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090B1 - 유리판 굴곡장치(Tem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 Google Patents

유리판 굴곡장치(Tem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090B1
KR910003090B1 KR1019840006493A KR840006493A KR910003090B1 KR 910003090 B1 KR910003090 B1 KR 910003090B1 KR 1019840006493 A KR1019840006493 A KR 1019840006493A KR 840006493 A KR840006493 A KR 840006493A KR 910003090 B1 KR910003090 B1 KR 910003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glass
glass plate
assembly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361A (ko
Inventor
미카엘 닛츠케 딘
Original Assignee
글라스텍크 아이 엔 시
노오만 시. 닛츠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라스텍크 아이 엔 시, 노오만 시. 닛츠케 filed Critical 글라스텍크 아이 엔 시
Publication of KR850003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판 굴곡장치(Tem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축조하여 굴곡 스테이션에 위치시킨 유리판 굴곡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그의 조립체 일부가 고딕선으로, 그 나머지 부분을 점선으로 하여 두 부분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굴곡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장치의 굴곡부재와 제1도의 장치를 함께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유리픽업 위치에 있는 굴곡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본래 위치에 있는 굴곡부재와 본 발명의 굴곡장치를 함께 나타낸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5도는 유리판의 저부 표면아래에 위치된 굴곡부재를 나타낸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6도는 유리판의 하부 표면과 결합한 굴곡부재를 나타낸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7도는 굴곡부재를 제2도에 도시된 굴곡위치에 있는 굴곡부재를 나타낸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8도는 본래 위치에 있는 굴곡부재를 나타낸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9도는 굴곡된 유리판을 받아들이기 위해, 굴곡스테이션내에 위치된 모울드링을 나타내고 있는 제3도와 유사한 도면.
제10도는 굴곡된 유리판을 더욱 굴곡시키기 위해 모울드링상에 위치된 가열된 유리판을 나타낸 제3도와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굴곡스테이션(bending station
12 : 상부하우징부분(upper housing portion)
14, 16 : 하우징부재(housing members)
18 : 측면부재(side members)
20 : 로울러단조로컨베이어(roller hearth conveyor)
22 : 로울러(roller) 24 : 호울더조립체(holder assembly)
26 : 호울더(holder) 28 : 하부굴곡면(lower curved surface)
30 : 진공발생기(vacuum generator)
32, 39, 42 : 수직봉(vertical rods)
34 : 고정너트(locking nuts)
36 : 브라켓(bracket) 38 : 칼라부재(collar members)
40 : U자형 프레임조립체(U-shaped frame assembly)
41, 44 : 구멍
46 : J 자형 브래킷트부재(J-shaped bracket members)
48 : 프레스바아 조립체(press bar assembly)
50 : 굴곡부재(bending members)
52 : 고정판(mounting plate) 54 : 보울트(bolt)
56 : 평형추(counterweight or counterbalance)
58 : 제1연결조립체(first link assembly)
60, 72, 73 : 추축(pivot) 62 : T자형부재(T-shaped members)
64 : 중간연결부(intermediate link)
66 : 잠금너트(locking nuts) 70 : 제2연결조립체(second link assembly)
74 : 정지부재(stop members) 76 : 모울드링(mold ring)
본 발명은 유리판을 굴곡시키면서 템퍼링(tempering)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손에 대한 양호한 내성과 차량의 디자인을 보완하여 심미감을 일으키도록 차량의 측면과 뒷 유리창에 굴곡되어 탬퍼링된 유리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유리판을 굴곡하여 템퍼링하기 위해서는 유리판을 약 1200°내지 1300℉(533°- 545℃)의 변형점까지 가열하여 소정형태로 굴곡한후 유리판이 템퍼링되도록 공기를 분무하여 급속냉각시켜야 한다. 이러한 템퍼링은 유리판의 기계적강도와 파손에 대한 저항성을 대단히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리가 파손되었을 때 템퍼링하지 않은 유리와 같이 크고 날카로운 조각으로 깨지지 않고, 상대적으로 작고 무딘조각으로 깨지도록 한다. 유리를 굴곡하여 템퍼링하는 한가지 냉각기(quenching unit)에 의해 냉각된 공기로 유리를 템퍼링하기 전에 일정한 형태를 가진 두면 사이에 유리를 고정하여 가열된 유리가 일정한 형태로 굴곡되도록 하는 압착굴곡기(press benders)를 사용하는 것이다. 미국특허 제 3,454,389호, 제3,476,542호, 제3,488,178호, 제3,600,150호와 제3,951,634호는 상기와 같이 유리판을 압착 굴곡시켜 템퍼링하는 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평판유리를 가열하여 굴곡하고 템퍼링할 수도 있으며, 이동할 수 있는 부분(movable sections)을 가진 굴곡모울드(bending molds)상에 지지하여 유리판을 굴곡하고 템퍼링할 수 있다. 가열하는 중에 유리판이 연질화되기 이전에, 모울드 부분은 평판 유리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유리판이 가열되어 부드러워짐에 따라, 모울드 부분은 유리판과 모울드 부분에 작용하는 중력하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여 유리판이 템퍼링되도록 유리판을 급속냉각하기전에 유리판이 굴곡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두께가 약 1/8인치(약 0.32㎝) 정도의 얇은 유리판을 굴곡시키는 것이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유리가 과도한 상태로 굴곡되도록 연질화될때까지 모울드 부분(mold section)을 선회작동시킬 만한 충분한 무게를 이러한 얇은 유리는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형의 유리를 굴곡하여 템퍼링하는 장치는 미국특허 제3,269,822, 제3,378,287호, 제3,307,930호와 제3,365,285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유리판을 굴곡하여 템퍼링하기 이전에 행해지는 유리판의 가열은 유리가 용광로(furnace)로 통과함에 따라 유체지지베드(fluid support bads)상에서 이루어진다. 통상 지지베드는 수평에 대하여 다수 경사지게 되어있어 베드를 따라 유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이동 프레임(movable frame)과 함께 유리의 변부에 중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유리가 가열되면서 운반되는 중에는 지지베드와 그에 대향된 유리표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접촉이 없어야 유리가 변형온도로 가열됨에 따른 유리의 연질표면이 긁혀서 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굴곡된 유리를 템퍼링하기 위한 준비과정에서 가열한 후 굴곡하는 동안 유리는 기계적인 접촉을 하게된다. 그런데 유체지지베드를 구비한 이러한 유형의 유리를 굴곡하여 템퍼링하는 장치는 미국특허 제3,497,340호, 제3,607,187호와 제3,607,200호에 기술되어 있다. 가열된 유리판을 진공성형하는 방법은 처음에 로울러를 부착한 용광로 컨베이어를 따라 유리판을 운반하면서 가열하는 미국특허 제3,778,244호에 기술되어 있다. 유리판을 가열한 후에, 표면이 하향으로 굴곡된 리프터(lifter)가 유리판이 일정한 형상을 이루도록 유리판의 표면둘레로 진공을 형성한다. 리프터의 굴곡된 표면대로 유리를 성형한후에 진공상태를 해제하여 유리를 운반용 모울드에 떨어뜨리므로서 대기중에 있는 조작자가 모울드로부터 유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더구나 상기 특허에는 모울드 굴곡 표면에 대하여 유리를 진공 성형하는 방법도 기술되어 있다. 유리판을 굴곡하여 템퍼링하는 다른형태의 장치가 미국특허 제2,223, 124호, 제2,348,887호, 제2,646,647호와 제2,085,520호에 기술되어 있다. 하게돈(Hagedorn)씨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305,746호에는 유리판을 최종적으로 굴곡하기 이전에 가열되어 연질화된 유리판을 사전에 굴곡하도록 축조된 컨베이어 로울러와 결합되어 있는 성형링(shaping ring)의 외곽에 설치된 다수개의 성형패드(shapping pads)를 구비하고 있는 유리판 굴곡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하게돈씨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312,661호는 유리판을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추축단부부분(pivotal end section)이 있는 관절을 가진 압착부재(articulated press member)를 구비한 유리판 굴곡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들 단부 부분은 그것의 추축 회전이동을 동시에 같이 수행하도록 양단부 부분에 번갈아 연결된 랙과 피니언 조립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유체 실린더(fluid actuated cylinder)에 의해 조화를 이루며 추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상에서 수평으로 운반된 가열된 유리판을 굴곡하는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유리판 굴곡장치는 유리를 냉각하여 탬퍼링하기 이전에 가열된 유리를 굴곡하는데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할뿐만 아니라, 유리를 굴곡하여 어닐링하는데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얇은 유리판 즉, 0.32㎝(1/8")의 두께의 얇은 유리판을 비교적 높은 생산속도로 굴곡하면서 유리를 소정형태로 굴곡시키기 위한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컨베이어로부터 유리판을 받아들이기 위한 굴곡된 표면이 있는 호울더(holder)를 가진 호울더 조립체(holder assembly)를 구비하고, 호울더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호울더 조립체상에 장치되어 있으며, 호울더표면의 굴곡된 형상대로 유리판이 굴곡되도록 호울더가 받아들인 가열된 유리판과 결합하기 적합하도록된 굴곡부재(bending member)가 있는 굴곡스테이션(bending station)에서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컨베이어상에서 운반된 가열된 유리판을 굴곡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유리판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를 구비한 유리판 굴곡스테이션과 컨베이어로부터 가열된 유리판을 받아들이는 굴곡된 표면(curved surface)을 가진 호울더를 구비한 호울더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굴곡부재는 호울더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호울더 조립체상에 장치되어 있으며, 호울더 표면의 굴곡된 형상대로 유리판이 굴곡되도록 호울더가 받아들인 가열된 유리판과 결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가급적이면 굴곡부재가 중력하에서, 호울더의 상향쪽으로 추축회전이동(pivotal movement)를 할 수 있도록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부재는 호울더의 굴곡된 표면위에 위치된 수용위치(storage position)와 굴곡부재가 가열된 유리판과 결합하는 작업위치(work position) 사이를 움직인다.
또한 가급적이면, 굴곡부재는 호울더 조립체와는 무관하게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장치된 프레임 조립체(frame assembly)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평형부재(counterbalance member)가 프레임 조립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평형부재는 제1축둘레로 추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호울더 조립체에 연결되어 있다. 굴곡부재는 평형부재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평형부재상에 장치되어 있다.
평형부재는 제1축둘레로 추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굴곡부재를 굴곡표면위의 위치에서 프레임 조립체와 호울더 조립체간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른 굴곡표면아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굴곡부재는 유리판을 심하게 굴곡시키는데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유리판이 하향굴곡면을 가진 호울더에 의해 지지되므로 굴곡부재가 더 큰 굴곡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비교적 큰힘으로 굴곡하기 때문에 유리판을 굴곡하는 온도가 낮아져 굴곡공정 중에 발생하는 비틀림이 거의 없어진다. 굴곡부재를 상대적으로 정밀하게 위치시키지 않고 보수할 목적으로 용광로의 외부주위에 호울더 조립체에 대하여 일렬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굴곡부재를 사용하면, 굴곡스테이션에서 공기 유동이 감소되므로 굴곡스테이션으로 유입되어 유리를 미리 냉각시키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굴곡부재가 유리의 위쪽에서 지지되므로, 컨베이어 또는 그것의 로울러가 굴곡부재를 수용하도록 그것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진공 호울더는 컨베이어 로울러에 인접한 유리판 굴곡 스테이션에 위치되어 있다. 진공 호울더는 하향굴곡면을 가지며, 그 표면위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한된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한된 개방구의 내부가 진공 상태로되면 가열된 유리판을 컨베이어로부터 받아들여 컨베이어위에서 유리판을 지지한다. 상향으로 송풍되는 가스는 컨베이어로부터 유리판이 들어올려져 호울더의 굴곡면과 결합하도록 호울더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돕는다. 호울더면에 형성되는 진공상태는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 유리판을 들어올린 후에 끌어올려진 유리판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진공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낮은 압력의 가스를 호울더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 끌어올려진 유리판을 호울더 아래쪽에 있는 모울드링상에 떨어뜨릴 수 있다.
호울더에 의해 초기에 유리판이 들어올려지면, 유리판의 제1부분은 부분적으로 호울더의 굴곡면의 형상대로 형성된다. 유리판의 제2부분은 상향으로 송풍되는 가스에 의하여 하향으로 처지지 않게 된다. 굴곡부재는 유리판의 제2부분을 모울드 표면의 굴곡된 형상대로 굴곡시킨다. 모울드링상에서 유리판이 굴곡된 호울더의 곡률과 같거나 더 큰 원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연속 굴곡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고하면, 유리 굴곡스테이션(10)은 본 발명에 따라 축조된 장치와 일체로 되어있다. 굴곡스테이션(10)은 유리판을 가열하는 용광로를 구비하고 있다. 용광로는 하우징부재(14) 및 (16)으로 이루어진 상부 하우징부분(12)이 있는 하우징(housing)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하우징부분(12)은 부재(14) 및 (1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가열실(heating chamber)과 경계를 이루는 상향으로 개방구를 형성한 U자형 하부 하우징(도시않됨)과 협력하는 한쌍의 측면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하우징부재(16)는 T자형 리테이너(retainers)를 가지고 있어 유리판을 가열하는 가열기가 이것에 의하여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용광로는 로울러 단조로컨베이어(roller hearth conveyor, 20)를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20)의 로울러(22)는 유리판(G)을 용광로의 가열실내에서 가열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운반한다. 또한 굴곡스테이션(10)은 호울더조립체(24)를 가지고 있으며, 호울더 조립체(24)는 하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하부 굴곡면(28)을 가진 호울더(26)를 구비하고 있다. 호울더는 맥 매스터씨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204,85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여기서는 참고로 기재됨), 굴곡면(28)에 있는 개방구(openings)는 진공발생기(30)에 의해 진공이 형성될 수 있도록 기체가 충만한 고압의 조립체(24)와 연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러한 진공 발생기는 맥 매스터씨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222,763호에 기술되어 있다. 수직봉(39)은 호울더 조립체(24)에 대하여 가열실내의 고정된 위치에서 진공발생기(30)를 지지한다. 수직봉(39)은 부재(14) 및 (16)를 관통하여 연장된 구멍(41)내에 수용된다. 구멍(41)은 진공발생기(30)가 보수 목적으로 하향으로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향 및 하향으로 수직이동을 하게 호울더 조립체(24)에 장치된 작동자(actuator)는 제3도-10도에서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수직봉(32)를 가진다. 수직봉(32)의 하부단부에 잠금너트(locking nuts, 34)를 나삽시켜 수직봉(32)이 호울더(26)의 대향면에 장치된 브라켓(36)상에 장치되도록 한다.
상부 하우징(12)에 형성된 구멍들은 수직봉(32)의 중간부분을 수용하여 맥 매스터씨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282,026호에서와 같이 수직봉(32)이 수직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진공발생기(30)는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지는 한쌍의 칼라부재(38)에 의하여 호울더(26)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칼라부재(38)의 하나는 호울더 조립체(24)에 대하여 번갈아 고정된 진공발생기(30)의 저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른 칼라부재(38)는 호울더(26)의 상부에 고정되어 그것과 함께 이동하면서, 호울더(26)가 진공 발생기(30)에 대하여 상하의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도 확실히 진공발생기(30)와 연통되도록 한다.
제3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호울더(26)를 하향 이동시키면 호울더 표면(28)은 호울더(26) 아래로 운반된 가열된 유리판(G)의 중심부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컨베이어(20) 바로 아래에 있는 용광로 가열실내에 장치된 리프트제트(loft jets)(도시않됨)는 호울더(26)의 하부 표면(28)과 결합하도록 유리판을 끌어올리도록 하는 송풍기에 의하여 가열실내에 가열된 공기와 같은 정압력의 가스를 공급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울더(26)는 이후 상향으로 연속 이동하고, 상향으로 송풍되는 가스는 유리판(G)의 단부가 유리판(G)의 중앙부분에 대하여 하향으로 떨어지거나 늘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향으로 송풍된 가스는 호울더 표면(28)의 굴곡면을 향하여 상향으로 유리판(G)을 누르게 된다. 이때 호울더(26) 내부를 진공 상태로하여 호울더 표면의 개방구 둘레를 진공상태로 하므로 상향으로 송풍되는 가스와 함께 유리판을 들어올리면서 유리판(G)을 굴곡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축조된 장치는 호울더 조립체(24)에 대하여 무관하게 상, 하로 수직이동하도록 장치된 U자형 프레임 조립체(40)를 구비하고 있다. U자형 프레임 조립체(40)를 위한 작동기(actuator)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호울더 조립체(24)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와 같은 유형의 장치이다. U자형 프레임 조립체(40)의 작동기는 하우징 부재(14) 및 (16) 아래에 그것과 함께 이동하는 프레임 조립체(40)를 지지하는 수직봉(4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부재(14) 및 (16)를 관통한 구멍(44)은 수직봉(42)이 수직이동을 할 수 있는 그것의 중간부분을 수용한다.
프레임 조립체(4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조립체(40)의 맞은편에 장치된 J자형 브라켓부재(46)를 구비하고 있다. 브라켓(46)은 프레스 바아 조립체(48)를 지지한다. 제2도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 바아 조립체(48)는 보울트(54)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의 고정판(52) 사이에 장치된 굴곡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유리판(G)에 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급적 굴곡부재는 세라믹섬유로 둘레를 둘러싼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고정판(52)은 중력하에서 프레스 바아 조립체(48) 전체를 하향으로 압압하도록 평형추(56)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평형추(56)는 추축(60)에서 제1연결조립체(58)에 추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조립체(58)는 상부가 J자형 브라켓(46)에 의하여 지지되고, 하부는 중간 연결부(64)의 일측단부내에 나사식으로 삽입되어 잠금너트(66)에 의하여 안전하게 고정된 T자형 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재(62)와 중간 연결부(64)간의 상대적인 회전은 연결부재(62)의 실제길이(effective length)를 변화시킨다. 중간연결부(64)의 반대 단부는 그것의 일측단부에 있는 하부연결부(66)내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추축(60)에서 평형추(56)와 그것의 반대단부에 추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평형부재(56)는 추축(60)과 굴곡부재(50) 사이에 배열된, 추축(73)에서 제2연결조립체(70)와 추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연결조립체(70)는 추축(72)에서 호울더(26)와 추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호울더(26)의 대향 측면상에 장치된 정지부재(74)는 평형추(56)의 무게에 의한 프레임 조립체(46)와 호울더 조립체(24)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연결조립체(70)의 하향이동을 제한한다.
이제부터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을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에 호울더 조립체(24)는 프레스 바아 조립체(48)가 그것의 상부 또는 원래의 위치된 상태에 있는 최상부 위치에 있게 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의 유리판(G)을 컨베이어(20)의 로울러(22)로부터 이탈시킨 후, 호울더(26) 아래로 이동시켜, 호울더 조립체(24)와 프레스 바아 조립체(48)가 유리판(G)에 인접한 픽업위치까지 동시에 이동되게한 다음, 공기압력을 인가하여 호울더 조립체(24)가 유리판(G)을 들어 올리는 동시에 프레스 바와 조립체(48)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호울더 조립체(24)와 조화를 이루어 이동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조립체(40)는 그후에 호울더 조립체(40)에 대하여 하향으로 이동하므로서, 굴곡부재(50)가 유리판(G)의 아래에 위치되는 지점에서 정지부재(74)와 연결 조립체(70)가 결합할때까지 추축(72) 둘레로 각 평형추(56)가 하향으로 회전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조립체(40)은 호울더 조립체(24)에 대하여도 움직여 굴곡부재(50)의 굴곡되지 않은 부분과 유리판(G)이 결합하도록 추축(73) 둘레로 평형추(56)가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유리판을 끌어올리도록 하는 공기의 공급은 중단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울더 조립체(24)에 대하여 프레임 조립체(40)가 더욱 하향으로 이동하면, 추축(73)을 중심으로 평형추(56)가 회전이동을 하게되므로 호울더(26)의 하부면(28)에 대향하여 굴곡부재(50)에 의해 결합된 유리판(G)의 굴곡되지 않은 부분을 압압하게 된다. 굴곡부재(50)를 유리판(G)과 결합한 위치에서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조립체(40)가 그것의 원래 위치에 도달될때까지 호울더 조립체(24)에 대하여 상향으로 프레임 조립체(40)를 이동시키는 상기에서 설명한 단계와 반대의 작동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 다음 굴곡 모울드(76)는 제9도의 도시한 바와 같이, 호울더(26) 아래로 이동하고, 호울더(26)는 모울드(76)쪽으로 하향이동하여 호울더(26)의 하부면(28)과 모울드(76)간의 거리를 줄인다. 그후에 일부분이 굴곡된 유리판(G)은 호울더의 하부면(28)의 진공상태가 종료됨으로 인하여 하향으로 떨어져 자체무게(중력)로 인하여 모울드링(76)의 형태대로 휘어진다. 그러므로 유리판(G)의 단부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G)의 중앙부분이 하향으로 휘어진 상태가 되므로 상향으로 효과적으로 휘어진다. 굴곡부재(50)는 유리판이 호울더(26)에 의하여 하향굴곡면에서 지지되도록하여, 굴곡부재(50)가 유리판에 큰 굴곡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유리판을 심하게 굴곡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비교적 큰 굴곡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유리판을 굴곡시키는 온도를 낮출 수 있게되어 유리판을 굴곡시키는 공정중에 발생하는 비틀림을 줄일 수 있다. 굴곡부재(50)를 상대적으로 정밀하게 위치시키지 않고, 보수할 목적으로, 용광로외부 주위에 호울더 조립체(24)에 대하여 일렬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굴곡부재(50)를 사용하므로 굴곡 스테이션(10)에서 공기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굴곡 스테이션(10)으로 유입되는 비교적 차가운 냉각공기의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굴곡부재(50)가 유리의 위쪽에서 지지되므로, 굴곡부재(50)를 수용하도록 컨베이어(20) 또는 로울러(22)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설계를 변경한 다양한 실시예를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유리판을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있는 유리판굴곡스테이션, 가열된 유리판을 컨베이어로부터 받아들이는 굴곡면을 가지고 있는 호울더를 포함하고 있는 호울더조립체 및 굴곡부재로 이루어져있고, 굴곡부재가 컨베이어로부터 호울더에 의해 받아들인 가열된 유리판을 컨베이어 위에 위치한 수용위치로부터 곡면 아래위치로 그리고 그후 위쪽으로 이동하여 그것을 호울더면의 굽은 형상으로 굴곡되게 하도록, 호울더 조립체 상에 장착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굴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굴곡부재는 중력에 의하여 호울더 표면을 향하여 위쪽으로 추축을 중심으로 이동하게 장착되어 있는 유리판 굴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굴곡부재는 프레임조립체에 부착되어 있고 프레임조립체는 호울더 조립체와 무관하게 그리고 호울더조립체에 대하여 이동하게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굴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조립체에는 제1축둘레로 이동하도록 호울더 조립체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평형추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굴곡부재가 평형추부재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평형추부재상에 장치되어 있고, 상기 평형추부재는 추축을 중심으로 제1축둘레로 회전하여 프레임조립체와 호울더조립체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상기 굴곡부재가 컨베이어 위의 위치로부터 굴곡면 아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유리판 굴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부재에는, 프레임조립체에 부착되어 있고 추축을 중심으로 제2축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연결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굴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조립체의 세로의 길이는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굴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부재에는,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호울더조립체에 연결되어 있고 제1축에 평행한 제3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2연결조립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굴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부재는, 제1축둘레의 상기 제2연결 조립체의 추축회전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호울더조립체상에 장치된 정지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굴곡면 아래의 위치에서 굴곡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된 유리판 굴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부재는, 제3축이 제2축과 굴곡부재 사이에 배열되게 하여 상기 정지수단이 프레임조립체와 호울더 조립체 사이에서 상대적인 이동을 하는동안 제2연결조립체의 추축회전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므로서, 가열된 유리판에 대향하여 제3축을 중심으로 굴곡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굴곡장치.
KR1019840006493A 1983-10-20 1984-10-18 유리판 굴곡장치(Tem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KR910003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3916 1983-10-20
US06/543,916 US4514208A (en) 1983-10-20 1983-10-20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361A KR850003361A (ko) 1985-06-17
KR910003090B1 true KR910003090B1 (ko) 1991-05-18

Family

ID=2417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493A KR910003090B1 (ko) 1983-10-20 1984-10-18 유리판 굴곡장치(Tem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514208A (ko)
EP (1) EP0139524B1 (ko)
JP (1) JPS60108329A (ko)
KR (1) KR910003090B1 (ko)
AT (1) ATE41407T1 (ko)
AU (1) AU567370B2 (ko)
BR (1) BR8405196A (ko)
CA (1) CA1207533A (ko)
DE (1) DE3477186D1 (ko)
ES (1) ES536897A0 (ko)
FI (1) FI77009C (ko)
IE (1) IE56187B1 (ko)
NZ (1) NZ209607A (ko)
ZA (1) ZA8473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7558A1 (de) * 1985-08-01 1987-02-05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biegen einer glasscheibe
FR2599357B1 (fr) * 1986-06-02 1988-07-29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pour bomber des feuilles de verre avec un faible rayon de courbure
FR2601667B1 (fr) * 1986-07-16 1988-09-16 Saint Gobain Vitrage Positionnement des plaques de verre en vue de leur bombage
FR2601668A1 (fr) * 1986-07-16 1988-01-22 Saint Gobain Vitrage Perfectionnement au bombage de plaques de verre
JPS6345138A (ja) * 1986-08-08 1988-02-26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曲げ加工方法
JPS6414121A (en) * 1987-07-07 1989-01-18 Asahi Glass Co Ltd Bend forming device for plate glass
FR2618138B1 (fr) * 1987-07-15 1989-12-01 Saint Gobain Vitrage Bombage de plaques de verre
US4892574A (en) * 1988-07-11 1990-01-09 Vitro Flex, S.A. Apparatus for the horizontal bending and tempering of glass sheets
FR2644775B1 (fr) * 1989-03-22 1993-08-13 Selas Sa Installation pour incurver et tremper une feuille de verre
JP3139788B2 (ja) * 1991-09-04 2001-03-0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曲げ成形装置及び曲げ成形方法
GB9304286D0 (en) * 1993-03-03 1993-04-21 Pilkington Glass Ltd Bending apparatus
US7216511B2 (en) * 2002-11-12 2007-05-15 Hhh Tempering Systems, Inc. Furnace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ering low emissivity glass
US9452948B2 (en) 2014-02-06 2016-09-27 Glasstech, Inc. Three stage forming station and method for forming a hot glass sheet with transverse curvature
US9809485B2 (en) 2015-11-02 2017-11-07 Glasstech, Inc. Lift device for a glass processing system
KR102248354B1 (ko) 2017-01-30 2021-05-06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유리판을 구부리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6993A (en) * 1959-02-04 1964-01-07 Pittsburgh Plate Glass Co Glass bending
US4229200A (en) * 1979-06-01 1980-10-21 Ppg Industries, Inc. Drop forming glass sheets with auxiliary shaping means
US4277276A (en) * 1980-03-17 1981-07-07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using deformable vacuum mold
US4305746A (en) * 1980-05-01 1981-12-15 Libbey-Owens-Ford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US4501603A (en) * 1983-03-30 1985-02-26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to complicated sha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1407T1 (de) 1989-04-15
AU3360984A (en) 1985-04-26
KR850003361A (ko) 1985-06-17
CA1207533A (en) 1986-07-15
ES8600173A1 (es) 1985-09-16
EP0139524A3 (en) 1986-03-19
JPS6319449B2 (ko) 1988-04-22
US4514208A (en) 1985-04-30
ES536897A0 (es) 1985-09-16
AU567370B2 (en) 1987-11-19
FI844134L (fi) 1985-04-21
FI844134A0 (fi) 1984-10-19
FI77009C (fi) 1989-01-10
FI77009B (fi) 1988-09-30
DE3477186D1 (en) 1989-04-20
BR8405196A (pt) 1985-08-27
IE56187B1 (en) 1991-05-08
IE842384L (en) 1985-04-20
EP0139524B1 (en) 1989-03-15
JPS60108329A (ja) 1985-06-13
ZA847383B (en) 1985-04-24
NZ209607A (en) 1986-06-11
EP0139524A2 (en) 1985-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4936A (en) Controlling overheating of vacuum mold used to shape glass sheets
KR910003090B1 (ko) 유리판 굴곡장치(Temparatus for Bending Glass Sheets)
CA1287980C (en) Innovative press bending
EP01834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lass sheets
US4197108A (en) Slotted glass sheet shaping mold
CA11207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glass
US42772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using deformable vacuum mold
US45016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to complicated shapes
CA1282596C (en) Horizontal press bending of glass sheets
US4272274A (en) Slotted glass sheet shaping mold
EP088585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glass sheets
US4349375A (en) Deformable vacuum mold for shaping glass sheets
EP0228597B1 (en) Shuttling support frame for vacuum pickup
US4609391A (en) Method for forming glass sheets
US4252552A (en) Shaping glass sheets using molds of different shapes
US4670036A (en) Conveying, supporting and shaping glass sheets
WO1993006052A1 (en) Method for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US35102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nd tempering glass sheets
US4225333A (en) Glass sheet tempering apparatus
US4199341A (en) Glass lift mechanism for and method of press bending glass sheets
CA1150053A (en) Shaping glass sheets using molds of different shapes
CA112027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heat treating glass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