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014B1 -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리일의 레벨와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리일의 레벨와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014B1
KR910004014B1 KR1019840003262A KR840003262A KR910004014B1 KR 910004014 B1 KR910004014 B1 KR 910004014B1 KR 1019840003262 A KR1019840003262 A KR 1019840003262A KR 840003262 A KR840003262 A KR 840003262A KR 910004014 B1 KR910004014 B1 KR 910004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ishing line
engaging
shaf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915A (ko
Inventor
다까시 아도베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이 요시유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이 요시유끼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리일의 레벨와인드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 2 도는 일부 절결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 A-A선의 낚싯줄 권취상태의 일부 절결 측면도.
제 4 도는 동 낚싯줄 풀어내는 상태의 측면도.
제 5 도는 제 2 도 B-B선 단면도.
제 6 도는 제 2 도 C-C선 단면도.
제 7 도는 제 8 도는 각각 본 발명의 미끄럼이동자와 낚싯줄 안내아암과의 관계를 표시한 작동 설명도.
제 9 도 및 제 10 도는 본 발명의 낚싯줄 안내아암과 안내레버와의 관계를 표시한 단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푸울 2 : 스푸울축
3,4 : 리일측판 5 : 핸들축
6 : 구동기어 7 : 피니언
12 : 클러치판 14 : 안내통
15 : 트래버어스 캠축 16 : 소기어
17 : 작동캠 20 : 스프링
21 : 미끄럼이동자 22 : 걸어맞춤클릭
23,23 : 절결부 24 : 걸어맞춤오목부
25,25 : 유도면 26,27 : 안내레버
29,29 : 낚싯줄 안내아암 32,32 : 걸어맞춤핀
33 : 낚싯줄 안내구멍 34 : 작동아암
본 발명은 낚시용 리일의 레벨와인드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용 리일의 레벨와인드 장치의 낚싯줄 안내부재는 낚싯줄을 풀어낼 때에는 그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낚싯줄의 방출저항은 낚싯줄 안내구멍의 통과로 크게되어 낚싯줄의 풀어내는 작용을 저해하여 낚시용구를 먼데서 던질수 없는 결함이 있다.
이 결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낚싯줄 안내부재를 안내부재와 미끄럼 이동기구로 분리자유로이 형성하여 낚싯줄을 풀어낼 때에는 안내부재를 미끄럼 이동기구로부터 분리하여 낚싯줄의 풀어나감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이 자유롭게 하여 낚싯줄의 방출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본국 특공소 40-21220공보로 알려져 있으나 이 방식은 낚싯줄 안내부의 분리조작을 미끄럼이동기구의 미끄럼이동부재를 직접 손으로 회동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낚싯줄의 풀어내는 조작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낚싯줄의 감는중에 잘못하여 접동부재를 회동시켜 버려 낚싯줄의 안내가 되지 않게 되는 동시에 낚싯줄을 감을 경우의 안내부재의 미끄럼이동부재에 대한 걸어맞춤도 트래버어스 캠축과 미끄럼이동부재와의 마찰에 의해서 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마찰부가 마모하거나 마찰부에 해수 기타의 이물이 부착하거나 하여 마찰력이 부족하면 걸어맞춤작용에 지장을 가져와 작동불량을 일으키는 결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들의 결함을 개선하여 낚싯줄 안내와 미끄럼이동부재와의 분리 및 걸어맞춤을 자동적으로 또한 원활하고 확실하게 하도록 한 것으로서 리일측판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의 일단부에 걸어맞춤이 자유롭게 피니언을 끼워장치한 스푸울축과, 상기 피니언을 스푸울축에 걸어맞추거나 분리하거나 하는 클러치기구와 핸들축에 설치되어서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스푸울 앞부분의 리일측판간에 가설되고 또한 내부에 트래버어스 캠축을 설치한 안내통과 상기 트래버어스 캠축에 걸어맞추어서 안내통 위를 미끄럼이동하는 낚싯줄 안내부재와 상기 트래버어스 캠축의 일단에 고정부착되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소기어로 구성되는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리일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을 회동가능하게 리일측판간에 지지하여 상기 낚싯줄 안내부재를 상기 안내통을 좌우로 미끄럼이동하고 또한 이것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미끄럼이동자와 리일측판간에 가설된 안내레버에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끼워장치한 안내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미끄럼이동자에 일단에 절결부를 가지며 또한 외측면에 매끄러운 유도면으로 형성한 걸어맞춤의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걸어맞춤오목부에 안내부재에 설치한 신축이 자유로운 걸어맞춤핀을 걸어맞춤과 동시에 상기 안내통의 단부에 작동캠과 미끄럼이동자를 걸어맞춤위치로 규제하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클러치기구와 클러치판에는 상기 작동캠을 회동시키는 작동아암을 걸어맞춤을 자유로이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스푸울(1)을 고착한 스푸울축(2)은 한쌍의 리일측판(3,4)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한쪽의 리일측판(3)내에서의 스푸울축(2)에는 공지와 같이 핸들축(5)의 구동기어(6)와 맞물리고 있는 피니언(7)이 결합이 자유롭게 끼워 장치되고 이 피니언(7)에 걸어맞춘 작동판(8)은 스프링(9,9)에 의해서 피니언(7)을 스푸울축(2)에 결합시키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상기 작동판(8)의 내측에는 작동돌기부 (10,10)를 가지며 또한 데드포인트 스프링(11)으로 내측위치와 외측위치로 배분하여 힘이 가하여지는 클러치판(12)이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클러치판 (12)을 제 4 도와 같이 내측위치로 밀어 넣은 경우에는 작동돌기부(10,10)가 작동판을 스프링(9,9)에 버티면서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피니언 (7)의 스푸울축(2)에 대한 결합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일측판의 앞부분에는 하측에 안내홈(13)을 가진 안내통(14)이 회동가능하게 가설지지되는 동시에 이 안내통(14)내에는 트래버어스 캠축(15)이 끼워부착되고 이 트래버어스 캠축(15)의 리일측판(3)측의 단부에는 상기 구동기어(6)와 맞물린 소기어(16)가 고정부착되고 또 소기어(16)의 내측에 있어서의 안내통(14)에는 작동캠(17)이, 타단에는 회동판(18)이 각각 고정부착되고, 상기 회동판(18)과 리일측판(4)의 내측에 고정된 프레임기판(19)간에 스프링(20)이 장치된 안내통(14)을 일정위치로 규제유지하고 있다.
상기 안내통(14)의 외주면에는 미끄럼이동자(21)가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부착되는 동시에 그의 내측에 설치된 걸어맞춤클릭(22)은 상기 안내홈(13)을 통하여 트래버어스 캠축(15)의 나사홈에 걸어맞추고 미끄럼이동자(21)의 상부에는 스푸울축의 내단에 절결부(23,23)를 가진 걸어맞춤오목부(24)가 설치되고 이 걸어맞춤오목부(24)의 양측 외주면부는 매끄러운 유도면(25,25)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안내통(14)의 약간 상측 앞부분과 후부의 리일측판(3,4)간에는 전후 한쌍의 안내레버(26,27)가 가설되고, 이 안내레버(26,27)에는 낚싯줄 안내오목부(28)를 대향하여 설치한 좌우 한쌍의 안내아암(29,29)이 끼워장치되어 안내레버(26)부에서의 낚싯줄 안내아암(29,29)간에는 스프링(30)이 끼워 장치되는 동시에 각 낚싯줄 안내아암(29,29)의 하부에는 스프링(31)을 끼워서 각각 걸어 맞춤핀(32)이 신축이 자유롭게 돌출설치되고 이 걸어맞춤핀(32,32)이 상기 걸어맞춤오름부(2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낚싯줄 안내아암(29,29)에 접합하여 낚싯줄 안내오목부(28,28)가 낚싯줄 안내구멍부(33)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러치판(12)의 한쪽선단에는 상기 작동캠(17)에 걸어맞춤이 자유로운 작동아암(34)이 일체로 돌출설치되고 클러치판(12)을 내측위치로 가압하여 피니언(7)을 스푸울축(2)으로부터 분리하였을때 작동캠(17)을 가압회동하여 안내통(14)을 통하여 미끄럼이동자(21)를 제 5 도와 같이 회동하여 미끄럼이동자(21)의 걸어맞춤오목부(24)는 그의 절결부(23,23)에 의해 걸어맞춤핀(32,32)의 걸어고정시키는 작용을 해제하여 낚싯줄 안내아암(29,29)을 스프링(30)으로 양 측방으로 탄발가압하여 리일측판(3,4)부분으로 확대하여 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35는 클러치판(12)의 조작레버, 36은 핸들축(5)에 설치한 역전방지 래치트휘일, 37은 역전방지 클릭, 38은 역전방지 래치트휘일(36)에 설치한 클러치판(12)의 복귀용 킥핀, 39는 이 킥핀(38)의 작동편, 40은 작동편의 규제돌기, 41은 클러치판(12)에 설치한 작동편(39)의 걸어맞춤돌기, 42는 안내레버(26)의 커버이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낚싯질 조작중에 있어서 낚싯줄을 풀어낼 경우에는 클러치판(12)의 조작레버(35)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크러치판(12)은 내측위치로 밀어넣어져서 작동돌기부(10,10)는 작동판(8)을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피니언(7)을 스푸울축(2)으로부터 분리하여 스푸울(1)을 회전이 자유롭게 하는 동시에 클러치판(12)의 작동아암(34)은 작동캠(17)을 회동하여 안내통(14)을 통하여 미끄럼이동자(21)를 회동하여 걸어맞춤오목부(24)에 걸어맞추어져 있던 낚시줄 안내아암(29,29)의 걸어맞춤핀(32,32)이 스프링(30)에 의해서 절결부(23,23)를 통하여 걸어맞춤 오목부(24)로부터 벗어나서 낚싯줄 안내아암(29,29)를 리일축(3,4)으로 향하게 하여 확대되어 벌어지므로 낚싯줄은 낚싯줄 안내아암(29,29)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풀려져 나온다.
또 이 상태로부터 핸들축(5)을 낚싯줄 권취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클러치판(12)은 킥 핀(38), 작동편(39), 걸어맞춤돌기(41)를 통하여 외측위치로 복귀하여 피니언(7)이 스푸울축(2)에 결합하여 낚싯줄 권취작용을 하는 동시에 작동캠(17)은 작동아암(34)이 후퇴함으로써 회동판(18)의 스프링(20)에 의해서 안내통(14) 및 미끄럼이동자(21)을 구위치로 복귀하는 한편 트래버어스 캠축(15)의 회동작용으로 좌우로 왕복접동하고 먼저 한쪽의 낚싯줄 안내아암(29)쪽으로 이동하여 걸어맞춤핀(32)을 걸어맞춤오목부(24)의 유도면(25)에 의해 축소시키면서 걸어맞춤오목부(24)내로 걸어맞추고 이어서 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동일하게 다른쪽의 낚싯줄 안내아암(29)의 걸어맞춤핀(32)도 걸어맞춤오목부(24)내로 걸어맞추게 하여 낚싯줄 안내아암(29,29)을 접합하여 낚싯줄을 낚싯줄 안내구멍(33)에 수용안내하여 낚싯줄을 스푸울(1)에 감아붙이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안내부재를 한쌍의 낚싯줄 안내아암으로 형성시킨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안내부재를 분할함이 없이 제 12 도와 같이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지장이 없고 이 경우는 낚싯줄 안내구멍(33)을 가진 낚싯줄 안내아암(29)은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서 미끄럼이동자(21)의 걸어맞춤오목부(24)의 절결부(23)로부터 벗어나서 낚싯줄의 방출작용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하면서 낚싯줄을 풀어내는 것이며, 낚싯줄을 감을 경우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미끄럼 이동자(21)의 왕복동 작용으로 걸어맞춤핀(32)을 걸어맞춤오목부(24)내로 걸어맞추는 것이다.
또 클러치 조작레버(35)는 클러치판(12)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더욱이 클러치기구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스푸울축과 피니언과의 결합을 붙이고 떼는 클러치기구를 클러치판으로 작동하여 스푸울을 자유 회전상태로 할 경우에 있어서 이 클러치판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아암으로 낚싯줄 안내부재의 미끄럼이동자를 회동하여 안내부재를 분리하도록 하였으므로 낚싯줄을 풀어낼 때에 안내부재와 미끄럼이동자와의 분리동작을 클러치 조작을 자동적으로 하여서 낚싯줄의 저항을 극력 작게하여 원활하고 용이하게 먼쪽으로 풀어낼 수가 있고 또 안내통은 스프링으로 상시 미끄럼이동자의 걸어맞춤위치로 가압규제되는 동시에 낚싯줄 풀어낼시에는 클러치판의 작동아암에 의해서 회동위치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판의 복귀동작과 동시에 즉시 미끄럼 이동자를 걸어맞춤위치로 복귀시켜서 안내부재의 걸어맞춤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하여 낚싯줄 안내부재의 안내부재와 미끄럼이동자의 결합 및 분리동작의 쌍방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낚싯줄 감는 도중에 잘못하여 미끄럼이동자에 접촉하여 낚싯줄 안내부재가 낚싯줄 풀어내는 상태로 되는 일도 없는 뛰어난 특징을 가졌다.

Claims (1)

  1. 리일측판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의 일단부에 걸어맞춤이 자유롭게 피니언(7)을 끼워 장치한 스푸울축(2)과, 상기 피니언(7)을 스푸울축에 걸어맞추거나 분리하거나 하는 클러치기구와, 핸들축(5)에 설치된 상기 피니언(7)과 맞물리는 구동기어(6)와, 스푸울(11)앞부분의 리일측판(3,4)사이에 가설되고 또한 내부에 트래버어스 캠축(15)을 설치한 안내통(14)과, 상기 트래버어스 캠축(15)에 걸어맞추어서 안내통위를 미끄럼 이동하는 낚싯줄 안내부재와 ,상기 트래버어스 캠축(15)의 일단에 고착되어서 상기 구동기어(6)와 맞물리는 소기어(16)로 구성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14)을 회동가능하게 리일측판(3,4)사이에 지지하고 상기 낚싯줄 안내부재를 상기 안내통을 좌우로 미끄럼이동하면서 이것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미끄럼이동자(21)와 리일측판(3,4)사이에 가설된 안내레버(26,27)에 미끄럼이동이 자유롭게 끼워 장치한 안내부재(29)로 형성하고 상기 미끄럼이동자(21)에 일단에 절결부(23)를 가지며 또한 외측면에 매끄러운 유도면(25)으로 형성한 걸어맞춤오목부(24)를 설치하고 이 걸어맞춤 오목부(24)에 안내부재(29)에 설치한 신축이 자유롭게 걸어맞춤핀(32)을 걸어 맞추는 동시에 상기 안내통(14)의 단부에 작동캠(17)과 미끄럼 이동자(21)를 걸어맞춤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20)을 설치하여 상기 클러치기구의 클러치판(12)에는 상기 작동캠(17)을 회동시키는 작동아암(34)을 걸어맞춤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양 베어링 리일의 레벨와인드 장치.
KR1019840003262A 1983-07-06 1984-06-11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리일의 레벨와인드 장치 KR910004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22865A JPS6016530A (ja) 1983-07-06 1983-07-06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レベルワインド装置
JP122865 1983-07-06
JP???58-122865 1983-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915A KR850000915A (ko) 1985-03-14
KR910004014B1 true KR910004014B1 (ko) 1991-06-22

Family

ID=1484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262A KR910004014B1 (ko) 1983-07-06 1984-06-11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리일의 레벨와인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6530A (ko)
KR (1) KR910004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699A (en) * 1984-04-17 1986-04-22 Abu Aktiebolag Level winding fish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2510B (sv) * 1980-03-18 1984-04-09 Abu Ab Anordning for frikoppling och aterinkoppling av linspolen vid en fiskeru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6530A (ja) 1985-01-28
KR850000915A (ko) 198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41290B2 (ko)
KR100382814B1 (ko) 스풀 자유회전 메카니즘을 갖춘 베이트캐스트 낚시 릴
KR910004014B1 (ko)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리일의 레벨와인드 장치
JPH0715415Y2 (ja) 両軸受リ−ルのクラツチ機構
KR910004015B1 (ko)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레벨 와인드장치
KR970005230B1 (ko) 낚시용 스피닝리일
KR900010252Y1 (ko)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역전 방지기구
US6247663B1 (en) Reel for fishing
KR100281429B1 (ko) 낚시용 릴의 클러치기구
US5695141A (en) Fishing reel with clutch plate movement limiter
JPH0325577Y2 (ko)
JPH0371849B2 (ko)
JPH0310856Y2 (ko)
JPH0350687Y2 (ko)
JPH1094350A (ja) 魚釣用リール
JPH0240787Y2 (ko)
JPS6118058Y2 (ko)
JP3495584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342062B2 (ko)
JP351589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310857Y2 (ko)
KR910000173Y1 (ko) 낚시용 리일
JPH0143016Y2 (ko)
JPH0639583Y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149990Y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순간역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