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672Y1 -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672Y1
KR910002672Y1 KR2019880022525U KR880022525U KR910002672Y1 KR 910002672 Y1 KR910002672 Y1 KR 910002672Y1 KR 2019880022525 U KR2019880022525 U KR 2019880022525U KR 880022525 U KR880022525 U KR 880022525U KR 910002672 Y1 KR910002672 Y1 KR 910002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heater
cooking
grill
conv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935U (ko
Inventor
유욱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2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672Y1/ko
Publication of KR900013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9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이 콤비오븐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그릴히터 구동회로가 구성된 콤비오븐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그릴히터 구동회로에 의한 제2도의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제4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의 그릴히터 구동회로에 의하여 그릴요리, 컨벡션 요리 및 콤비네이션 요리를 할 경우에 캐비티의 온도에 따른 각 릴레이의 구동관계 및 소비전력을 보인 파형도로서, 제4도는 그릴 요리시의 파형도.
제5도는 컨벡션 요리시의 파형도
제6도는 콤비네이션 요리중 그릴 및 고주파 요리시의 파형도
제7도는 콤비네이션 요리중 컨벡션 및 고주파 요리시의 파형도
제8도는 콤비네이션 요리중 그릴 및 컨벡션 요리시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고주파부
AC : 교류전원 H1: 그릴히터
H2: 컨벡션 히터
본 고안은 그릴(Grill)히터, 컨벡션(Convection)히터 및 고주파부의 마그네트론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면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콤비오븐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 그릴요리, 컨벡션 요리 및 콤비네이션 요리에 따라 그릴히터를 구동시키는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비오븐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전원단자(A, B)가 퓨즈(FU) 및 저압트랜스(LVT)를 통헤 제어부(1)에 접속되어 제어부(1)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그 제어부(1)가, 요리종류 및 온도검출소자(TH)가 검출하는 캐비티의 온도에 따라 요리용 릴레이(RY1), 그릴용 릴레이(RY2), 컨벡션용 릴레이(RY3) 및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구동시키게 하며, 또한 전원 단자(A, B)가 퓨즈(FU) 및 요리용 릴레이 점점(RY1a)를 통해 고내등(PL)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1차 및 2차 안전스위치(SW1)(SW2)를 통해, 모니터 스위치(SW3)와, 직렬로 접속된 그릴용 릴레이(RY2a), 그릴히터(H1) 및 더모스텟(TCO1)과, 직렬로 접속된 컨벡션용 릴레이 접점(RY3a), 컨벡션 히터(H2) 및 더모스텟(TCO2)에 접속되고, 다시 고주파용 릴레이 점점(RY4a)을 통해, 고압 트랜스(HVT), 코일(L1, L2), 콘덴서(C) 및 다이오드(D1)로 된 고주파부(2)에 접속되었다. 상기에서 릴레이 점점(RY1a- RY4a)은 그의 릴레이 (RY1- RY4)가 구동될 때 각기 단락되고, 도어를 열 경우에 1차 및 2차 안전스위치(SW1)(SW2)는 개방되고, 모니터 스위치(SW3)는 단락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콤비오븐은 전원단자(A, B)에 교류전원(AC)이 인가되면, 인가된 교류전원(AC)은 퓨즈(FU)를 통하고, 저압 트랜스(LVT)를 통해 저압으로 변환되어 제어부(1)에 동작전원으로 입력되고, 제어부(1)는 음식물을 요리할 경우에 요리용 릴레이(RY1)를 구동시켜 요리용 릴레이 접점(RY1a)이 단락되도록 함과 아울러 요리의 종류 및 온도검출소자(TH)가 검출하는 캐비티의 온도에 따라 릴레이(RY2- RY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릴레이 접점(RY2a- RY4a)이 단락되게 한다.
즉, 그릴 요리를 할 경우에는 캐비티의 온도가 낮을 때 그릴용 릴레이(RY2)를 구동시켜 그릴용 릴레이 접점(RY2a)이 단락되고, 그릴 히터(H1)가 발열되며, 컨벡션 요리를 할 경유에는 캐비티의 온도가 낮을 때 컨벡션용 릴레이(RY3)를 구동시켜 컨벡션용 릴레이 접점(RY3a)이 단락되고, 컨벡션 히터(H2)가 발열된다.
그리고, 콤비네이션 요리중에서, 그릴 및 고주파 요리를 할 경우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구동시켜 고주파용 릴레이 접점(RY4a)이 단락되고 고주파부(2)이 마그네트론(MGT)이 고주파를 출력하게 함과 아울러 캐비티의 온고가 낮을 때 고주파용 릴레이(RY4)의 구동정지시마다 그릴용 릴레이(RY2)를 구동시켜 그릴 히터(H1)가 발열되게 하고, 컨벡션 및 고주파 요리를 할 경우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구동시켜 마그네트론(MGT)이 고주파를 출력하게 함과 아울러 캐비티의 온도가 낮을 때 고주파용 릴레이(RY4)의 구동정지마다 컨벡션용 릴레이(RY3)를 구동시켜 컨벡션 히터(H2)가 발열되게 하며, 그릴 및 컨벡션 요리를 할 경우에는 캐비티의 온도가 낮을 때 그릴용 릴레이(RY2) 및 컨벡션용 릴레이(RY3)를 교호로 구동시켜 그릴 히터(H1) 및 컨벡션 히터(H2)가 교호로 발연되게 한다.
여기서, 일반 가정용 콤비오븐은 통상적으로 그릴히터(H1) 및 컨벡션 히터(H2)의 전력은 각기 약 1400W이고, 고주파부(2)의 전력은 약 1300W로서, 그릴히터(H1), 컨벡션 히터(H2) 및 고주파부(2)중에서 2가지 이상을 구동시킬 경우에는 약 2700-2800W나 소비되어 가정용으로는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유럽등지에서는 가정에서 2200W 이상의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규정되어 있으므로 하나만을 구동시키고 있으며, 또한 히터(H1)(H2)는 1400W 이상을 제작할 경우에 많은 무리가 뒤따르므로 1400W의 히터(H1)(H2)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그릴히터(H1), 컨벡션 히터(H2) 및 고주파부(2)의 마그네트론(MGT)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면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상태에서 도어를 열면, 1차 및 2차 안전스위치(SW1, SW2)가 개방됨과 아울러 모니터 스위치(SW3)가 개방되므로 교류전원(AC)의 공급이 차단되어 그릴히터(H1), 컨벡션 히터(H2) 및 고주파부(2)의 동작이 모두 정지된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종래의 콤비오븐은 두개의 히터(H1)(H2)를 구비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히터(H1) 또는 (H2)만을 구비한 것과 동일한 열량을 발생하므로 사용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요리시 예열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제게 되어 많은 요리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도어를 열었을 경우에는 두개의 히터(H1)(H2)의 발열이 모두 정지되어 캐비티의 온도가 급속히 낮아지게 되므로 다시 캐비티의 온도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그만큼 더 요리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등의 결합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전체 전력이 2200W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그릴용 히터, 컨벡션용 히터 및 고주파부를 동작시켜 사용효율을 향상시키는 그릴히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컨벡션 요리 및 콤비네이션 요리를 할 경우에는 그릴 히터에 교류전원의 반파를 인가시켜 반파 발열 시킴으로써 음식물의 요리시간을 단축시키는 그릴히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요리하는 도중에 도어를 열면, 그릴 히터에 교류전원의 반파를 인가시켜 반파 발열시킴으로써 캐비티의 온도가 급속히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요리시간을 단축시키는 그릴히터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들을 가지는 본 고안의 그릴 히터 구동회로는 요리용 릴레이 접점 및 1차 안전스위치의 접속점을 반파 그릴용 릴레이 접점 및 다이오드를 통해 그릴히터의 일측에 접속하고, 그릴 히터의 타측은 전원단자측에 직접 접속하여, 제어부에 의해 반파 그릴용 릴레이가 구동됨에 따라 반파 그릴용 릴레이 접점이 단락되고, 교류전원이 다이오드 를 통해 반파 정류된 후 그릴히터에 인가되어 그릴 히터가 반파 발열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음식물의 요리시 종래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콘벡션 요리 및 콤비네이션 요리를 할 경우에 캐비티의 온도가 낮으면 반파 그릴용 릴레이를 구동시켜 그릴 히터를 반파 발열시킴으로써 전체 전력이 약 2000-2100W로 상승되고, 음식물의 요리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또한, 음식물을 요리하는 도중에 도어가 열리면, 제어부가 반파 그릴용 릴레이를 구동시켜 그릴 히터를 반파 발열시킴으로써 캐비티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다시 예열시키는 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제2도 내지 제8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목적 및 특징들을 가지는 본 고안의 그릴히터 구동회로를 상세히 살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는 동일부호를 부여 하였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그릴히터 구동회로가 구성된 콤비오븐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음식물의 요리시 제어부(1)가 요리용 릴레이(RY1)를 구동시켜 요리용 릴레이 접점(RY1a)을 단락시킨 후 요리종류 및 캐비티의 온도에 따라 그릴용 릴레이(RY2), 컨백션용 릴레이(RY3) 및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그릴히터(H1), 컨벡션히터(H2) 및 고주파부(2)가 선택적으로 동작되게 하고, 도어의 개방시 1차 및 2차 안전스위치(SW1, SW2)가 개방되어 그릴 히터(H1), 컨벡션히터(H2) 및 고주파부(2)의 동작이 정지되게 한 콤비오븐에 있어서, 상기 요리용 릴레이 접점(RY1a) 및 1차 안전스위치(SW1)의 접속점을 반파 그릴용 릴레이 접점(RY5a)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그릴히터(H1)의 일측에 접속하고, 그릴히터(H2)의 타측은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전원단자(B)측에 접속하며, 상기 반파 그릴용 릴레이 접점(RY5a)은 상기 제어부(1)가 반파 그릴용 릴레이(RY5)를 구동시킴에 따라 단락되게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릴히터 구동회로의 작용 및 효과를 각 동작상태별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어의 개방시 도어를 개방하였을 경우에는 1차 및 2차 안전스위치(SW1, SW2)가 개방되므로 릴레이(RY2- RY4)의 구도에 관계없이 히터(H1)(H2) 및 고주파부(2)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계(10)에서 요리중인지를 판별하고, 요리중일 경우에는 단계(11)에서 릴레이(RY1)를 구동시켜 릴레이 접점(RY1a)을 단락시키며, 단계(12)에서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여 단계(13)에서 반파 그릴용 릴레이(RY5)를 구동시키고, 반파 그릴용 릴레이 접점(RY5a)이 단락되므로 교류전원(AC)이 퓨즈(FU) 및 릴레이 접점(RY1a, RY5a)을 통하고, 다이오드(D2)를 통해 반파 정류되어 그릴히터(H1)에 인가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시 그릴히터(H1)는 반파 발열 즉, 약 700W로 발열되므로 캐비티의 온도가 급속도로 낮아지지 않게 되고, 도어를 닫아 다시 요리를 할 경우에 예열시간이 매우 단축되어 요리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2. 그릴 요리시 그릴요리시 할 경우에는 제어부(1)가 단계(14)에서 그릴요리임을 판별하고, 단계(15)에서 캐비티의 온도가 설정온도(T)보다 낮을 때 그릴용 릴레이(RY2)를 구동시켜 그릴용 릴레이 접점(RY2a)가 단락되므로 그릴히터(H1)에는 교류전원(AC)이 인가되어 약 1400W로 발열된다. 즉,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요리용 릴레이(RY1)를 구동시키고, 캐비티 온도와 설정온도(T)에 따라 그릴용 릴레이를 구동시켜 그릴히터(H1)를 발열시킴으로써 최대 소지 전력이 약 1400W 정도된다.
3. 컨벡션 요리시 컨벡션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어부(1)가 단계(16)에서 컨벡션 요리임을 판별하고, 단계(17)에서 캐비티의 온도가 설정온도(T)보다 낮을 때 컨벡션용 릴레이(RY3) 및 반파 그릴용 릴레이(RY5)를 구동시켜 릴레이 접점(RY3a)(RY5a)가 단락되므로 컨백션 히터(H2)는 약 1400W로 발열되고, 그릴히터(H1)는 약 700W로 발열된다.
즉,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리용 릴레이(RY1)를 구동시키고, 캐비티 온도와 설정온도(T)에 따라 컨백션용 릴레이(RY3) 및 반파 그릴용 릴레이(RY5)를 구동시켜 컨벡션용 히터(H2)을 발열시킴과 아울러 그릴히터(H1)를 반파발열시킴으로써 최대 소비전력은 약 2100W 정도된다.
4. 콤비네이션의 요리시 A)그릴 및 고주파 요리 그릴 및 고주파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어부(1)가 단계(18)에서 콤비네이션 요리임을 판별하고, 단계(19)에서 그릴 및 고주파 요리임을 판별한 후 단계(20)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고주파용 릴레이 접점(RY4a) 구동시켜 고주파용 릴레이 접점(RY4a)이 단락되므로 고주파부(2)각 약 1300W의 전력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구동되어 마그네트론(NGT)이 고주파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21)에서 캐비티의 온도가 설정온도(T)보다 낮을 경우에는 고주파용 릴레이(RY4)의 구동 정지시 마다 그릴용 릴레이(RY2)를 구동시켜 그릴용 릴레이 접점(RY2)이 단락되므로 그릴 히터(H1)가 약 1400W의 전력으로 일정간격으로 발열되고, 단계(22)에서 캐비티의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반파 그릴용 릴레이(RY5)를 구동시켜 반파 그릴용 접점(RY5a)가 단락되므로 그릴히터(H1)가 약 700W의 전력으로 발열된다.
즉,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리용 릴레이(RY1)를 구동시키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구동시켜 고주파부(2)가 1300W로 동작되게 함과 아울러 캐비티의 온도가 설정온도(T)보다 낮을 경우에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구동정지시 마다 그릴용 릴레이(RY2)를 구동시켜 그릴 히터(H1)를 1400W로 발열시키고,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구동정지시 마다 그릴용 릴레이(RY2)를 구동시켜 그릴히터(H1)로 반파 발열시키므로 최대 소비전력은 약 2000W 및 1400W로 된다.
B) 컨벡션 및 고주파 요리 컨벡션 및 고주파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어부(1)과 단계(23)에서 컨벡션 및 고주파 요리임을 판별한 후 단계(24)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구동시켜 고주파용 릴레이 접점(RY4a)이 단락되므로 고주파부(2)가 약 1300W의 전력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구동되어 마그네트론(MGT)의 고주파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25)에서 캐비티의 온도가 설정온도(T)보다 낮을 경우에는 고주파용 릴레이(RY4)의 구동 정지시 마다 컨벡션용 릴레이(RY3)를 구동시켜 릴레이 접점(RY3a)이 단락되므로 컨벡션 히터(H2)약 1400W의 전력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발열되고, 단계(26)에서 캐비티의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반파 그릴용 릴레이(RY5)를 구동시켜 반파 그릴용 접점(RY5a)이 단락되므로 그릴 히터(H1)가 약700W의 전력으로 발열된다.
즉,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리용 릴레이(RY1)를 구동시키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구동시켜 고주파부(2)가 1300W로 동작되게 함과 아울러 캐비티의 온도가 설정온도(T)보다 낮을 경우에 고주파용 릴레이(RY4)를 구동정지시 마다 컨벡션 릴레이(RY3)를 구동시켜 컨벡션 히터(H1)를 1400W로 발열시키고, 고주파용 릴레이(RY4)의 구동시에는 반파 그릴용 릴레이(RY5)를 구동시켜 그릴 히터(H1)를 700W로 반파 발열시키므로 최대 소비전력은 약 2000W 및 1400W로 된다.
C) 그릴 및 컨벡션 요리 그릴 및 컨벡션 요리를 할 경우에는 제어부(1)과 단계(127)에서 그릴 및 컨벡션 요리임을 판별하고, 단계(28)에서 캐비티의 온도가 설정온도 (T)보다 낮을 때 그릴용 릴레이(RY2) 및 컨백션용 릴레이(RY3)를 교효로 구동시켜 그릴히터(H1) 및 컨벡션히터(H2)가 각기 약 1400W로 교호로 발열되며, 단계(29)에서 캐비티의 온도가 설정온도 (T)보다 낮을 때 반파 그릴용 릴레이(RY5)를 구동시켜 그릴히터(H1)가 약 700W로 발열된다. 즉,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요리용 릴레이(RY1)를 구동시키고, 캐비티의 온도가 낮을 때 그릴용 릴레이(RY2) 및 컨백션용 릴레이(RY3)를 교호로 구동시켜 그릴 히터(H1) 및 컨벡션용 히터(H2)가 약 1400W로 교호로 발열되게 함과 아울러 반파 그릴용 릴레이(RY3)를 구동시켜 그릴히터(H1)를 약 700W로 반파발열시키므로 그릴히터(H1)밑 컨벡션 히터(H2)가 교호로 발열되면서 컨벡션히터(H2)의 발열시 그릴히터(H1)가 반파발열되어 최대 소비전력이 약 1400-2100W가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전체 전력이 2200W를 넘지 않는 범위내에서 고주파부(2) 또는 컨벡션 히터(H2)와 함께 그릴 히터(H1)발열시켰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그릴히터(H1)대신에 컨벡션 히터(H2)를 반파발열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전체 전력이 2200W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주파부(2) 또는 그릴히터(H1)와 함께 컨벡션 히터(H2)를 반파발열시킬 수도 있고, 또한, 그릴히터(H1) 및 컨벡션 히터(H2)를 모두 반파발열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2200W를 넘지 않는 범위내에서 고주부파(2), 그릴히터(H1) 및 컨벡션 히터(H2)를 복합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2200W를 넘지 않는 범위내에서 고주파부, 그릴히터 및 컨벡션 히터를 복합적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2200W를 넘지 않는 범위내에서 고주파부, 그릴히터 및 컨벡션 히터를 복합적으로 동작시키므로써 그 사용효율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발생 열량이 높아 음식물의 요리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도어를 개방시켜도 그릴히터를 반파발열시켜 캐비티의 온도가 급속히 낮아지지 않게 되므로 도어를 개방시키기 전의 캐비티의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 요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요리종류 및 캐비티의 온도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로 그릴히터, 컨벡션 히터 및 고주파부가 선택적으로 동작되고, 도어를 개방시킴에 따라 그릴히터, 전벡션히터 및 고주파부의 동작이 정지되는 콤비오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그릴히터에 교류전원의 반파가 인가되어 반파 발열되는 반파발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개방시와, 컨벡션 요리 및 콤비네이션 요리시에 캐비티의 온도가 낮을 경우에 반파 발열 수단을 동작시키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
KR2019880022525U 1988-12-31 1988-12-31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 KR910002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525U KR910002672Y1 (ko) 1988-12-31 1988-12-31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525U KR910002672Y1 (ko) 1988-12-31 1988-12-31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935U KR900013935U (ko) 1990-07-06
KR910002672Y1 true KR910002672Y1 (ko) 1991-04-22

Family

ID=1928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525U KR910002672Y1 (ko) 1988-12-31 1988-12-31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6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896B1 (ko) * 1999-12-23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트라이악고장검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896B1 (ko) * 1999-12-23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트라이악고장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935U (ko) 199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487B1 (ko) 밥솥(rice cooker)
US4620078A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magnetron
JPS6188488A (ja) 電子レンジ用始動回路
KR920005455B1 (ko) 히터제어회로
KR910002672Y1 (ko) 콤비오븐의 그릴히터 구동회로
JP3283082B2 (ja) マイクロ波オーブン
KR920008892Y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동시 동작회로
KR0131977B1 (ko) 전자렌지의 컨벡션조리 제어방법
JPH0421994B2 (ko)
CN214675117U (zh) 防干烧炉具电路及炉具
KR100437408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과열방지회로
JPS5832081Y2 (ja) 高周波加熱装置
JPS6347033Y2 (ko)
KR0145023B1 (ko) 마그네트론및 고압트랜스의 냉각 제어장치
JPH0130000Y2 (ko)
JPS6348960Y2 (ko)
KR100231033B1 (ko) 전자렌지의 안전장치
JPS6348959Y2 (ko)
KR0134537B1 (ko) 상업용 전자렌지 제어 회로
CN2221923Y (zh) 延长定时器寿命的多功能电饭煲
KR940004811Y1 (ko) 전자레인지의 운전종료 신호장치
KR0138559B1 (ko) 전자렌지의 출력변환장치
KR20010048742A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144987Y1 (ko) 전기밥솥
JPS61119922A (ja) 複合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