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423Y1 - 모니터의 전원자동 오프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전원자동 오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423Y1
KR910003423Y1 KR2019870024105U KR870024105U KR910003423Y1 KR 910003423 Y1 KR910003423 Y1 KR 910003423Y1 KR 2019870024105 U KR2019870024105 U KR 2019870024105U KR 870024105 U KR870024105 U KR 870024105U KR 910003423 Y1 KR910003423 Y1 KR 910003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diode
collector
monit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421U (ko
Inventor
박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4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423Y1/ko
Publication of KR890015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전원자동 오프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자동 오프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신호입력단 2 : SMPS전원회로
3 : 펄스발진기 4 : 보조동작부
R1∼R12: 저항 Q1∼Q6: 트랜지스터
C1,C2: 콘덴서 D1∼D3: 다이오드
ZD1: 제너다이오우드 CRT : 브라운관
본 고안은 모니터의 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와 연결된 컴퓨터에서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이를 감지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키도록 한 모니터의 전원자동오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구성은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상신호 입력단(1)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는 저항(R1,R2)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트랜지스터(Q1)와 캐소코드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4)을 거쳐 브라운관(CRT)의 캐소우드(K)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로구성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영상신호입력단(1)으로 하이(H)상태의 영상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1,Q2)가 동작되어 영상신호를 캐소코드증폭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 로우(L)상태의 신호를 출력시켜 브라운관(CRT)의 캐소우드(K)에 안가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영상신호입력단(1)으로 영상신호가 인가되면 브라운관(CRT)으로 영상이 재현되는데, 영상신호가 없으면 영상이 재현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영상이 재현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전원은 계속적으로 모니터에 인가되므로 전원스위치를 끄지 않는 이상 모니터는 계속 동작하여 전력소모 및 과열등으로 인한 내부부품이 소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회로를 연결구성시켜 모니터와 연결된 컴퓨터에서 신호가 나오지 않을 때, 즉, 영상신호가 없을 때에는 모니터의 전원을 자동오프 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하 그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자동오프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그의 연결구성을 살펴보면, 영상신호입력단(1)의 신호가 캐소코드로 연결된 트랜지스터(Q1,Q2)에 의해 브라운관(CRT)의 캐소우드(K)에 인가되는 기존의 제 1 도 회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6)과 제너다이오드(ZD1) 및 저항(R7)을 순차거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저항(R12)을 거쳐 전원단(B+)에 접속되며 동시에 다이오드(D2)와 콘덴서(C2) 및 저항(R11)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드(D2)와 콘덴서(C2)의 연결점은 저항(R8,R9)과 콘덴서(C1) 및 다이오드(D1)로 구성된 보조동작부(4)를 거쳐 전원단(B+)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저항(R10)을 거쳐 전원단(B+)에 접속되며 동시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3)를 거쳐 공지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전원회로(2) 스위칭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로구성의 동작상태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서 영상입력단(1)으로 하이(H)상태의 영상신호가 인가되면, 그 신호는 캐스코드로 연결된 트랜지스터(Q1,Q2)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서 로우(L)상태의 신호가 출력되어 브라운관(CRT)의 캐소우드단(K)에 인가되는데, 이때 그 로우(L)상태의 신호는 제너다이오우드(ZD1)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트랜지스터(Q4)는 오프되어 그의 콜렉터로 하이(H)상태의 신호를 출력시켜 다이오우드(D2)와 콘덴서(C2) 및 저항(R11)을 거쳐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5)는 구동하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5)의 구동에 따라 그의 콜렉터전위는 로우(L)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6)를 오프시키므로 SMPS 전원회로(2)의 펄스 발진기(3) 출력은 스위칭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구동되고, 트랜스(T1)의 이차측코일에는 펄스가 유기되어 SMPS 전원회로(2)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므로 모니터에는 전원이 계속적으로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영상입력단(1)으로 일부분이 로우(L)상태인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일부분만이 하이(H)인 신호가 출력으로 제너다이오우드(ZD1)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4)는 온되어 그의 콜렉터로 약한 로우(L)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나, 이때에는 저항(R5-R9)과 콘덴서(C1) 및 다이오우드(D1)의 보조동작부(4)에 의해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하이(H) 전압을 인가시켜 트랜지스터(Q5)를 구동시키고 트랜지스터(Q6)를 오프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SMPS 전원회로(2)를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는 퍼스널컴퓨터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한숫자정도만의 신호가 나오게 하고 뒤에는 아무 신호도 나오지 않도록 동작시킬 경우이므로 이때에도 전원은 정상적으로 동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영상입력단(1)에 지속적으로 로우(L)상태의 영상신호가 인가되면, 그 신호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서 하이(H)상태의 신호로 출력되어 브라운관(CRT)의 캐소우드(K)에 인가되는데, 이때 그 하이(H)상태의 신호는 제너다이오드(ZD1)를 통과하므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를 구동시키고 트랜지스터(Q6)를 오프시켜 트랜지스터(Q)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SMPS 전원회로(2)의 펄스발진기(3) 출력은 다이오드(D3)를 거쳐 트랜지스터(Q6)로 인가되어 스위칭트랜지스터(Q3)를 오프시켜 SMPS전원회로(2)를 동작시키지 않게 되므로 모니터의 전원은 자동오프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자동오프회로는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모니터와 연결된 컴퓨터에서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이를 감지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자동오프시키도록 하므로서 불필요한 전력손실 및 내부부품의 소모등을 방지시켜 제품을 보호하는 효과를 갖게된다.

Claims (1)

  1. 영상입력단(1)이 캐소코드 연결된 트랜지스터(Q1,Q2)를 거쳐 브라운관(CRT)에 연결되고, SMPS전원회로(2)를 포함하는 모니터 회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제너다이오드(ZD1)를 거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저항(R12)을 거쳐 전원돤(B+)에 접속되며 동시에 다이오드(D2)와 콘덴서(C2) 및 저항(R11)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드(D2)와 콘덴서(C2)의 연결점은 저항(R8R9)과 콘덴서(C1) 및 다이오드(D1)로 구성된 보조동작부(4)를 거쳐 전원단(B+)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전원단(B+)과 연결되어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3)를 거쳐 SMPS 전원회로(2)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3) 베이스에 접속되어 영상입력신호가 없을 시 모니터의 전원을 자동오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자동오프회로.
KR2019870024105U 1987-12-31 1987-12-31 모니터의 전원자동 오프회로 KR910003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105U KR910003423Y1 (ko) 1987-12-31 1987-12-31 모니터의 전원자동 오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105U KR910003423Y1 (ko) 1987-12-31 1987-12-31 모니터의 전원자동 오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421U KR890015421U (ko) 1989-08-12
KR910003423Y1 true KR910003423Y1 (ko) 1991-05-24

Family

ID=1927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105U KR910003423Y1 (ko) 1987-12-31 1987-12-31 모니터의 전원자동 오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4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421U (ko) 198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8702A (e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BJT/MOSFET cascode circuit
US4970620A (en) FET bridge protection circuit
US4819144A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with stored charge removal switch
KR910003423Y1 (ko) 모니터의 전원자동 오프회로
US5089756A (en) Deflection driver in a video apparatus
US4590408A (en) Linear/resonant CRT beam deflection circuit
US4588902A (en) Analog switching circuit with Zener diode input clamp
US5138240A (en) Horizontal-deflection driving circuit
KR920002448Y1 (ko) 스탠바이 동작회로
KR920007697Y1 (ko) 고전압안정화 회로
KR0127157Y1 (ko) 마이컴을 이용한 자동 휘도제한회로
KR910007420Y1 (ko) 컬러와 브라이트 레벨의 초기치 설정회로
JPH0115239Y2 (ko)
KR900008278Y1 (ko) Tv/비디오 자동모드 선택회로
US5616971A (en) Power switching circuit
KR950006854Y1 (ko) 영상뮤트 음성출력회로
JP2780314B2 (ja) Dc―dcコンバータ
KR970005704Y1 (ko) 텔레비젼 주전원 온/오프 회로
KR940005071Y1 (ko) 수평 편향 지연 회로
KR910006194Y1 (ko) 무접점의 주전원 스위칭 회로
KR930000448Y1 (ko) 모니터의 영상전압 안정화 회로
KR0120179B1 (ko)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 fet) 구동회로
KR970003724Y1 (ko) 파워 스위치 이중 동작 방지 회로
KR910005340Y1 (ko) 수평 편향회로의 안정화 전원 공급회로
KR970004899Y1 (ko) 음극선관 고압방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