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012B1 - 전기 코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012B1
KR910004012B1 KR1019840008061A KR840008061A KR910004012B1 KR 910004012 B1 KR910004012 B1 KR 910004012B1 KR 1019840008061 A KR1019840008061 A KR 1019840008061A KR 840008061 A KR840008061 A KR 840008061A KR 910004012 B1 KR910004012 B1 KR 910004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retainer
cavity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028A (ko
Inventor
라인홀트 요한 하인리히
베. 뮝크 울리히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5000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코넥터
제 1 도는 코넥터 하우징을 분배하여 단자 및 단자 보유기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적절한 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2-2방향으로 바라본 부분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3-3방향으로 바라본 코넥터 하우징에 조립되어 있는 제 1 도의 분해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6 : 공동 62 : 단자보유기
74 : 단자보유기 핑거
본 발명의 하우징의 공동내로 삽입되는 단자를 가진 하우징을 구비하는 형의 다중 접촉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히 하우징에서 단자를 보유시키기 위한 분리된 보유 부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형의 다중 접촉 전기 코넥터는 하우징을 통해 연재하는 다수의 접촉수용 공동을 갖는 절연 하우징을 구비한다. 와이어에 크림프되어 있는 전기 접점 단자는 하우징의 후방면으로부터 공동내의 삽입되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 하우징내에 삽입되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 하우징내의 견부에 의해 지탱되어 있는 랜스(LANCE)에 의해 삽입된 후에 하우징내에서 보유된다.
어떤 상태에서는 하우징에서 단자를 보유시키기 위해 추가로 보유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 및 하우징이 모두 비교적 작은 크기일때, 랜스는 남용에 견딜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으며 코넥터를 조립할 때 부주의하거나 또는 남용의 결과로서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사용된 장비로 철회될 수 있다. 분리된 보유수단은 조립을 하는 동안에 단자가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리된 보유기가 단자가 완전히 삽입되는 하우징에 존재하면, 코넥터를 간단하게 검사하여 기술자가 코넥터를 적절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공동내로 접촉 단자가 삽입된 후 하우징에서 조립되는 개선된 분리 보유 부재를 가진 다중 접촉 전기 코넥터를 얻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코넥트는 결합면과 이 결합면에 비해 대향되게 위치하는 후방면을 가진 절연 하우징을 구비한다. 접촉 수용 공동은 하우징을 통하여 후방면에 결합면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접촉 단자는 공동내에 포함되어 있다. 단자는 결합면에 인접한 접촉부를 가지며 와이어에 크림프 되어 있는 크림부를 가지며, 상기 크림프부는 결합면과 후방면 사이에 있다. 와이어는 크림프로부터 공동을 통해 후방면을 지나 연장되어 있다. 코넥터는 단자가 하우징의 후방면을 향하고 있는 견부를 가지며 견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공동내에 단자 보유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자 보유기는 후방면으로부터 공동내로 삽입된 분리부이다. 단자 보유기와 하우징은 이 보유기가 공동으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상호 결속부를 갖는다. 단자 보유기는 와이어 옆으로 연장되며 견부에 지지되는 전방 정지부를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일렬로 나란히 단일 평면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단자 수용 공동을 가진다. 각각의 공동내에는 단자와 단자 보유기가 포함되어 있다. 모든 보유기는 공통 지지대와 이 지지대가 위치하는 후방면내로 연장하는 리세스를 갖는 하우징에부터 연장되어 있다. 공통 지지대는 장방형이며 공동 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및 제2측면 가장자리를 가지며, 제 1측면 가장자리는 하우징의 후방면에 인접하며, 제 2측면 가장자리는 후방면 내부로 공간을 가지며 보유기는 제2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코넥터(2)는 결합면(6) 및 후방면(8)을 가진 절연 하우징(4)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충진된 폴리에스테 재질의 임의 적절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12)는 결합면(8)으로부터 연장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접촉 수용공동(46)을 포함한다. 후드(10)로 돌출부(12)를 둘러싸는 관계로 결합면(6)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의 표면과 후드의 표면 사이의 보강 코넥터가 수용된다.
도시된 특정 코넥터는 외부 표면상의 홈(16)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합체지지대(18)에 의해 지지되는 결합스프링(14)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은 후드 내부로 연장되어 보강 스넥터부에 결속된 내측으로 형성된 부를 가져 두 코넥터는 결합 관계로 유지시킨다.
접촉 수용 공동 각각은 (22)로 도시된 형의 접촉단자를 가지며 상기 단자는 절연 크림프(26)와 단자를 와이어의 스트랜드(29)에 접속시키는 크림프(28)에 의해 와이어(24)상에서 크림프된다. 각각의 단자는 보강 코넥터의 보강 단자와 결속하기 위해 전방 종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접촉 스프링 암(32)을 갖는 상자형 본제(30)을 구비한다.
상자형 본체는 측벽(34),(36), 상부벽(38), 하부벽(40)을 가진다. 단자가 공동내로 삽입될 때 랜스(42)는 측벽(34)에서 하우징내 견부(51)와 결속된다. 상기 랜스 및 견부 장치는 코넥터 하우징내에 단자를 보유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정성을 추가하고자 단자보유기(62)가 제공된다.
각각의 공동(46)은 돌출부(12)의 외부 자유 종단부(48)에서 하우징의 후방면(8)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삽입단자의 장방형 상자형 본체(30)를 수용하는 중간부(50)를 가진다. 각각의 공동의 전방부(52)는 단자의 스프링 암(32)을 수용하며 전방부와 중간부 사이에 위치된 정지부(54)는 제 3 도에서 도시된 위치를 지나는 단자의 우측이동을 방지한다.
공동 각각의 후방부(56)는 다소 확대되어 있으며 크림프(26)(28)와 와이어의 종단부(24)를 수용한다. 홈형 리세스(58)는 후방면내로 연장하여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46)의 바닥과 교차한다. 상기 리세스의 내부 종단부는 단자 보유기(62)의 장방형 지지부(4)를 위해 정지부로 작동하는 후방으로 향하는 견부표면(60)에 의해 한정된다. 단자보유기는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보유기가 리세스(58)내로 삽입될 때 후방면(8)과 인접되는 제1가장자리(66) 및 견부 표면(60)에 의해 지지되는 제2가장자리(68)를 가진다. 지지부(64)는 지지부로부터 떨어져나와 하우징내 구멍(72)에 수용되는 부유 또는 래칭 이어(ear)(70)에 의해 리세스에서 보유된다.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보유핑거(74)는 제 2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의 제 2가장자리(68)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위로 구부러진 종단부(76)를 가진다.
보유기가 하우징에서 조립될 때, 각각의 공동은 단자 보유기(74)를 수용하는 중간부에 인접한 홈(78)을 가지며,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핑거의 종단부(76)아래로 연장되며 제 2 도에 도시된 상부로 경사진 램프(80)까지 홈이 연장되어 있다.
코넥터의 부분을 조립하기 위해, 먼저 단자가 공동내로 삽입되며, 그 후 이어(70)가 구멍(72)내로 수용될때 까지 보유기(62)가 리세스(58)내로 삽입된다. 보유기가 리세스냐로 이동하는 동안에 핑거의 종단부(76)는 단자의 후방으로 향하는 견부(44)에 지지된 램프(80)에 의해 안내된다. 견부(44)는 제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자의 본체 부분의 좌측 종단부에 위치하며 핑거가 위로 구부러져 단자가 제 3도의 위치에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보유기(62)가 하우징에서 조립된 후 이 보유기로 인해, 종단부(76)가 단자의 견부(44)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면 보유기가 완전히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기술자는 단자가 완전히 공동내로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보유기는 하우징에서 단자의 고정성을 매우 증가시킴과 함께 유용한 검사를 하도록 도와준다. 실제로, 관련 와이어(24)를 당김으로써 하우징으로부터 단자를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단자를 제거하기 보다는 오히려 단자를 파괴시키는 결과를 야기시킨다.

Claims (9)

  1. 결합면(6) 및 이 결합면에 대향인 후방면(8)을 가진 하우징(4)과, 하우징을 통해 후방면으로부터 결합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접촉 수용 공동(46)과 공동내의 접촉단자(22)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는 결합면에 인접한 접촉부(32)와 와이어(24) 상에 크림프되며 결합면과 후방면 사이에 있는 크림프부(26)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24)는 공동을 통해 크림프로부터 후방면을 지나 연장되어 있는 전기코넥터(2)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하우징(4)의 후방면(8) 쪽으로 면해있는 견부(44)를 가지며 단자보유기(62)가 공동내에 제공되며, 단자 보유기(62)는 후방면(8)으로부터 공동(46)내로 삽입된 분리부이며, 단자보유기 및 하우징은 보유기가 공동으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호 결합부(70,72)를 가지며, 보유기는 와이어(24) 옆으로 연장하며 견부(44)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 정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4)은 일렬로 나란하게 단일 평면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단자 수용 공동(46)을 가지며, 각각의 공동은 내부에서 단자(22) 및 보유기(6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 코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모든 보유기(62)는 공통 지지대(64)로부터 연장되며, 하우징은 지지대가 위치하는 후방면(8)내로 연장하는 리세스(5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코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공통 지지대(64)는 장방형이며 공동의 열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평행 측면 가장자리(66,6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공통 지지대(64)는 장방형이며 공동(46)의 열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 1 및 제 2측면 가장자리(66,68)를 가지며 제 1측면 가장자리(66)는 하우징의 후방면(8)에 인접하며, 제 2측면 가장자리(68)는 후방면의 내부로 공간을 가지며, 보유기(62)는 제 2측면 가장자리(68)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리세스(58)는 공동(46)의 옆으로 연장되며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보유기(62) 각각은 자유종단부(76)를 가진 핑거를 구비하며, 자유종단부는 단자상의 견부(4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 결합부는 하우징내의 구멍(72)를 구비하며 보유기 상의 이어(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호 결합부는 하우징내의 구멍(72)를 구비하며 공통 지지대(64)로부터 구멍대로 연장하는 보유용 이어(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코넥터.
KR1019840008061A 1980-12-19 1984-12-18 전기 코넥터 KR910004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2937 1980-12-19
US06/562,937 US4548461A (en) 1983-12-19 1983-12-19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retai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028A KR850005028A (ko) 1985-08-19
KR910004012B1 true KR910004012B1 (ko) 1991-06-20

Family

ID=2424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061A KR910004012B1 (ko) 1980-12-19 1984-12-18 전기 코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548461A (ko)
EP (1) EP0147075B1 (ko)
JP (1) JPS60157169A (ko)
KR (1) KR910004012B1 (ko)
BR (1) BR8406373A (ko)
DE (1) DE3470821D1 (ko)
ES (1) ES293013Y (ko)
MX (1) MX1567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307A (en) * 1986-11-14 1988-12-20 United Technologies Electro Systems, Inc. Electrical contact and terminal assembly
US5292261A (en) * 1988-08-30 1994-03-08 Yazaki Corporation Terminal retainer for connector
JP2670601B2 (ja) * 1993-09-16 1997-10-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端子及びスペーサの取付方法及びその為のスペーサ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DE4433117C2 (de) * 1994-09-16 1996-09-05 Siemens A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einer Verriegelungseinrichtung mit Kontaktvorschub
DE19829461A1 (de) * 1998-07-01 2000-01-05 Grote & Hartman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KR100440008B1 (ko) * 2001-12-13 2004-07-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엔진 센서 연결장치
DE102010011371B4 (de) * 2010-03-12 2011-11-0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36136A (ko) * 1962-08-13
US3808590A (en) * 1973-02-27 1974-04-30 Bendix Corp Contact retention and removal assembly for a multi-pin electrical
BE831874A (fr) * 1974-07-31 1976-01-29 Connecteurs electriques
JPS5844776B2 (ja) * 1975-01-21 1983-10-0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シジヨウブツノセイゾウホウホウ
GB1490907A (en) * 1975-10-04 1977-11-02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GB2081526B (en) * 1980-07-30 1984-09-12 Lucas Industries Ltd Electrical connector
US4397517A (en) * 1981-05-22 1983-08-09 Amp Incorporated Repair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47075A3 (en) 1985-07-31
JPS60157169A (ja) 1985-08-17
BR8406373A (pt) 1985-10-08
DE3470821D1 (en) 1988-06-01
US4548461A (en) 1985-10-22
KR850005028A (ko) 1985-08-19
EP0147075B1 (en) 1988-04-27
MX156713A (es) 1988-09-27
ES293013U (es) 1986-07-01
EP0147075A2 (en) 1985-07-03
ES293013Y (es) 198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902B1 (ko) 전기 커넥터
US5120235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KR20120105383A (ko) 와이어-투-와이어 커넥터
US2007009950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mechanism
EP1104051B1 (en) Connector
JPH0155752B2 (ko)
EP1137118B1 (en) A connector having at least one contact-pin inserting port for insertion of a conduction contact pin of a connector conduction-test tool
JP5654505B2 (ja) コネクタ装置
CA203025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insertion feature
EP0112711A1 (en) Shunt-protected electrical connector
KR100279193B1 (ko) 고접촉력핀수용전기단자
JPH07106003A (ja) モジュラー式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ー及びそのアッセンブリ方法
EP0963009A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EP0390889A1 (en) ELECTRICAL CONNECTOR.
KR910004012B1 (ko) 전기 코넥터
US6019625A (en)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connect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US4439001A (en) IDC Socket connector
US6334790B2 (en) Electrical connection and housing having a lance in a terminal accommodation chamber
US613225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of the contact terminals
JPS6264077A (ja) 電気コネクタ
EP0948091A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2762348B2 (ja) 電気コネクタ
US737446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member
JP5367654B2 (ja) メス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