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67Y1 -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67Y1
KR200198567Y1 KR2020000011521U KR20000011521U KR200198567Y1 KR 200198567 Y1 KR200198567 Y1 KR 200198567Y1 KR 2020000011521 U KR2020000011521 U KR 2020000011521U KR 20000011521 U KR20000011521 U KR 20000011521U KR 200198567 Y1 KR200198567 Y1 KR 200198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plug
circular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
오영진
신재흥
주창희
유광석
Original Assignee
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철 filed Critical 안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가전기기의 플러그에 연결되어서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일자형 접속단자 및 원형 접속단자에 대응하는 일자형 단자공(52)과 원형 단자공(54)이 전,후 양단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구(50)와; 상기 제1 연결구(50)의 일자형 단자공(52) 및 원형 단자공(54)에 대응하여 그 전,후 양단에 각각 일자형 접속단자(102)와 원형 접속단자(104)가 돌설되어 있는 제2 연결구(1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는, 일자형 및 원형 단자공을 갖는 제1 연결구와, 일자형 및 원형 접속단자를 갖는 제2 연결구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연결구를 제1 연결구에 돌려 끼울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플러그 및 콘센트의 형태에 따라 별도의 어댑터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연결장치로써 일자형 플러그 또는 원형 플러그에 관계 없이, 그리고 일자형 콘센트 또는 원형 콘센트에 관계 없이 이들을 모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전기기에 딸린 플러그나 전원 콘센트의 변경을 요하지 않으면서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Apparatus Of Connecting A Plug Of Electric Appliances With Wall Outlet}
본 고안은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전기기에 딸린 플러그나 전원 콘센트의 변경은 요하지 않으면서 특히 하나의 연결장치로써 일자형 플러그 또는 원형 플러그에 관계 없이, 그리고 일자형 콘센트 또는 원형 콘센트에 관계 없이 이들을 모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110볼트와 220볼트로 공급되고 있는 바, 가전기기는 통상 110볼트 및 220볼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110/220볼트에 맞는 플러그 및 콘센트는 그 형상을 달리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110볼트용은 접속단자의 단면이 일자형으로 된 플러그 및 콘센트를 사용하고, 220볼트용은 접속단자의 단면이 원형으로된 플러그 및 콘센트를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110/220볼트 겸용 가전기기에는 일자형 플러그나 원형 플러그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마련되면서, 가전기기의 설정모드를 110볼트 또는 220볼트로 변경해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중 일자형 플러그가 마련된 경우, 이 플러그는 원형 콘센트에 접속할 수 없고, 반대로 원형 플러그가 마련된 경우에는 일자형 플러그에 접속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전기기에 일자형 플러그(2)가 마련된 경우, 이를 원형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하여는 일자형 플러그(2)의 접속단자(4)에 대응하는 일자형 단자공(12)과, 원형 콘센트에 대응하는 원형 접속단자(14)를 갖는 별도의 어댑터(10)를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으므로, 가정에서는 항상 각 플러그의 형태에 따라 두 종류의 어댑터를 각각 구입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고, 이중 하나를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다른 하나가 이를 대체하지도 못하였으므로 분실한 것과 동일한 종류의 것을 또 다시 구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가전기기의 플러그 자체에 별도의 110볼트용 접속단자와 220볼트용 접속단자를 설치하면서 이들을 조작노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대한민국 특허 제198820호)나, 플러그 자체에 100볼트용 접속단자와 220볼트용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가(대한민국 특허 제225538호)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전자는 장치가 복잡하여 실용성이 떨어지고, 후자는 장치가 복잡하고 선택 회동식 이기 때문에 접속단자의 최소한의 회동반경을 필요로 하여 예컨대, 접속단자를 덮을 수 있는 커버 등을 갖추기 어려워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감전의 위험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플러그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산되는 가전기기마다 복잡한 구조의 플러그를 갖추어야 하는 폐단이 있음과 아울러, 가전기기 등의 전기.전자제품이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전세계적으로 유통되는 가전기기의 플러그를 위의 방법으로 통일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미래에 통일 된다고 하더라도 기존의 방법으로 이미 출고된 제품에는 다시 전술한 어댑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종래 어댑터의 문제가 그대로 남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가전기기에 딸린 플러그 및 전원 콘센트의 변경은 요하지 않으면서, 특히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한 종류의 연결장치로써 일자형 플러그 또는 원형 플러그에 관계 없이, 그리고 일자형 콘센트 또는 원형 콘센트에 관계 없이 이들을 모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플러그 어댑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의 제2 연결구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일자형 플러그를 원형 콘센트에 접속할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원형 플러그를 일자형 콘센트에 접속할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제1 연결구 52 : 일자형 단자공
54 : 원형 단자공 56,58 : 단자판
60 : 연통공 70 : 스크류
100 : 제2 연결구 102 : 일자형 접속단자
104 : 원형 접속단자 120 : 케이싱
122 : 개방부 124 : 삽입공
140 : 덮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전기기 플러그의 일자형 접속단자 및 원형 접속단자에 대응하는 일자형 단자공과 원형 단자공이 전,후 양단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연결구의 일자형 단자공 및 원형 단자공에 대응하여 그 전,후 양단에 각각 일자형 접속단자와 원형 접속단자가 돌설되어 있는 제2 연결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구는 일측이 개방부로 형성되고, 이의 개방부 반대측에는 상기 원형 접속단자가 개방부측으로부터 진입하여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원형 접속단자의 단부에 접촉가능한 상태로 상기 일자형 접속단자가 연장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면서, 상기 케이싱의 개방부에 끼워맞춤되어 스크류 결합되는 덮개; 로 구성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연결구의 일자형 단자공과 원형 단자공은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위치설정되고, 일렬로 정렬된 단자공에 각각 단자판을 갖추되, 각각 인접한 일자형 단자공과 원형 단자공은 서로 연통되면서, 이의 연통공내에서 두 인접한 단자판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6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도 3은 제2 연결구(100)의 가장 바람직한 구조를 나타내며, 도 4는 제1 연결구(50)와 제2 연결구(100)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는 대분하여 제1 연결구(50)와 제2 연결구(100)를 갖추고 있는데, 이들중 상기 제1 연결구(50)는 가전기기 플러그의 일자형 접속단자 및 원형 접속단자에 대응하는 일자형 단자공(52)과 원형 단자공(54)이 전,후 양단으로 관통형성된 구조를 갖추고 있고, 상기 제2 연결구(100)는 상기 제1 연결구(50)의 일자형 단자공(52) 및 원형 단자공(54)에 접속되는 일자형 접속단자(102)와 원형 접속단자(104)가 그 전,후 양단으로 돌설되어진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도 3, 그리고 도 4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결구(100)는 케이싱(120)과 덮개(140)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케이싱(120)은 일측이 개방부(122)로 형성되고, 이의 개방부(122) 반대측에 상기 원형 접속단자(104)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24)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원형 접속단자(104)가 개방부(122)로부터 진입하여 상기 삽입공(124)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덮개(140)는 상기 케이싱(120)의 개방부(122)에 끼워맞춤되어 스크류(70) 결합도록 한 구조로서, 이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일자형 접속단자(10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의 일자형 접속단자(102)는 덮개(140)의 사출성형과정에서 동시에 성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상기 제2 연결구(100)를 케이싱(120)과 덮개(140)로 나누지 않고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일자형 접속단자(102) 및 원형 접속단자(104)도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하여 제2 연결구(100) 성형시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구(100)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싱(120)과 덮개(102)로 나뉘어진 구조를 취한 조립식의 경우에는, 상기 원형 접속단자(104)는 머리부(104a)를 갖출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머리부(104a)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디스턴스 링(106)을 개재하는 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
상기 제1 연결구(50)에서, 첨부도면 도 2, 특히 도 4의 아래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일자형 단자공(52)과 원형 단자공(54)은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위치설정되고, 일렬로 정렬된 단자공(52)(54)에 각각의 접속단자(102)(104)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판(56)(58)을 갖추며, 특히 각각 인접한 일자형 단자공(52)과 원형 단자공(54)은 연통공(54)으로 연통되어서, 이의 연통공(54)에서 상기 일자형 및 원형 단자공(52)(54)에 해당되는 단자판(56)(58)이 용접 또는 순수 접촉하는 방법으로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컨대, 각 단자공(52)(54)을 어긋나게 형성하면서, 각 단자공(52)(54)마다 별도의 단자판을 갖추는 구조에 비하여 매우 단순한 형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는 상기 제1 연결구(50)에 제2 연결구(100)가 연결된 상태로 즉, 제1 연결구(50)의 일자형 단자공(52) 또는 원형 단자공(54) 중 하나에 상기 제2 연결구(100)의 일자형 접속단자(102) 또는 원형 접속단자(104)를 삽입시킨 상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연결장치로써 일자형 플러그 또는 원형 플러그에 관계 없이, 그리고 일자형 콘센트 또는 원형 콘센트에 관계 없이 이들을 모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기기에 딸린 일자형 플러그(20)를 원형 콘센트(40)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연결구(50)의 일측 일자형 단자공(52)에 제2 연결구(100)의 일자형 접속단자(102)를 결합시키면, 제2 연결구(100) 외측으로 원형 접속단자(104)가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전기기의 플러그(20)에 마련된 일자형 접속단자(22)를 상기 제1 연결구(50)의 원형 접속단자(104) 반대측으로 노출된 단자공(52)(54)중 일자형 단자공(52)에 삽입시킨 다음, 콘센트(40)의 원형단자공(42)에 제2 연결구(100)의 원형 접속단자(104)를 삽입시킴으로써 접속이 완료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기기에 원형 플러그(20a)가 갖추어져 있고, 이를 일자형 콘센트(40a)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와는 반대로, 먼저 제1 연결구(50)의 일측 원형 단자공(54)에 제2 연결구(100)의 원형 접속단자(104)를 결합시키고, 제1 연결구(50)의 반대측에 노출된 단자공(52)(54)중 원형 단자공(54)에 가전기기 플러그(20a)의 원형 접속단자(22a)를 삽입시킨 다음, 제2 연결구(100)의 일자형 접속단자(102)를 콘센트(40a)의 일자형 단자공(42a)에 삽입시킴으로써 접속이 완료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전기기의 플러그 및 콘센트의 단자공 형태에 따라 상기 제2 연결구(100)의 방향만 바꿔끼우는 방법으로 플러그 및 콘센트의 종류에 관계 없이 어느 경우나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는, 연결장치를 일자형 단자공 및 원형 단자공을 갖는 제1 연결구와, 일자형 접속단자 및 원형 접속단자를 갖는 제2 연결구로 구성하면서, 제2 연결구를 제1 연결구에 돌려 끼울수 있도록 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플러그 및 콘센트의 형태에 따라 별도의 어댑터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연결장치로써 모두 연결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가전기기에 딸린 플러그나 전원 콘센트의 변경을 요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가전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그 적용의 폭이 넓으며, 그 세부적구조도 제시한 바와 같이 매우 단순하게 할 수 있어 제조적 측면이나 가격적 측면에서 유리한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가전기기의 플러그에 연결되어서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일자형 접속단자 및 원형 접속단자에 대응하는 일자형 단자공(52)과 원형 단자공(54)이 전,후 양단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구(50)와;
    상기 제1 연결구(50)의 일자형 단자공(52) 및 원형 단자공(54)에 대응하여 그 전,후 양단에 각각 일자형 접속단자(102)와 원형 접속단자(104)가 돌설되어 있는 제2 연결구(1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구(100)는,
    일측이 개방부(122)로 형성되고, 이의 개방부(122) 반대측에는 상기 원형 접속단자(104)가 개방부(122)측으로부터 진입하여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24)을 갖는 케이싱(120)과;
    상기 원형 접속단자(104)의 단부에 접촉가능한 상태로 상기 일자형 접속단자(102)가 연장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면서, 상기 케이싱(120)의 개방부(122)에 끼워맞춤되어 스크류(70) 결합되는 덮개(1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50)의 일자형 단자공(52)과 원형 단자공(54)은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위치설정되고, 일렬로 정렬된 단자공(52)(54)에 각각 단자판(56)(58)을 갖추되, 각각 인접한 일자형 단자공(52)과 원형 단자공(54)은 서로 연통되면서, 이의 연통공(54)내에서 두 인접한 단자판(56)(58)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 접속단자(102) 및 원형 접속단자(104)는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되어서 연결구(100) 몸체부분과 일체로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KR2020000011521U 2000-04-22 2000-04-22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KR2001985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446A KR20010097403A (ko) 2000-04-22 2000-04-22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446A Division KR20010097403A (ko) 2000-04-22 2000-04-22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67Y1 true KR200198567Y1 (ko) 2000-10-02

Family

ID=196663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446A KR20010097403A (ko) 2000-04-22 2000-04-22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KR2020000011521U KR200198567Y1 (ko) 2000-04-22 2000-04-22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446A KR20010097403A (ko) 2000-04-22 2000-04-22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974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37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테리텍 전원 연결용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784B1 (ko) * 2006-02-21 2008-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자가 일체로 형성된 어댑터용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37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테리텍 전원 연결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403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4977A1 (en) Plug adaptor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n electronic instrument to a power source
CA2051306A1 (en) Insulating plug for use in electric connectors
US5653638A (en) Cartridge for game machine
US6991482B1 (en) Power plug
KR200198567Y1 (ko) 전원 플러그 연결장치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US5513998A (en) Electrical plug assembly which accommodates multiple voltage
JPH0878107A (ja) 兼用取付形の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3331072B2 (ja) ベース組込型アドレスユニットのピン嵌合構造
KR960002962A (ko) 전기 커넥터 및 그 하우징
US5588876A (en) Fused electrical connectors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US5201668A (en) Electrical connector
KR910002749Y1 (ko) 퓨우주 내장플럭
KR200299285Y1 (ko) 콘센트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KR200286366Y1 (ko) 조립식 연결구조의 전기콘센트
KR102213874B1 (ko) 멀티콘센트 스위치용 터미널단자
GB2331636A (en) Electrical plug
KR200387857Y1 (ko) 콘센트 안전 커버 조립체
JP2921438B2 (ja) ヒューズホルダ
KR200166561Y1 (ko) 전선커넥터
KR200168702Y1 (ko) 콘센트
KR890001079Y1 (ko) 110v, 220v 겸용 플러그
KR100791499B1 (ko) 커넥터의 단자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