 반사횡파(B1) 및 종파(B2)의 관계는 제 8 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그 강도B1/B0는 매체(Ⅰ)의 프와송 비(σ)(제 7 도(b))를 변수로 하여 입사각(α)에 의존되며 반사횡파(B1)의 강도가 0으로 되는 입사각이 있다.
매체(Ⅰ)가 프와송 비 약 0.22의 납유리, 유리매체(Ⅱ)가 공기인 경우 입사각이 약 28˚에서 반사횡파(B1)의 강도가 0으로 되며 입사횡파(B0)는 완전히 종파(B2)로의 변환이 생긴다.
이 횡파일 때에는 제 7 도(b)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임계각(臨界角)(전술한 프와송 비 0.22의 예에서는 약 37˚)이 있으며, 임계각 이상으로 되면 종파로의 모우드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입사각(α)은 임계각 이하이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횡파-종파 또는 종파-횡파 변환은 백킹제(49) (50)에 의하면 입력 전기펄스(32)는 종파용의 입력 트랜스듀서(34)에 의해서 종파의 초음파(33) 변환되어 고체 전반매체(31)를 진행시키고 출력 트랜스듀서(36)에 의해서 초음파(33)는 출력 전기펄스(35)로 된다.
이 초음파는 백킹재(50)내로 진행되며, 그 종파(33')는 모우드 변환각도(51), 즉 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입사각(α)이 있는 반사면(52)에서 종파-횡파로 변환되어 횡파(33")로서 반사되어 종파용의 출력 트랜스듀서(36)에서는 전기펄스로는 되지 않는다.
더구나 입력 트랜스듀서(34)에 의해서 방사되는 음파가 횡파일 경우에는 횡파(33')는 모우드 변환 각도(51), 즉 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입사각(α)을 가진 반사면(52)에서 횡파-종파로 변환되어서 종파로서 반사되어 횡파용의 출력 트랜스듀서(36)에서는 전기 펄스로는 되지 않는다.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신호 전송소자는 저기신호를 쌍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으나 입력 트랜스듀서(34)를 출력 트랜스듀서로서 출력 트랜스듀서(36)를 입력 트랜스듀서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해서 출력 트랜스듀서(36)에는 직접 전달되는 신호로서의 출력 전기펄스(35)만이 인가되고 홀수배 반사파 스퓨리어스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트랜스듀서(34) 및 출력 트랜스듀서(36)는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31)의 두께(t)(제 6 도(b))와 동일한 두께(T)이며 또한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의 경계면(53) (54)과 직행하고 있으므로 입·출력 트랜스듀서(34) (36)는 0모우드 이외의 모우드 파를 발신, 수신하지 않는 기능을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비분산 모우드 전기신호 전송소자의 구성을 용이하게 하고 입력 트랜스듀서(34)로부터 방사된 직진파가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31)의 경계면(53) (54) 사이에서 직진하여 출력 트랜스듀서(36)로 입사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전기신호 전송소자는 절연체로서 회로 또는 기기 사이에 전기신호를 전송하면서 전기적으로 절연하려고 할 경우 초음파를 매체로 해서 즉 고체 전반매체를 개재해서 입력측과 출력측의 절연을 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기기 사이의 전원 전압(바이어스를 포함) 등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으며, 또한 양 계통의 접지점을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으며 또한 노이즈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는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설계된 형상 치수의 직육면체의 경계면(53')(54')을 포함하는 6면을 형성한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31)의 블럭(60)을 준비한다.
경계면(53')(54')에 주석 전극(61) (62)을 증착한다.
그 위에 입력 트랜스듀서 스트립(63)과 출력 트랜스듀서 스트립(64)을 배치한다.
입력 트랜스듀서 스트립(63), 출력 트랜스듀서 스트립(64)의 전반매체(31)와의 결합면(45) (46)의 반대면 (47) (48)에는 예를들면 유리 등의 백킹재(49) (50) (제 6 도)를 각각 설치하고 이것을 슬라이싱 머신으로 절단하고 입력 트랜스듀서(34)와 출력 트랜스듀서(36)를 구비한 각 유니트(65)를 얻었다.
이와 같은 제조기법에 의하면 사전에 설계된 형상치수의 다각형의 면을 형성한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의 블록에 입력 트랜스듀서 스트립과 출력 트랜스듀서 스트립을 설치한 상태에서 백킹재를 각각 설치한 다음 전체를 각 유니트로 절단하여 얻어진 각 유니트는 고르지 않게 되는 일없이 고품질의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저렴하게 양산할 수 있다.
더구나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전기신호로서 펄스를 전송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전송소자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 의한 전기신호 전송소자는 지연선(遲延線)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전술한 각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펄스 전송소자로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펄스 출력측에 설치되는 전송신호 재생회로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파수 응답속도가 빠르고 쌍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반사파를 감소 또는 없앨 수 있으며 더구나 제조가 용이하여 저렴한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전기신호 전송소자를 커플러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신호의 입·출력측을 직류적으로 절연하고 입력신호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초음파 전반거리가 각 정면간의 거리 또는 각 측면간의 거리의 어느쪽인가 한쪽 보다도 짧은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와, 이 초음파 고체 전반매체의 초음파 신호 입력면 및 출력면에 부착된 입력 전기신호를 초음파로 변환하는 입력 트랜스듀서 및 이 초음파를 출력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트랜스듀서와, 전술한 입력 트랜스듀서와 출력 트랜스듀서의 전술한 전반매체와의 결합면의 반사면에 이어 맞추어진 백킹재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전송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백킹재는 각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반사되어 발생되는 불필요한 신호를 감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전송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백킹재는 그 각 백킹재에 이어 맞추어진 각 트랜스듀서로부터 그 각 백킹재로 입사된 종파 및 횡파의 한쪽의 초음파를 종파 및 횡파의 다른쪽의 초음파로 모우드 변환하는 모우드 변환 각도의 평면으로 된 반사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전송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백킹재를 각각 동일한 형상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전송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백킹재를 다른 형상의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신호 전송소자.
KR1019870000736A 1986-01-31 1987-01-30 전기신호 전송소자 KR910004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72286 1986-01-31
JP19722 1986-01-31
JP86-19722 1986-01-31
JP2526086 1986-02-07
JP25260 1986-02-07
JP61089020A JPS62245743A (ja) 1986-04-17 1986-04-17 電気信号転送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474A KR870007474A (ko) 1987-08-19
KR910004441B1 true KR910004441B1 (ko) 1991-06-27

Family

ID=2728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736A KR910004441B1 (ko) 1986-01-31 1987-01-30 전기신호 전송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19215A (ko)
EP (1) EP0231892A3 (ko)
KR (1) KR910004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5946B (sv) * 1986-09-11 1991-11-18 Bengt Henoch Anordning foer oeverfoering av elektrisk energi till elektrisk utrustning genom omagnetiska och elektriskt isolerande material
JPH0819097A (ja) * 1994-06-23 1996-01-19 Motorola Inc 音響絶縁器
US7275292B2 (en) * 2003-03-07 2007-10-02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fabricating an acoustical resonator on a substrate
US7388454B2 (en) * 2004-10-01 2008-06-17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Pte Ltd Acoustic resonator performance enhancement using alternating frame structure
US8981876B2 (en) 2004-11-15 2015-03-1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Piezoelectric resonator structures and electrical filters having frame elements
US7202560B2 (en) 2004-12-15 2007-04-10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Wafer bonding of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to active circuitry
US7791434B2 (en) 2004-12-22 2010-09-07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performance enhancement using selective metal etch and having a trench in the piezoelectric
US7369013B2 (en) * 2005-04-06 2008-05-06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Pte Ltd Acoustic resonator performance enhancement using filled recessed region
US7436269B2 (en) * 2005-04-18 2008-10-14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ally coupled resonato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868522B2 (en) * 2005-09-09 2011-01-11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djusted frequency temperature coefficient resonator
US7675390B2 (en) * 2005-10-18 2010-03-09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galvanic isolator incorporating single decoupled stacked bulk acoustic resonator
US7525398B2 (en) * 2005-10-18 2009-04-2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ally communicating data signals across an electrical isolation barrier
US7737807B2 (en) * 2005-10-18 2010-06-15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galvanic isolator incorporating series-connected decoupled stacked bulk acoustic resonators
US7463499B2 (en) * 2005-10-31 2008-12-09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DC power converter
US7612636B2 (en) * 2006-01-30 2009-11-03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Impedance transforming bulk acoustic wave baluns
US7746677B2 (en) * 2006-03-09 2010-06-29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DC converter circuit and power supply
US20070210748A1 (en) * 2006-03-09 2007-09-13 Mark Unkrich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grated power supply
US20070210724A1 (en) * 2006-03-09 2007-09-13 Mark Unkrich Power adapter and DC-DC converter having acoustic transformer
US7479685B2 (en) * 2006-03-10 2009-01-20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Electronic device on substrate with cavity and mitigated parasitic leakage path
EP2122868B1 (en) 2006-12-21 2015-08-26 BAE Systems PLC Data transfer
US20090079514A1 (en) * 2007-09-24 2009-03-26 Tiberiu Jamneala Hybrid acoustic resonator-based filters
US7791435B2 (en) * 2007-09-28 2010-09-07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Single stack coupled resonators having differential output
US7732977B2 (en) * 2008-04-30 2010-06-08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Transceiver circuit for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ransducers
US7855618B2 (en) * 2008-04-30 2010-12-21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resonator electrical impedance transformers
US8902023B2 (en) 2009-06-24 2014-12-02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structure having an electrode with a cantilevered portion
US8248185B2 (en) * 2009-06-24 2012-08-21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structure comprising a bridge
US8193877B2 (en) * 2009-11-30 2012-06-05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Duplexer with negative phase shifting circuit
US8796904B2 (en) 2011-10-31 2014-08-0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piezoelectric layer and inverse piezoelectric layer
US9243316B2 (en) 2010-01-22 2016-01-2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ethod of fabricating piezoelectric material with selected c-axis orientation
US8962443B2 (en) 2011-01-31 2015-02-24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airbrid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425764B2 (en) 2012-10-25 2016-08-2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coustic resonator having composite electrodes with integrated lateral features
US9083302B2 (en) 2011-02-28 2015-07-14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tacked bulk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a bridge and an acoustic reflector along a perimeter of the resonator
US9048812B2 (en) 2011-02-28 2015-06-02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comprising bridge formed within piezoelectric layer
US9154112B2 (en) 2011-02-28 2015-10-0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oupled resonator filter comprising a bridge
US9203374B2 (en) 2011-02-28 2015-12-0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a bridge
US9136818B2 (en) 2011-02-28 2015-09-1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tacked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a bridge
US9148117B2 (en) 2011-02-28 2015-09-29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oupled resonator filter comprising a bridge and frame elements
US8575820B2 (en) 2011-03-29 2013-11-0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tacked bulk acoustic resonator
US9444426B2 (en) 2012-10-25 2016-09-1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coustic resonator having integrated lateral feature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feature
US8350445B1 (en) 2011-06-16 2013-01-08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Bulk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non-piezoelectric layer and bridge
US8922302B2 (en) 2011-08-24 2014-12-30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formed on a pedestal
DE102016101801B4 (de) * 2016-02-02 2021-01-14 Infineon Technologies Ag Lastanschluss eines leistungshalbleiterbauelements, leistungshalbleitermodul damit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WO2018231763A1 (en) * 2017-06-15 2018-12-20 Cymatics Laboratories, Corp. Wave propagation computing devices for machine learn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59295C (de) * 1940-11-28 1952-12-15 Telefunken Gmbh Anordnung zur Verzoegerung eines elektrischen Signals
US2707755A (en) * 1950-07-20 1955-05-03 Sperry Prod Inc High absorption backings for ultrasonic crystals
US3894169A (en) * 1972-02-18 1975-07-08 Rockwell International Corp Acoustical damping structure and method of preparation
US3875550A (en) * 1973-07-16 1975-04-01 Univ Leland Stanford Junior Electronically focused acoustic imaging system and method
US4016512A (en) * 1975-10-02 1977-04-05 Hughes Aircraft Company Wide band bulk acoustic wave delay line
US4119941A (en) * 1977-08-08 1978-10-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coustic coup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31892A2 (en) 1987-08-12
EP0231892A3 (en) 1989-03-08
US4819215A (en) 1989-04-04
KR870007474A (ko) 1987-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441B1 (ko) 전기신호 전송소자
JP3950755B2 (ja) 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の分解能を高め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
US5598051A (en) Bilayer ultrasonic transducer having reduced total electrical impedance
US43298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oustic scanning using bulk wave scattering of bulk waves by an acoustic grating
EP0223554A2 (en) Dispersive saw filter with tapered transducers
US3403271A (en) Ultrasonic transducer with absorptive load
US4146851A (en) Acoustic surface wave device
WO1993011528A1 (en) Acoustic non-destructive testing
US4477783A (en) Transducer device
US4462256A (en) Lightweight, broadband Rayleigh wave transducer
US4047130A (en) Surface acoustic wave filter
US3475704A (en) Ultrasonic delay devices
US3352376A (en) Stack of foils used as an acoustic relay
US3710283A (en) Apparatus for efficiently converting microwave energy into acoustic energy
JPS62185404A (ja) 電気信号転送素子
US3534300A (en) Device for exciting surface waves
JPS62183618A (ja) 電気信号転送素子
US3174120A (en) Ultrasonic delay line having means to reduce third-time echo
JPS62179208A (ja) 電気信号転送素子
US5173667A (en) Acoustic wave transmission media delay line having internally disposed absorber channels
JPS62276914A (ja) 電気信号転送素子
Habeger et al. Development of a double-element pulse echo, PVDF transducer
US4510470A (en) Electro-acoustic delay line operating in transmission
US3475633A (en) Termination for an ultrasonic transducer
EP0080131B1 (en) Solid ultrasonic delay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