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950B1 -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쉬프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3950B1 KR910003950B1 KR1019880011471A KR880011471A KR910003950B1 KR 910003950 B1 KR910003950 B1 KR 910003950B1 KR 1019880011471 A KR1019880011471 A KR 1019880011471A KR 880011471 A KR880011471 A KR 880011471A KR 910003950 B1 KR910003950 B1 KR 9100039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ft
- slider
- longitudinal
- pneumatic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공압조정식 변속기 시스템의 전체실시 예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회로도.
제 3 도는 변속레버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제 4 도는 (a)(b)는 변속레버의 작용도.
제 5 도는 선행기술의 기어쉬프팅장치를 변속기에 설치한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요부 확대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기어쉬프팅 장치가 변속기에 설치된 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횡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횡단면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 12 도는 제 11 도의 요부 사시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종,횡 슬라이더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제 15 도 (a)-(g)는 본 발명의 작용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쉬프트 케이스 2,2' : 공압실린더
3 : 격판 4,4' : 피스톤
5,5' : 피스톤로드 6,6' : 공기유통로(팽창)
7,7' : 공기유통로(수축) 8,8' : 캡
9 : 지지대 10 : 지지판
11 : 조정나사 12 : 종슬라이더
13 : 홈 14 : 자석
15 : 홈 16 : 쉬프트아암
17 : 횡슬라이더 18 : 안내레일
19 : 홈 20 : 돌조
21,21' : 가이더 22 : 장공
23 : 통공 24 : 감지장치
25 : 요입부
본 발명은 공압에 의하여 변속기의 기어물림을 변화시키는 쉬프팅(Shifting)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석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변속기의 원격 조작을 행함에 있어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한 x,y슬라이딩 방식의 쉬프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이 차체의 후방에 장착되어진 이른바 "후엔진 후륜구동차량"은 엔진과 구동륜이 서로 인접되어 있으므로 추진축을 두지 않거나 또는 동력전달계통의 길이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는 반면, 운전석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클러치 및 변속기를 조작하는 기구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이나 변속기레버를 조작함에 있어서, 미세한 움직임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원격전달하여 조작시킨 만큼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하려면 정밀성과 복잡성을 수반하는 구조를 낳았던 것이다.
더욱이, 변속기의 경우에는 레버를 x,y방향으로 번갈아 움직여 적어도 5개소 이상의 위치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므로 조작시에는 원거리에 있는 변속기의 고유위치에 분명히 쉬프팅되지 않으면 변속이 행하여질 수 없었기 때문에 정밀성이 요구되는등, 조작력의 전달기능에 매우 불리한 조건이 내재되어 있다.
이와같은 원격조작의 형식은 와이어 및 링크기구에 의한 것과 유압 및 공압에 의한 시스템이 현재 보편화되어 있으며, 전자의 기구 타입은 와이어, 링크를 레버와 쉬프트간에 직접 연결한 것이어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잇점이 있으나, 사용시 연결부의 마모, 풀림 등의 원인으로 유격이 발생되고, 또한,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의 영향으로 연결재가 수축 및 이완되는 현상이 있어서 결국, 조작운동이 불확실하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후자의 유,공압 시스템은, 조작한 만큼의 운동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으나, 이러하 결점에도 불구하고 제기능의 만족을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예로, 일본 "이즈스(IZUSU)자동차 주식회사"에서 공개된 ACT시스템(Air system)을 아래와 같이 선행기술로서 서술하면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도면 제 1 도는 후엔진 후륜구동식 버스에 있어서 공압시스템이 적용된 변속기 조작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이 장치는 기계식 변속기를 공압 및 전기로 콘트롤함으로서 조작력 및 조작성능을 향상시킨다.
운전석에는 변속기의 변속레버 유니트 (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변속레버를 조작, 여러개의 접속단중에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접점시킴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콘트롤 유니트(C)에 보내고, 여기에서 전자 밸브를 작동시켜 공압이 기어 쉬프트(S)를 밀어주게끔 되어 있다.
또한, 부대장치로서 클러치스위치(W), 안전기구스위치(p), 보호기구(R)가 설치되어 변속을 잘못하였을 경우 변속레버가 튀어나와서 중립으로 되돌아가거나, 부적절한 변속시 엔진의 오버런(over-run)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쉬프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 공기압의 이상발생시 또는 급출발 상태를 방지하는 수단도 병설되어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관련된 상세한 회로도로서 편의상 전기계통회로와 압축공기계통회로를 병합 도시하였다. 이 도면에 준하여 기능을 설명하면,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아 클러치 스위치가 "ON"되면 변속조작계통이 동작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변속레버(b)를 임의의 위치에 조작하여서 해당지점에 접점된 신호가 콘트롤 유니트(C)에 전달되도록 한다.
콘트롤 유니트(c)는 상기 변속레버(b)의 입력신호에 상당하는 지시신호를 기어쉬프터(S)에 전달하게 되고, 기어 쉬프터(S)는 그 명령에 따라 해당전자밸브(V1)를 작동시켜 공압통로를 개방하게 되므로 압축공기가 이를 통과하면서 쉬프터내의 피스톤을 밀어 변속이 행하여지게 하는 동시에, 피이드백 전자밸브(V2)도 개방되어 변속레버 유니트(A)측으로 공압이 공급되게 하거나 또는 오조작시에 반력이 생기도록 공급하게 된다.
상기의 동작으로 피스톤의 쉬프팅 완료가 이루어지면 그 신호를 콘트롤 유니트(C)로 전달하게 되고 콘트롤 유니트(C)는 변속레버 유니트(A)측의 신호와 기어쉬프터(S)측의 신호를 비교하여 변속이 걸어진 기어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게 되며, 일치된 것이 판명되면 피이드백 전자밸브(V2)에 동작의 지시를 보내어 공압에 의해 변속레버(b)가 쑥 들어가면서 운전자에게 쉬프트 완료 감각을 주고 작동이 종료되는 것이다.
즉, 공기탱크(T)에 압축된 공기는 변속지시용 전자밸브(V1)의 선택 및 개폐여부에 따라 피스톤을 작동시켜 쉬프팅 변속을 수행하여 주는 기능으로 이용되고, 또 한편으로는 피드백 전자밸브(V2)의 개폐 여부에 따라 변속레버(b)의 움직임에 대한 부하를 주게 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감각적인 조작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ACT시스템은 종전의 기술에 비하여 조작성과 성능이 크게 향상된 효과를 볼 수 있어서 당해분야에 호평을 받고 있는바, 본 발명자는 이러한 ACT 시스템의 장점을 이용하되 가장 취약한 요소로 지목되고 있는 기어쉬프팅 장치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연구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은 새로운 형식의 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는 것이다.
선행기술의 ACT시스템이 구성하는 기어쉬프트(S)장치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서 표현한 바와같이, 변속기케이스(M)의 상부에 설치되고 전후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 시프트 레일(ㄱ)의 일면에다 2-3개의 홈(ㄴ)을 내어 케이스(M)내에 스프링(ㄹ)으로 탄력 설치된 고정볼(ㄷ)이 홈안에 탄력적으로 개입되게 함으로써 쉬프팅된 기어를 알맞는 위치에 머물러 있게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 구조가 안고 있는 문제점은, 스므스한 쉬프팅이 이루어지지않고 무리하게 슬라이딩하는데서 마멸 및 조기파손을 초래한다는 것이며, 또한 고정볼(ㄷ)의 저항을 받아서 즉각적인 쉬프팅이 되지않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즉, 고정볼(ㄷ)이 강한 스프링력으로 쉬프트레일(ㄱ)의 측면 홈(ㄴ)을 밀고 있는 상태이므로 쉬프팅 초기에는 레일(ㄱ)의 슬라이딩 운동을 강하게 억제하면성 시간을 지연시킨 다음 홈(ㄴ)이 고정 볼(ㄷ)위 위치를 벗어나는 순간 급격히 이동하여 다음칸의 홈으로 고정볼(ㄷ)이 진입되면서 타격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접촉면이 억지운동에 의하여 쉽게 마모되고, 타격을 받는 면이 조기에 마멸되어 결국 헐거운 상태가 되면 기어가 빠지거나 2중 물림이 발생되는 등 변속기의 정상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으며, 쉬프팅 초기에 잠시 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클러치와 연루된 조작관계를 만족히 실현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쉬프터 작동시 저항을 받지않고 유연하게 슬라이딩/쉬프팅 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이와같이 원활한 작동에 의해 변속레버의 조작과 함께 즉시 변속이 행하여질 수 있는 신속성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레일의 저항요소를 폐지함으로써 억지 밀림에 의한 마모, 파손 사례를 방지하며, 더 나아가 쉬프트 구조를 더욱 견실하게 구성하여서 고장없이 장시간 수명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쉬프팅시 기어의 2중 물림이라던가, 덜 물린다던가 기어가 빠진다던가하는 오동작 사례를 일체 배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임의의 선택위치에 정확히 기어물림이 이루어지고 그후 물림위치의 고정이 유지될 수 있는 확실한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은, 흔히 관용기술의 전용 또는 주합하였던 의도와는 달리 독특한 창작에 의하여 구성되는 쉬프팅 장치로서, x,y방향으로 저항을 받지않고 슬라이딩 운동하게끔 각각 밀고 당기는 수단, 이를 단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수단, 그리고 하나의 선택된 지점외에는 들어갈 수 없는 수단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구서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기어 쉬프팅 장치가 적용되는 공압에 의한 변속기 조작 시스템 전체를 대형버스에 일예로 도시한 것이며, 제 2 도는 그의 전기, 공압회로도를 나타낸다(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 있다).
제 3 도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변속레버 유니트(A)를 분해한 것으로서, a는 몸체, b는 레버, c는 안내홈, d는 조립체를 표시하고 몸체의 내부에는 레버(b)가 핀축(e)으로 조립되어 레버(b)를 조작하면 레버(b)가 핀축을 중심으로 안내홈(c)의 내의 변속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레버(b)의 핀축 조립부 하단부의 접점이 상기 변속위치에 대등되는 선택지점의 접점에 접속토록 조립체(d)내에 전기스위치군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레버의 하단부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어 선택지점을 벗어나면 중립위치로 돌아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접점의 개폐는 현재의 기어위치와 중립부분 사이의 1/2 이동되었을 때 이루어진다. 1/2이상의 여유는 운전자에게 기어변속감각을 주기 위한 것이다. 레버(b)를 조작하면 제 4 도의 (a)와 같이 핀축(e)을 중심으로 레버(b)의 하단부가 해당접점에 접속되어 전기신호를 콘트롤 유니트(c)에 전달하며 (b)와 같이 중립에 놓으면 신호가 끊어진다.
도면 제 5 도 및 제 6 도는 종래의 쉬프팅 구조를 나타내고 제 7 도는 이를 비교 도시한 본 발명의 쉬프팅 장치를 나타내었다. 즉, 쉬프트 레일에 홈이 폐지되고 변속기 케이스(M)상단에 새로운 타입의 쉬프트 장치가 설치되어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쉬프터가 이동하여 쉬프트포크를 이동하여 쉬프트포크를 비롯한 쉬프트 레일을 움직이게 되어 있다. 설치상태는, 제 8 도에 나타내듯이 변소기 케이스(M)의 상단에 본 쉬프트 장치가 놓여지고, 쉬프트 케이스(1) 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동일한 구wh의 공압실린ej(2)(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공압 실린더는 2중으로 복합된 것을 동일축상에 설치하고 있어서 편의상 측방향 및 종방향 공압실린더중 하나의 부호는 생략한다.
제 9 도에서와 같이 쉬프트 케이스(1)에 고착된 지지대(9)의 안에 공압실린더(2)(2')가 놓여지게 하되, 중앙부에는 격판(3)이 위치되고 전,후로는 각각 별개의 공압실린더(2)(2')를 형성하여 그의 피스톤(4)(4')이 내장되는 것이다. 이어서, 후방측 공압실린더(2')에는 피스톤로드(5')가 후방의 지지판(10)에 나사고정되나, 이 나사(11)를 돌려 스토록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전방측 공압실린더(2)에는 피스톤로드(5)가 쉬프트케이스(1)를 관통하여 내부의 슬라이더에 결속시키게 된다.
공기압의 유통로는, 팽창측 유통로(6)(6')가 중앙의 격판(3)에 형성되어 전,후 실리더(2)(2')로 분리되고, 수축측 유통로(7)(7')는 전,후방의 캡(8)(8')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같은 1개의 복합실린더에 대한 공압의 공급은 4개의 공압라인을 필요로 하게되어 결국, 본 발명에서의 정방향 및 측방향 복합실린더에 설비되는 전체 공압라인은 8개의 공급, 배기라인을 갖고 4개의 전자제어밸브(Va)(Vb)(Vc)(Vd)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쉬프트 케이스(1) 내부에는 종슬라이더(12)와 횡슬라이더(17)가 상호 끼워진 상태로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피스톤로드(5)(5')의 움직임에 따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되어 있는데, 종슬라이더(12)는 단독으로 전,후진 운동을 하지만 횡슬라이더(17)는 상기 종슬라이더(12)를 탑재한 상태이므로 다함께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게끔 되어 잇다. 더 상세히 말하면, 도면 제 12 도에 표현한 바와같이 종슬라이더(17)는 폭이 넓어 홈으로 된 안내레일(18)안으로 상기의 종슬라이더(17)를 수용하게 되어 있으므로 횡슬라이더(17)의 이동시에는 전체가 이동하고, 종슬라이더(12)의 이동시에는 자체만이 단독으로 전,후진되는 것이다.
상기의 종슬라이더(12) 상단면 전방에는 홈(13)이 가로로 형성되어 강력한 자석(14)을 고착시키게 되어 있으며, 하단 후방에도 가로 방향의 홈(15)이 형성되어 피스톤로드(5)의 선단부에 형성된 홈(5a)과 서로 교호상으로 삽입되어 있어서 피스톤로드(5)가 동작될 때는 종슬라이더(12)가 전,후로 밀리거나 당겨서 이동되고, 횡슬라이더(17)에 의해서 종슬라이더(12)가 측방향으로 이동될 시에는 피스톤로드(5)의 축선 중심위치로부터 좌,우로 슬라이딩하게 되는 한편, 횡슬라이더(17)의 일측벽에도 피스톤로드(5)의 홈(5b)이 삽입될 수 있는 홈(19)을 갖는 돌조(20)가 수직으로 양립되어 있어서 피스톤로드(5)의 전,후 동작에 따라 종슬라이더(12)를 포함하는 횡슬라이더(17)전체가 왕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4 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종슬라이더(12)의 저면 중앙에는 쉬프트아암(16)이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횡슬라이더(17)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한 쉬프트아암(16)이 관통되어 전후로 활동할 수 있는 크기의 장공(22)이 형성되고, 그 양편으로는 가이더(21)(21')를 돌출시켜 종슬라이더(12)를 횡슬라이더(17)에 결합시켰을 때 쉬프트 아암(16)과 가이더(21)(21')의 길이가 일치된 상태에서 쉬프트 아암(16)이 일렬로 위치하거나 또는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이들의 조립체는 쉬프트케이스(1)에 안치되는바, 쉬프트케이스(1)의 저면판(1')에 일정한 크기로 설계된 통공(23)으로 상기의 쉬프트 아암(16)과 가이더(21)(21')가 돌출되므로 통공(23)내에서 이동범위가 제한되는 것이며, 이 통공(23)의 형상은 사각형에서 일측이 약간의 돌출부(24)와 요입부(25)를 보유하는데 그 까닭은, 다수의 변속시보다 깊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후진 변속 상태임을 분명히 인식시켜 주듯이 운전자가 기존의 차량을 작하는 습관에 부응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그러므로 쉬프트 케이스(1)의 외벽에 직교상의 2조로 부착된 공압 실린더(2)와 내부에 종,횡 슬라이더(12)(17)가 내장된 전체의 쉬프트 장치를 일반변속기 상부에 안착시키면, 도면 제 7 도와 같이 종,횡 슬라이더(12)(17)의 쉬프트 아암(16)과 가이더(21)(21')말단이 쉬프트 포크(f)에 슬라이딩 접탈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운전자가 변속을 실행할 경우, 그의 전기적 신호를 콘트롤 유니트(c)에서 받아 비교에 의하여 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때는 해당 전자밸브(V1)를 통전시켜 공압이 유입 되게 하므로 해당되는 공압 실린더(2) 또는 (2')가 팽창되면서 피스톤(4) 또는 (4')를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종 또는 횡슬라이더(12)(17)의 동작에 의하여 쉬프트아암(16)이 결속되어지는 쉬프트포크(f)가 추종되면서 기어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예를들어 설명하면, 1단 위치에서 2단으로 변속할 때 1단에서 중립방향으로 1/2로 후퇴하면 선택레버의 1단위치의 접점이 떨어지고, 스프링에 의해 1단 위치와 2단 위치의 중립 부분까지 선택 레버가 끌어당겨진다. 이때 운전자는 맞물려있던 기어의 결합이 빠지는 것같은 감각을 느끼게 되고 다시 2단쪽으로 1/2정도 선택레버를 이동시키면 선택 레버의 하단부가 2단 위치의 접점에 접속되고 이에 따라 전자밸브(V1)의 해당밸브가 통전되어 공압이 유입된다. 즉, 횡방향 공압실린더의 피스톤(4)(4')들은 1단과 동일한 수축 상태에 놓여 횡슬라이더(17)는 그대로 있고 다만 종방향 공압 실린더의 밸브에 통전됨으로서 피스톤(4)(4')이 모두 수축되고 종슬라이더(12)만이 중립위치를 지나 2단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종슬라이더(12) 상단면 전방의 홈에 설치된 자석(14)의 위치를 감지 장치 즉 리드 스위치(Reed S/W)가 확인함으로써 피이드 백 전자밸브(V2)가 개방되어 변속레버 유니트(A)에 공압이 공급되고 상기 공압에 의해 상기 레버를 당기고 있던 스프링의 힘을 극복하고 2단 위치로 빨려들 듯 변속레버가 이동되어 변속이 완료된다.
이때 운전자는 기어 변속시의 초기 저항감과 변속완료시의 감각을 손으로 느끼게 된다.
도면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변속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다.
(가)중립시
변속레버를 중립에 놓으면 종방향 공압실린더의 선 피스톤(4)이 전진한 상태이고, 후피스톤(4')은 격판(3)에 당접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쉬프트케이스(1)의 저면판(1')에 형성된 통공(23)내에서 종슬라이더(12)의 쉬프트아암(16)이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고, 횡방향 공압실린더의 선,후 피스톤(4)(4')도 상기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되어 종슬라이더는 횡슬라이더(17)에 탑재된 채 횡슬라이더(17)의 가이더(21)(21')사이에 상기 종슬라이더의 쉬프트아암(16)이 상기 가이더와 일직선으로 위치하므로 통공(23)의 중앙지점은 곧 중립을 의미한다.
(나)기어1단
변속레버를 1단 위치에 밀어넣으면, 횡방향 공압실린더의 선피스톤(4)이 수축되면서 종슬라이더(12)가 탑재된 상태의 횡슬라이더(17)를 끌어당겨 좌측 가이더(21)가 통공(23)에 닿게 되며, 이어서 종방향 공압실린더의 후피스톤(4')이 팽창될 때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5')가 후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린더 자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종슬라이더(12)의 쉬프트아암(16)이 기어1단 위치로 전진하게 된다.
(다)기어2단
횡방향 공압실린더의 피스톤(4)(4')들은 기어1단과 동일한 수축상태에 놓여져 있게 되고, 다만 종방향 공압실린더의 피스톤(4)(4')이 모두 수축하여 중립을 거친 후 기어2단으로 들어간다. 즉, 기어 1단과 동일한 좌측위치에서 종슬라이더(12)만이 최대로 당겨져 쉬프트아암(16)이 통공(23)의 후면에 닿게 되어 기어2단이 된다.
(라)기어3단
먼저, 종방향 공압실린더의 선피스톤(4)이 팽창되어 종슬라이더(12)를 중앙선에 밀어놓고, 다음으로 횡방향 공압실린더의 선피스톤(4)이 팽창되어 중립위치로 종슬라이더(12) 및 횡슬라이더(17)를 이동한 다음, 종방향 공압실린더의 후피스톤(4')이 팽창되어 종슬라이더(12)를 전방으로 밀어넣게 되므로 기어3단이 된다.
(마)기어4단
기어3단의 위치에서 종방향 공압실린더의 선,후 피스톤(4)(4')이 모두 수축되어 종슬라이더(12)만을 후면에 닿게 하므로 기어4단이 된다.
(바)기어5단
먼저, 종방향 공압실린더의 선피스톤(4)이 팽창되어 종슬라이더(12)를 중립위치에 밀어놓고, 다음으로 횡방향 공압실린더의 후피스톤(4')이 팽창하여 완전히 우측으로 종,횡슬라이더(12)(17)를 밀어붙힌 다음, 종방향 공압실린더의 후피스톤(4')이 팽창되어 종슬라이더를 전방으로 밀면서 기어5단이 된다.
이 경우는 공압실린더의 선,후 피스톤(4)(4') 모두가 팽창된 상태로 놓여진다.
(사)후진시
상기의 위치에서 종방향 공압실린더의 선,후피스톤(4)(4')이 모두 수축되어 종슬라이더를 완전히 후면으로 당겨놓게 되므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때 통공(23)의 요입부(25)로 깊숙히 당접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후진의 감각을 주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변속 지점으로 쉬프팅이 이루어지면 종슬라이더(12)에 설치된 자석(14)이 쉬프트 케이스(1)의 상판(1")에 변속 위치별로 부착되어진 감지장치(24)에 설치된 상기 자석(14)의 자력선을 검출할 수 있는 소자인 리드스위치(Reed S/W)에 감지되므로 해당변속지점으로 완전히 쉬프팅되어 있는지를 콘트롤 유니트(c)에 확인 신호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콘트롤 유니트(c)에서는 피드백 전자밸브(V2)를 제어하여 공압에 의해 운전자측 변속레버(b)가 스므스하게 들어감으로 운전자는 무부하 상태를 느낌과 동시에 변속완료의 감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공압에 의한 쉬프팅제어방식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분명히 구분하여 전,후,좌,우의 움직임이 정확하게 실행될 뿐만 아니라, 슬라이더 기구에 의하여 유연하게 동작될 수 있으므로 변속시에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마찰, 관련요소의 마멸, 파손으로부터 최대한 보호되며,기어이빨이 덜 물린다던가 2중 물림이 활실히 방지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종래의 고정볼(ㄷ)과 같은 저항요소가 폐지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변속신호를 받음과 동시에 즉시 저항없는(부하가 걸리지않는) 쉬프팅 작용이 이루어져서 운전자가 기대하는 바와같은 신속한 변속을 행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한 변속시스템"에 있어서의 소망하여 왔던 효과를 거의 만족히 성취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 전기 스위치군으로 된 변속 레버 니트(A)를 조작하여 통전된 신호를 콘트롤 유니트(C)에 보내고 여기에서 비교 판단된 명령이 해당된 전자밸브(V1)를 열어줌으로써 공압에 의한 쉬프팅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공지의 원격조작 변속기 시스템에 있어서, 변속기 상부에 장착되어지는 쉬프트 케이스(1)의 벽에 종방향 및 횡방향 공압실린더(2) 기구를 각각 직교상으로 부착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5)를 상기 쉬프트 케이스벽을 관통시켜 내부의 종슬라이더(12)와 횡슬라이더(17)에 각기 결속하며, 상기의 양 슬라이더는 상호 조립체를 형성하되 종슬라이더(12)는 종방향으로만 자유이동 가능하도록 횡슬라이더(17)에 탑재하고, 횡슬라이더(17)는 종슬라이더(12)를 포함하여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내장하며, 종슬라이더(12)의 저면 중앙에는 쉬프트아암(16)을 돌출시키고, 횡슬라이더(17)의 저면중앙에는 장공(22)을 형성함과 그 양변에 가이더(21)(21')를 돌출시켜서 기어 바꿈용 쉬프트포크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쉬프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공압실린더(2)의 중앙에 격판(3)을 두고 선,후 별개의 실린더실(2)(2')을 형성하되, 선피스톤(8)은 쉬프트 케이스(1)내의 슬라이더(12)와 결속하고, 후피스톤(8')은 지지대(9)말단에 조립된 지지판(10)에 나사(11)고정하여서 조립된 복합체의 횡방향 공압실린더와 종방향 공압실린더 기구를 특징으로 하는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쉬프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쉬프트케이스(1)의 저면판(1')에 대략 사각형의 통공(23)을 형성하되, 그 일측을 약간 깊게 들어간 요입부(25)와 더 나온 돌출부(24)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더(21)(21')와 쉬프트아암(16)의 이동범위를 특정시키는 구조의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쉬프팅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종슬라이더(12)의 상단면 전방에 형성된 홈(13)에 자석(14)을 설치하고, 쉬프트케이스(1)의 상판(1")에는 상기 자석(14)의 이동 범위내에서 변속수에 해당하는 감지장치(24)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조정식 기어쉬프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11471A KR910003950B1 (ko) | 1988-09-05 | 1988-09-05 |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쉬프팅 장치 |
JP1228727A JPH0389076A (ja) | 1988-09-05 | 1989-09-04 | 空圧調整式変速機のギアシフティング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11471A KR910003950B1 (ko) | 1988-09-05 | 1988-09-05 |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쉬프팅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4544A KR900004544A (ko) | 1990-04-12 |
KR910003950B1 true KR910003950B1 (ko) | 1991-06-17 |
Family
ID=1927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11471A KR910003950B1 (ko) | 1988-09-05 | 1988-09-05 |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쉬프팅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389076A (ko) |
KR (1) | KR91000395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8003193A1 (de) * | 2008-01-04 | 2009-07-09 | Wabco Gmbh | Getriebestell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50871Y2 (ko) * | 1971-09-20 | 1976-12-07 | ||
JPS58149445A (ja) * | 1982-02-28 | 1983-09-05 | Hino Motors Ltd | 自動変速トランスミツシヨン用パワ−シリンダ |
-
1988
- 1988-09-05 KR KR1019880011471A patent/KR91000395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
- 1989-09-04 JP JP1228727A patent/JPH0389076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4544A (ko) | 1990-04-12 |
JPH0389076A (ja) | 1991-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36278B1 (ko) | 변속비셀렉터기구 | |
KR101403750B1 (ko) | 록킹 장치를 구비한 작동 장치 | |
US5492509A (en) | Operating range selectio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 |
DE69404052T2 (de) | Schaltzylinder für drei Schaltstellungen | |
US4520640A (en) | Position control mechanism for a vehicle ignition lock | |
KR20100087318A (ko) | 게이트 샤프트를 구비한 작동 장치 | |
KR101165121B1 (ko) | 변속기용 시프팅 장치 | |
DE10211910B4 (de) | Schaltverriegelungsvorrichtung | |
DE69113224T2 (de) | Angetriebene Schalteinrichtung zum Schalten der Übersetzung eines Getriebes,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 |
KR910003950B1 (ko) |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쉬프팅 장치 | |
EP0947743B1 (en) | Gear ratio selecting apparatus for transmissions | |
US5481935A (en) | Gearshifting arrangement for actuating motor vehicle multi-speed gearboxes | |
KR20030003719A (ko) | 동력차량의 클러치 및 일련의 기어박스 작동용 전기작동기 | |
SE454763B (sv) | Vexelveljarmekanism | |
DE10148083B4 (de) | Hydraulische Betätigungssysteme | |
US4666023A (en) | Transmission shifting arrangement | |
DE102004025596A1 (de) | Hydraulische Servoandordnung für ein internes elektronisches System zur Auswahl von Getriebebereichen (ETRS) | |
EP2169273B1 (de) | Arretierungsvorrichtung für einen Ventilschieber | |
DE10037547B4 (de) | Automatisiertes Getriebesystem | |
EP0060390A1 (de) | Selbsttätig wirkende Schaltvorrichtung für die Gänge eines Mehrstufenfahrzeuggetriebes | |
CN211901549U (zh) | 一种用于先导液压控制的液压阀 | |
EP0121168A1 (de) | Schalteinrichtung | |
KR100200100B1 (ko) |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장치의 피스톤 센서장치 | |
ITMI980386A1 (it) | Procedimeto e dispositivo per l'azionamento di un cambio particolarmente per l'azionamento di un cambio di un autoveicolo | |
KR920004192Y1 (ko) | 공압조정식 변속기의 기어 시프팅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60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