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837B1 -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및 해독장치 - Google Patents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및 해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837B1
KR910003837B1 KR1019870700368A KR870700368A KR910003837B1 KR 910003837 B1 KR910003837 B1 KR 910003837B1 KR 1019870700368 A KR1019870700368 A KR 1019870700368A KR 870700368 A KR870700368 A KR 870700368A KR 910003837 B1 KR910003837 B1 KR 91000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xic
water
waste
predetermined portio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418A (ko
Inventor
프랑크 쥬니어 만샥
Original Assignee
프랑크 쥬니어 만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85/001656 external-priority patent/WO1986001439A1/en
Application filed by 프랑크 쥬니어 만샥 filed Critical 프랑크 쥬니어 만샥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86/001638 external-priority patent/WO1987001312A1/en
Publication of KR87070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4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heating to effect chemical change, e.g. py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A62D3/38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by oxidation; by comb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203/00Aspects of 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2203/02Combined processes involving two or more distinct steps covered by groups A62D3/10 - A62D3/40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203/00Aspects of 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2203/1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armful chemical agent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및 해독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유독성 폐기물 용기의 인시투 탈독성 제거에 사용된 이동가능한 어셈블리 부위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
제 3 도는 선3-3에 따른 제 2 도의 횡단면도,
제 4 도는 선4-4에 따른 제 3 도의 수직 횡단면도,
제 5 도는 제 1 형태 어셈블리 부위의 도식도,
제 6 도는 제 2 형태 어셈블리 부위의 도식도,
제 7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어셈블리 부위의 변경도면,
제 8 도는 한켈리의 확대 횡단면 및 상부 평면도,
제 9 도는 선9-3에 따른 제 4 도의 바닥 평면도,
제 10 도는 켈리 구동구조의 도식도,
제 11 도는 제 2 도의 중간 플랫포옴의 측면도,
제 12 도는 플라즈마 토오치의 도식도,
제 13 도는 제1형태 어셈블리의 도식 사시도,
제 14 도는 선14-14에 따른 제 4 도의 횡단면도,
제 15 도 및 제 16 도는 변경된 제 1 도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도,
제 17 도는 한 견본장치의 확대 측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종래기술의 설명]
많은 위험폐기물 용기는 비교적 오래되었고 그 용기안의 유독성분이 그대로 유지되었는지의 여부 및 놓는 위치도 종종 불완전 하였으며 또한, 그 용기가 낡아짐에 따라서, 드럼, 배럴 및 탱크같은 단단한 물체를 놓은 위치도 알 수 없게 되었다. 그 용기에서 유독성 유기 합성물은 어느 기간에 걸쳐 반응을 해서 압력하에 및 그 용기로부터 개스가 나오기 시작하는 아주 불쾌한 향의 유독성 개스성분을 만든다.
상기한바처럼 위험한 폐기물 용기는 그 상부가 태양에 노출되고 건조되어 먼지가 있으면 건강에 해를 끼치고, 그 용기의 입자는 바람에 의해 공기중에 떠 있으려는 성질이 있다. 이렇게 공기중에 떠 있는 입자는 그 용기가 방사능 물질을 포함하여 라돈개스를 방출하는 경우가 있다면 특히 치명적이 된다. 이 외에도, 유독성 성분은 어느 기간에 걸쳐 용기로부터 빠져나와서 물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그와 같은 위험은 위험한 유독폐기물이 지표면에 쌓여 있을 때 더욱 치명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과거에 다양한 보강책이 제안되고 사용되었으나 미세한 유기체를 사용해서 달성되는 농토에서 그 용기의 유독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오랜기간이나 또는 그 위험한 폐기물을 굴착하여 끄집어 내는 것과 같은 것도 불확실하여 양호하게는 실행되지 못했다.
과거의 공통된 방편을 보면, 콘크리이트나 또는 벤토나이트(bentonite)로 용기의 둘레에 하방으로 뻗은 절연벽을 만들었으나 그 용기는 불필요한 오물이 혼합되어서 다공성 창 또는 실제 개구는 그 벽에 있는 개구를 통해 용기로부터 유독성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허락되지 않도록 확실한 형상을 이루지 않았다.
굴착 및 운반작용은 그것이 주위 대기에 용기로부터 나온 먼지 및 유독개스를 놓아줌으로써 그 용기의 기계운동 및 어떠한 조치도 없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유독물질을 운반하고, 위와 같이 이송될 때 예기치 않게 엎질러지는 위험한 현상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만족되지 않았다. 또한 굴착을 하면 폐기물 용기로부터 유독개스가 새어나와 주변 대기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어느 지형 부위에 함부로 분배되고, 용기안의 유독성분의 보존 및 중앙에 모여지고, 그 폐기물이 지표면밑에 놓여지는 깊이가 변화하는 위험한 폐기물의 유독성분을 제거하고 처리하는 인시투(insitu)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렇게 처리를 하면 주변대기를 오염시키지 않는다.
유독성분을 제거하는 인시투 방법의 다른 목적은 그 작용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수행되고, 앞서 상기한 보강책인 종래기술의 작동단점을 해결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탈독성 인시투 방법에 따른 또다른 목적은 공공고속도로위를 운반하는 유독물질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방법을 제공하며, 특별히 그 용기로부터 라돈의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사능 물질을 포함하는 용기를 처리하는데 유효한 것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인시투 방법에 또다른 목적은 용기둘레에 차폐벽을 형성하고 또는 하방으로 및 그 용기 하부에 뻗어있는 라이너를 형성해서 전용기의 유독성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에 있어 융통성이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위치와 중복되는 위치에서 인시투 독성 제거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위험한 폐기물 용기의 유독성을 제거하고, 이동가능한 제1형태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부에 장착되어 있고 위험폐기물이나 또는 그 폐기물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해 새롭게 발생된 폐기물이 쌓인 땅에 인접한 고정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제1의 개량된 형태의 탈독성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시투 방법에 의해 용기의 실제 유독성을 제거하기 전이나 후에 선별된 위치에서 위험한 폐기물 용기에 함부로 분배되는 유독성분의 량 및 동일함을 확인 및 조사하는데 사용되는 개량된 제2형태의 탈독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기의 위험한 폐기물의 독성을 제거할때 탈독되는 다음 위치에서 유독성분의량 및 존재여부를 축출하고, 또한, 탈독된 위치에 남아있는 임의의 유독성분의 량 및 존재여부를 축출하는 제1형태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그외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탈독성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요약]
위험한 폐기물 용기의 유독성을 제거하는 인시투 방법은 장치의 한측면에 이동가능하고 조절가능하게 연장 및 수직으로 뻗어있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동력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제1형태의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하부단의 프레임은 반전된 컵모양의 보호판을 지지하며 그 보호판은 그와 함께 밀봉하도록 위험한 폐기물 용기의 상부 표면 하방으로 구동되는 하부 바깥둘레 모서리 부위가 있고, 보호판과 용기는 한정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호작용을 한다.
프레임은 그에 대해 횡축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으로 배치된 동력구동 관형드릴관 또는 켈리를 지지하고, 그 켈리는 보호판을 통해 하방으로 뻗어있고, 하부단의 켈리는 대향되어 뻗어있는 두 절삭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카터를 지지하고, 그 블레이드중 하나는 그의 뒷전에 횡측으로 이격된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카터는 가압된 공기를 통해 가열되고 분말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개구를 포함한다. 보호판은 가압수의 분출물이 배출될 수 있는 다수의 제 2 노즐을 갖고 있다.
오물을 포함하는 위험한 폐기물 용기에서 유독성을 제거하는 인시투 방법은 커터의 회전 및 그 카터를 입자물질의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용기를 통해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시작된다. 스팀은 입자가 부딪쳐서 그 크기가 줄어드는 가압분출물로써 제 1노즐을 통해 배출되고, 물의 가압분출물은 구역을 형성하여 카터를 조력하기 위해 제 2노즐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카터의 계속된 회전으로 인해 그 구역의 입자들을 휘젓는다.
스팀의 배출물은 구역을 가열하고 한정된 공간 상방으로 흐르는 자유유독개스 상태로 변형되는 성질이 있다. 스팀 분출로부터 열은 유독성 유기 화합물이 유독증기로써 한정된 공간 상방으로 흐르는데 사용된 스팀의 온도에서 휘발되는 범위까지 구역에 가열을 한다.
감지수단은 구역의 유독성분의 량 및 동일여부를 지시한다. 송풍기는 연속해서 그안의 역 압력을 유지하도록 충분히 빠른 속도로 한정된 공간으로부터 공기, 스팀, 유독증기 및 유독개스를 제거하고 유독성 흐름으로써 공기, 스팀, 유독개스 및 증기를 배출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유독개스 및 증기는 적어도 그 일부분을 응축하도록 하는 유독성 흐름을 냉각하고, 한편으로 활성탄소의 량을 통해 유독성 흐름을 통과하고, 유독성 흐름을 가열하고, 열 산화제를 포함하는 촉매를 통해 유독성분을 비유독성분으로 변형하도록 유독흐름을 배출하거나 플라즈마 오븐을 통해 유독성분을 비유독성분으로 변형하도록 유독성 흐름을 인도하는 것에 의해 균형을 제거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으며, 그 유독성분에 관계없이 상기한 방법이 사용되고, 그 결과에 의해 생긴 유독성분의 자유공기 흐름은 구역으로 다시 재순환되고 그 구역으로부터 자유독성개스로 바꾸어지려는 경향이 있다.
만일 감지유니트가 어떤 유기체, 황화수소 및 이산화황, 즉, 유독금속의 수용성 염 같은 화합물에서 나는 나쁜 냄새를 감지하거나 또는, 독성 유기 화합물이 사용되는 스팀의 온도에서 휘발되지 않는다면, 과산화수소 또는 과망간산칼륨의 수성용액 같은 액체 산화제는 스팀이 제1노즐로부터 배출되지 않을때는 제1노즐을 통해 구역으로 배출된다.
산화제는 황화수소 및 이산화황을 황, 수소 및 산소로 변형시키고 실제적인 수용성 합성물을 만들 위해 유독금속의 수용성 염의 주요 부위와 반응을 한다. 알 수 없는 이유로 그 산화제는 사용된 스팀의 온도에서 휘발하지 않는 긴 연쇄 탄화수소를 스팀온도에서 휘발을 하고 유독증기로써 한정된 공간 상방으로 흐르는 짧은 연쇄 탄화수소로 변형시키는 성질이 있다.
감지수단이 구역에서 원하는 정도로 독성이 제거된 상태를 지시할 때, 분말 탈수제는 카터의 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중공 켈리를 통해 하방으로 취업되도록 하고, 그 개구를 통해 가압된 뜨거운 공기 흐름은 원하는대로 배출될 수 있다. 그 탈수제는 그와 오물의 점토 사이의 이온교환을 하는데 영향을 주고, 구역의 물질은 단단하고, 밀도가 높은 불투과성의 물질로 변형된다. 따라서 카터는 이러한 변형이 일어나기 전에 구역으로부터 제거된다. 실제로 비수용성 화합물로 변형되지 않는 유독수용성 염, 즉 긴 연쇄 탄화수소는 사용된 스팀의 온도에서는 휘발되지 않고, 라돈 방출 방사능 성분은 물에서 불투과성 물질에 둘러쌓여 있어서, 오랜기간 경과 후에도 새지 않을 것이다. 또한 물에 대한 불투과성 물질은 충분한 밀도를 갖고 있어서, 그 물질로부터 라돈이 거의 빠져나가지 않는데, 그 이유는 라돈의 이동속도가 물질을 통해 느리게 이동되어 그 이동속도로 인해 라돈이 물질의 외부 표면에 이르기 전에 고형의 방사능 요소로 변형되기 때문이다.
구역의 유독성분이 용기의 제1위치에서 모두 제거되었을 때 장치는 인접한 제2위치로 이동되고 그 용기의 원하는 부위가 모두 독성이 제거될때까지 이 방법은 반복된다.
상업상 그 장치의 용도를 볼때는, 적어도 이격된 한쌍의 카터가 사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횡단면 구역을 제공하도록 두쌍의 카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용을 실시하기 전에 위험폐기물 용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레이다 탐지를 하여 배럴, 드럼, 탱크, 및 다른 매설물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특히 이러한 물체의 위치는 폐기물 용기의 지도상에 표시해 두어야 한다. 또한, 독성을 제거하기 전에 위험폐기물 용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기의 깊이 및 그 유독성분의 확인 여부를 결정하고, 인시투 방법으로 유독성분을 확인할 수 있게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보어 구멍을 테스트 해야한다. 또한 그 용기는 그의 유독오염물에 대한 정보를 좀더 얻기 위한 더욱 분명한 형태의 장치가 있어야 한다.
정지형태의 탈독성 장치는 지표위에 유정절삭(oil well cuttings), 드릴링 마드(drilling mud), 페인트 잔유물, 살충제 및 그밖의 유사한 물질같은 것에 나온 유독성 폐기물에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대략 이동가능한 형태처럼 똑같은 방법으로 작용하나, 그 유독성물질은 보호판이 위험한 폐기물 용기와 통하여 이동되는 것보다는 밀봉되어 통하는 보호판으로 이동된다는 점에 있어서 이동형태를 볼 때 근본적으로 다르다.
냉각 현상으로 유독성 흐름을 냉각하는데 사용되는중에 탈독성 방법으로부터 생긴 유독성 찌꺼기는 플라즈마로에 놓이는 것에 장점이 있으며, 또한 그것으로는 사용된 활성탄소를 재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인시투(insitu) 방법에 의해 위험한 폐기물의 탈독성 작용은 제 5 도 및 6 도에 도시된 제 1 또는 제 2어셈블리(J) 또는 (K)와 결합하여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이동가능한 장치(U)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그 제 1 및 제 2어셈블리(J) 및 (K)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되지 않은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
장치(U)는 동력장치(V)로부터 외부로 배치된 곳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수직으로 뻗은 프레임(W)내포하고 있으며, 그 동력장치(V)는 무한 궤도차형 트랙터로써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고, 또한 그 트랙터는 기구 및 조절캡(100)을 지지하고 있다.
프레임(W)은 4개의 코너부재(102), 크로스부재(104) 및 보강부재(106)로 형성되어 도시되어 있고, 상부 플랫포옴(108), 하부 플랫포옴(110) 및 중간의 이동가능한 플랫포옴(112)을 내포하고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지지어셈블리(114)는 프레임(W)이 동력장치(v)에 대해 이동되도록 하고, 선회연결부(116a)에 의한 프레임(W) 및 선회연결부(116b)에 의해 동력장치(V)에 고착되는 다수의 연장된 단단한 재(116)을 포함한다. 평형추(118)는 어셈블리(114)와 작동가능하게 연관된 연결 어셈블리(120)에 다음에 설명될 작동부품과 프레임(V)의 무게를 균형잡도록 한다. 제1유압실린더(122)는 그것이 작동될 동력장치에 대해 프레임의 측면이동을 하도록 연결 어셈블리(120)와 동력장치(V)에 선회가능하게 연결있다. 또한, 제2유압실린더(124)는 그것이 작동될 때 동력장치에 대해 비교적 프레임의 수직 이동을 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어셈블리(114) 및 프레임(W)를 지지하도록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두 유압실린더(122)(124)는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다.
보호판(shroud) (X)를 형성하는 한정된 공간은 하부 플랫포옴(110)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있고 보호판내에 회전가능한 동력구동 카터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측면으로 이격된 한쌍의 모터(126)는 하부 플랫포옴(110)에 장착되고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로킷(sprocket)(128)을 회전시킨다. 각 구동 스프로킷(128)은 상부 플랫포옴(108)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스프로킷(132)과 회전가능 하게 접촉하는 상방으로 뻗어 있는 무한 링크 벨트(130)와 접촉한다. 중간 플랫포옴(112)은 벨트(130)의 수직도달 부위(130a)에 종래의 죄임수단(112a)에 의해 고착된다.
하부 플랫포옴(110)은 한쌍의 구동기어(138)와 맞물린 결합을 하고 있는 제 3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 스프로킷(136)을 회전시키는 그 하부 플랫포옴에 장착된 두쌍의 전기모터(134)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기어는 맞물린 결합을 하고 있다.
제 4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플랫포옴(110)은 상부 수평판(110a) 및 하부판(110b)에 의해 형성된다. 각 구동기어(138)는 링 형상이고,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44)에 의해 하부판(110b)에 고착된 링형장치 어셈블리(142)로부터 후속의 볼베어링(1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구동기어(138)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48)에 의해 그 구동기어의 상부 표면에 고착된 편평하고 단단한 링형부재(146)를 구비하고 있다. 각 부재(146)는 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부판(110a)의 한 개구(152)를 통해 통과하는 원통형 쉘(150)을 지니고 있다. 제 4 도를 보면 각 쉘(150)은 그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플랜지(154)를 구비하고, 상부판(110a)의 상부 표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시일(seal)(156)을 지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4 도 및 제 8 도를 보면 이격된 두쌍의 로울러(158)는 부재(146)에 고착된 러그(160)로부터 상부판(110a)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플랫포옴(112)은 연결부(162)에 의해 결합된 수직으로 이격된 수평판(112a)인 상하 부위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카터(Z)로 사용된 두 관형켈리(kelly)(164)는 중간 플랫포옴(112)내에 배치된 상부 부위(164a)를 지니고 있으며, 각 부위(164a)는 그것에 고착된 외부로 뻗은 플랜지(166)를 구비하고 있고, 그 플랜지는 일렬로된 볼베어링(170)과 회전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고착 플랜지에 첨부된 외부로 흠이 있고, 또한 링형부재(16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볼베어링(170)은 중간 플랫포옴(112)의 상부판(112a)에 고착된 내부로 홈이난 링형부재(172)와 접촉하고 있다.
각 켈리(164)는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부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대향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뻗어있는 리브(rib)(174)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리브는 두쌍의 로울러(15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다. 각 켈리(164)는 대략 그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중앙으로 배치된 관형부재(176)를 지지하는 하부단에 고착된 수평부재(164b)를 구비하고 있다. 관형부재(176)는 켈리(164)의 상부에 상방으로 뻗어있는 관(178)용 장치로써 수행하며 관형 스위블(swivel)에 연결되어 있다. 그 관형부재(176)의 하부단은 외부로 뻗어있는 플랜지(182)로 나타난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터(Z)는 그 중심개구(198a)가 있는 원형판(198)에 고착된 관의 상부단 및 하부단(196a)이 놓이는 외부관(196)을 내포하고 있다. 내부관(200)은 판(198)에 고착되고, 개구(198)과 통하고, 하부단의 내부관(200)은 외부관(196)을 통해 뻗어있는 다수의 관형 배출부재(202)로 전개되어 있다.
대향하여 배치된 두 절삭 블레이드(204)는 외부관(196)의 하부단으로부터 외부로 뻗어있으며, 그 앞전(leading edge)에 다수의 이격 이(teeth)(206)를 지지한다. 원철판(198)은 볼트(210) 또는 그밖의 유사한 수단과 같은 종래의 수단에 의해 플랜지(182)에 고착되어 있다. 다수의 횡으로 이격된 노즐(205)은 블레이드중 하나의 뒷전(trailing edge) 부위에 지지되고, 스위블(209)의 하부 부위(209a)에 상방으로 뻗어있는 도관(207)에 연결된 블레이드의 통로(도시되지 않음)와 통한다. 그 하부스위블 부위(209a)는 카터(Z)를 회전시키고, 스위블(209)의 상부 부위(209b)는 고정되고 하부 플랫포옴(110)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는 브래킷(bracket)(209b)에 고착된 스트랩(strap)(209b)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고압스팀 또는 액체가 다음에 설명될 도관(211)을 통해 스위블(209)에 공급된다. 제 8 도를 보면, 각 켈리(164)는 그 내부표면에 고착된 부재(218)를 형성하는 두 홈을 갖고 있으며, 그 내부표면은 관(178)에 고착된 리브(220)와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제 4 도 및 제 9 도를 보면, 관형 직사각형 프레임(232)은 보호판(X)내의 하부판(110b) 밑면으로부터 지지되고, 그로부터 외부로 뻗은 분무노즐(234)을 지니고 있다. 원형관(236)은 하부판(110b)으로부터 지지되고 켈리(164)주위로 뻗어있고 노즐(238)을 지지한다. 압력을 받은 액체는 다음에 설명될 장치인 관(240)에 의해 관형 프레임(232) 및 그 관(240)에 의해 원형관(236)에 공급된다. 따라서, 관형 프레임(232) 및 원형관 (236)에 공급된 액체는 가압 또는 액체물이 될 수 있다. 그물 또는 액체물은 다음에 설명되겠지만 노즐(234)(238)에 의해 가압분출물로 형성된다. 폐기물 용기(Y)를 탈독성 작용을 하는중에 생기는 유독개스는 켈리(164)를 둘러싸는 관형 벨로우즈(244)에 의해 켈리(164)주위 상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 벨로우즈(244)의 하부단은 종래의 수단 및 중간 플랫포옴(112)의 하부표면에 대한 벨로우즈의 하부단에 의해 러그(160)에 밀봉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동력장치(V)에 장착되어 있고, 제 5 도에 도시된 제1형태의 어셈블리(J) 또는 제 6 도에 도시된 제2형태의 어셈블리(K)와 함께 똑같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장치는 동력장치(V)와 병류하여 이동하는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어있다.
이 장치(U)를 사용하기 전에 매설 레이다 탐지로써 위험한 물질을 내포하고 있는 매장된 드럼, 탱크, 배럴, 및 그밖의 유사한 수단을 놓기위해 위험폐기물 용기가 취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한 폐기물 용기(Y) 부위의 독성을 제거할때는 주의가 있어야만 한다.
설명될 장치를 확인함으로써 위험폐기물 용기(Y)의 조성을 얻기위해 그 견본을 분석할뿐만 아니라 상기정보를 얻은 후에, 장치(U)는 폐기물 용기에 인접한 제1위치로 이동되고, 프레임(W)은 폐기물 용기(Y)의 상부표면과 가압 밀봉접촉하여 단단한 구조물인 보호판(X)의 하부 모서리가 배치되도록 이동된다.
모터(134)는 켈리(164) 및 카터(Z)를 회전시키도록 리브(174)의 회전력을 받는 로울러(158)와 함께 부재(146)를 구동시키게 한다. 따라서, 모터(126)는 하방으로 중간 플랫포옴(112)을 이동하기 위해 구동벨트(130)에 에너지를 얻게하여 켈리(164) 및 카터(Z)에 하방으로 힘이 미치게 된다.
이 장치(U)를 작동한 결과 카터(Z)는 보호판(X) 아래 오물과 혼합된 입자성 위험한 폐기물질이 하방으로 뻗어있는 구역(A)을 형성한다.
제 5 도에 도시된 제1형태의 어셈블리(J)가 장치(U)로 사용될 때, 도관(245)은 보호판(X)의 상부 내부로부터 동력구동 날개(C)까지 뻗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4 도에 도시된 스팀 및 액체 공급도관(211)은 보일러(B)에 뻗어있는 도관(213)에 연결된다. 엔진(215)은 장치(U)를 동력화하여 열교환기(217)에 의해 바람직하게 원상복귀하고 물을 스팀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보일러와 함께 사용되는 폐열을 방출한다.
액체 반응물용 다수의 저장용기(219)에는 혼합기(233)에 대한 흡입구에 그 용기로부터 뻗어있는 배출도관(221)이 있고, 그 배출도관(221)은 조절밸브(221a)를 포함하고 있다. 동력으로 구동된 고압펌프(G)에는 혼합기(223)의 배출구에 대한 첵밸브(check)(225b) 및 조절밸브(225a)를 구비한 도관(225)에 의해 연결된 흡입구가 있다. 급수용기(227)에는 도관(225)에 용기로부터 뻗어있는 도관(229)이 있으며, 도관(229)에는 조절밸브(229a) 및 첵밸브(229b)가 있다. 또한 펌프(G)는 제 9 도에 도시된 도관(240)(242)뿐만 아니라 스팀 공급라인(211)에 연결된 그 펌프의 배출구로부터 뻗어있는 도관(231)이 있고, 관(242)을 통해 도관(232) 및 노즐(234)로 유동하는 액체는 밸브(242a)에 의해 조절된다. 제 9 도에 도시된 밸브(240a)는 도관(236) 및 노즐(238)에 대해 액체의 유동을 조절하고, 도관(231)에 첵밸브(231a)를 지니고 있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스위블(180)에는 제 16 도 및 제 1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W)에 상방으로 뻗어있는 유연한 호스(233)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호스부위는 고리형태로 프레임(W)의 상부 플랫포옴(108)에 장착된 스프링 리일(reel)(237)로부터 하방으로 뻗은 제 16 도 및 제 17 도에 도시된 케이블(23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건조분말 반응물용 저장용기(239)에는 압탕구(H)의 흡입구가 도관(241)에 의해 연결되고, 그 압탕구는 가압공기가 공기 압축기(247)의 배출구로 뻗어있는 도관(247a)을 통해 압탕구에 공급될 때 도관(243)을 통해 압탕구로부터 분말 반응물에 배출되도록 작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도관(243)에는 호스(233)가 연결되어 있다.
도관(245)는 보호판(X)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동력구동 송풍기(C)의 흡입구까지 뻗어 있으며, 그 송풍기(C)의 배출구는 플라즈마 오븐(plasma oven) 또는 열 산화제로 작용된 촉매가 되는 제 5 도에 도시된 것처럼 유니트(P)의 흡입구에 도관(247)에 의해 연결되며, 그 배출구의 사용은 다음에 설명될 것다.
장치(U)는 유독성 폐기물용기(Y)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고, 폐기물 용기(Y)의 상부표면과 밀봉 접촉부로 하부 모서리(249)를 힘을 가하여 하방으로 프레임(W)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한편 카티(Z)는 회전을 일으키고 폐기물 용기내 하방으로 이동되며, 이 하방이동으로 인해 양호한 깊이로 뻗어있는 보호판(X) 아래 입자성 유독폐기물 물질구역(A)을 형성한다.
구역(A)에는 있는 그 입자성 물질은 위험폐기물과 오염물이 섞여지게 된다. 구역(A)에서 계속된 카터(Z)의 회전 및 그 수직운동은 휘젓은 상태에서 구역(A)내의 입자물질을 보유한다. 구역(A)의 입자물질이 형성후나 형성되는중에, 스팀 공급라인(213)의 밸브(213a)는 열려지고 스팀의 가압분출물은 입자들과 부딪치도록 노즐(205)로부터 배출되고 그 입자크기를 줄어들게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기능 이외에도 스팀은 구역(A)을 가열하며, 유독성 유기 화합물은 구역(A)을 통해 보호판(X)내에 한정된 공간으로 흐를 때 상방으로 일어나는 유독증기로 변형시키는데 사용된 스팀의 온대에서 휘발한다. 응축하지 않는 노즐(205)로부터 배출되는 스팀은 구역(A)에서 상방으로 흐르고, 그렇게 흐름으로써, 구역 (A)으로부터 유독개스를 자유롭게 제거하려고 하여, 그 개스는 한정된 공간(251)내 상부로 흐른다. 펌프(G) 및 개구밸브(229a)를 작동함으로써, 스팀조절밸브(213a)가 닫혀졌을때, 가압수의 분출물은 구역(A)의 카터(Z)를 조력하기 위해 노즐(234) (238)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스팀, 유독개스, 유독증기 및 공기는 도관(245)을 통해 송풍기(C)에 의한 유독성 흐름처럼 한정된 공간(251)으로부터 끊임없이 철수 및 도관(245a)를 통해 유니트(P)로 배출되며, 그 유독성 흐름은 한정된 공간(251)으로부터 포함될 주변대기까지 빠져나가는 유독개스 또는 증기가 있는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그 흐름에 역 압력이 유지되도록 충분히 빠른 속도에서 한정된 공간(251)으로부터 철수가 된다.
감지유니트(F)는 구역(A)에 나타나는 유독성 혼합물의 양과 주체를 알려준다.
감지유니트가 구역(A)에 나타나는, 사용되는 증기온도에서 휘발하지 않은 유독성 탄화수소를 알려줄 때 펌프(G)가 작동되고 밸브(225b)가 열린다. 저장소(219)는 감지유니트(F)에 의해 알려진 여러 가지 유독성 혼합물을 처리하는데 유용한 여러 가지 액체시약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들면 과망간산칼륨같은 산화제 수용액은 노즐(205)를 통해 지역(A)로 배출될 수 있으며, 과망간산칼륨은 지역(A)에 나타나는 고분자 탄화수소와 반응하여 사용되는 증기온도에서 휘발성이 있으며 유독성 개스로 유폐공간(251)으로 유동하는 저분자 탄화수소로 만든다. 과망간산칼륨은 구역(A)에서 황화수소,이산화황,메르캡탑,염화탄화수소 같은 악취를 발하는 혼합물과 반응하여 그 악취를 제거하게 한다.
저장용기(239)로부터 온 건식분말 반응물은 제 4 도에 도시한 제2노즐(202)을 통해 구역(A)로 배출되어 압축기(247)의 작용에 의해 공급기(H)로부터 상기 분말을 도관(243) (233)으로 배출시킨다. 감지유니트(F)가 구역(A)에 나타난 유독성 금속의 수용성 염을 나타낼 때 분말로된 산화칼슘은 공급기(H)의 사용으로 인해 구역(A)으로 배출되어 그 구역에서 유독성 폐기물의 pH를 유독성 염의 대부분은 대체로 비수용성 혼합물로 변할정도로 증가시킨다.
플라즈마 오븐이든 열촉매 변환기이든 유니트(P)는 그곳에 들어온 유독성 유기 혼합물을 분쇄하여 상기 유니트(P)로부터 도관(255)을 통해서 배출되는 수소,산소,탄소,이산화탄소 및 물 같은 비유동성 물질로 변환시킨다. 유니트(P)에 들어온 유동성 유기물의 한 부분이 염소화 탄화수소이면 상기 물질에서 분해된 염소는 염화수소를 형성하기 위해, 분쇄된 수소와 결합하려고 할 것이다.
도관(255)는 작용탄소(265)를 포함하는 중공 용기(261)까지 연장하는 도관(259)를 갖고 있는 대개 밀폐된 압력 보상 밸브(257)와 연결되어 있으며, 배기구(263)는 용기(261)의 내부로부터 대기까지 뻗어있다. 도관(255)에서 과잉 압력이 생기면 밸브(257)가 열림으로써 해결을 하게 된다.
도관(267)은 접점(255a)에서 염화수소 및 염소를 제거하는 장치와 연결되었으며, 상기 장치는 입자로된 철 또는 마그네슘(도시되지 않음)이 가득찬 타워이거나 개스의 유입유동이 물분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씻겨져서 염화수소 및 염소를 상기 장치로부터 제거하는 타워이다.
염화수소가 없는 유니트(269)로부터 온 개스는 도관(271)을 통해 호스(233)으로 흘러서 관형 켈리(164)를 통해 아래로 유동되어 제 4 도에 도시한 제2노즐(202)을 통해 구역(A)로 되돌아간다. 염화수소 및 염소는 상기 구역(A)로 되돌아간 개스에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구역(A)의 상승된 온도에서 염소 및 염화수소 상기 구역에 남아있는 유기물과 염소화 탄화수소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감지유니트(F)는 유독성 흐름에 있는 성분을 유니트(P)에 들어가기 전에 추출하여 흐름이 다처리된 후에 유니트(269)로부터 배출시킨다. 감지유니트(F)는 유기분석기(273)과 무기분석기(275) 및 기록기 (27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유기분석기(273)는 2개의 입구(273a),(273b)를 갖고 있으며, 무기분석기(275)도 2개의 입구(275a),(275b)를 갖고 있다. 도구선(279)는 접합점(271a)에서 도관(271)과 연결되어 있으며, 과열개스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니트(281)와 조합된 펌프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냉가개스를 첵밸브(283c)를 갖고 있는 도관(283)으로 배출시켜 상기 도관(213)에 연결시킨다. 폐쇄 밸브(283a),(283b)에 의해 냉가개스의 표본은 유기분석기(273) 및 무기분석기(275)로 유입되어 유니트(269)로부터 매출되는 개스가 물질과 반응하지 않도록 해준다.
도관(285)은 유니트(P)로부터 역류하는 도관(247)에 있는 접합점(247a)와 연결되어 있고 밸브(287a),(289a)와 연결되 있는 2개의 도관(287),(289)으로 갈라지며, 상기 밸브는 수도관(285)와 통하는 입구(273b),(275b)가 닫혔을 때 유독성 유동이 유니트(P)에 의해 처리되기 전에 상기 유독성 흐름내에 있는 무기 유독성 물질의 동일성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감지유니트(F)는 또한 도관(295)를 통해서 보호판(X)내에 있는 프로우브(293)로부터 구역(A)에서 처리될 물질의 pHl,ORP 및 온도를 나타내는 장치(291)을 포함하고 있다.
감지유니트(F)가 구역(A)에서 처리될 물질이 바람직한 정도까지 탈독되었음을 나타낼 때 탈수제 작용을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말로된 반응물이 저장용기(239)로부터 첨가된다. 저장용기는 재, 산화칼슘, 수산화칼슈므 보통 시멘트 및 분말로된 고분자 탄화수소 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플라이애쉬와 보통 시멘트는 호스(233)와 제2노즐(202)을 통해서 구역(A)로 배출될 때 이들은 구역(A)에 남아있는 독성이 제거된 물질과 혼합된 진흙과 이온교환 탈수 반응하는데 영향을 주며, 상기 진흙이 양이 불충분하면 진흙을 첨가하여 상기 물질이 물에 대한 단단한 불투과성 물질로 변환시킨다. 비수용성 물질로 변환되지 않은 유독성 금속의 수용성 염은 물에 대한 불투과성 물질로 되고 걸러내지 못하며 이것은 구역(A)에 남아있는 어떤 유독성 유기물에 있어서도 사실이다.
도관(271),(233)을 통해서 염화수소 제거기(269)로부터 구역(A)로 배출되는 공기는 도관(243)에 있는 첵벨브(243a)로 인해 공급기(H)로 유동하지 못하며, 냉동유니트(281)로의 공기유동은 도관(279)에 있는 밸브(279a)에 의해 조절된다. 제4동에 도시한 도관(240)은 도관(242)과 똑같은 방법으로 도관(21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관을 hd해 액체가 노즐(238)로 공급된다.
요약해보면 제 5 도에 도시한 장치(U)와 지지장치는 저장용기의 상부표면과 밀봉연결되 있는 보호판(X)의 하부 모서리에 가하는 힘을 줄이는 프레임 워크(W)와 유독성 폐기물 저장용기(Y)에 인접한 제1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카터(Z)는 회전하고 하방으로 이동하여 흙과 섞여있는 입자상태의 유독성 폐기물을 수직으로 뻗어있는 구역(A)으로 이동시키며, 또한 상기 카터는 계속회전하며, 상기 구역의 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역에 있는 입자상태의 폐기물을 교반시킨다. 압축된 물제트는 노즐(234),(238)로부터 교반된 입자로 배출시키며 압축된 증기제트는 제 4 도에 도시한 노즐(205)로부터 배출된다. 이 증기제트는 유독성 폐기물 입자와 충돌하여 그 입자크기를 감소시킨다. 고압력의 물제트는 구역(A)의 상부에서 난동 물질을 만들어낸다. 압축된 공기 및 증기제트의 작용뿐 아니라 입자를 교반하는 것은 상기 개스를 무독개스로 만들어 보호판(X)에 내에 이쓴 유폐공간(251)으로 이동시킨다. 증기제트는 구역(A)를 가열하여 사용중인 증기온도에서는 휘발할 수 있는 유독성 유기물이 위와 같이 구역(A)의 상부로 유동하여 유폐공간(251)으로 이동되는 유독성 증기로 변형된다. 블로우어(C)는 유폐공간(251)으로부터 공기, 증기, 유독개스 및 유독증기를 포함하는 유독성 흐름을 충분히 빠른속도로 계속 배출시켜 유폐공간(251)에 역압력이 생기게 하여 상기 유독성 증기가 보호판(X)에서 누설하여 대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 역압력을 생기게 하려면 유폐공간(251)에서 배출된 유독성 유동의 체적이 유폐공간으로 되돌아간 중기체적보다 커야만 한다. 입구(520a)와출구(520b)를 갖고 있는 냉각타워(520) 가 구비되어 있으며, 밸브(522)는 도관(271)에 배치되어 있다. 도관(524)는 밸브(522)로부터 역류하는 도관(271)로부터 입구(520a)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도관(526)은 출구(520b)fmf qofqm(522)로부터 흐르는 도관(271)에 연결시킨다. 도관(524)에는 밸브(524a)가 있으며, 폐쇄 밸브(522) 및 개방 밸브(524a)에 의해서 냉각타워(520) 구역(A)로 되돌아가는 유동흐름중에 도관(271)을 통해서 증기를 응축시킨다.
재순환된 유동은 블로우어(C)에 의해 보호판(X)로부터 배출된 유독성 유동의 체적보다 크지 않으며, 로인해 보호판에 역압력이 생기게 된다.
압축된 유독성 유동은 블로우이(C)로부터 배출되며, 유니트(P)에 의해 유독성분이 제거되며, 그로인해 유니트(269)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장치에서 제거된 염화수소 또는 염소를 갖게 되며, 앞에서 설명한 대로 상기 유동이 구역(A)로 재순환된 후에 유독성 개스와 증기를 유폐공간(251)에 있게 한다.
상기 구역(A) 및 유독성 흐름에 있는 유독성분의 양과 실체를 추출하는 것은 감지유니트(F)에 의해 이루어진다. 감지유니트(F) 사용되는 증기온도에서 휘발하지 않는 유독성 탄화수소의 존재를 나타내며, 또한 황화수소,이산화황,메르캡탄,염소화 탄화수소 같은 악취나는 물질이 있음을 알려주며,펌프(G)는 적당한 액체 산화제가 지역(A)로 유입되도록 작동된다. 과망간산칼륨 수용액은 이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악취를 제거할 뿐 아니라 사용되는 증기온도에서 휘발하지 않는 고분자 유독성 탄화수소를 대부분 변환하여 휘발할 수 있으며, 유독성 증기가 유폐공간(251)로 흐를 수 있도록 저분자 탄화수소로 만든다. 감지유니트(F)가 구역(A)에서 유독 금속의 수용성 염이 있는지를 알려준다면 건조시약 공급기(H)는 관형 켈리(164),관(176,178) 및 제2노즐(202)를 통해서 건조물질이 구역(A)로 배출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물질이 첨가될때까지 유독성 폐기물 및 흙의 입자는 즉시 증기와 물의 작용 및 교반에 의해 유동할 수 있는 가루반죽 같은 물질로 변환된다. 산화칼슘 같은 분말로된 물질이 구역(A)에 있는 물질의pH를 약 11까지 끌어올릴때까지 충분히 첨가된다면 대부분의 유독성 금속은 용해성 염은 불수용성 물질처럼 침전될 것이다. 감지유니트(F)가 구역(A)이 만족할 정도까지 유독성이 제거된 것을 나타낸 후에 공급기(H)는 플라이애 쉬 혼합물과 보통시멘트 같은 탈수제를 구역(A)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된다. 상기 혼합물 구역(A)에 있는 진흙과 반응하여 이온교환을 하게 되며, 상기 구역에 있는 물질은 단단한 불투과성 물질로 바뀐다. 카터(Z)는 상기 변형이 효력을 나타내기 전에 구역(A)에서 배출되며,구역(A)에 방사능 물질이 있다면 라돈개스는 상기 처리된 구역에서 전혀 방사되지 못할 것이다. 처리된 구역에 있는 물질은 충분한 밀도를 가지고 있어서 라돈은 배출되기 전에 고형방사능 물질로 변환될 것이다. 상기 변환된 물질과 구역(A)에서 제거되지 않은 유독성 탄화수소 및 불수용성 물질로 변형되지 않은 유독성 금속의 수용성 염은 구역(A)에서 물에 대해 불투과성으로 변형된 물질로 남아 있으며,용해되지 않을 것이다.
유독성의 제거가 제1위치에서 완수되면 제 5 도에 도시한 지지장치(U)는 앞에서 설명된 이 되풀이되는 겹쳐져 이어지도록 제 2 단계로 이동된다.
장치(W)에 의해 수행되는 제독(除毒)방법은 개조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독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증기의 온도에서 유독성 유기물을 구역(A)가 휘발시킨 후에 저장용기에 이미 나타난 미생물 유기물 또는 유독성물질이 제독된 물질은 상기 구역이 냉각된 후에 액체 영양물이 있는 상기 방법이 되풀이되는 제2위치로 이동한다. 미세유기체는 이들이 놓여있는 구역에서 제독기간을 끝낼것이며, 미세유기체가 구역(A)에 배치된 후에 이들은 주기적으로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한다.
저장용기에 유독성 페기물을 임의로 분배함에 다라 제2위치에서 상기 지역에 있을 유독성물질은 제1위치에서 제독이 행해지는 동안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막처리된 구역은 유독성물질이 바람직한 양 만큼 제거되었음을 증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지지대(300),(300')는 프레임워크(W)의 마주보는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며, 케이블(302),(302')에 연결된 스프링 및 다른 종래의 수단에 의해 음성진동을 2개의 중공 드릴로드(306)(306')에 분배해주는 2개의 드릴 어셈블리(304),(304')를 지지한다. 드릴로드(306),(306')는 프레임워크(W)에 고정되어있는 2개의 수평가이드 (308),(308')에 있는 수직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하부로 뻗어있다. 드릴 어셈블리(304),(304')의 각각은 전도체(312)를 통해서 음성진동을 헤드(314)에 분배하는 엔진(31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헤드는 상기 진동을 드릴로드(306)에 전달한다. 드릴로드(306),(306')가 진동함으로써 감지유니트(F)의 사용 및 다른 적당한 분석수단에 의해 유독성물질에 대해 조사하는 코어를 고정하도록 제 17 도에 도시한 저장용기(Y)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드릴장치는 캘리포니아주의 "콘도르어쓰 테크놀로지스"사를 통해 상업적으로 이용되었다.
제 1 도에 도시한 이동어셈블리(J)의 제1형태는 제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저장용기(Y)에 산재해 있는 유동성 폐기물의 위치 및 각 위치에 있는 유독성 폐기물의 실체를 실증하는데 사용되는 어셈블리(J-1)으로 개조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에서 유독성 폐기물의 위치와 실체에 관한 기록이 완전하지 못하거나 유용하지 못할 경우에는 이 실증이 필요하다. 실증 어셈블리(J-1)는 제7도에 보인 바와 같이 단지 단일켈리(164)와 카터(Z-1)을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제1어셈블리(J)와 다르며, 카터는 석유산업분야에서 상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구조(320)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있다. 단일 카터(Z-1)은 앞서 설명한 것과 똑같은 방법으로 하방으로 연장하는 구역(Z-1)을 형성하며, 감지유니트(F)는 상기 구역(Z-1)에서 유독성물질의 양과 실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구역(Z-1)은 저장용기(Y)위의 선정된 위치에서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후속제독단계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산업상, 유독성 폐기물은 덩어리로 모아진채 땅에 쌓일 수 있으며, 또는 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종 고집적된 유독성 금속의 수용성염과 유독성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같은 유독성 폐기물의 실례는 유정(油井)드릴링(drilliag)진흙의 축적물, 금속처리물, 살충제 제조시에 생기는 잔류물, 페인트잔류물 화학제조시 생기는 폐기물, 오염된 폐수 등이다. 이같은 유독성물질은 액체, 슬러리 또는 고체 형태이며, 이런 유독성물질을 고속도로에서 쓰레기 하치장으로 운반하는 것은 상기 물질이 액체와 슬러리 형태일 때 부주의해서 흘러내린다든지 고체상태일 때 상기 물질로부터 나온 먼지나 기체 상태의 찌꺼기가 대기를 오염시키는 점에서 위험하다.
제 13 도에서 투시도가 도시된 어셈블리(M)은 제 1 도 및 제 5 도에서는 개조되어서 베이스(322)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H)은 유독성물질의 제독을 위해 위험한 폐기물을 상기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3 도에 도시한 장치를 보면 제 1 도 및 제 5 도에서 도시한 장치와 숫자 및 문자가 동일하다. 제 13 도에서 상기 어셈블리(M)링 형태의 플랜지(326)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개방상부를 갖는 수직으로 연장된 용기(324)를 포함하며, 컵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보호판(X-1)은 제거가능하며, 볼트(330) 또는 다른 적당한 고정요소에 의해 플랜지(326)에 밀봉연결되며, 상기 보호판(X-1)은 평평한 탑(top)(332)를 갖고 있다.
용기(324)의 하부단부(334)는 하방으로 내측으로 연장하는 형상(325)으로 도시되어 있다.
관형 켈리(164)는 하방으로 연장하며, 탑(332)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용기의 유폐공간 내부와 밀봉 연결되며, 사기 내부는 구역(A)와 통하고 있어 처리될 유독성 물질이 상기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관형 부재(336)는 용기(324)의 상부로부터 외부로 뻗어있으며, 유독성 위험물질이 공급되는 용기의 외부단부상의 상부로 뻗은 호퍼(338)를 갖고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340)는 상기 관형 부재(33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모터(342)에 의해 구동된다. 스크류 컨베이어(340)가 회전함에 따라 호퍼(338)로부터 유폐공간(334)로 유독성물질이 공급된다.
켈리(164)는 모터(348)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346)에 의해 구동되는 탑(332)의 상부에 고정된 기어(344)를 갖고 있으며, 수직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블레이드(350) 유폐공간(334)내부에 있는 켈리(164)로부터 외부로 나오한편 장하며 카터와 통해 있고 상기 카터에는 뒷전에 있는 노즐(205)이 있어 이 뒷전을 통해서 증기체트가 배출된다.
증기는 도관(207)과 통하는 블레이드(350)에 있는 통로를 통해서 노즐(205)에 공급되며, 상기 도관은 앞에서 설명한 대로 켈리(164)에 지지되어 있는 중공 로타리 스위벨(209)를 향해 상부로 뻗어있고 상기 도관과 연결된 증기공급도관(211)을 갖고 있다. 스위벨(209)의 상부(209b)는 정지되어 있으며 하부(209a)는 켈리(164)와 같이 회전한다.
용기 하부(325)에는 모터(356)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354)의 출구로 뻗어있는 도관(326)이 있으며, 밸브(358)는 상기 도관(352)를 통해 물질의 유동을 조절한다. 베기도관(360)은 펌프(354)로부터 멀터(muller)등과 같은 혼합장치(362)의 입구로 뻗어있으며, 도관(364)는 도관(243)으로부터 상기 혼합장치의 내부로 연장하므로 압축기(247)가 작동되고 밸브(364a)가 닫히고 밸브(366)이 열릴 때 상기 도관으로부터 건조 화학물질을 배출시킨다. 처리되고 제독된 폐기물은 혼합장치(362)에서 도관(368)을 통해 펠릿(372)을 배출하는 펠릿성형장치로 이동된다. 도관(368)안에는 밸브(368a)가 있으며, 배출도관(368b)는 밸브(368a)와 반대방향인 도관(368)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며, 그안에는 밸브(368c)가 있다. 개방밸브(368c) 및 폐쇄밸브(368a)에 의해 제독된 물질은 펠릿(372)이 형성되지 않고도 혼합장치(362)로부터 배출되어 질 수 있다.
어셈블리(J)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뱃치 베이스 위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뱃치 베이스가 작동될 때 모터(342)는 컨베이어(340)가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용기(324)가 거의 플랜지(326)에 이를 정도로 가득찰때까지 호퍼(338)로부터 유독성 폐기물을 유폐공간(334)에 있는 유독성물질을 가열하기 위해 노즐(205)로부터 증기를 배출하도록 개방되어 비유독성 개스를 만들어 사용된 증기의 온도에서 휘발성이 있는 유독성 유기물을 보호판(X-1)의 유폐공간(251)로 유동하는 유독성 증기로 변환시킨다. 블로우어(C)를 구동하는 모터(370)는 블로우어가 유폐공간(25)으로부터 공기, 중기, 유독개스 및 유독성중기의 유동을 도관(245), 유니트(P), 도관(255), 유니트(269), 도관(271) 및 도관(233)통해 배출시키도록 작동된다. 도관(233)에 이를때까지 상기 유독성 유동은 유독물질이 제거되고 노즐(202)로부터 유폐공간(334)으로 배출된다. 건조화학물질, 액체화학물질 및 물이 펌프(G) 및 공기압축기(247)를 사용하여 유독성 폐기물에 첨가될 수 있다.
감지유니트(F)가 상기 유폐공간(334)에 있는 물질이 바람직한 정도까지 제독되었는지를 알려줄 때, 벨브(358)가 열리고 펌프(354)는 도관(364)을 통해 혼합장치로 배출되는 탈수제 같은 건조화학물질과 혼합되는 혼합장치로 상기 물질을 배출시키도록 작동되며, 탈수제와 혼합된 물질은 상기 폐기물이 부주의로 흘렸을 때 대기나 땅을 오염시키지 않고도 바라던 목적지로 운반될 수 있는 형태인 펠릿 또는 기타 바람직한 형상으로 성형되기 위해 유니트(370)으로 이동되기전에 물에 대해 불투과성 물질로 고체화될 것이다. 어셈블리(J-1)바닷가에서 떨어진 유정장소나 드릴링 플래트폼(platforms)에서 생기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탄화수소에 오염된 드릴링 진흙을 처리하는데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보통때는 닫혀있으나 처리된 물질이 유폐공간(334)으로부터 배출될 때 생기는 역압력을 보상하기 위해서만 열리는 보상밸브(374)가 구비되어 있다.
어셈블리(J)가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똑같이 계속해서 작동할 때 유폐공간(334)으로의 유독성 폐기물은 도관(352)를 통해서 배출되기 전에 제독될 수 있는 속도로 유동되어야 한다. 계속 작동될 때 펌프(354)는 블로우어(C)에 의해 생긴 역압력보다 큰 흡입력을 만들어 낼수 있어야 한다.
어셈블리(K)의 제2형태는 제1어셈블리(J)와 똑같은 결과를 얻을수 있으나 상기 유독성 유동으로부터 실제로 유독성분을 제거하여 비유독성 물질로 변형시킨다는 점에서 제1어셈블리와 구별된다.
어셈블리(J)에서 사용할 숫자와 문자가 동일한 어셈블리(4)에서의 부품은 단지 프라임(primj')이 부가되어 구분 할수 있다.
제 6 도에서 도시한 제2어셈블리는 제1어셈블리와 똑같은 방법으로 사용되어 같은 결과를 얻게된다. 제2어셈블리(K)는 유독성분이 블로우어(C1')로부터 유독흐름이 분리되고 사용된 작용탄소를 재생산하기 위해 플라즈마 오븐을 부가 사용했다는 점에서 제1어셈블리와 다르다.
제2어셈블리를 사용함에 있어 카터(Z')는 회전되고 하방으로 이동되어 저장용기(Y)로부터 입자화된 페기물 구역(A')를 형성하며, 상기 입자화된 폐기물을 교반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계속회전을 한다. 펌프(G)의 작용 및 밸브(229a)가 열림으로 인해 물은 노즐(205)을 통해서 구역(A)로 이동되며 밸브(2421')가 열림으로 인해 물은 또한 노즐(234)을 통해 이동될 수도 있다. 물이 만족할만큼 구역(A)에 유입하면 상기 과정은 역으로 이루어진다.
벨브(213a)가 열림으로 인해 증기는 보일러(B)로부터 유동하여 앞서 설명한 이유로 어셈블리(J)의 반드시 작동하에 노즐(205)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블로우어(C)는 상기 유폐공간에 역압력이 유지되도록 충분한 속도로 유독성물질을 유폐공간(251)로 배출되도록 작동된다. 유독성물질은 도관(245)를 통해서 그 다음에는 도관(406)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점차로 낮은 온도를 만들어내는 다수의 냉동유니트(400),(402),(404)를 통해 흐르게 된다. 상기 흐름은 도관(410)안에 유동조절밸브(412)가 있는 도관(410)을 통해 재가열 장치로 흐르는 증기에 의해 가열되는 재가열 유니트(414)로 냉동유니트(404)로부터 도관(408)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냉동유니트(400)증기를 물로 액화시키기 위해 충분히 낮은 온도상태에 있으며, 냉동유니트(402),(404)유독성 유기물을 액화시키기 위해 충분히 낮은 온도상태에 있으며 중기는 액화되고 응축된 유독성 유기 액체는 중력으로 도관시스템(413)을 통해 잔류물 수용탱크(416)로 흐른다. 배수도관(418)은 생화학 반응기(420)과 촉매로 작동되는 열적 산화제(422)로 뻗어있으며, 유동은 밸브(424),(426)에 의해 조절된다. 생화학 반응기(420) 및 열적산화제(422)에서 나온 향기는 도관 어셈블리(428)를 통해 유폐공간(251)으로 도관 어셈블리(428)안에는 CPR 밸브(430)가 있다.
상기 유독성 흐름은 재가열 유니트(414)로부터 도관(434)를 통해 작용 탄소(438)을 포함하는 유독성 개스흡수 유니트(436)으로 이동된다. 상기 흡수 유니트(436)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흐름은 도관(440)을 통해 보통때는 닫혀있지만 비상시에 열리는 비상밸브(442)에 의해 대기로 배출된다. 밸브(442)가 보통때인 닫혀 있을때는 상기 흐름은 도관(444)를 통해 공기압축기(247)의 입구로 되돌아간다. 압축기(247)에서 압축된 흐름은 도관(247a)을 통해 가열기(446)의 입구로 이동되어 가열기(446)에서 가열압축된 흐름은 도관(448)을 통해 도관(243')으로 이동되어 노즐(202)를 통해 유폐공간(251)로 배출된다. 도관(448)에는 조절밸브(450)이 있다. 도관(213)에 연결된 도관(452)를 통해 가열기로 흐르는 증기에 의해 일이 가열기(446)에 공급되며, 유독성 흐름이 위에 설명한 재순환 과정을 거쳐 제속된 공기흐름으로 유폐공간에 되돌아 감으로 인해 유독성 오염물은 구역(A)에서 제독되는 동안 대기로 배출될 수가 없다.
액체시약 및 건조 분말 화학물질은 어셈블리(J)의 작동과 연결된 밸브의 작동으로 바람직할 정도로 구역(A)로 유입될 수 있다.
도관(247a) 건조공급기(H1')의 입구와 연결되어 있고, 벨브(452)가 열림으로 인해 상기 공급기는 작동될 수 있다. 바이패스 도관(454) 상기 도관에 있는 벨브(456)에서 역류하는 위치인 도관(434)로부터 CPR 밸브(458)에서 역류 방향에 있는 도관(444)로 연장한다. 도관(454)에는 열렸을 때는 상기 흐름을 재가열 유니트(414)로부터 유니트(436)를 통해 유동하지 않고 유폐공간(251)로 되돌아 가게하는 밸브(460)가 있다.
장치선(462),(464)와 밸브(468),(470),(472)를 갖고 있는 선 어셈블리(466)은 유독성 흐름중의 유독성분의 양과 실체를 냉동유니트(400)에 의해 초기 냉각한 후에 재가열 유니트(414)를 통해 유동하게끔 한다. 전기 신호는 전도기(474)를 통해 기록기(277)로 이송된다.
사용되었던 작용 탄소(438)은 적당한 전도기(480)에 의해 재생드렸 수 있게끔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열적산화제(422)로 이동되며 재생된 작용 탄소는 도관(484)를 통해 적당한 용기(482)로 이동되고 잔류물은 도관(486)을 통해 용기(488)로 이동된다.
제1위치인 구역(A')의 제독과정이 완수되자마자 어셈블리(K)는 상기 작용을 되풀이 하기 위해 제2위치로 이동된다.
앞서 말한 제독과정에 부가해서, 장치(U)모래 또는 진흙성분으로 구성되었다면 구역(A)를 유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유리화는 제 12 도에 도시한 지지대(552)에 의해 관(196) 하단부에 유지되어 있는 플라즈마 토치(55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역(A)가 카터(Z)를 사용해서 입자화된 후에 카터는 그안에서 위로 이동되고 그 아래있던 물질은 융해되도록 플라즈마 아크를 받게되며 융해된 물질은 유리화되고, 수용성이며 강체로 냉각된다. 구역(A)에 있는 위험폐기물이 입지화되는 동안 공기흐름에 의해 켈리(164)를 통해 상기구역에 부가되는 모래, 진흙, 또는 다른 유리화할 수 있는 물질을 유리화하기 위한 충분한 모래 또는 진흙을 상기 폐기물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작동 및 이용은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되풀이될 필요는 없다.

Claims (30)

  1. 유독성 폐기물의 소정부분을 대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소정의 정도까지 해독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a . 상기 소정의 부분과 기밀적으로 연통하고 이 소정부분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제한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 b. 상기 소정부분을 교반하는 단계 ; c.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에 압축수증기를 방출함으로써 이 수증기의 온도에서 휘발하는 독성유기 화합물을 독성증기로 변화 시키기 위해 압축수증기를 방출하는 단계, 상기 변화된 독성증기는 상기 소정부분내에 존재할 수도 있는 유리 독성 기체와 함께 상기 소정부분의 상부의 제한 공간내로 상향유동한다. d. 상기 제한 공간내의 속성물질이 누출하여 대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한 공간내의 압력을 부압으로 유지할 수 있는 충분히 빠른 속도로 상기 소정부분 상부의 제한 공간으로부터 공기, 수증기, 독성증기 및 독성 기체를 뽑아내는 단계 ; e. 상기 독성 유체를 압축하는 단계 ; f. 독성 성분과 수증기로 구성된 상기 압축된 독성 유체를 유리화시키고, 그 결과 얻어진 압축류를 상기 제한 공간내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 g. 상기 제한 공간내의 소정부분내의 독성 성분의 존재여부와 그 양을 검출하는 단계 ; h. 상기 검출단계에서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내에 악취를 발생하는 유기화합물 또는 독성금속의 수용성염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악취발생 유기화합물을 악취를 발생하지 않는 화합물로 변화시키고, 상기 독성 금속의 수용성염의 대부분을 상당히 불용성인 화합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내에 산화제를 방출하는 단계 ;i상기 검출단계에서 상기 소정부분이 소정의 정도까지 해독되었음을 검출한 후, 상기 소정부분을 비수용성 토질로 변화시키기 위해 항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에 탈수제를 방출하는 단계, 이에 의해 독성 유기화합물 및 비수용성 화합물로 변화하지 않은 독성금속의 수용성염은 외부로 누출할 수 없게된다. j. 상기 비수용성 토질로의 변화가 종료하기 전에 상기 교반을 종료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k. 상기 비수용성 토질로의 변화가 종료하기 전에, 탈수제가 첨가된 상기 소정부분을 다수의 괴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분은 유리화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부분이 플라즈마토치의 작용을 받아 유리화된 덩어리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k. 제1구역으로부터 상기 제한 공간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단계들이 제1공간과 중복되는 제2공간까지 수행되고 상기 해독 방법이 제자리에 되풀이되어 상기 유독성 폐기물의 소정부분이 원하는 정도까지 해독될때까지 계속되는 단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제는 알카린이며, 상기 소정의 부분을 수불침 특성 물질로 변환시키고, 대체로 불수용성 화합물과 유독성 금속의 수용성염이 독성양이 침출되지 않을 정도로 수불침투성 물질내에 침전된 상태로 남아 있지 않게 될 정도로 유독성 금속의 수용성염이 침전될 정도로 변환시키기전에 상기 폐기물에서의 물의 pH를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양이 상기 소정부분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독성 폐기물은 방사성 물질을 방사하는 라돈을 함유하며, 상기 탈수제는 상기 소정부분이 수불침투성 고형 덩어리로 변형되기에 충분한 양이 부가되는데 이 고형 덩어리는 그를 통한 라돈의 이동이 충분히 느릴 정도의 밀도를 갖고 있으며 상기 라돈은 상기 이동중에 고형 방사성 동위 원소로 변형되어 주위대기로 배출되지 않으며 상기 방사성 동위 원소는 상기 수침투성 물질내에 남아있고 이 수침투성 물질로부터 유독양이 침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은 진흙을 다량함유한 흙으로 혼합되고 상기 탈수제는 상기 소정부분을 친수성 상태에서 소수성의 수불침투성 고형 물질로 변형시키도록 상기 소디움과 이온교환하도록 유입되는 칼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제는 진흙을 포함하는 건조 소디움과 화합물을 포함하는 칼슘을 포함하며 물에 의해 상기 유독성 폐기물에서 습윤되고 진흙은 상기 소디움과 칼슘의 이동 교환에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하여 친수성 상태의 상기 소정부분을 소수성 수불침투성 고형 상태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사용되는 가열 유체 온도에서 휘발되지 않는 긴 사슬의 탄화수소를 상기 유체온도에서 휘발되고 상기 제한된 공간으로 증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부로 유동되는 작은 스슬로된 탄화수로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과망간산 칼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독성 폐기물은 폐기물 열방사 엔진의 힘으로 회전되는 대체로 수평하게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블레이드의 수직 이동에 의해 교반되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k. 물소스에 물을 유통시키는 단계와; 1. 상기 폐기물 열로 상기 엔진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가렬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m.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상기 물 흐름을 상기 피기물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는 흐름으로 변형되도록 방출시키는 단계.
  12. 제 1 항에 있어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k. 상기 유독성 흐름을 다수의 증가하는 낮은 온도에 있게하여 상기 유독성 흐름으로부터 응축물과 유독개스 및 증기가 유독성 액체와 같이 상기 유체를 분라하는 단계와 ;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독성분의 독성 흐름 및 가열된 유체를 가열하는 단계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k. 상기 유독성 흐름을 다수의 증가하는 낮은 온도에 있게하여 상기 유독성 흐름으로부터 응축물과 유독개스 및 증기가 유독성 액체와 같이 상기 유체를 분리하는 단계와; 1. 상기 유독성 흐름내의 유독성분이 원하는 정도까지 제거됐음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낮은 온도의 초기 및 종말온도에 상기 유독성 흐름이 있게될 때 상기 유독성 흐름에서 상기 유독 성분의 실체와 양에 관해 상기 유독성 흐름을 샘플링하는 단계 및, m. 상기 유독성 흐름을 내각된 후에 상기 낮은 온도의 종말 온도에 있게하여 활성화된 탄소로 모든 유독성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부분은 독성 폐기물을 포함하는 영역의 주위로 연장하는 인접되어 겹쳐진 연속된 스테이션이며, 상기 방법으로 인해 연속하여 인접해있고 하방으로 연장하며 균질하게 제독된 수불침 투성 고체 물질로 이루어진 겹침구역이 생기게 되며 상기 고형물질은 창문이 없는 독성 폐기 오물 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동력으로 구동되고 절단연부와 후연부를 갖고있는 대체로 수평한 긴 블레이드의 수직 이동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후연부에 인접한 다수의 개구를 갖고 있으며 상기 가열된 유체 흐름은 다수의 개구를 통해 자유로운 유독개스의 이탈을 촉진하고 상기 산화제에 노출되는 유독성 폐기물의 표면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절단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유독성 폐기물입자에 충돌하는 고압제트로써 상기 소정의 부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1. 증가되는 다수의 낮은 온도에 놓이게되는 상기 유동성 흐름으로 인해 생긴 유독성분을 밀폐된 용기로 배출하는 단계와; m. 상기 유독성분이 상기 용기로부터 박테리아의 작용을 받게하여 비유독성이 되도록 하는 단계.
  17. 제 12 항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1. 증가되는 다수의 낮은 온도에 놓이게 되는 상기 유동성 흐름으로 인해 생긴 유독성분을 밀폐된 용기로 배출 하는 단계와; m. 상기 유독성분이 상기 용기로부터 플라즈마노의 열을 받게하여 비유독성이 되도록 하는 단계.
  18. 독성 유기화합물 및 독성 금속의 수용성 염을 함유할 수도 있는 유독성 폐기물의 소정부분을 대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소정의 정도까지 해독시키기 위한,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a. 상기 소정부분과 기밀 연통되고, 상기 소정부분의 위에 연장되는 제한된 공간 형성수단; b. 상기 소정부분을 교반하는 제1수단 ; c.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에 압축 수증기를 방출하여 이 수중기의 온도에서 휘발되는 독성 유기화합물을 독성 증기를 변화시키고 상기 소정부분에 존재할 수 있는 유리 독성 기체와 함께 상기 독성증기를 상기 소정부분의 위의 상기 제한 공간의 일부로 상승시키는 압축수증기 방출용 제2수단; d. 상기 제한 공간으로부터 상기 독성 기체 및 독성 증기가 누출하여 대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한 공간내부를 부암으로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속도로 상기 소정부분 위의 상기제한 공간의 일부로부터 독성유체인 공기, 수증기, 독성 증기 및 독성 기체를 뽑아내어 압축시키는 제 3수단 ; e. 독성화합물 및 수증기를 구성된 상기 압축 독성유체를 유리시키는 제4수단 ; f. 독성 화합물과 수증기를 제거한 상기 압축 유체를 상기 소정부분내로 제방출시키는 제5수단 ; g.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 내의 독성 화합물의 존재여부와 그 양을 검출하는 제6수단 ; h. 상기 제6수단이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 내에서 악취 발생 유기 화합물 또는 독성금속의 수용성 염을 검출했을때, 이 악취발생 유기화합물을 악취를발생하지 않는 화합물로 변화시키고 상기 독성 금속의 수용성 염의 대부분을 상당히 비수용성인 화합물로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내로 산화제를 방출하는 제7수단 ; i. 상기 제6수단이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이 소정의 정도까지 해독되었음을 검출했을 때, 상기 교반작용 종료 후, 상기 소정부분을 경수가 스미지 않는 토질로 변화시키고 이 소정부분내에 잔류하는 독성 화합물이 밖으로 누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교반되는 소정부분내에 탈수제를 방출하는 제 8수단.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독성 폐기물은 폐기물 저장통내에 수용되어 지하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는 상기 폐기물 저장통상의 일 지역으로부터 타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한 공간 형성수단은 하단부 및 상기 제1수단이 카타를 구비한 뒤집혀진 접형상의 강성체 덮게이며, 상기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는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j. 상기 강성체 덮개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강성체 덮개의 상기 하단부가 소정의 일 지역의 상기 폐기물 저통과기밀 접촉하도록 하는 제9수단; k. 상기 카타를 회전시키고, 상기 강성체 덮개하의 종방향으로 상기 카타를 이동시켜서 상기 유독성 폐기물 저장통의 소정부분을 하향연장하는 입자 영역으로 변화시키고,형성된 입자들은 상기 카타의 연속되는 회전운동에 의해 교반되어 지도록 하는 제10수단.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 카타에는 앞쪽날과 뒤쪽날을 구비한 거의 수평인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가 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1. 상기 블레이드의 뒤쪽날상의 상기 제2수단과 연통하는 다수의 이격된 노즐이 다수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수증기 제트류는 상기 입자들과 충돌하여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입자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단을 동력 구동 송풍기로서, 이 송풍기에는 상기 강성체 덮개내의 소정공간과 연통하는 흡입구와 상기 제5수단과 연통하는 방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단은 플라즈마 아아크 오븐이며, 상기 제4수단은 할성기체 제거기이며, 상기 제4수단은 상기 독성유체가 상기 제5수단내로 진입하기 전에 이를 통해 상기 독성유체가 순차적인 유동하는 냉각장치이며. 상기 플라즈마 아아크 오븐은 상기 독성유체내의 독성 증기와 독성기체를 비독성물질로 변화시키며, 상기 활성 기체 제거기는 상기 독성 유체로부터 활성 기체를 제거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독성유체가 응축되는 정도까지 상기 곡성유체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단은 냉각기이며, 상기 제4수단은 상기 독성유체가 상기 제5수단내로 진입하기 전에 이를 통해 상기 독성유체가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할성탄 수용기이며, 상기 냉각기는 상기 독성유체와 독성유기물 증기를 액화시키며, 상기 활성탄은 상기 냉각기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상기 독성유체내의 독성기체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가 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j. 상기 독성물질을 함유할 수도 있는 응축액체가 유통하는, 상기 냉각기와 연통하는 하나의 도관; k. 이 제10수단은 상기 도관을 통해 이 제10수단내에서 유동하는 독성물질을 비독성 화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도관 연통하는 제11수단.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독성물질을 비독성 화합물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1수단내에 미생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수단은 플라즈마 오븐으로서, 이 플라즈마 오븐은 상기 독성물질을 비독성 화합물로 변화시키며, 이 플라즈마 오븐은 이 플라즈마 오븐내로 수송되어온 사용된 활성탄을 다시 사용 할 수 있는 형태로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 수단은 밀폐된 용기로서, 이 밀폐용기의 내부에 상기 해독처리중인 소정부분이 배치되며, 상기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가 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j. 상기 밀폐용기내에 상기 소정부분을 배치하는 수단 : k. 상기 소정부분의 상기 물이 스미지 않는 토질로 변화되기 전에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소정부분을 제거하는 수단.
  28. 제 19 항에 있어서, 하기의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곡장치. j. 상기 교반되는 입자물질을 소정의 밀도의 교반되는 토질로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교반되는 입자물질에 물을 방출하는 수단;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단은 j. 열적 산화제로 작용하는 촉매와 반응개스 제거수단 및 응축수 단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단을 통해 상기 제5수단에 유입되기 전에 상기 유독성 흐름은 연속해서 유동하며 상기 열적 산화제로 작용하는 촉매는 상기 증기와 유독성 개스를 비유독성 화합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3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유체는 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폐기물 해독장치.
KR1019870700368A 1985-08-26 1986-08-04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및 해독장치 KR910003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85/001656 WO1986001439A1 (en) 1984-09-04 1985-08-26 In situ waste impoundment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85-01656 1985-08-26
PCT/US1986/001638 WO1987001312A1 (en) 1985-08-26 1986-08-04 In situ hazardous waste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1656 2001-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418A KR870700418A (ko) 1987-12-29
KR910003837B1 true KR910003837B1 (ko) 1991-06-12

Family

ID=2677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368A KR910003837B1 (ko) 1985-08-26 1986-08-04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및 해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910003837B1 (ko)
BR (1) BR8606846A (ko)
DK (1) DK209887A (ko)
FI (1) FI871763A (ko)
NO (1) NO871755L (ko)
SE (1) SE466295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71763A0 (fi) 1987-04-22
NO871755D0 (no) 1987-04-27
NO871755L (no) 1987-06-26
SE466295B (sv) 1992-01-27
KR870700418A (ko) 1987-12-29
SE8701718L (sv) 1987-04-24
FI871763A (fi) 1987-04-22
DK209887A (da) 1987-06-23
BR8606846A (pt) 1987-11-03
SE8701718D0 (sv) 1987-04-24
DK209887D0 (da) 198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5249B1 (en) In situ hazardous waste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4776409A (en) Insitu waste impoundment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4844839A (en) In situ treatment and analysis of wastes
US51880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temperature thermal stripp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soil and waste materials with non-oxidative co-current gases
JP2543707B2 (ja) オイルの放射性汚染除去方法
US5619936A (en) Thermal desorption unit and processes
Amend et al. Critical evaluation of PCB remediation technologies
US48820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il decontamination
HU204451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dangerous wastes "in situ"
ES2281983T3 (es) Aparato para la separacion de constituyentes de matrices.
KR910003837B1 (ko) 유독성 폐기물 해독방법 및 해독장치
JP4540445B2 (ja) 土壌浄化装置
PL157764B1 (en) A device for harmful toxin waste cleaning from toxins and a method of harmful toxin waste cleaning from toxins
EP1792667A1 (e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detoxified matter
CA1322568C (en) Waste destroyer and encapsulator
CN209006393U (zh) 一种去除土壤污染物的设备
JP2006281148A (ja) ダイオキシン類汚染物の処理方法
Webster Pilot Study of Enclosed Thermal Soil Aeration for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ntamination: at the McKin Superfund Site
EP0962700A2 (en) Dioxin depressant and method for use thereof
Sanning et al. 1990 Update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 SITE Emerging Technology Program
Sengupta Hazardous Waste Management, Volume II: Characterization and Treatment Processes
JP2004057886A (ja) 有機塩素化合物系有害物を含む固形の汚染材料から同有害物を除去する方法
Aident et al. MOTCO superfund site cleanup and restoration
Lucero et al. Treatability of TCE-contaminated clay soils at the Rinsewater Impoundment, Michoud Assembly Facility
JPH10249312A (ja) 飛灰等の無害化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