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714B1 -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 - Google Patents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714B1
KR910002714B1 KR1019880007710A KR880007710A KR910002714B1 KR 910002714 B1 KR910002714 B1 KR 910002714B1 KR 1019880007710 A KR1019880007710 A KR 1019880007710A KR 880007710 A KR880007710 A KR 880007710A KR 910002714 B1 KR910002714 B1 KR 91000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efrost
circuit
switching circui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670A (ko
Inventor
방종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714B1/ko
Publication of KR90000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10Removing frost by spraying with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상회로가 적용되는 냉장고를 보인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상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상회로에 사용되는 감습소자의 상대습도-전기저항 특성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동실 2 : 냉장실
3,4,7 : 온도감지센서 5 : 냉각기
6 : 팬 8 : 압축기
9 : 감습소자 10 : 압축기 구동회로
11 : 압축기 구동 검출용 릴레이 12 : 시간적 소자
13 : 증폭기 14 : 출력제어회로
15,17,19 : 제1-제3스위칭회로 16 : 히터
18 : 제상종료신호증폭기
본 발명은 냉장고, 냉동고 및 쇼 케이스(Show Case)등의 냉동기기에 있어서, 외부습도를 감지하는 감습소자를 이용하여 냉각기에 발생된 성에를 제거하는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기기의 냉각기에 발생되는 성에는 외부습도 의양에 좌우되는 것으로, 외부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냉각기에 발생되는 성에의 양이 많아지고, 외부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성에의 양이 적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냉동기기들은 상기와 같이 외부습도에 따른 성에의 발생량에 관계없이 제상히터를 발열시켜 성에를 제거 즉, 냉동기기의 문의 개폐회수를 적산하고, 그 적산한 문의 개폐회수가 미리 설정한 개폐회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성에를 제거하거나 또는 기계식 및 전자식 타이머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구동시간을 적산하고, 그 적산한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성에를 제거하게 하였으므로 건조하여 외부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냉각기에 성에가 정격치보다 적게 발생된 상태에서 성에를 제거하여 많은 전력이 소모되었고, 장마철과 같이 외부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냉각기에 성에가 정격치보다 많이 발생하여도 성에를 제거하지 않아 냉동기기의 냉동효율이 낮아지고, 제상을 수행하는 시간이 길어 냉동기기의 내부온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보관중인 식품이 손상되었으며, 또한 전자식 타이머를 이용할 경우에는 정전이 되면, 압축기의 구동시간을 처음부터 다시 적산하여 제상을 하는등의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반 결함을 갖지않는 제상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구동에 따라 전류적산소자에 전류를 적산하되, 외부습도에 따라 적산되는 전류량을 가감함으로써 외부의 습도에 따라 냉각기에 발생되는 성에의 양을 보다 정확히 판별하여 제상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전이 되어도 전류적산소자에 적산한 전류가 방전되지 않게 하여 제상동작을 정확히 수행하는 제상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기가 구동됨에 따라 시간적산소자에 전류를 적산함과 아울러 외부습도를 감지하는 감습소자로 적산되는 전류량을 가감하고, 시간적산소자에 적산된 전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제상히터를 발열시켜 성에를 제거함과 아울러 시간적산소자 적산한 전류를 방전시키며,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하는 냉각기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제상히터의 발열을 정지시키게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상회로를 냉장고에 적용하여 제상하는 것을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동고 및 쇼 케이스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냉동기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상회로에 의한 냉장고를 보인 개략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1)과 냉장실(2)내에 냉동실(1)의 온도 및 냉장실(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3)(4)를 설치하고, 냉동실(1)과 냉장실(2)의 사이에는 냉각기(5) 및 팬(6)을 설치함과 아울러 냉각기(5)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7)를 설치하며, 냉장고의 후면 하부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8)를 설치하고, 후면 상부에는 외부 습도를 감지하게 감습소자(9)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상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1)에 설치한 온도감지센서(3)가 감지하는 냉동실(1)의 온도에 따라 교류전원(Ac)을 압축기(8)에 인가하여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회로(10)와, 상기 압축기(8)의 구동을 검출하는 압축기 구동 검출용 릴레이(11)와, 상기 감습소자(9) 및 압축기 구동 검출용 릴레이(11)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적산하는 전류적산소자(12)와, 상기 전류적산소자(12)에 적산된 전류를 증폭하는 연산증폭기(OP) 및 저항(R2,R3)으로 된 증폭기(13)와 상기 증폭기(14)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상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제어회로(14)와, 상기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제상히터(16)를 발열시켜 제상하는 제1스위칭회로(15)와, 상기 제1스위칭회로(15)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류적산소자(12)에 적산된 전류를 방전시키는 제2스위칭회로(17)와, 냉각기(5)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7)의 저항값에 따라 제상종료신호를 출력하는 제상종료신호증폭기(18)와, 상기 제상종료신호증폭기(18)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상히터(16)의 발열을 정지시키는 제3스위칭회로(19)로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감습소자(9)는 제3도에 도시한 그래프와 같이 감지하는 외부습도가 증가할수록 저항이 감소하는 반비례 특성을 가지고 있고,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부호 R1은 저항이며, Vcc는 전원단자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교류전원(Ac)이 인가되고, 전원단자(Vcc)에 동작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온도감지센서(3,4,7)는 냉동실(1), 냉장실(2) 및 냉각기(5)의 온도를 각기 감지하고, 팬(6)은 냉각기(5)에서 발생한 냉기를 냉동실(1) 및 냉장실(2)로 순환시키게 되며, 감습소자(9)는 외부습도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온도감지센서(3)가 감지하는 냉동실(1)의 온도가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으로 되면 압축기 구동회로(10)가 구동하여 압축기(8)에 교류전원(Ac)을 인가하게 되므로 압축기(8)가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한 냉매는 냉각기(5)로 보내져 냉각기(5)가 발생하는 냉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압축기(8)가 구동함에 따라 압축기 구동 검출용 릴레이(11)가 구동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 감습소자(9) 및 압축기 구동 검출용 릴레이(11)를 통해 전류적산소자(12)가 적산되고, 이때, 외부습도에 따라 감습소자(9)의 저항값이 가변되어 시간적산소자(12)에 적산되는 전류량을 조절한다.
즉, 외부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제3도의 특성 그래프와 같이 감습소자(9)의 저항값이 낮아지므로 전원단자(Vcc)에서 저항(R1), 감습소자(9) 및 압축기 구동 검출용 릴레이(11)로 많은 전류가 흘러 전류적산소자(12)에 많은 전류가 충전되고, 외부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감습소자(9) 의 저항값이 높아지므로 시간적산소자(12)에 충전되는 전류량이 적어지며, 이와 같이 시간적산소자(12)에는 압축기(8)가 구동될 때 외부습도에 반비례로 전류가 충전되고, 그 충전된 전류는 증폭기(13)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제어회로(14)로 입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류적산소자(12)에 일정량 이상의 전류가 적산되면, 출력제어회로(14)는 제상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제1스위칭회로(15)에 입력되므로 제1스위칭회로(15)는 제상동작신호에 따라 제상히터(16)를 발열시켜 냉각기(5)에 발생된 성에를 제거하게 되고, 제2스위칭회로(17)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류적산소자(12)에 적산된 전류를 방전시켜 다음의 제상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상히터(16)가 발열되어 냉각기(5)의 성에를 제거하는 상태에서 성에의제거를 완료하고, 냉각기(5)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7)가 일정온도 이상을 감지하면, 제상종료신호중폭기(18)는 온도감지센서(7)가 감지한 온도에 따라 제상종료신호를 출력하여 제3스위칭회로(19)에 입력하므로 제3스위칭회로(19)는 제상종료신호에 따라 제상히터(16)의 발열을 정지시켜 제상을 종료하게 되고, 제상이 종료됨에 따라 온도감지센서(3)가 감지하는 냉동실(1)의 온도에 따라 압축기(8)를 구동시켜 운전을 시작하며, 압축기(8)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전류적산소자(12) 에 전류를 적산하는 동작을 반복수행하면서 제상을 하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가 구동될 때 외부습도에 따라 적산하는 전류량을 가변시키면서 냉각기에 발생된 성에를 제거하므로 제상동작이 매우 정확하여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제상동작시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음은 물론 정전이 되어도 전류적산소자에 적산된 전류는 방전되지 않고, 그대로 적산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제상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상히터를 발열시켜 냉각기의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회로에 있어서, 압축기의 구동을 검출하는 압축기 구동 검출용 릴레이와. 상기 압축구 구동 검출용 릴레이가 구동됨에 따라 전류를 적산하는 전류적 산소자와, 외부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류적산소자에 적산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감습소자와 , 상기 전류적산소자에 적산된 전류를 증폭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상시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제어회로와, 상기 출력제어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상히터를 발열시키는 제1스위칭회로와, 상기 제1스위칭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적산소자에 적산된 전류를 방전시키는 제2스위칭회로와, 냉동실의 온도에 따라 제상종료신호를 출력하는 제상종료신호증폭기와, 상기 제상종료신호증폭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상히터의 발열을 정지시키는 제3스위칭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
KR1019880007710A 1988-06-25 1988-06-25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 KR91000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7710A KR910002714B1 (ko) 1988-06-25 1988-06-25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7710A KR910002714B1 (ko) 1988-06-25 1988-06-25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670A KR900000670A (ko) 1990-01-31
KR910002714B1 true KR910002714B1 (ko) 1991-05-03

Family

ID=1927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710A KR910002714B1 (ko) 1988-06-25 1988-06-25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7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670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093B2 (en)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refrigeration and freezer units
KR100271974B1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US5231844A (en) Defrost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US5950439A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refrigeration system
EP0816783A2 (en) Defros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3759049A (en) Defrost control
US5003786A (en) Refrigerating apparatus
US5533350A (en) Defrost control of a refrigeration system utilizing ambient air temperature determination
KR910002714B1 (ko) 감습소자를 이용한 제상회로
EP0644386B1 (en)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frost formation on a refrigerator evaporator and refrigerator in which such method is implemented
EP0871002B1 (en) Frosting detection device
EP05637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frost formation on an evaporator in a refrigerator, in particular of the forced-air circulation type
JP3034781B2 (ja) 冷蔵庫
CN115900193A (zh) 制冷系统的除霜控制方法、除霜控制器及控制系统
KR100264933B1 (ko) 냉장고의 저소음 운전방법
KR100276512B1 (ko) 냉장고의 제상주기 제어방법
KR10131730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286173B1 (ko) 냉장고의 제상운전 제어장치
KR980010300A (ko) 냉장고의 제상주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H0560444A (ja) 冷蔵庫の制御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の安全保護装置
KR950001997B1 (ko) 압축기의 과부하 제어장치
KR100190126B1 (ko) 냉장고의 증발기 제상주기 결정방법 및 제상주기결정장치
KR100551492B1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KR0152851B1 (ko) 직냉식 냉장고의 냉동,제상장치 및 그의 제어장치
KR0173563B1 (ko) 냉장고의 성에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