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561B1 - 압연스탠드에서 쵸크의 수평조정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스탠드에서 쵸크의 수평조정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561B1
KR910002561B1 KR1019840001743A KR840001743A KR910002561B1 KR 910002561 B1 KR910002561 B1 KR 910002561B1 KR 1019840001743 A KR1019840001743 A KR 1019840001743A KR 840001743 A KR840001743 A KR 840001743A KR 910002561 B1 KR910002561 B1 KR 910002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rods
shaft
housing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848A (ko
Inventor
쉬토이 예리히
Original Assignee
에스 엠 에스 슈레에만-지이마아크 악티엔 게젤샤프트
알브레흐트 멜러, 빌헬름 브로흐하우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엠 에스 슈레에만-지이마아크 악티엔 게젤샤프트, 알브레흐트 멜러, 빌헬름 브로흐하우젠 filed Critical 에스 엠 에스 슈레에만-지이마아크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5000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18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ax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57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crew and nut
    • Y10T74/18616Single input, plural outp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74Single drive plural driven
    • Y10T74/19079Parallel
    • Y10T74/19098Hel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98Spiral
    • Y10T74/19828W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tal Roll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연스탠드에서 쵸크의 수평조정을 위한 장치
제1도는 조정장치의 중앙을 자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개의 웜기어장치의 대칭면에 따라서 자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싱 23 : 플랜지
4 : 덮개 24 : 압판
5 : 롤러베어링 6,7 : 실린더베어링
8 : 윔축 13,14 : 레이디얼베어링
12,15 : 축베어링 17 : 조정스핀들
본 발명은 특히 압연스탠드에 있어서 쵸크의 수평조정을 위한 조정장치(압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종류의 조정장치는 예를 들어서 작업롤의 옵셋팅에 의하여 압연판의 형상윤곽이 변경되어져야 하거나 혹은 예를 들어서 Verlag Stahleisen, mbH, Dusseldorf, 1970, 309 및 310 페이지의 "Herstellung von Kaltgewalztem Band"에 따라서 지지롤의 축을 나타내는 평면에 대해 수평방형으로 빗겨서 소경작업롤을 추가적으로 지지할때 특히 요구된다. 쵸크의 그런 종류의 수평이동에는 특히 작업롤에 의하여 실현되는 장치가 다음과 같은 여러 요구사항들을 만족해야할 것이다. 예를 들면 압연기의 스탠드창내의 설치는 조밀해야하며, 단순한 수단에 의하여 정확히 결정할 수 있는 조정행정이 반복되거나 혹은 조정장치가 같은 방향이거나 반대방향에서 동기로 작동할 가능성이 존재해야 하며, 이동하려는 실린더의 쵸크에 정확히 배양된 설치면이 제공되어야하며 그 결과로 이 설치면의 이동은 순수한 병진운동으로서 엄격히 평행하게 수행될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 목적을 위하여 조정행정 및 조정장치의 키는 유효행정이 클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구동장치는 실로 비교적 작은 유효행정을 확인하여 왔으며 그러나 더 요구되는 이동이 높은 경우에는 원하지 않지만 큰 조정 동작물 이야사키는 그러한 쐐기형 조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 순수한 이동을 일으키는 조정동작은 큰 조정구동장치의 큰 장소 소요때문에 회피하며, 이 때문에 나사에 의해서 둘러싸인 나사스핀들을 거쳐서 쐐기면으로 전달되는 회전 조정동작이 추천되는데 이것은 단점으로 생각된다. 유압조정 장치는 얻고자 노력하는 조밀한(콤팩트) 구조때문에 높은 압력을 사용해야하며 이의 통제나 제어에 이미 어려움이 있기때문에, 그리고 여기서 순수한 병진운동과정이 보증되는 일이 없이 일반적으로 추가적으로 조정행정을 감시하는 계측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에 있어서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서 실증되어 왔다.
그래서 이 발명은 조정장치의 조정행정이 쉽게 감시되거나 시험되거나 미리 주어질 수 있으며 미리 주어진 조정거리를 탄성적인 신축성이 없이 아주 변동하지 않게 얻고 실제로 순수한 병진운동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그러한 조밀한 조정장치를 만드는 과제로 부터 시작한다. 이 과제는 회전이 안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는 조정스핀들의 나사부에 그의 내부나사로 맞물고 있고 축방향으로 일정하게 지지된 윔기어에 그의 윔이 맞물고 있는 그러한 윔축에 의하여 해결된다.
윔기어결합과 나사결합을 거치는 이중의 감속비에 의하여 작은 모멘트의 경우에도 큰각도 조정을 가지는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조정동작이 넓은 행정범위에서 일정 정확한 조정을 실정하기 위하여 필요해진다. 윔이, 2개의 서로 대립하여 놓여있으며 윔측에 대칭으로 배열이 된 윔기어에 맞물리면, 이동하고자하는 조정판이 아주 정확한 배향가능성과 함께 윔축의 부하경감이 이루어질 것이다.
광범한 부하분배하에서 보다 확실한 병진운동이 윔축이 윔기어에 물려있는 윔을 갖는다면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축방향의 유격을 허용하는 한 다른 베어링에 의하여 양 윔사이에 윔축을 지지하는 것이 효과적임이 판명되었다.윔기어으 일정한 소정 지지는 이것(윔기어)들이 양쪽으로 각각 하나의 축베어링 및 레이디얼 베어링으로 지지된다면 이루어질 수 있다. 소망하는 일정 조정은, 조정 장치의 간단한 구조와 결합하여, 조정스핀들임 공통압판을 지지하며 조정스핀들이 이 압판과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개개의 조정스핀들의 별도의 종방향의 안내가 불필요하게 된다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윔축, 윔기어 치밀하게 인도되는 요홈을 이 케이싱이 가지고 있으면, 이 조정장치는 지속적으로 틀림없이 윤활제를 공급받을 것이고, 오손에 대하여 보호되며, 조밀하고 경우에 따라서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장치로 총괄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의 특징이 상세하게 표현된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제1도에는 리브(1)에 의하여 강화된 케이싱(2)이 있으며 이 케이싱은 제2도에 따라서 팩킹링(3)을 감싸고 있는 덮개(4)에 의하여 덮혀있다. 측면부의 구멍의 그리고 리브(1)를 연결하는 웨브의 구멍에는 롤레베어링(5 내지 7)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중에서 2개의 대칭인 구형롤러베어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5)은 스라스트베어링으로 작용하며 한편 실린더베어링(6 및 7)은 레이디알 베어링으로 작용한다. 이들 베어링안에서는 역시 중앙도 지지가 되어 있으며 2개의 윔(9 및 10)을 가지고 있는 윔축 (8)이 움직인다. 이 윔에는 윔의 하나에 각각 서로 대향하여 수장된 2개의 윔기어가 맞물리고 그리하여 조정과정에서 야기되며 통상적으로 윔측에 수직으로 배향하는 수직력들이 서로 보상된다.
제2도가 보이는 바와 같이 윔기어(11)는 한계가 정하여 수장되어 있다. 각각 2개의 통상적인 레이디알 베어링(13 및 14)이 그의 축에 있고 부속되는 윔(10)과 일정히 맞물려 있는 윔기어 (11)를 지지하며, 한편 2개의 축베어링(12 및 15)은 윔기어 축방향의 운동을 배제시키며 윔기어로 옮겨오는 조정력을 지지한다.
윔기어 관통되어 있는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이 구멍내부에는 나사부분이 갖추어져 있다. 케이싱(1)의 요홈(16)안에 안내되어 조정스핀들(17)은 윔기어(11)의 구멍안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조정스핀들의 나사부(18)는 윔기어 (11)의 내부 나사와 맞물려 있다.
조정스핀들(17)의 한정된 이동은, 각각 팩킹으로 케이싱내에서 확실한 폐쇄를 이루었으며 요홈(16)에서 그의 정확한 안내를 확실하는 안내피복(19 및 20)에 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윔기어 (11)에서 지지되고 있는 조정스핀들의 나사부(18)에 의하여 확실하게 된다. 중공축으로 이루어진 조정스핀들(17) 전면측에는 플랜지(23)와 결합하는 홈핀(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는 다시 조정장치를 이루고있는 공동의 압판(24)과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 추가적인 확실성은 조정스핀들(17)을 관통하여 플랜지(23)와 맞물리는 나사 보울트에 의하여 실현된다. 이 나사보울트(22), 특히 홈판(21)에 의하여 조정스핀들(17)은 회전이 방지된다. 케이싱(2)내에 구동장치 요소들의 집결은 4개의 평행하는 기어로 구동장치요소의 배분과 마찬가지로 높은 하중능력에도 불구하고 조밀한 구조를 실현시키며 이 구조는 이 조정장치가 압연스탠드의 스탠드창내에 당장 설치되는 것을 보증한다. 추가적인 조정수단을 가진 볼록이 압판(24)과 결합된다면, 스탠들보에 케이싱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얕은 깊이의 추가적인 요홈을 만드는 것이 목적에 맞는 것으로 실증될 수 있다.
4개로 분리되고 확실한 동기로 운전되고 있는 조정스핀들(17)의 설치에 의하여 압판(24)의 정확한 병진안내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쵸크의 동작, 조장 및 혹은 이동에 의하여 나타나는 겹쳐지는 이동력은, 압판(24)이 작은 선회운동을 하게 되는 일도 없이 힘분포의 변동에 의하여 즉시 조정장치부터 전달될 수 있다. 동시에 다만 부분적으로 사용된 폭의 경우에도 이 조정장치는 양쪽 스탠드측 및 양쪽창측의 중요한 부분의 수정이 없이 사용할 수가 있다는 이점이 있다. 구동치차의 회전방향은 곧 바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윔기어(11)는 구동장치의 영향하에 소속되고 있는 윔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조정장치의 구조에 있어서는, 이 회전이 윔축의 공동측방에 설치된 윔기어와 조정스핀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18) 또는 내측나사를 갖게하고, 한편 윔축의 대향 측방에 설치된 윔기어와 조정스핀들은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나사로 형성시킴으로써 해결되고 있다. 두개의 기어의 대칭적인 운전은 그때마다의 나사 방향이 그 나사와 함께 가동하는 조정장치 그것과 교환되어진다면 바로 가능하다. 그렇게하여 한 조정장치에서는 윔기어(11) 및 조정스핀들(17)의 나사가 윔축상부에서는 왼나사이고 윔축의 하부에서는 오른나사가 되어 있으며 한편 다른 조정장치에서는 윔축의 상부에는 오른나사 그리고 윔축의 하부에 왼나사가 배열되게 한다면, 예를 들어 2대의 조정장치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방향인 경우에도 동일한 압하방향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반대의 경우에도 역시 조정장치는 동일한 부품들로 구성되어지며 그 결과 이미 제조, 예비품관리 및 경우에 따라서는 정돈작업이 저장하고자 하는 내지 설치하려고 하는 부품의 감소로 합리화가 이루어진다는 또 다른 이점이 얻어진다.
스프링과 결합하는 홈(25)은 스탠드창 또는 이 창의 요홈에서 예정된 상태 또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Claims (2)

  1. 윔축(8)의 윔(9, 10)은 축방향으로 지지된 윔기어(11)와 맞물고, 상기 윔기어는 회전방지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조정나사(17)의 나사부(18)와 그의 내부나사로 맞물고 있는 윔축(8)으로 로울스탠드에 있는 쵸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장치에 있어서, 윔축(8)은 두 윔(9, 10)을 갖고 있으며, 각 윔(9, 10)은 윔축(8)에 대칭으로 배열되어있고 상호 대향하는 웜기어(11)와 맞물려 있으며 또한 각 웜기어(11)는 조바지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조정나사(17)의 자유단은 공동압판(24)을 지지하면서 이 압판과 회전방지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홈핀(21))을 특징으로 하는 조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윔축(8)은 양쪽의 윔(9, 10)사이에 축방의 유격을 허용하는 또 다른 베어링(6)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장치.
KR1019840001743A 1983-10-03 1984-03-31 압연스탠드에서 쵸크의 수평조정을 위한 장치 KR910002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335858 1983-10-03
DE3335858A DE3335858A1 (de) 1983-10-03 1983-10-03 Vorrichtung fuer die horizontalanstellung von einbaustuecken in walzgeruesten
DEP3335858.3 1983-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848A KR850003848A (ko) 1985-06-29
KR910002561B1 true KR910002561B1 (ko) 1991-04-26

Family

ID=621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743A KR910002561B1 (ko) 1983-10-03 1984-03-31 압연스탠드에서 쵸크의 수평조정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27300A (ko)
EP (1) EP0137919B1 (ko)
JP (1) JPS6076210A (ko)
KR (1) KR910002561B1 (ko)
AT (1) ATE41334T1 (ko)
DE (2) DE3335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3756A1 (de) * 1984-03-13 1985-09-19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Sechswalzengeruest
US5834662A (en) * 1993-06-19 1998-11-10 Imo-Industrie-Momentenlager Stoll & Russ Gmbh Arrangement for the rotary actuation of an apparatus on a chassis or foundation
DE10134937A1 (de) * 2001-07-18 2003-02-06 Bosch Gmbh Robert Getriebe-Antriebseinheit mit Drehzahlerfassung
US7464620B2 (en) * 2004-11-11 2008-12-16 Schukraoof North America Actuator
CN116745546A (zh) * 2020-12-21 2023-09-12 Cef工业有限责任公司 双驱动冗余负载传动装置和方法
KR102493383B1 (ko) * 2022-08-09 2023-01-30 한국철강 주식회사 압연 스탠드 쵸크(stand choc) 갭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821A (en) * 1892-06-28 Rolling-mill
DE501688C (de) * 1930-07-04 Fried Krupp Grusonwerk Akt Ges Vorrichtung zum Heben und Senken der Oberwalze von Walzwerken
US412852A (en) * 1889-10-15 Rolling-mill
DE973503C (de) * 1953-06-27 1960-03-10 Schloemann Ag Vorrichtung zum Anstellen der Walzen, insbesondere fuer schwere Walzwerke
US3247697A (en) * 1962-12-06 1966-04-26 Blaw Knox Co Strip rolling mill
DE2652325A1 (de) * 1976-11-17 1978-05-18 Schloemann Siemag Ag Anstellvorrichtung fuer ein walzgeruest
DE7903337U1 (de) * 1979-02-07 1980-11-20 Schloemann-Siemag Ag, 4000 Duesseldorf Anstellgetriebe für die Radialanstellung von Walzen von Walzgerüs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27300A (en) 1986-12-09
JPS6076210A (ja) 1985-04-30
EP0137919B1 (de) 1989-03-15
DE3477144D1 (en) 1989-04-20
EP0137919A2 (de) 1985-04-24
EP0137919A3 (en) 1987-08-05
DE3335858A1 (de) 1985-04-18
ATE41334T1 (de) 1989-04-15
KR850003848A (ko) 1985-06-29
JPH051086B2 (ko) 199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4964C (en) Chockless rolling mill
US3858424A (en) Split type multistage rolling mill
KR910002561B1 (ko) 압연스탠드에서 쵸크의 수평조정을 위한 장치
US4440038A (en) Lead screw and follower assembly
US4715241A (en) Mechanical linear drive system
US5339669A (en) Apparatus and process permitting the cold forming of grooves on the wall of a revolving part
EP0106244A1 (de) Linearbewegungsvorrichtung für Maschinen
CN104668875B (zh) 一种轴向窜动可控的筒体探伤及焊接滚轮架
US5018402A (en) Planetary gear drive for controlled defection rolls
US4325245A (en) Rolling mill stand
US2987939A (en) Electrode head for electro-erosively operating machine tools and drive therefor
GB2076931A (en) A shaft mounting arrangement particularly for mounting a pinion shaft in a gearbox
US3009366A (en) Gearhead
US3718026A (en) Cluster mill with cantilevered rolls
US4211101A (en) Mill stand roll assembly
US3429167A (en) Axial roll adjusting mechanism
US3124015A (en) Mottu
SU1357093A2 (ru) Клеть стана поперечно-винтовой прокатки
JPH02284710A (ja) 幅可変圧延ロールとそのロールの分解組立装置
RU2015754C1 (ru) Прокатная клеть с консольными валками
US3233445A (en) Roll mounting in four-high mills and the like
DE2330334B2 (de) Antriebseinrichtung fuer ein mit mindestens zwei walzen pro kaliber versehenes walzwerk
RU2027559C1 (ru) Шпиндельная бабка
JPH0794044B2 (ja) 幅可変圧延ロール
SU151100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глубоких отверстий в невращающихс детал 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