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530Y1 -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 Google Patents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530Y1
KR910002530Y1 KR2019890007031U KR890007031U KR910002530Y1 KR 910002530 Y1 KR910002530 Y1 KR 910002530Y1 KR 2019890007031 U KR2019890007031 U KR 2019890007031U KR 890007031 U KR890007031 U KR 890007031U KR 910002530 Y1 KR910002530 Y1 KR 910002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filter
filter plate
plate
nonwoven fabric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024U (ko
Inventor
강석우
Original Assignee
강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우 filed Critical 강석우
Priority to KR2019890007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530Y1/ko
Publication of KR900020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8Two or more filter elements not fluidly connected positioned in the sam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제1도는 본 고안 배기휠터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배기휠터의 일부를 확대시킨 상태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상하판 배기휠터의 결속상태를 도시한 평명도.
제4도는 본 고안 제3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상부배기휠터판 4 : 하부배기휠터판
5, 7 : 통기공 6, 6' : 요입부
a : 찌꺼기배출공 l, l' : 일정간격
본 고안은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탁한공기 및 연기등을 실외로 배출함에 있어서, 이들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등이 누출됨이 없이 배기휠터를 통하여 여과 배출될수 있도록 한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에는 통기공을 천공한 통상의 철판에 부직포등을 접착시킨 배기휠터가 사용되어 왔다. 상기한 배기휠터는 장시간 사용시, 흡입 배출되는 탁한 공기가 철판에 천공된 통기공을 통하여 직접 부직포를 통과하기 때문에 이들 탁한공기중에 포함된 불순물 및 찌꺼기 등이 부직포의 통기로를 폐쇄시켜 부직포를 통과하는 통과성의 결여로 요리시 탁한공기의 배출이 저하되며 부직포로 부터 철판을 통하여 불순물등이 주방기기로 흘러 내리는 결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요목적은, 조리시 발생되는 탁한공기 및 연기등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이, 하부 배기휠터판을 통과하면서 배기휠터의 상판내측에 달라붙어 하판에 떨어져 모이게 하고 모인 불순물 및 찌꺼기 등은 양측에 천공된 찌꺼기 배출공으로 흘러내려 한곳으로 고일수 있게 하여 흡입배출되는 탁한공기가 직접 부직포에 접하지 않게 함으로서 최대의 배출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배기휠터를 제공함에 있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휠터를 상하판으로 간편하게 구성시켜 세척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기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배기휠터를 상하판으로 형성하고 하판에 원기둥 형상의 통기공을 상측으로 돌설하였으며 상판역시 원기공을 상측으로 돌설하였으며 상판역시 원기둥형상의 통기공을 하부로 돌설시켜 이들을 상호대응 하도록 결속하되, 이들 상하판에 돌설된 원기둥 형상의 통기공이 일직선상으로 대응되지 않도록하여 흡입되는 탁한 공기중에 포함된 불순물등이 배기휠터 내부에서 여과되어 직접 부직포에 흡입되지 않도록하여 부직포의 통기성을 항상 원활히 할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가일층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 베기휠터(1)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에 관한것으로(2)는 베기구를 표시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 배기휠터의 일부를 확대시킨 상태의 분리사시도로서 배기휠터를 상하배기휠터판(3)(4)으로 구성됨을 보여주며 (a)은 찌꺼기 배출공이다.
제3도는 본고안 상하휠터판의 결속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4도는 본고안 제3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들에 의하면 본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즉, 하부배기휠터판(4)에 원기둥형상의 통기공(5)을 상측으로 일정간격(l)의 요입부(6)를 두고 돌설한다.
이들 통기공(5)은, 상부배기휠터판(3)에 일정간격(l')의 요입부(6')를 두고 하부로 돌설된 통기공(7)과 서로 대응되게 결속하되 이들 통기공(5)(7)들이 결속된 상태에서 직선상으로 관통하지 않도록 결속한다.
도면중 설명하지 않은(8)은 주방기구를 표시한 것이며, (9)은 불순물등의 찌거기이고 (10)은 부직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본고안의 상하 배기휠터판(3)(4)을 대응되게 결속시킨 배기휠터(1)를 배기구(2)의 하측부에 설치하여 상기배기휠터 상부에는 통상의 부직포(10)와 배출휄(도시치않음)이 설치된다.
따라서 조리 배출휄에 의해서 실내의 탁한공기 및 연기등이 배기휠기(1)로 흡입되게 한다.
상기 흡입되는 탁한공기 등은 하부배기휠터판의 통기공(5)으로부터 흡입통과되면서 탁한공기 및 연기에 혼합된 불순물 및 찌거기가 상부배기 휠터판(3)에 형성된 요입부(6')에 맞닿게 되면서 찌꺼기는 요입부에 달라붙게되고 일부는 하부배기휠터판(4)에 형성된 요입부(6)로 흘러 내리게 된다.
이렇게되면 하부배기휠터판(4)의 통기공(5)으로부터 흡입되어온 불순물 및 찌꺼기가 배기휠터(1)내부에서 순차적으로 여과되어 상부배기 휠터판(3)의 통기공(7)으로 흡입통과되는 여과된 공기는 부직표(10)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않게되며 하부배기휠터판(4)의 요입부(6)에 고인 찌꺼기는 양측으로 설치된 찌꺼기 배출공 (a)을 통하여 배기구(2)내부의 일정한 곳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렇듯 본 고안은 탁한공기중에 포함된 불순물 및 찌꺼기가 직접 부직호에 흡입되지 않고 배기휠터(1)의 상하배기휠터판(3)(4)의 요입부(6)(6')에 달라붙거나 모이게 되므로 부직포(10)의 통기성이 우수할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직포를 교체하지 않게되며 종래와 달리 부직포의 습성에 따른 실내의 오염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이점과 배기휠터(1)의 구성이 간단하여 필요시 배기휠터만을 분리시켜 간편히 분리시켜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배기휠터(1)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측에 찌꺼기 배출공(a)을 갖는 상부배기휠터판(3)과 하부배기휠터판(4)으로 각각 분리 구성하되, 하부배기휠터판에, 원기둥형상의 통기공(5)을 상측으로 일정간격(l)의 요입부(6)를 두고 다수 돌설시켜, 상부배기휠터판에 이정간격(l')의 요입부(6')를 두고 하부로 다수 돌설된 원기둥 형상의 통기공(7)과 서로 대응시켜 이들 통기공이 직선상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상호 결속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한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KR2019890007031U 1989-05-29 1989-05-29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KR910002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031U KR910002530Y1 (ko) 1989-05-29 1989-05-29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031U KR910002530Y1 (ko) 1989-05-29 1989-05-29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024U KR900020024U (ko) 1990-12-12
KR910002530Y1 true KR910002530Y1 (ko) 1991-04-22

Family

ID=1928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031U KR910002530Y1 (ko) 1989-05-29 1989-05-29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5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024U (ko) 1990-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801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JPS60501646A (ja) 真空掃除器
JP4390738B2 (ja) 空気清浄機
KR910002530Y1 (ko) 주방배기구용 배기휠터
CN208487661U (zh) 一种油烟过滤器
KR100565905B1 (ko) 양흡입형 가스렌지 후드
KR102655745B1 (ko) 휴대 가능한 공기 청정 후드
RU2005101327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ыльцы растений
KR200263599Y1 (ko) 고기 구이기의 연기제거장치
CN215808697U (zh) 吸油烟机
JPS6119399Y2 (ko)
JP3244799U (ja) コンロ
CN214536368U (zh) 一种吸油烟机
CN215765267U (zh) 油烟处理设备
KR200344188Y1 (ko) 양흡입형 가스렌지 후드
CN212746628U (zh) 空气净化装置和吸油烟机
CN218522709U (zh) 空气预净化装置
CN213480330U (zh) 便于安装一体式油烟罩
JPS6135865Y2 (ko)
JPS6022253Y2 (ja) 換気扇
JPH0533978A (ja) レンジフード
KR200178554Y1 (ko) 집진용필터
CN208340426U (zh) 空气净化装置的改良结构
JP3653480B2 (ja) 厨房用フィルタ
KR101830698B1 (ko) 레인지후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