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470Y1 -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 - Google Patents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470Y1
KR910003470Y1 KR2019860018504U KR860018504U KR910003470Y1 KR 910003470 Y1 KR910003470 Y1 KR 910003470Y1 KR 2019860018504 U KR2019860018504 U KR 2019860018504U KR 860018504 U KR860018504 U KR 860018504U KR 910003470 Y1 KR910003470 Y1 KR 910003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switching
bas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025U (ko
Inventor
신성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8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470Y1/ko
Publication of KR880011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2Multi-standar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8Vide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0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k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
제 1 도는 본고안의 회로도이다.
제 2 도는 본고안에 따른 각신호별 주파수의 범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1: 입력단자 Q4: 색도(chroma)증폭회로
B4: 비디오 앰프 B2: 딜레이라인
I1: 스위칭 IC B3: 대역필터(Band Pass Filter)
S1: 선택스위치
본 고안은 복합신호(Composite Signal)를 입력으로 하는 모니터 및 TV에 있어서, 다입력이 가능한 다기능 모니터의 입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복합신호만을 입력으로 하는 TV나 모니터의 경우에는 영상신호의 칼라신호에서 대역필터(Band Pass Filter)로 필터링(Filtering)시에 휘도신호(Luminance)의 손실로 브라운관에 나타나는 칼라신호의 해상도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대역필터 통과시에 손실된 휘도성분을 재현하기 위하여 콤필터(Comb Filter)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딜레이라인(Delay Line)과 코일등을 구비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코일의 조정을 위한 작업공정의 증가가 불가피하게 된다.
본고안은 복합신호 입력이외에도 해상도가 증가하는 휘도성분, 색도성분과 별도의 단일색깔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여 휘도성분과 색도성분이 별도로 입력될시에는 칼라밴드 패스에서 밴드 패스로 인한 휘도성분의 손실을 없도록 하여 칼라밴드 패스의 주파수 이상으로 좋은 해상도를 얻도록 하며, 또한 단일 색상이 입력될시에는 입력신호의 조건에 따라 휠씬 증가된 해상도를 얻은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택스위치(S1)는 입력신호인 복합신호(Composite Signal), 분리신호(Seperate Signal)와 단색신호(Monochrome Signal)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받아들이는 구조로 되어있다.
선택스위치(S1)의 복합신호(COMP)단자는 콜렉터가 색도트랩(Chroma Trap(B1))회로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저항(R11)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저항(R11)의 양단에는 접지저항(R10, R12)을 두고, 저항(R9)를 통해 스위칭IC(I1) 의 13번 핀에 연결 되고, 콜렉터가 저항(R22)을 통해 대역필터(B3)의 출력과 연결되었으며, 에미터는 접지된 트랜지스터(Q2)와 연결되고, 상기 색도 트랩회로 색도트랩(B1)는 저항(R35)을 통해 딜레이라인(Delay Line)(B2)과 접속되어 있다.
분리신호(SEP)단자는 스위칭IC(I1)의 5, 6번 핀과 연결되어 접지된 저항(R5, R6)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단색신호(MONO)단자는 콜렉터가 저항(R18)을 통해 색상소거회로(Color Killer Circits)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접지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양단에 접지저항(R8, R15)이 있는 저항(R14)을 통해 접속되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저항(R7)을 통해 스위칭IC(I1) 의 12번 핀과 열결되어 되어 있고, 입력단자(F1)의 각 단자들은 각각 커플링 콘덴서(C1, C2, C3, C4)를 통해 스위칭IC(I1) 의 1, 3, 8, 10번 핀들과 접속되어 각각 스위칭IC(I1)의 2, 4, 11번 들을 통해 출력이 나온다.
상기 출력중 스위칭IC(I1)의 2, 4, 9, 11번 핀 으로부터 나온 출력은 비디오 앰프(B4)의 입력단에 커플링 콘덴서(C5)를 거쳐, 인가되며, 9번 핀에서 나온 출력은 콘덴서(C8)를 거쳐 색도 증폭기인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연결하여 저항(R22)를 통해 대역필터(Band Pass Filter)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구성된 회로이다.
선택스위치(S1)의 동작에 따른 회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택스위치(S1)이 복합신호(COMP)단자와 연결되었시에는 스위칭IC(I1)의 13번 핀이 하이(High)상태가 됨과 동시에 스위칭IC(I1)의 1, 2번 핀들을 단락(short)시켜 커플링 콘덴서(C1)를 통해 들어온신호는 스위칭IC(I1)의 2번 핀으로 출력되어 커플링 콘덴서(C5)에 인가되어 버터(Buffer)인 트랜지스터(Q5)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에서 색도신호(Chromsa Signal)는 저항(R36)을 통해 대역필터(B3)를 거쳐, 커플링 콘덴서(C7)를 통과한후 색도 처리회로에 인가되며, 또한 버퍼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에서 복합신호는 증폭 트랜지스터(Q6)를 거쳐 트랜지스터(Q7)를 통과한 후 버퍼 트랜지스터(Q8)를 거쳐 딜레이라인(B2)에서 지연(delay)된후 영상신호 처리회로에 인가되며, 버퍼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와 증폭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D1)는 영상회로의 외부 직류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쓰이는 직류중첩 다이오드로 사용된다.
한편 선택스위치(S1)이 분리신호(SEP)단자와 연결 되었을 시에는 입력저항(R2)와 커플링 콘덴서(C2)를 거친 휘도신호(Luminance Signal)는 스위칭IC(I1)의 3번 핀과 연결되나, 하이(High)상태에 있는 5번 핀에 의하여 3, 4번 핀이 단락(shrt)되어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디오앰프(B4)와 딜레이라인(Delay Line B2)을 거쳐 비디오 영상입력단에 인가되는데, 이때 휘도신호는 색도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색도트랩회로(B1)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해상도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또한 입력저항(R3)및 커플링 콘덴서(C3)을 통과한 색도신호는 스위칭IC(I1)의 8번 핀으로 인가되나, 6번핀이 하이(High)상태로 인해 8, 9번 핀들이 단락상태가 되므로 9번 핀을 통해 나온 출력이 색도 증폭회로인 트랜지스터(Q4)에 인가되어 커플링 콘덴서(C7)을 거쳐 색도처리 회로에 입력되며, 선택스위치(S1)이 단색신호(MONO)단자와 연결되었을 시에는 입력저항(R4)과 커플링콘덴서(C4)를 통과한 단색신호(Monochrome Signal)가 스위칭IC(I1)의 10번 핀에 인가되나, 12번 핀이 하이(High)상태에 있게 되므로 10, 11번 핀들이 서로 단락(short)되어, 11번 핀을 통해 나온 출력이 비디오 앰프(B4)에 인가된후 딜레이라인(B2)을 거쳐 비디오 처리회로에 입력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4)는 칼라소거 회로를 동작시켜, 단색신호내에 섞여있는 칼라신호를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스위치(S1)가 단색신호(MONO)단자와 연결되었을 시에 동작(ON)한다.
따라서 본고안은 외부에 입력신호인 복합신호, 분리신호, 단색신호가 동시 또는 별개로 입력시에 선택스위치(S1)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display)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합호만을 입력하는 모니터나 TV의 경우 보다 휠씬 증가된 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이다.

Claims (1)

  1. 선택스위치(S1)의 복합신호 단자는 콜렉터가 색도랩회로(B1)와 연결되고, 에미터는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양단에 접지저항(R10, R12)이 있는 저항(R11)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저항(R9)통해 스위칭IC(I1)의 13번 핀과 연결되고, 콜렉터가 저항(R22)을 통해 대역필터(B3)의 출력과 연결되고, 에미터는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저항(R13)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분리신호 단자는 스위칭IC(I1)의 5, 6번 핀과 연결되어 접지된 저항(R5, R6)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단색신호(MONO)단자는 콜렉터가 저항(R18)을 통해 색상소 거회로와 접속되고 에미터는 접지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양단의 접지 저항(R8, R15)이 있는 저항(R14)을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스위칭IC(I1)의 12번 핀과 저항(R7)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입력단자(F1)들의 각 단자들은 입력저항(R1, R2, R3, R4)과 커플링 콘덴서(C1, C2, C3, C4)를 통해 스위칭IC(I1)의 1,3, 8, 10번 핀들과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IC(I1)의 2, 4, 11번 핀들은 비디오앰프(B4)와 접속되어 있고, 9번 핀은 색도 증폭회로인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커플링 콘덴서(C8)을 통해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연결하여 저항(R22)을 통해 대역필터(Band Pass Filter, B3)의 출력단과 접속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
KR2019860018504U 1986-11-26 1986-11-26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 KR910003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04U KR910003470Y1 (ko) 1986-11-26 1986-11-26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504U KR910003470Y1 (ko) 1986-11-26 1986-11-26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025U KR880011025U (ko) 1988-07-29
KR910003470Y1 true KR910003470Y1 (ko) 1991-05-27

Family

ID=1925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504U KR910003470Y1 (ko) 1986-11-26 1986-11-26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4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025U (ko) 198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2984A (en) Chrominance-luminance separator
US4644387A (en) Plural input television receiver having peaking circuit and chrominance band reject filter in a video signal channel
KR910003470Y1 (ko) 다기능 모니터 입력회로
KR100210545B1 (ko)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
US4689663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display driver amplifier and input video filter having inversely related bandwidths
US5500690A (en) Televis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device for selecting different sources
EP0309891A3 (de) Empfangsgerät für Farbfernsehsignale
US3932819A (en) Electrical filters
KR950001444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KR900017421A (ko) 보조 입력 접속기를 구비한 텔리비젼 수상기
JP2511885B2 (ja) ノツチフイルタ−のスイツチ回路
KR960008675Y1 (ko) 티브이/에이브이 절환시 칼라신호 비피에프의 주파수 자동절환회로
KR860001642Y1 (ko) 칼라 모니터의 신호입력절환회로
US3564122A (en) Video signal separation means
KR920000146B1 (ko) 필터회로
KR970004200B1 (ko) 멀티 시스템의 휘도 신호 분리회로
JPS5942789Y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100269218B1 (ko) 다중ccd카메라의휘도신호분리장치
US4274108A (en) Interleaved multiple signal separating circuit
JPH0617393Y2 (ja) 入力輝度/色信号切換装置
JPH075738Y2 (ja) テレビ一体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890004983Y1 (ko) 색차출력신호의 과도기응답특성 색화질보상회로
KR880004484Y1 (ko) 2입력모드용 테레비젼의 혼선제거회로
KR850001849Y1 (ko) 티브이의 외부신호 매칭회로
KR100228669B1 (ko) A/v단자의 입력신호에 대한 노멀화질상태 구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