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955B1 - 고정식 혼합 과일 쥬스 디스펜서(Dispenser) - Google Patents

고정식 혼합 과일 쥬스 디스펜서(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955B1
KR910003955B1 KR1019850006875A KR850006875A KR910003955B1 KR 910003955 B1 KR910003955 B1 KR 910003955B1 KR 1019850006875 A KR1019850006875 A KR 1019850006875A KR 850006875 A KR850006875 A KR 850006875A KR 910003955 B1 KR910003955 B1 KR 910003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ispenser
container
cooling
drin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747A (ko
Inventor
에이. 알제르저 윌리암
제이. 릴리 마이클
제이. 라루미에르 에드워드
쥬니어 윌리암 에이치. 데카스트로
Original Assignee
제트 스프레이 코포레이션
레오날드 제이. 쟈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 스프레이 코포레이션, 레오날드 제이. 쟈콥스 filed Critical 제트 스프레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6000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4Devices for mixing two or more different liquids to be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27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control of the amount of one component, the amount of the other components(s) being dependent on that control
    • B67D1/0028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control of the amount of one component, the amount of the other components(s) being dependent on that control based on the timed opening of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7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4Cool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46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210/00149Fixed containers to be filled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46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210/00149Fixed containers to be filled in situ
    • B67D2210/00152Automatically
    • B67D2210/00157Level detected electrically by contact with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정식 혼합 과일 쥬스 디스펜서(Dispenser)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를 일부를 절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제 1a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음료 디스펜서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음료 디스펜서를 절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3-3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의 상부 부분의 부분 단면도.
제 4 도는 음료 원액을 디스펜서에 주입시키는 하나의 충진 조립체를 확대하여 도시한 제 2 도의 선4-4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선5-5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 6a 도는 제 1 도의 선6-6에 따른 음료 토출 조립체의 단면도.
제 6b 도 및 제 6c 도는 제 6a 도의 선 6b 및 6c 에 따른 토출 조립체 일부의 단면도.
제 7 도는 제 3 도의 선7-7에 따른, 디스펜서 상부에 있는 냉각조의 부분 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선8-8에 따른 냉각조의 탐침기의 부분 단면도.
제 9 도는 원격 제어 장치가 접속되는 방법도 아울러 도시한 음료 디스펜서의 사시도.
제 10 도는 디스펜서 내의 급수 시스템의 선도.
제 11 도는 디스펜서 냉각 시스템의 선도.
제 12 도는 원액 공급 시스템의 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우징 32,34 : 용기
36 : 캐비닛 38 : 냉각조
60 : 팬 조립체 62 : 팬
66 : 절연체 68 : 모터
71 : 트레이 75 : 접지선
76 : 요홈 80 : 고무연결기
82 : 유입관 90 : 플랜지
94 : 개구부 96 : 연결기
100 : 포트 102 : 슬리이브
106 : 충진깔대기 110 : 뚜껑
120 : 용기 126 : 냉각코일
130 : 식수코일 127 : 응축기
129 : 압축기 131 : 건조기
133 : 열교환기 136 : T-연결기
138 : 덕트 140 : 식수유입구
142 : 진공차단기 144 : 여과기
146 : T-연결기 150 : 판
152 : 교반모터 156 : 임펠러
160 : 탐침조립체 180 : 공기 턱트 코일
182 : 냉각 핀 192,194 : 토출 시스템
200 : 압력조절기 202 : 수용 솔레로이드
206 : 제어밸브 212 : 펌프
214 : 혼합블럭 222 : 노즐 유니온
232 : 슬리이브 234 : 노즐 본체
246 : 원액 유입구 252 : 통기공
266 : 다지관 286 : 배출구
290 : 요홈 306 : O-링
308 : 펌프 헤드 310 : 펌퍼 격실
312 : 임펠러 314 : 베인
318 : 축 340 : 탐침봉
350 : 부싱 360 : 누름 손잡이
본 발명은 음료 디스펜서(Dispenser)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이한 두 종류의 음료를 동시에 분배할 수 있는 고정식 혼합 과일 쥬스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세담(Sedam) 등에 허혀된 미합중국 특허 제4,493,441호에는 선행 기술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적은 양의 소비자를 위한 고정식 혼합 탄산 음료 디스펜서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유니트는 물을 카아보네이서(Carbonator) 탱크로 공급하는 물 저장기를 포함한다. 증발기 코일은 카아보네이터 탱크로 보내지게 되는 물을 냉각하기 위해 물 저장기 내에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는 또한 카아보네이터 탱크 둘레를 감싸 상기 탱크를 냉각시키고 또한 시럽(syrup) 팩키지들을 감싸는 냉각 브래킷과 접촉된다. 냉각 설계의 목적은 방출 음료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함이다. 상기 세담 등에게 허여된 특허에는 냉각조내에 설치된 음료수를 보유하는 증발기 코일 또는 액각 코일에 의해서 냉각되는 본 출원인의 냉각조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세담 등에 허여된 특허에는 원액 용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본 출원인의 공기 덕트 코일 및 팬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홀더리(Holoerle)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2,167,547호에는 바렐(barrel)형 후우징을 갖는 음류분배 유니트가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은 시럽 탱크를 보유하고 캐비닛 기부 상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캐비닛 기부는 물탱크 및 냉각실을 보유한다. 상기 홀더리 등에게 허여된 특허에는 본 출원의 신규한 격실 장치 및 냉각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풀러(Fuller)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4,182,363호에는 유니트의 보유(encapsulating)하주징 내에 형성된 웰(wells)들 내로부터 연장되는 탐침봉들의 극성(polarity)을 포함하는 액체 저장기내로 삽입된 액체 수준 제어 유니트가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탐침봉들은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상이한 길이로 연장되어 저장기 내의 액체 수준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랜(Gran)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285,474호에는 밸브식 용기를 액체 디스펜서의 냉각실 내에 자동으로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출립문 상에 위치 결정 장치를 갖는 액체 디스펜서가 기재되어 있는데, 액체 용기의 방출 밸브는 액체 디스펜서가, 출입문내에 제공된 방출 개구부를 통해 액체를 중력하에 선택적으로 분해하도록 출입문을 통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적당하게 위치되게 한다.
테너(Tanner)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2,381,013호에는 음료 디스펜서가 기재되어 있는데, 혼합된 음료의 물 성분은 기계적 냉동장치에 의해 직접 냉각되고 냉각된 물 성분은 카아보네이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럽 탱크, 및 다양한 물 및 시럽 펌프 및 밸브들을 냉각시키는 데에 사용되며, 카아보네이터 펌프는 배드(bath)내의 물을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된다.
단일 또는 조합하여 인용된 상기 참조문들에는 본 출원인의 특허청구의 범위들에 기재된 주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하면 쥬스 원액은 장치의 상부 부분에 있는 캐비닛에 저장되어 그로부터 분배된다. 본 장치는 원액을 4.44oC로 보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액을 저장하는 개개의 착탈 가능한 용기가 마련된다. 장치 상부에 주입 포트를 마련함으로서 캐비닛으로부터 용기를 꺼내지 않고서도 용액을 보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동일한 냉각시스템을 사용하여 원액을 저온으로 유지하고 또한 원액과 혼합되어 음료를 구성하는 식수를 냉각시킨다. 원액의 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하강되면 감지기가 작동되어 해당되는 특정 음료의 토출 조립체를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두 종류의 음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원액 용기의 용량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보다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음료를 보다 많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원액 용기가 저장되는 캐비닛은 양호하게 절연되어 있으나, 그 전면에는 회동식 문을 설치하여 저장된 용기를 꺼내 세척 및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캐비닛에는 분리된 충진 조립체를 마련하여 개개의 원액 용기들 및 그에 따른 토출 조립체들은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발출할 수 있으며,그 부품들은 세척을 위해 쉽게 분해할 수가 있다.
원액 용기들을 감싸고 있는 캐비닛 층 후면의 장치의 상부 부분내에 위치하는 냉각조를 포함하는 냉각 시스템을 마련한다. 냉각조는 식수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는 식수 코일을 포함하며, 냉각조를 냉각시키는 냉각시스템은 캐비닛내에 공기 냉각시스템을 마련하는데, 이를 통해 캐비닛 내의 공기가 순환되어 원액을 저온 상태로 유지한다. 냉각조는 식수의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단시간 내에 장치로부터 다량의 음료가 토출되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각각의 특징들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건강에 유익하고 맛이 좋은 물로 희석된 신선한 천연 과일 쥬스를 공급하는 디스펜서를 마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음료 디스펜서는 고정식 혼합 장치로서 음료 원액 및 냉각수를 혼합하여 필요에 따라 그 혼합물을 토출시킨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과일 쥬스 디스펜서로 사용되며, 그 적합한 형태는 두 종류의 과일 쥬스, 예컨대 오렌지쥬스 및 그레이프 후르트(grape fruit)쥬스를 측정된 양만큼 분배하는 것이다.
건강에 유익하고 맛이 좋은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장치는 신선하게 물로 희석된 천연 과일 쥬스를 분배한다. 가장 적합한 결과는 제조공장에서 냉동된 상태로 생산되는 쥬스 원액을 사용전까지 하루 또는 수일동안 냉동상태로 보존한 후에 사용시에 냉동기로부터 꺼내 냉장고에 보존하여 녹인후 온도를 4.44oC로 유지한 후 하는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온도의 원액을 디스펜서내의 원액 저장기에 주입시킨다.
도면에 도시한 디스펜서는 계단대 위 또는 테이블 위에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그 전체크기는 높이 68.58cm, 폭 35.56cm 및 깊이 58.42cm이다.본 디스펜서는 하우징의 기부(24)의 4개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한 4개의 다리(22)로 지지되는 하우징(20)을 포함한다. 기부(24)는 익류집수판(25)를 포함한다. 하우징(20)의 하부부분(26)에는 압축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냉각시스템의 전체와 디스펜서 제어기 및 식수 공급시스템의 일부가 내장된다. 디스펜서의 상부부분(28)에는 그 전면이 회동식문(30)으로 폐쇄된 절연 캐비닛(36)이 위치하는데, 이 캐비닛은 그 전면에서 두 개의 용기(32) 및 (34)를 포함한다. 문(30)은 자석걸쇠(31)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고정된다. 용기(32) 및 (34)는 장치상부의 후방에 위치한 냉각조(38)의 전방에서 절연캐비닛(36)내에 장설된다.
디스펜서의 각 부분을 소제목을 부기하여 다음에 상술한다.
[절연 캐비닛]
캐비닛(36)은 힌지(hinge)(40)에 의해 부착되어있는 회동문(30)을 통해 내부에 접근할 수 있으며 상부는 상부벽(42), 바닥은 바닥벽(44), 전면은 문(30), 후면은 후면벽(45) 및 측면들은 측면벽(46) 및 (48)에 의해 절연되어 있다. 캐비닛은 전방(52)에서 개방 되어 있어 두 개의 원액용기(32) 및 (34)를 수용하는 층(50)을 갖는다. 캐비닛의 바닥벽(54)는 그 중심부에 배수구(56)을 갖는 하부전면부분(55) 및 바닥벽(54)의 하부전면부분(55)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진 상승된 후방부분(58)을 갖는다. 배수구(56)은 익류 집수판(25)에 연결된 배수관(570과 정렬된다. 층 바닥벽의 상승된 후방부분(58)은 팬(fan) 조립체(60)이 장설되는 공간을 캐비닛내에 마련한다. 제 3 도에 팬조립체(60)은 캐비닛의 바닥벽(44)의 돌출된 부분(67)에서 절연체(66)을 통과하여 연장된 수직축(64)위에 회전 자재하게 지지되는 팬(6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조립체는 측벽(46) 및 (48) 사이에서 캐비닛내의 중심에 위치한다. 축(64)는 돌출부(67)에 의해 형성된 바닥벽(44)의 하부면내의 요홈에 장착된 모터(68)에 의해 구동된다. 팬(62)는 캐비닛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용기(32) 및 (34)내에 저장된 원액을 적정온도, 즉 4.44oC정도로 유지한다. 냉각시스템은 다음에 상술한다.
[원액 용기]
제 1 도 및 2 도에 도시한 원액 용기(32) 및 (34)의 크기는 동일하지 않다. 용기(34)의 용량은 용기(32)의 용량보다 월등히 크게 되어 있어 사람들이 보다 선호하는 음료를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적합한 형태에서 큰 용기는 8.5ℓ 정도로 되게 구성한다. 큰 용기는 2.72kg짜리 원액통을 3개를 수용하며, 작은 용기는 1.19kg짜리 원액통을 3개 수용한다. 상기 용기들은 그 폭을 제외하고는 용기(32) 및 (34)가 동일하게 때문에 이후 용기(34)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각각의 용기(34) 및 (35)는 층(50)의 벽(55) 및 (58) 위에 장입되도록 구성된 하부경사부(70) 및 상부경사부(72)를 갖는 바닥벽을 포함한다. 금속트레이(tray)(71)은 제 3 도 및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지지부(73)에 의해 층(450)에 바닥벽(55)위에 지지되며, 용기(32) 및 (34)의 바닥벽(70)은 다시 트레이(71)위에 놓여지게 된다. 각각의 용기의 바닥벽(70)은 세로홈이 형성되어 용기가 안정적으로 로위치할수 있는 기단을 마련하게 된다. 세로홈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낮아져 트레이(71)의 정렬되는 수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 5 도에서 접지선(75)는 하나의 수평지지부(73)에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지지부 및 트레이(71)을 통과한 접지선은 캐비닛 층(50)의 두 개의 용기(32) 및 (34)사이에 위치한 접지판(77)에 회로가 연결된다. 각 원액용기(32) 및 (34)에는 용기바닥별(70)에 인접하여 그 측벽들에 스테인레스 스틸 전극 (79)를 마련한다. 전극(79)는 원액 용량 감지 회로(도시 안됨)의 일부를 구성하는데, 이 회로는 특정 음료의 원액이 일정수준 이하일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특정음료를 토출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제5도에는 각 용기들의 하나의 전극(79)는 용기들의 정위치에 장설될 때 접지판(77)과 접촉되고 다른쪽 전극들은 캐비닛층의 측벽(83)에 있는 단자(81)에 접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단자(81)은 제 5 도에서 도선(83a)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 5 도의 용기(3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액이 스테인레스스틸 전극(79)이하로 감소될 경우에는 양전극 사이에 무한 저항이 인가되어 제어회로(도싱안됨)는 용기(32)로부터 만들어지는 음료에 이용되는 물 및 원액시스템(이후에 상술됨)의 솔레노이트(solenoid) 및 펌프를 작동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원액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음료를 디스펜서로부터 토출시킬 수 없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용액이 전극(79)위에까지 충전되는 경우에는 양전극 사이의 저항이 감소되어 제어회로(도시안됨)가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는 제 5 도의 용기(34)에 도시하였다.
각각의 용기들의 전면벽(74)는 바닥에서 내측으로 만입되어 있어 제 1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요홈(76)을 형성하는데, 이에는 원액을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밸브조립체의 상부부분의 수용된다. 제 6a 도에 확대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용기들의 요홈(76)은 고무연결기(80)을 지지하는 개구부(78)을 갖는데, 상기연결기(8)은 용기내의 그 내측단에서 유입관(82)를 삽통식으로 수용한다. 유입관982)는 용기의 바닥벽(70)과 거의 같은 길이로 연장되어 용기로부터 원액 전부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원액 충진 조립체]
각각의 용기들은 직립원통형 플랜지(90)으로 형성되고 원액이 충진된 용기가 캐비닛내에 저장될 때에 현수식 뚜껑으로 덮혀지는 그 상부벽(88)에 형성된 충진개구부(86)을 갖는다. 개구부(86)은 손을 넣어 용기 내부를 세척할 수 있을 만한 크기로 되어있다. 원통형플랜지(90)은 캐비닛 층(50)의 상부벽(92)의 개구부(94)로부터 직하방으로 약간 연장된다. 제 3 도에서 연결기(96)은 상부벽(92)의 개구부(94)와 정렬되어 있고 원통형 플랜지(90)을 수용하여 비드(98)에 대해 밀봉상태를 마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4 도에서는 층(50)의 상부벽992)내의 개구부(94)가 캐비닛의 절연된 상부벽(42)의 충진 포트(100)과 정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포트(100)은 나사(104)에 의해 고정된 접시형 플래스틱 스리이브(102)로 형성된다. 포트(100)내에는 층(50)의 개구부(94)를 통과하여 용기(35)내의 원통형 플랜지(90)으로 연장된 주둥이(107)을 갖는 충진깔대기(106)이 위치한다. 충진깔대기(106)은 상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스커트(108)을 갖는데, 이는 제 3 도 및 4 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벽(42)의 상부면 위에 위치한다. 용기(34)에 원액을 충진시키기 위해서는, 제 4 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쥬스원액 포장 P를 도시한바와 같이 모서리를 깔대기(106)을 통해 용기내로 쏟는다. 충진깔대기는 절연상부벽(42)의 상부면에 덮혀지고 절연부(112)를 상부뚜껑(110)으로 폐쇄된다. 뚜껑 하부에서 포킷(116)내에 장설된 자석(114)는 뚜껑을 정위치에 유지시킨다.
[캐비닛 냉각 시스템]
제 2 도, 3 도 및 7 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냉각조(38)은 절연바닥벽(44)상에서 원액용기(32) 및 (34)를 포함하는 캐비닛 층(50) 후면에 위치한다. 냉각조는 바닥벽(122) 및 4개의 수직 측면벽(124)를 갖는 대형용기(120)을 포함한다. 냉각코일(126)은 수직측벽(124) 내부에서 밀집되게 배설된다. 식수용 제2코일(130)은 냉각코일(126) 내부에서 용기(120)내에 위치한다.
냉각코일 또는 증발기코일(126)은 제 11 도에 냉각시스템(125)의 일부로 도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또한 응축기(12), 압축기(129),건조기(131) 및 열교환기(133)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장치 기부(24)상에 장설된다. 이후에 상술되는 코일(126) 및 공기덕트 코일(180)은 기부(24)위에서 캐비닛(36)내에 위치한다.
식수의 냉각효율을 극대화 하기위해 코일(130)은 제 2 도, 7 도 및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한 부분(132) 및 (134)를 갖는다. 식수 코일의 두 개의 부분은 T-연결기(136)에 연결되고 이는 다시 덕트(138)에 의해 식수유입구(140)에 연결된다.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 덕트(138)은 진공차단기(142) 및 여과기(144)를 포함한다. 두 개의 코일(132) 및 (134)는 T-연결기(146)에서 다시 하나로 된다.
냉각조용기(120)에는 냉각 코일(126) 및 식수 코일(130) 상부를 지나는 수준까지 물을 채우며, 용기는 판(150)으로 덮으며 그 위에는 교반 모터(152)가 마련된다. 교반모터(152)는 수조내로 연장되고 물을 식수 코일(130) 주위로 순환시키는 날개가 구비된 임펠러(impeller)(156)을 반송하는 축(154)를 갖는다. 판(150)은 또한 냉각조내에 얼음이 형성되는 정도를 탐지하기 위한 탐침 조립체(160)을 용기(120)의 후방벽(124)에 인접되게 반송한다. 모터에 연결되어 식수 코일의 두 개의 부분(132) 및 (134) 사이에서 수조내로 연장된 1조의 동판(162)는 모터(152)를 냉각시키기 위한 흡열부 역할을 한다.
탐침 조립체는 제 8 도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이 조립체는 스테인레스 스틸 탐침봉(340)을 포함하는데, 이는 탐침봉을 선탄(344)만 제외하고 전부를 감싸는 절연 외피(342)내에서 연장된다. 스테인레스 스틸 탐침봉(340)은 그 상부에서 도선(346)에 납땜 연결되며, 도선은 외피(342)의 상부에 역시 납땜 연결된 피복재 (348)내에 내장된다. 외피(342) 및 도선 피복재(348)은 습기가 탐침봉(340) 상단부에 접촉되어 합선을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절연외피(342)는 네오프렌 부싱(neoprene bushing)(350)에 의해 반송되며, 부싱은 다시 냉각조의 상부판(150)에 장착된다. 부싱(350)은 판(150) 및 체결 너트(354) 아래에서 잼 너트(jam nut)(352)에 의해 고정된다. 탐침 조립체(160)은 식수코일(130)내의 식수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조 용기(120) 내부에 얼음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는가를 감지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탐침봉 선단(344)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얼음 속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탐침봉 선단이 물속에 있을때보다 높은 저항을 야기하게 되어 탐침봉에 연결된 제어회로(도시안됨)가 얼음에 의해 선단주위에 야기된 높은 저항에 따라 압축기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냉각조내의 얼음의 녹아 금속저장기(120)에 의해 형성되는 접지와 선단과의 사이의 저항이 낮아지게 되면, 회로는 다시 압축기 및 냉각시스템을 가종시켜 탐침봉 선단이 다시 얼음속에 위치할 때까지 용기내에 얼음을 생성시킨다. 물론 용기 내부에 식수를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는 얼음이 형성된 후에는 압축기를 정지시켜 냉각조내에 얼음이 너무 많이 생성되어 식수코일(130)내의 식수를 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시에 냉각코일 주위의 냉각조 내에는 3.63kg 내지 4.08kg의 얼음이 생성되는데, 이는 식수를 얼리지 않는 상태에서 식수를 가능한한 낮은 온도로 냉각시킨다.
용기(120)의 직 전방 및 층(50)의 후면에는 공기덕트 코일(180)이 위치하는데, 이는 냉각제를 반송하며 냉각코일(126)에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공기 덕트 코일(180)은 캐비닛내의 강제순환 냉각에 사용되도록 배설된 냉각 핀(fin)(182)를 갖는다. 핀들은 수직 알루미늄판 형태로서 코일(180)의 관을 지지하며 핀들은 층(50)의 후면벽(183)과 용기의 전면벽(124)사이에 위치한다.
제 3 도에 음료 원액을 냉각시키는 냉각 공기의 통로를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팬 조립체(60)은 공기를 공기 덕트 코일(180)의 핀(182) 사이에서 위로 추진시켜 층(50)의 후방벽(183) 상단부에 있는 포트(186)통과하여 용기(32) 및 (34)의 상부벽(88)을 가로질러 그들의 인접한 측벽들 및 격설된 측벽들 사이를 통과시키고 문(30) 뒤에서 용기의 전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용기 및 트레이 하부를 지나 포트(189)를 통과하여 팬 조립체(60)으로 귀환하는 폐쇄 루프(closed loop)식으로 캐비닛 내에서 순환시킨다. 코일(180)으로 냉각되는 공기의 연속적인 순환은 용기(32) 및 (34)와 그 내부에 저장된 원액들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음료 토출 조립체 밸브 조립체]
제 10 도 및 12 도에 선도로 도시한 물 및 원액의 회로는 음료 토출 조립체를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0 도에 도시한 식수 시스템은 턱트(138)로 향하는 유입구(140)을 갖는데, 상기 덕트는 여과기(144) 및 진공차단기(142)를 통과하게 된다. 진공차단기(142)는 디스펜서로부터 공급시스템내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각조내의 식수 코일(130)의 두 개의 코일부분(132) 및 (134)를 지나는 식수는 T-연결기(146)에서 하나로 합쳐져 덕트(190)로 향하는데, 이는 다시 분리되어 식수를 각각의 쥬스 원액이 각각 저장된 별도의 용기(32) 및 (34)용 음료 토출 조립체로 나누어 공급한다. 제 1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32)는 그 토출시스템(192)에 연결되고 용기(34)는 다른 토출 시스템(194)에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조립체(192)는 포도 또는 그레이프푸르트(grapefruit) 쥬스를 토출시키는데 사용되고 조립체(194)는 오렌지쥬스를 토출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각각의 조립체들은 그들 각각의 식수공급원을 필요로 하며 이는 덕트(19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조립체(192) 및 (194)를 위한 두 개의 분리된 종속시스템(196) 및 (198)로 분지하여 마련한다(제10도). 양 조립체들이 동일하기 때문에, 조립체(194)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며 이는 오렌지쥬스 시스템으로 호칭될 경우도 있다.
덕트(190)으로부터 공급되는 식수는 압력조정기(200) 및 수용 솔레노이드(demand solenoid)(202)를 통과하며, 물의 진행 방향은 다시 분지되어 식수의 한쪽분류는 토출조립체(194)의 토출노즐(238)로 향하고 다른쪽 분류는 이후에 상술하는 원액 제어밸브(206)내의 세척회로로 향하게 된다. 각각의 시스템의 압력 조정기(200) 및 진공차단기(142)는 냉각조 위의 하우징 상부에 설치하며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2 도에는 원액시스템을 선형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는 농축된 오렌지쥬스를 저장하는 원액용기(34)와 덕트(210)에 의해 식수 세척 라인에 연결되는 원액 제어 밸브(206), 원액 펌프(212), 식수와 원액이 혼합되어 희석된 천연과일쥬스를 형성하는 혼합 블럭(214) 및 토출 노즐(238)을 포함한다. 제 12 도에 도시한 혼합 블럭(214)는 제 10 도의 급수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주분류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급수 및 원액 시스템의 여러 부분은 제 3 도 및 6a 도 내지 6c 도에 상세히 도시하였다.
제 3 도에서, 식수 시스템(198)은 하우징의 하부부분(26)에서 캐비닛(36)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 원액 시스템은 용기(34)로 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캐비닛(36)으로 부터 다지관(266)을 통해 하우징의 하부부분(26)내로 유입되어, 여기에서 식수 시스템과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 3 도 및 6a 도에서 오렌지쥬스 토출 시스템내의 솔레노이드밸브(202)는 노즐유니온(22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유니온(222)는 축방향 구멍(224) 및 반경 방향 탭(tap)(226)을 가지며, 이 탭은 세척수 분출 라인(2280에 연결된다. 노즐 유니온은 하우징(20)의 하부부분의 전면벽(230)내에 장착되며 벽(230)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니온의 일부는 활주 슬리이브(232)에 의해 노즐 본체(234)에 연결된다. 벽(230) 외부에 위치하는 노즐 본체(234)는 수평부(236) 및 수직 노즐(238)과 본체를 관통하는 수평통로(242)의 단부를 폐쇄하는 마개(240)을 갖는다. 노즐 본체(234)를 장치로 부터 분리 하기 위해서는 활주 슬리이브(232)를 제 6a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켜, 슬리이브가 노즐 유니온 (222)의 단부를 해리시키고 O-링(224)를 분리시키도록 한다.
반경 방향의 수직 원액 유입구(246)은 혼합 블럭 격실(214)에서 노즐본체를 관통하는 축방향 수평통로(242)와 연통되는 통로(248)을 갖는다. 원액 및 식수는 격실(214)에서 혼합되어 수평통로(242)를 통과하여 노즐(238)로 향하게 된다.
통기공(252)를 원액유입구(246)의 하류에서 노즐 본체내에 마련하는데, 이 통기공은 본체(234)위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된 너얼링(Knurling) 가공된 링(254)로 조절된다. 제 6b 도에서 링(254)는 통기공(252)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여기에서 링을 반시계 방향으로 그 견부(258)이 정지부(260)과 계합되도록 약 90o회전시켜 통기공(252)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링(254)는 음료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제어하는 온-오프 밸브 역할을 한다. 통기공(252)가 개방되면 밸브 본체(234)를 통해 분리되는 음료에는 약간의 기포(거품)가 형성되며, 통기공(252)가 폐쇄되면 기포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제 6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238)의 내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으로 향하는 홈은 노즐을 통과하는 음료가 직선으로 흐르도록 하며 액체의 흐름을 보다 좋게 하여 투출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원액 시스템은 원액 유입구(246)을 통해 식수 시스템에 연결된다. 12도에 명시한 바 있는 원액 시스템의 주요 부분은 원액 제어 밸브(206)과 원액 펌프(212)이다.
제 6a 도에서는 원액 용기(34) 내부에 위치한 유입관(82)을 용기벽을 통해 연장되는 고무연결기(80)의 내측단 내부에 삽통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연결기(80)은 90o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하향 연장부(259)는 원액 제어 밸브(206)의 본체(262)의 목부분(260)에 연결된다. 원액 제어 밸브의 본체(262)는 지점(268)에서 다지관(266)에 대해 회동자재한 베일 선(bail wire)(264)에 의해 디스펜서에 장착된다. 제 3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지관(266)은 캐비닛 절연벽(44)내에 장착된다. 원액 제어 밸브(206)은 테이퍼형 바렐(barrel)(270)을 갖는데, 이를 통하여 목부분(260)에서 원액 제어 밸브의 유입구(274)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여 밸브가 펌프(212)로 유입되는 원액을 차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바렐의 위치는 파지부(276)으로 조절된다. 즉, 사용자는 파지부를 조절하여 바렐을 제 6a 도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통로(272)가 유입구(274)와 연통되는 위치인 90°회전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후자의 위치는 장치가 정상 작동되는 상태이다.
바렐(270)은 또한 그 외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홈(280)을 갖는데, 이는 시스템을 세척할 때 세척수(식수)가 다지관(266) 및 펌프(212)를 통과하여 이동되게 한다. 분출관(228)은 트레이(71) 하부에서 공기 통로내의 캐비닛내에 위치하는 장착구(282)에 의해 다지관에 연결된다. 제 6a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액 제어 밸브의 바렐(270)이 도시한 위치에 있을 때 세척수는 분출관(228)로부터 다지관 통로(284)로 유입되어, 홈(280)을 통해 원액 제어 밸브 본체(262)의 배출구(286)을 빠져나와 다지관(266)을 통과하게 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지관(266)의 상단부는 원액 제어 밸브 본체(262)의 요홈(290)내에 장착되며, O-링 밀봉부(292)는 요홈(290)의 표면과 다지관 상부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 원액 또는 세cjr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다지관 및 원액 제어 밸브 본체(262)상의 귀부(294)상에 고정력을 발휘하는 베일선(264)를 제6A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고리부분(298)이 귀부(294)를 해리시키도록 한다.
다지관(266)의 하부 부분(300)은 라이너 부싱(302)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는데, 이 부싱은 디스펜서의 zo비닛의 절연 바닥벽(44)내에 장착된다. 다지관의 단부(301)은 원액 펌프(212)의 유입 포트(304)에 연결된다. 제 6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지관의 단부(301)은 일련의 O-링(306)에 의해 유입포트(304)내에서 밀봉된다.
펌프 헤드(308)은 그 상부가 펌프유입구(304)에 연결된다. 가요성 베인(vane)(314)가 배성된 일펠러(312)는 펌프격실(310)내에서 회전자재하게 장착되어 모터(318)의 축(316)에 회전된다. 격실은 펌프 베인에 대해 편심으로 위치하여 유입구(304) 부근에 저압부분을 발생시켜 원액이 격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원액은 유입구(304)로부터 180°로 변위되어 위치한 포트(320)을 통해 펌프 헤드로부터 노출된다. 배출포트(320)은 제 6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본체(234)의 일부를 구성하는 반경 방향 유입덕트(246)을 수용한다. 제 6a 도에서 알수 있는바와 같이, 1조의 O-링(322)를 유입 덕트(246)의 외측면위에 배설하여 배출구(320)의 내측면에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펌프헤드(308)은 격실(310)을 덮도록 된 뚜껑(324)를 반송한다. 뚜껑(324)는 고정나사(326)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나사는 디스펜서의 하부부분에서 장착관(328)에 펌프헤드를 고정시킨다.
제 1 도에서는 1초의 누름 손잡이(360)이 각각의 음료 분배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좌측 손잡이(360)은 용기(32)내의 원액으로부터 희석된 음료를 토출하는 상태를 조절하며 우측 노름 손잡이는 용기(34)내에 저장된 원액으로부터 희석된 음료의 토출을 조절한다. 각각의 누름 손잡이(360)은 자석(362)를 갖고 있는데, 이들은 다시 하우징의 하부 부분내의 작동스위치(363)을 작동시킨다(제6A도 참조).
상기 스위치들은 제어 회로(도시 안됨)내에 위치하며, 폐쇄시에는 각 시스템의 원액 라인 및 식수 라인의 원액 펌프(212) 및 솔레노이드 밸브(202)를 구동시키는 회로를 작동시킨다. 디스펜서로부터 음료를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단지 선택된 누름손잡이를 하우징방향으로 눌러 특정스위치(363)을 작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제 9 도에는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양 음료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원격 접속부를 도시하였다. 위 목적을 위해 가요성 외피(370)은 1조의 제어스위치(374) 및 (376)을 갖는 블록(37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외피(370)은 노즐(238) 위에 삽통식으로 삽입되는 가요성 덕트(378)을 반송한다. 전기 도선(380)은 스위치(374) 및 (376)이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202) 및 펌프(212)를 제어하며 적절한 음료를 분배할 수 있도록 한다.
전기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두 개의 각각의 희석된 음료를 편리하게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희석 음료를 구성하는 원액을 냉장 상태에서 저장하는 가장 편리한 수단을 마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음료를 필요로 할 때만 원액 및 냉각수를 혼합함으로써 음료의 맛과 신선도를 그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동일 냉각 시스템은 저장된 원액 및 식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원으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세척이 매우 편리한데, 이는 저장용기(32) 및 (34)와 그에 따른 각각의 원액 제어 밸브(206)을 캐비닛(36)으로부터 쉽게 발출할 수 있고 제어밸브(206)과 노즐 본체 사이의 원액 라인을 세척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원액 용기(32) 및 (34)와 그들의 각 제어밸브(206)을 발출하기 위해서는 제어밸브를 세척 위치(제 6a 도에서 바렐(270)을 표시한 위치)로 회전시키고 적절한 누름손잡이(360) 또는 (362)를 눌러 솔레노이드 밸브(202)를 개방하여 식수가 시스템으로 분출되게 한다. 분출된 물이 모두 흘러나간 후에는 누름손잡이를 이완시키고 충진 조립체의 뚜껑(110) 및 충진깔대기(106)을 제거하여 바렐선(264)를 전방으로 당겨 핀(294)를 분리시키고 바렐선(264)가 다지관(266)의 상부를 당겨 원액 용기가 캐비닛으로부터 활주식으로 발출되도록 한다.
용기(32) 및 (34)의 개구부(90)은 손을 넣어 용기 내부 전체를 세척할 수 있을 만큼 크게 되어 있다. 고무 연결기(80)은 밸브 본체(262)의 목(260)으로부터 매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유입 덕트(82)는 연결기(80)의 내부단으로부터 발출할 수 있어 상기 부분들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가 있다.
원액 제어 밸브(206)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클립(271)을 테이퍼형 바렐(270)의 소구경부를 향해 활주 이동시킴으로서 발출하고 바렐을 본체 정면으로 당김으로써 밸브 본체(262)로부터 제어 밸브 바렐(270)을 발출한다. 펌프(212)도 다지관의 하부단으로부터 분리하고 나사(326)을 풀어 펌프뚜껑(324)를 제거함으로써 쉽게 세척할 수가 있게 된다. 나사(326)을 풀게 되면 전체 펌프 조립체를 디스펜서로부터 발출할 수가 있다. 노즐 본체(234)도 슬리이브(232)를 노즐 유니온(222)의 전방 단부 방향으로 활주시킴으로써 쉽게 발출하여 세척할 수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상술하였으나, 당해 기술에 숙달된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디스펜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도시 및 설명된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 및 이에 동등한 범위로 한정하고자 한다.

Claims (46)

  1. 2종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기부(24) 및 기부상에 장착되고 전면을 향해 개방된 캐비닛(36), 캐비닛내에 설치되어 물과 혼합되어 디스펜서에 의해 분배되는 2종의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원액을 저장하는 두 개의 용기(32,34), 캐비닛의 전면을 개방 및 폐쇄하는 회동식문(30), 캐비닛 후면에 있는 냉각조(38), 냉각조 내에 위치하는 임펠러(156)를 갖는 교반기와 냉각조 상부에 위치하는 모터(152), 기부상에 있는 압축기(129) 및 응축기(127)와 냉각조 내에 있는 냉각코일(126)을 포함하여 냉각조내의 물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각 시스템, 기부에 고정된 한쌍의 분배 노즐(238) 및 각각의 노즐을 캐비닛 내의 상이한 원액 용기내에 연결 시키는 수단, 물 공급원을 디스펜서에 연결시키는 유입구와 식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조내의 냉각코일(126) 및 이 냉각코일을 유입구 및 분배 노즐에 연결시키는 덕트를 포함하는 식수 회로, 냉각조(38)내의 냉각코일(126)과 함께 일련의 냉각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고 캐비닛(36)내의 냉각조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 냉각 코일(180), 캐비닛내의 공기를 공기 냉각 코일 위 및 캐비닛내의 원액 용기(32,34) 주위로 순환시켜 캐비닛내의 원액의 온도를 설정된 수준으로 유지하는 캐비닛내의 팬(62)을 포함하는 순환수단과 각각의 노즐 내에 위치하여 원액 및 식수를 노즐(238)로부터 토출되기 전에 혼합하는 혼합블럭(2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36)은 상부벽(92)과 캐비닛내의 용기(32,34)를 각각 채우기 위하여 상기 상부벽(92)내에 한쌍의 개구부(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기부(24), 기부위에 설치되어 식수와 혼합되어 디스펜서로부터 토출되는 음료 원액을 저장하는 절연 캐비닛(36), 개방되었을 때 캐비닛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캐비닛 상의 문(30), 캐비닛 내의 냉각조(38) 및 냉각조 내의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코일을 갖는 냉각시스템, 기부에 고정되어 있는 음료 토출 노즐 및 이 노즐과 관련되어 노즐로 부터 토출되는 원액 및 식수를 혼합하는 혼합 블록(214), 캐비닛과 노즐을 연결하여 원액을 필요에 따라 혼합 블록(214)으로 공급하는 수단, 식수를 필요에 따라 혼합 블록 및 노즐로 공급하고, 냉각조 내에 위치하는 냉각코일(126)을 갖는 식수 시스템과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캐비닛(36)에 관하여 하우징내의 냉각공기를 순환시키고 냉각조(38) 외측에 위치하여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각 시스템내의 코일을 포함하는 강제 순환 냉각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30)이 캐비닛(36)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 3 항에 있어서, 원액을 저장하는 캐비닛(36)내에 위치한 용기(3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용기(32,34) 및 캐비닛(36) 상부에 위치하여 용기를 캐비닛으로부터 발출하지 않고서도 그를 통해 원액을 용기내에 채울 수 있는 정렬된 개구부(94)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7. 제 3 항에 있어서, 냉각조내에 임펠로(156)를 갖고 있어 냉각수를 냉각조(38)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8.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기부 및 이 기부위에 설치된 절연 캐비닛을 포함하는 하우징, 캐비닛 후방에 위치하는 냉각조 및 캐비닛 전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원액 용기, 하우징상에 장착된 혼합 블록을 포함하고 토출 노즐을 갖는 음료 토출 조립체, 혼합 블록에 연결되고 냉각조 내의 식수 코일을 갖는 식수 시스템,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냉각조 내에 위치하는 냉각 코일과 원액 용기에 인접 위치하는 공기 냉각 코일을 갖고 있으며 상기 냉각 코일은 냉각조내의 물을 냉각시켜 급수 코일 내의 식수를 냉각시키도록 된 냉각 시스템과 캐비닛내에 위치하여 캐비닛내의 공기를 공기 냉각 콩일 위와 용기 주위로 순환시키는 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캐비닛(36) 전면에 위치하여 용기(32,34)를 발출할 수 있게 하는 문(30)과 캐비닛 및 용기 상부에 위치하여 용기를 캐비닛으로부터 발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를 채울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9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0. 제 8 항에 있어서, 캐비닛 내에 장착되는 각각 상이한 크기의 두 개의 원액 용기(32,34)와 각 용기용 혼합 블록(214)을 포함하는 분리된 음료 토출 조립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용기(32,34)들을 각각의 혼합 블럭(214)에 연결시키고, 각각의 음료 토출 조립체에 위치하는 원액 제어 밸브(206) 및 펌프(212)를 포함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2. 제 9 항에 있어서, 용기(32,34)를 혼합 블록(214)에 연결시키는 캐비닛내의 원액 제어 밸브(206)를 포함하는 수단과 용기와 함께 제거될 수 있도록 캐비닛 내에 밸브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3. 제 8 항에 있어서, 용기(32,34)를 혼합 블록(214)에 연결시키는 캐비닛내에 위치하는 원액 제어 밸브(206)를 포함하는 수단과 원액 제어 밸브와 노즐사이의 연결부를 적어도 세척하기 위하여 원액 제어 밸브에 식수 시스템을 연결하는 분출 라인(22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수 시스템은 하우징내에 위치하여 시스템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02)를 포함하고, 하우징 상에 위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02)를 개방시키기 위한 누름 손잡이(360)를 포함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5.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기부상에서 캐비닛(36)을 형성하는 기부(24) 및 절연벽과 격실을 형성하는 캐비닛(36)내의 층(50)과 음료 디스펜서에 의해 분배될 음료를 만들기 위하여 식수와 혼합될 음료 원액을 저장하기 위한 격실내의 원액용기와 원액용기에 분배노즐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과 기부에 고정된 분배 노즐과 식수를 냉각하기 위한 수단과 분배 노즐에 식수원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식수 회로를 포함한 냉각시스템과 상기 냉각시스템은 캐비닛내에 있고 층과 인접한 공기 냉각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층은 공기 냉각 코일에 인접한 승강된 후방 부분을 가진 하부를 가지고 있고, 층과 층내의 어떤 용기에 관하여 어떤 용기를 통하여 캐비닛내의 공기를 순환하기 위한 층의 하부벽의 승강된 부분 아래에 배열된 팬을 포함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층(50)내에 위치하는 한쌍의 원액 용기(32,34)와 냉각 공기가 용기 주위로 순환될 수 있도록 용기(32,34)와 층벽 사이 및 용기(32,34)들 사이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층(50)에 장착되어 용기(32,34)를 층 바닥벽(54)위에 지지하는 트레이(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층(50)내의 원액 용기(32,34)와 용기내의 원액이 설정된 수준 이하로 감소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용기의 벽에 위치하는 전극(79)을 포함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층(50)내의 원액 용기(32,34) 캐비닛의 전면에 위치하여 용기를 층내부에 장착하고 또한 그로부터 발출할 수 있도록 층 내부로의 접근 수단을 마련하는 문(30)과 캐비닛 층 및 용기 상부에 위치하여 용기를 캐비닛으로부터 발출하지 않고서도 용기에 원액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94)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0. 제 15 항에 있어서, 하우징내의 냉각조(38) 상부에 위치하는 모터(152)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냉각로(38)내의 물을 순환시키도록 냉각조내에 위치하는 임펠러(1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캐비닛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94)를 폐쇄하는 캐비닛(36)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110)과 용기(32,34)의 상부 개구부(86)와 정렬되는 상부 개구부(94)내의 착탈 가능한 깔대기(1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2.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절연 캐비닛, 캐비닛을 냉각시키는 팬 및 냉각시스템, 캐비닛에 위치하여 그 내부로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문, 캐비닛 내부에 장착되고 문을 통해 제거할 수 있는 원액 용기와 캐비닛 및 용기에 마련되어 용기를 캐비닛으로부터 발출하지 않고서도 용기에 원액을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23. 제 24 항에 있어서, 캐비닛(36)상에 위치하여 캐비닛에 형성된 개구부(94)를 폐쇄하는 뚜껑(110)과 캐비닛 개구부(94)내에 위치하고 용기의 개구부(86)와 정렬되는 깔대기(1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4.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기부 및 기부상의 캐비닛을 포함하는 하우징, 캐비닛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원액 용기, 용기의 삽입 및 발출을 위해 용기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캐비닛상의 문, 혼합 블록 및 토출 노즐을 형성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토출조립체, 식수를 제공하는 식수 공급원, 식수를 상기 혼합블럭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과 원액이 자체를 통해 유동하는 토출위치 및 상기 밸브와 상기 토출 노즐 사이의 상기 토출 조립체의 적어도 한 부분을 세척하기 위해서 식수가 자체를 통해 유동하는 것은 허용하하 원액이 유동하는 것은 금지하는 세척 위치를 갖는 밸브를 포함하며 원액을 원액용기로부터 상기 혼합 블록으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25. 제 26 항에 있어서, 원액을 공급하는 상기 수단이 상기 밸브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고 밸브의 토출 위치에서 노즐로 원액을 공급하고 밸브의 세척 위치에서 노즐로 식수를 공급하도록 작동하게 되어 있는 원액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6.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상기 토출 및 세척 위치들 중 하나의 위치를 선택하는 수동 선택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밸브와 원액 펌프 사이에 설치된 지지 다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8. 제 29 항에 있어서, 식수를 밸브로 인도하기 위해 식수 제어 솔레노이드를 밸브로 연결시키는 분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9.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지지 다지관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0. 제 31 항에 있어서, 밸브를 다지관상의 제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다지관으로부터 지지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가운 식수(140)의 공급원이 냉각조 내에 설치된 식수 코일(130)을 갖는 캐비닛의 후부에서 냉각조(38)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2. 제 26 항에 있어서, 나란히 설치된 적어도 한쌍의 원액 용기(3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3. 제 36 항에 있어서, 하나의 용기(34)가 다른 용기(3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4.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기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기부상의 절연캐비닛, 적어도 하나의 원액 용기, 용기가 지지되게 되는 캐비닛 내의 수단, 원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원액 용기에 연결된 배출수단, 용기의 삽입 및 발출을 위해 용기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캐비닛의 문 수단과 혼합 블록 및 토출 노즐을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토출 조립체,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수 공급원, 식수를 상기 혼합 블록에 연결시키는 수단, 원액과 식수와의 혼합을 가능케 하기 위해 원액 용기의 출구 수단을 혼합 블록에 연결시키는 수단, 상기 연결 수단은 원액 용기를 캐비닛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는 신속-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3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출구 수단으로부터 원액을 토출하기 위한 원액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문 수단은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36.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수단과 원액 펌프 사이에 연결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3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원액이 자체를 통해 유동하는 토출 및 원액 용기와 노즐 사이의 연결부를 세척하기 위해서 식수가 자체를 통해 유동하는 것은 허용하나 원액이 유동하는 것은 금지하는 세척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38.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상기 토출 및 세척 위치들중 하나의 위치를 선택하는 수동 선택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39.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와 상기 원액 펌프 사이에 설치된 지지 다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40. 제 45 항에 있어서, 식수를 밸브(206)로 인도하기 위해 식수 제어 솔레노이드(202)를 밸브(206)로 연결시키는 분출 라인(2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41.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206)가 다지관(266)으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42. 제 47 항에 있어서, 밸브(206)를 다지관상의 정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다지관(266)으로부터 지지되는 베일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속-분리 수단이 지지 다지관(266)에 걸쳐 지지되는 원액 제어 밸브(206)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는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44. 제 40 항에 있어서, 자체상에 용기(32,34)가 지지되는 캐비닛(36)내의 상기 수단이 트레이(7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32,34)가 상부 충진 개구부(86)를 가지며 상기 캐비닛은 또한 용기상의 충진 개구부와 함께 정렬되는 상부 충진 개구부(94)를 가져 캐비닛(36)의 상부를 통해 용기(32,34)를 재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46.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문 수단(30)이 캐비닛(36)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고 만 충전중에 개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용기내의 액체 수준이 관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KR1019850006875A 1984-09-21 1985-09-20 고정식 혼합 과일 쥬스 디스펜서(Dispenser) KR910003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3497 1984-09-21
US06/653,497 US4610145A (en) 1984-09-21 1984-09-21 Post mix fruit juice dispenser
US653,497 1984-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747A KR860002747A (ko) 1986-04-28
KR910003955B1 true KR910003955B1 (ko) 1991-06-17

Family

ID=2462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875A KR910003955B1 (ko) 1984-09-21 1985-09-20 고정식 혼합 과일 쥬스 디스펜서(Dispens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10145A (ko)
EP (1) EP0176259B1 (ko)
JP (1) JPS61115899A (ko)
KR (1) KR910003955B1 (ko)
AT (1) ATE49737T1 (ko)
DE (1) DE3575548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07B1 (ko) * 2006-11-14 200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중 액상 조성물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0511A (en) * 1986-10-29 1989-05-16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juice dispensing system
US4860923A (en) * 1986-10-29 1989-08-29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juice dispensing system
US4692948A (en) * 1986-12-22 1987-09-15 Jomar International, Ltd. Sink strainer having a magnet
US5000348A (en) * 1987-09-03 1991-03-19 Jet Spray Corp. Post mix dispenser
US4856676A (en) * 1987-09-03 1989-08-15 Jet Spray Corp. Post mix dispenser
US4967932A (en) * 1989-02-27 1990-11-06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warm water purging and method
DE3940878C2 (de) * 1989-12-11 1993-10-14 Bosch Siemens Hausgeraete Vorrichtung zum Kühlen von Getränkekomponenten in einem Getränkeautomaten
US5842603A (en) * 1990-06-06 1998-12-01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juice dispenser
US5615801A (en) * 1990-06-06 1997-04-01 The Coca-Cola Company Juice concentrate package for postmix dispenser
US5383581A (en) * 1992-12-16 1995-01-24 Jet Spray Corp. Static mixing nozzle
JP2556840Y2 (ja) * 1993-02-03 1997-12-0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注出装置
US5490614A (en) * 1993-11-10 1996-02-13 Jet Spray Corp. Beverage dispenser tray assembly
US5456387A (en) * 1994-05-04 1995-10-10 Trewhella; Joseph M. Machine for dispensing chilled alcoholic beverage having improved cooling circuit and bottle mounting system
US5537838A (en) * 1994-11-02 1996-07-23 Jet Spray Corp. Beverage dispenser
US5535600A (en) * 1994-12-07 1996-07-16 Jet Spray Corp. Cooling system for a post-mix beverage dispenser
US5890626A (en) * 1996-08-12 1999-04-06 Imi Wilshire Inc. Remote juice dispenser
US5797519A (en) * 1997-03-14 1998-08-25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beverage dispenser
GB2338558A (en) * 1998-06-17 1999-12-22 Isoworth Uk Ltd Drink dispenser, concentrate detector and concentrate container
US6302299B1 (en) * 1999-04-16 2001-10-16 The Coca-Cola Company Bulk fountain syrup delivery and storage system
US6708741B1 (en) 2000-08-24 2004-03-23 Ocean Spray Cranberries, Inc. Beverage dispenser
FR2814734B1 (fr) * 2000-10-02 2003-01-17 Brandt Cooking Reservoir d'eau amovible, notamment pour un four de cuisson a la vapeur
ATE351985T1 (de) * 2001-05-12 2007-02-15 Samec S N C Motorpumpenaggregat
JP4518713B2 (ja) * 2001-08-30 2010-08-0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US20060283332A1 (en) 2001-12-11 2006-12-21 Garman Michael H Hot beverage maker
US6564975B1 (en) 2001-12-11 2003-05-20 Hamilton Beach/Proctor Silex, Inc. Hot beverage maker with cup-actuated dispenser
US7461586B2 (en) 2001-12-11 2008-12-09 Hamilton Beach Brands, Inc. Hot beverage maker with cup-actuated, low-drip dispenser
EP1687597A2 (en) * 2003-10-28 2006-08-09 Steven Catani Dispensing device for liquid sweetener
NL1029155C2 (nl) * 2004-10-19 2006-04-20 Sara Lee De Nv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US7250588B2 (en) 2005-02-17 2007-07-31 Back To Basics Products, Llc Combination bread toaster and steamer device
USD586880S1 (en) 2006-11-17 2009-02-17 Pur Water Purification Products Inc. Faucet mount housing
USD592729S1 (en) 2006-11-17 2009-05-19 Pur Water Purification Products, Inc. Dispenser cartridge
US20090032541A1 (en) * 2007-08-02 2009-02-05 Lancer Partnershi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oduct dispenser with increased insulative properties
US8685477B2 (en) 2008-01-17 2014-04-01 Enodis Corporation Method for blending a beverage in a single serving cup
US8606396B2 (en) * 2008-12-08 2013-12-10 Enodis Corporation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grated system for dispensing and blending/mixing beverage ingredients
US8857667B2 (en) * 2008-12-08 2014-10-14 Enodis Corporatio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beverage ingredients
US8800817B2 (en) * 2010-12-06 2014-08-12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ing device
EP2764306A2 (en) 2011-10-06 2014-08-13 The Delfield Company, LLC A method and system for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20140091105A1 (en) * 2012-09-28 2014-04-03 A.A. Jud Schroeder Beverage dispensing system
CN103342330A (zh) * 2013-06-18 2013-10-09 昆山诚丰达工控设备有限公司 浓缩果汁自动定量抽取系统及方法
US10060666B2 (en) * 2016-04-21 2018-08-28 Pepsico, Inc. Refrigerated post-mix dispenser
KR102247221B1 (ko) * 2018-07-16 2021-05-03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7547A (en) * 1938-05-16 1939-07-25 Chain Store Root Beer Co In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2381013A (en) * 1943-11-05 1945-08-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frigeration apparatus
US2721450A (en) * 1954-09-20 1955-10-25 William H Entler Refrigerated cabinet for mixed drink dispensers
US3237810A (en) * 1964-04-27 1966-03-01 Magi Pak Corp Liquid comestible dispensing cabinet with cooling means
US3285474A (en) * 1965-04-29 1966-11-15 Magi Pak Corp Positioner for refrigerated liquid dispenser container
US3892335A (en) * 1973-11-30 1975-07-01 Braley William V Beverage dispenser
US4182363A (en) * 1976-11-29 1980-01-08 Fuller Mark W Liquid level controller
JPS5425723A (en) * 1977-07-28 1979-02-26 Sanyo Electric Co Ltd Multiway speaker device
DE2830757A1 (de) * 1978-07-13 1980-01-24 Messwandler Bau Gmbh Als lagenwicklung ausgebildete transformatorwick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lagenwicklung
US4248061A (en) * 1979-05-21 1981-02-03 Effa Etudes Thermostatically and hygrostatically controlled cabinet for storing foodstuffs and other particularly delicate products
US4316557A (en) * 1979-12-17 1982-02-23 Sunkist Growers, Inc. Beverage dispenser with removable tank connection means
US4493441A (en) * 1981-11-12 1985-01-15 The Coca-Cola Company Portable post-mix beverage dispenser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07B1 (ko) * 2006-11-14 2007-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중 액상 조성물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76259B1 (en) 1990-01-24
DE3575548D1 (de) 1990-03-01
KR860002747A (ko) 1986-04-28
US4610145A (en) 1986-09-09
JPS61115899A (ja) 1986-06-03
ATE49737T1 (de) 1990-02-15
EP0176259A1 (en) 1986-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955B1 (ko) 고정식 혼합 과일 쥬스 디스펜서(Dispenser)
USRE33943E (en) Post mix fruit juice dispenser
US4856676A (en) Post mix dispenser
US5280711A (en) Low cost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3892335A (en) Beverage dispenser
US5535600A (en) Cooling system for a post-mix beverage dispenser
US2894377A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CA1308397C (en) Carbonating apparatus
US5873259A (en) System for cooling head of fluid dispensing apparatus
JP6946336B2 (ja) 冷凍ポストミックスディスペンサ
US2750076A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5647512A (en) Soda dispensing machine
US55492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and preparing a beverage
CA2141501C (en) Beverage dispenser
US325927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arbonating, cooling, storing, distributing and dispensing beverages
US3998070A (en) Syrup cooling system for cold drink machine
JPS6246205B2 (ko)
GB2332154A (en) Provision of carbonated beverages
US5160461A (en) Chilled beverage system
GB2307975A (en) Drink cooling
US5000348A (en) Post mix dispenser
US4448036A (en) Refrigeration system
IE55576B1 (en) Post-mix beverage dispenser
GB2152011A (en) Post-mix beverage dispenser with cooled water and syrup
EP0624147B1 (en) Beverag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