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875Y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875Y1
KR910003875Y1 KR2019880022310U KR880022310U KR910003875Y1 KR 910003875 Y1 KR910003875 Y1 KR 910003875Y1 KR 2019880022310 U KR2019880022310 U KR 2019880022310U KR 880022310 U KR880022310 U KR 880022310U KR 910003875 Y1 KR910003875 Y1 KR 910003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illow
curved
binder
upper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470U (ko
Inventor
김관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범아침장
김관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범아침장, 김관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범아침장
Priority to KR2019880022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875Y1/ko
Publication of KR900011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베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개 2 : 상부 피
3 : 하부 피 4 : 내용물
5 : 결착대 6 : 골부
7 : 제 1 곡면부 7' : 제 2 곡면부
8 : 곡면부
종래의 베개는 대개 타원형이나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된 포대의 내부에 왕겨 메밀 또는 화학섬유 등의 내용물을 채워넣어 봉합한 제품들로써, 이들 중 타원형의 베개의 경우에는 수면시 머리의 후두골 및 목의 경추부가 베개의 끝부분에 함께 접하게 되어 처음에는 안락한 감을 얻을 수 있으나, 수면시 약간의 움직임이 있어도 머리로 부터 이탈되는 결점이 있으며, 원형의 베개의 경우에는 머리의 후두골부와 목의 경추부가 동시에 닿지 못하는 결점 때문에 머리의 후두골부가 베개에 닿게 될 때에는 턱과 목부분에 자극을 주게되고 목의 경추부가 베개에 닿게하여 사용하게 될 때에는 머리가 베개의 뒤쪽으로 넘어가 수면후에도 항상 피로한 몸을 유지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베개의 내측 중앙 부분에 봉합된 결착대에 의해서 상, 하부피 외부에 골이 지게하여 바로 누울 때에는 머리의 후두골부가 골이진 부분에 닿게 하고 목의 경추부는 둥근 부분에 닿게하고, 바로 누운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몸을 돌려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는 골이 지지 않는 곡면 부분에 머리의 측두골부가 닿게되어 어느 위치에서나 항상 안락한 감을 얻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베개는 상부피(2)와 대략 같은 크기의 하부피(3)와 상부피(2)와 하부피(3)을 봉합하는 봉합부(9)를 구비하고 상부피(2)와 하부피(3) 사이에는 내용물(4)를 넣고, 상부피(2)와 하부피(3)사이에 양쪽이 자유종단으로 되어 있고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결착대(5)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피(2)의 내부 일부분과 상기 하부피(3)의 내부 일부분을 상기 결착대(5)로 잡아 당기도록 봉합하여, 상기 결착대(5)에 의해서 상부피(2)에 골이 형성되고 상기 골을 향해 봉합부(9)로부터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곡면부는 골과 대략 평행한 봉착부로 부터 형성된 곡면부(7, 7')는 골을 형성하는 선을 향해서 형성되고, 골과 대략 수직인 봉착부로 부터 형성된 곡면부(8)는 골의 자유종단인 점을 향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휴식 및 수면을 취하기 위해서 제 3 도와 같이 신체를 바로 누운 상태에서 베개(1)의 골부(6)를 머리의 후두골(10)에 오도록 하면 동시에 목의 경추부(11)가 베개의 제 1 곡면부(7)와 접하게 되므로 머리 및 목의 전체 부분이 베개에 완전히 닿게되어 안락감을 얻게된다. 한편 바로 누운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신체를 돌려 옆으로 눕게되면 곧 머리의 측두골부(12)가 베개의 곡면부(8)와 닿게 되므로 측두골부(12)가 안정되게 위치하게 되어 수면시 몸을 돌려도 계속적으로 안락한 수면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 상부피(2)와 하부피(3)사이에 넣는 내용물(4)은 화확섬유, 왕겨, 메밀등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본고안에 따르는 베개를 만들 수 있다. 더욱이 상부피(2)와 하부피(3)사이에 양쪽이 자유종단으로 되어 있고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결착대(5)를 상기 상부피(2)의 내부 일부분과 상기 하부피(3) 착대(5)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피(2)의 내부 일부분과 상기 하부피(3) 착대(5)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피(2)의 내부 일부분과 상기 하부피(3)의 내부 일부분을 상기 결착대(5)로 잡아 당기도록 봉합할 때, 상기 결착대(5)를 상부피(2)의 가운데에서 한쪽으로 벗어난 부분에 넣어 골을 형성하면 봉합부(9)에서 부터 상기 골을 향해 형성된 곡면부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부가 형성된다.
이를 제 2 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피(2)와 하부피(3) 사이의 결착대(6)가 상부피(2)의 중앙부로 벗어난 곳에 위치하여 골부(6)이 형성되도록 하면 상기 골부(6)을 향한 곡면부는 봉합부(9)로 부터 가까운 곳으로 부터 형성되는 곡면부(7)와 먼 곳으로 부터 형성되는 곡면부(7')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베개를 여러가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예를 들면 목이 짧은 사람이나 유아 또는 성장기의 청소년은 곡률반경이 작은 쪽의 곡면부(7)을 사용하고, 목이 긴 사람이나 성인은 곡률반경이 큰 곡면부(7')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또, 상부피(2)와 하부피(3)을 사이에 내용물(4)을 넣기 위한 부분은 일부에만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완전히 막아 놓더라도 결착부(6)가 상부피(2)와 하부피(3)사이에 형성되어 봉착되면 골부(6)가 형성되고, 이 골부(6)를 향한 곡면부(7, 7')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베개의 상하부피 사이에 결착대를 봉착하여 골을 형성하므로 머리의 후두골부가 골부에 닿게 되고 골부의 형성에 따라 생긴 곡면부가 목의 경추부에 닿게되어 항상 이탈됨이 없이 편하게 휴식 및 휴면을 취할 수 있게 되며 각 곡면부의 크기를 다르게 만들므로써 어린이 및 성인 등 어느 체격이든 사용가능하고 옆으로 누워도 양측의 곡면부를 통해 안락감을 얻을 수 있어 충분한 수면을 통해서 쉽게 피로를 풀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내용물(4)를 상부피(2)와 하부피(3)사이에 넣어 봉합한 통상의 베개에 있어서, 상부피(2)와, 상기 상부피(2)와 대략 같은 크기로 된 하부피(3)와, 상기 상부피(2)와 상기 하부피(3)을 연결하는 봉합부(9)와, 상기 상부피(2)와 상기 하부피(3)사이에 자유종단 모두를 가지고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결착대(5)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대(5)로 상기 상부피(2)의 내부 일부분과 상기 하부피(3)의 내부 일부분을 잡아당겨 골부(5)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결착부(5)에 의해 형성상된 골부(5)를 향하는 곡면부가 상기 상부피(2)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유종단을 가지고 길게 연장된 상기 결착대(5)는 상기 상부피(2)의 중앙부분에서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곡면부는 상기 결착대(5)에 의해 서로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 1 곡면부(7)와 제 2 곡면부(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곡부와 대략 평행한 봉합부로 부터 형성되어 골부의 선을 향하도록 구성된 곡면부와 상기 골부의 자유종단점을 향하는 곡면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19880022310U 1988-12-30 1988-12-30 베개 KR910003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310U KR910003875Y1 (ko) 1988-12-30 1988-12-30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310U KR910003875Y1 (ko) 1988-12-30 1988-12-30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470U KR900011470U (ko) 1990-07-02
KR910003875Y1 true KR910003875Y1 (ko) 1991-06-07

Family

ID=1928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310U KR910003875Y1 (ko) 1988-12-30 1988-12-30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8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470U (ko) 199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1890A (en) Pillow
US5271114A (en) Supporting pillow
US5515559A (en) Child's security enhancing sleeping bag
US4349925A (en) Physiological pillow
US20120023676A1 (en) Orthopedic pillow having oblong central aperture
US20110277243A1 (en) Comfort sleeper
ATE75120T1 (de) Kissen, insbesondere gesundheits-kopfkissen.
US6170103B1 (en) Multi-support sleeping pillows
KR910003875Y1 (ko) 베개
KR200377121Y1 (ko) 유아용 베개
KR200181238Y1 (ko) 베개
US4924540A (en) Pillow
KR200381531Y1 (ko) 머리와 경추부 보호를 위한 신체 배열형 베게
KR200491545Y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200145408Y1 (ko) 베개
KR20210001000U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0365532B1 (ko) 목받침 베개
JPH02257913A (ja) 肩当枕
CN214484094U (zh) 双层双凹枕头
CN208941568U (zh) 一种新型健康枕头
KR200253456Y1 (ko) 베개
CA1263483A (en) Pillow
KR200234279Y1 (ko) 건강베개
JP3025484U (ja) 仰臥、横臥対応枕
JP2001137097A (ja) 掛け布団および掛け布団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