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749Y1 - 퓨우주 내장플럭 - Google Patents

퓨우주 내장플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749Y1
KR910002749Y1 KR2019880016472U KR880016472U KR910002749Y1 KR 910002749 Y1 KR910002749 Y1 KR 910002749Y1 KR 2019880016472 U KR2019880016472 U KR 2019880016472U KR 880016472 U KR880016472 U KR 880016472U KR 910002749 Y1 KR910002749 Y1 KR 910002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ase
cover plate
flo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145U (ko
Inventor
김형권
Original Assignee
김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권 filed Critical 김형권
Priority to KR2019880016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749Y1/ko
Publication of KR900009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1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84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 H01R13/68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with housing part adapted for access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퓨우주 내장플럭
제1도는 본 고안의 의한 플럭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럭 200 : 플럭베이스
300 : 덮개 플레이트 400 : 힌지연결부
본 고안은 코오드 끝에 붙어 콘센트 또는 소켓에 꽂는 개량된 플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럭베이스와 뚜껑플레이트를 힌지결합부에 의해 일체화한 소형 플럭내에 통형(筒形) 퓨우즈를 내장하여 기기에 규정이상의 전류가 흐를때 퓨우즈 용단(溶斷)되도록 함과 동시에 퓨우즈의 용단여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플럭은 용도에 따라서 여러종류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꽂는 플럭(plug)는 합성수지재 몰드물에 나이프 단자를 매설하고 코오드와 플럭사이의 연결부위에 단선을 방지하도록 고무부싱을 채용하였으나 제작시 상기 고무부싱을 코오드에 끼운다음 플럭 몸체를 성형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하 케이스로 분할된 플럭은 플럭 상하 케이스의 체결을 나사를 사용해야 하고 전선연결시에는 나이프단자의 나사에 코오드를 연결하고 케이스홈에 나이프단자를 꽂아 결합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조립시 상호결합이 비틀어지는 품질관리에 결함이 있고 플럭케이스가 잘 파손되거나 규정이상의 강도의 전류가 흐르면 플럭 일부가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전자기구의 안전을 위하여 플럭내에 통형 퓨우즈를 내장하되 나이프 단자가 매실된 플럭베이스와 덮개 플레이트를 절첩식으로 힌지연결부에 의해 일체화하고 플럭 베이스에 형성된 단자고정홈에 휴즈 홀더를 설치하여 휴즈를 끼울수 있도록 하며 플럭 베이스와 덮개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 덮개플레이트의 나이프 단자가 베이스의 휴즈 홀더의 탄성 접점편에 접속되도록 하고 플럭에 내장된 통형 퓨우즈의용단(辯斷)을 확인할수 있는 투시구를 플럭 양측에 형성한 퓨우즈 내장 플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하 청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플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코오드 끝에 붙어 콘센트 또는 소켓에 삽입하는 플럭(100)은 몸체가 두꺼운 플러그 베이스(200)와 ㄱ자형 덮개 플레이트(300)간에 힌지연결부(400)에 의해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럭 베이스(200)와 덮개 플레이트(300)에는 각각 통상의 나이프 단자(201)(301)가 각기 매설되어 있어 플럭베이스(200)에 덮개 플레이트(300)를 결합했을때 상기 나이프 단자는 콘센트의 삽입홈 규격과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플럭베이스(200)의 일측면에 직립된 한쌍의 결합후크편(202)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그 사이에 벽면상단을 요철면으로 구성한 코오드 인출홈(20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후크편(202)은 덮개 플레이트(300)의 결합구멍(302)과 조립되며 결합구멍 내의 일측은 경사면(303)을 두어 후크편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플럭베이스(200)의 길이 방향으로 장설된 격막(204)과 인접된 단자 삽입홈(205)에는 통형 퓨우즈(A)를 꽃는 퓨우즈홀더(206) 측면의 고정부(207)를 삽입하고 일측 퓨우즈흘더(206)에서 굴절 시킨 리드편(208)은 블럭베이스의 격막을 넘어서 코오드 인입홈(203)으로 들어온 코오드의 동선을 납땜하거나 상기 리드편(208)에 단자 나사를 채용하여 코오드를 연결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일측 퓨우즈 홀더와 대향적으로 설치된 타측 퓨우즈흘더(206a)에서 굴절된 탄성접점편(209)은 플럭베이스(200)의 격막과 반대측으로 돌출되며 이것은 덮개 플레이트(300)에 매설된 나이프단자(301) 후단과 접속되며 상기 플럭베이스의 나이프단자(201)는 타측 퓨우즈흘더(206a)와 격막(204)을 이용해 격리된 상태에서 코오드의 +또는 -측 동선과 납땜 또는 단자나사로서 연결된다.
아울러 플럭베이스(200)의 퓨우즈흘더(206)(206a)의 정위치 중간에 장방향의 투시구(210)가 설치되며 이와 대응하게 덮개 플레이트에도 투시구(304)가 마련되어 있어 퓨우즈홀더에 삽입된 통형퓨우즈의 용단상태를 플럭을 분해하지 않고도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퓨우즈 내장플럭의 일부를 절개한 내부구조도이다.
플럭베이스(200)에 덮개 플레이트(300)를 힌지연결부(400)에 의해 결합후크편(202)과 결합구멍(302)을 이용하여 조립한 상태로 덮개 플레이트(300)의 나이프단자(301) 후단이 타측 퓨우즈홀더(206a)의 탄성접점편(209)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퓨우즈흘더(206a)는 통형퓨우즈(A)를 통해 안쪽에 있는 일측 퓨우즈흘더(206)를 통해 코오드에 연결되고 코오드의 한가닥은 플럭베이스(200)의 격막(204)으로 격리된 채 플럭베이스(200)의 나이프단자(201)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콘센트에 플럭을 접속한 상태에서 규정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통형 퓨우즈가 용단되어 기기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전자 전기기구의 작동이 안될 경우에는 플럭베이스와 덮개프레이트에 형성된 투시구(210)(304)를 통해 퓨우즈의 용단 여부를 식별하여 곧바로 퓨우즈를 교환할수있게 되어 있다.
즉 덮개플레이트(300)의 결합구멍 (302)으로 노출된 결합후크편(202)을 뾰쪽한 도구를 이용하여 해체하면 덮개플레이트(300)와 플럭베이스(200)를 제1도와 같이 전개하여 퓨우즈를 쉽게 교환할수 있고 다시 덮개플레이트를 닫으면 된다.
이때 덮개플레이트(300) 저면의 유동방지돌기(305)가 퓨우즈를 눌러주어 플럭의 충격으로 인한 퓨우즈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플럭을 절첩식으로 형성하여 부품점수를 줄여 조립이 용이하고 또 플럭 내에 전기전자기구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퓨우즈를 내장하여 규정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1차적으로 차단하여 줄수 있고 퓨우즈 용단 여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플럭을 몰드물로 성형하여 휴즈홀더에 조립이 간단하여 생상 수율을 향상시켜 저가의 플럭을 제공할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각각의 나이프 단자가 매설된 플럭베이스와 덮개플레이트를 절첩식으로 일체화한 힌지연결부(400)와, 상기플럭베이스와 덮개플레이트의 상호 대응위치에 형성된 결합후크편(202) 및 결합구명(302)과, 상기한 후크편 사이로 플럭베이스의 측면상단에 요철면으로 된 코오드 인입홈(203)과, 플럭베이스의 격막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단자고정홈(205)과, 상기 단자 고정홈에 대향지게 일측의 고정부를 삽입한 퓨우즈홀더(206)(206a)와, 상기일측 퓨우즈흘더의 어느 하나에서 굴절되어 격막을 넘어 코오드 인입홈으로 들어온 코오드와 연결되어 리드편(208)과, 상기한 타측 퓨우즈흘더에서 굴절되어 덮개 플레이트의 조립시 덮개플레이트의 나이프단자 후단에 접속되는 탄성 접점편(209)과, 상기 한쌍의 퓨우즈홀더에 고정된 통형 퓨우즈의 용단여부를 외부식별 할 수 있도록 플럭베이스와 덮개플레이트에 형성된 투시구(210)(304)를 포함하는 퓨우즈 내장 플럭.
KR2019880016472U 1988-10-05 1988-10-05 퓨우주 내장플럭 KR910002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472U KR910002749Y1 (ko) 1988-10-05 1988-10-05 퓨우주 내장플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472U KR910002749Y1 (ko) 1988-10-05 1988-10-05 퓨우주 내장플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145U KR900009145U (ko) 1990-05-04
KR910002749Y1 true KR910002749Y1 (ko) 1991-04-27

Family

ID=1928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472U KR910002749Y1 (ko) 1988-10-05 1988-10-05 퓨우주 내장플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74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260B1 (ko) * 2002-01-14 2004-11-06 곽호철 장식용 판재 및 그 판재의 표면 무늬의 제조방법
KR100473200B1 (ko) * 2002-09-27 2005-03-10 안치용 물방울 문양의 한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145U (ko) 199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4641A (en) Illuminated electric outlet cover plate
KR900009422Y1 (ko) 광소자 부착 핀재크
ATE379846T1 (de) Halter für einen sicherungseinsatz
DE59405331D1 (de) Fassung für elektrische Betriebsmittel
KR910002749Y1 (ko) 퓨우주 내장플럭
KR200141350Y1 (ko) 신호전달용 콘넥터 하우징
ATE228273T1 (de) Steckverbindung für eine unterhalb einer abdeckung befindliche baugruppe
KR200248044Y1 (ko) 어댑터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어댑터
KR930017241A (ko) 전기장치 플러그
JP3950583B2 (ja) 光伝送モジュール
KR920004508Y1 (ko) 전기 접속구
KR19980064540U (ko) 안전 플러그 소켓
CN211508015U (zh) 一种带接线端子的开关插座底盒
KR200198567Y1 (ko)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KR200144480Y1 (ko) 와이어 콘넥터의 단자 유동 방지구조
KR200166207Y1 (ko) 마이크로 스위치의 구조
KR200169769Y1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KR900003088Y1 (ko) 퓨우즈 호울더
US4300113A (en) Fused electric plug
KR880002246Y1 (ko) 전자기기의 복합연결 소켓
KR940004435Y1 (ko) 전압전환 커넥터
KR920005454B1 (ko) 전기콘센트
KR890007932Y1 (ko) 110v/220v 겸용 전원플러그
KR930000501Y1 (ko) 전화기용 커넥터
KR860000664Y1 (ko) 개량 플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