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445Y1 - 라디오와 테이프의 동시 수신녹음회로 - Google Patents

라디오와 테이프의 동시 수신녹음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445Y1
KR910002445Y1 KR2019870024522U KR870024522U KR910002445Y1 KR 910002445 Y1 KR910002445 Y1 KR 910002445Y1 KR 2019870024522 U KR2019870024522 U KR 2019870024522U KR 870024522 U KR870024522 U KR 870024522U KR 910002445 Y1 KR910002445 Y1 KR 910002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unction
terminal
diode
pre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673U (ko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4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445Y1/ko
Publication of KR890014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3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radio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디오와 테이프의 동시 수신녹음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리앰프 D1∼D9: 다이오드
SW1-1∼ SW1-5: 기능절환모드 스위치 SW2: 녹음/재생 스위치
SW3-, SW3-2: 기능절환 스위치 SW4: 모노/스테레오절환 스위치
VR-S, VR-R : 음향 조절용 가변저항 R1, R2: 저항
본 고안은 라디오와 테이프를 동시에 수신하거나 녹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쪽 스피커를 통해서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고 다른쪽 스피커를 통해서는 테이프의 재생음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 라디오와 테이프의 동시수신 녹음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도중에 테이프의 재생음을 수신해야 하는 경우 라디오 모드에 있던 스위치 테이프 모드로 절환하여 라디오 방송청취를 중단하고 테이프의 재생음을 수신해야 하고 반대로 테이프를 재생하는 도중에 라디오 방송을 수신해야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테이프 재생을 중단하고 라디오 방송을 청취해야 했으므로 한개의 카세트로는 라디오 방송과 테이프의 재생음을 동시에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했고 꼭 두개의 카세트가 필요한 결점이 있었으며 더빙중에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거나 녹음하기 위해서는 더빙회로의 동작을 중단하고 따로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거나 녹음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한하여 여러개의 절환 스위치나 스위핑칭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테이프 재생음을 동시에 수신하거나 라디오 방송과 더빙시 테이프의 채널과 라디오 채널을 통해 각각 라디오 방송과 테이프 재생음을 동시에 수신하고 또한 라디오 방송과 테이프의 재생음을 혼합하여 녹음 재생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Vcc)은 기능절환 스위치(SW3-2)를 통해 기능절환 스위치(SW3-1)에 연결하고, 상기 기능 절환 스위치(SW3-1)는 녹음/재생 스위치(SW2)를 통해 프리앰프(1)에 연결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7) 및 기능절환 모드 스위치(SW1-3)를 통해 튜너에 연결하며, 상기 튜너의 레프트 채널 출력단자(L/CH)와 라이트 채널 출력단자(R/CH)는 각각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4), (SW1-5)에 연결함과 아울러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 (SW1-2)에 연결하고,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는 다이오드(D3)와 접지를 통해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2)에 연결함과 아울러 모노/스테레오절환 스위치(SW4)의 모노단자(Mo)단자 및 음향조절용 가변저항(VR-L)을 통해 메인앰프의 레프트 채널입력단자(L/CH)에 연결하며,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2)는 다이오드(D4)와 접지를 통해 상기의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모노/스테레오절환 스위치(SW4)의 단자 및 음향조절용 가변저항(VR-R)을 통해 상기 메인앰프의 라이트 채널 입력단자(R-CH)에 연결하고, 한쪽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4), (SW11-5)의 단자(D+R), (T+R)에서는 각각 다이오드(D8) (D9)를 거쳐지나 직접 저항(R1)(R2)를 통해 프리앰프(1)에 각각 연결하며 상기 프리앰프(1)는 다이오드(D5) (D6)를 통해 녹음앰프 입력단자에 연결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를 통해서는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와 상기 메인 앰프의 레프트 채널 입력단자(L/CH)에 연결하고, 다이오드(D2)를 통해서는 상기 기능 절연모드 스위치(SW1-2)를 거쳐 상기 메인 앰프의 라이트 채널 입력단자(L/CH)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테이프(TAPE)단자 (T), 더빙(DUBBING) 단자(D), 하이 더빙(HI-DUBBING)단자(HD), 라디오(RADIO)단자(R)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절환 스위치(SW3-2), (SW3-1)를 라디오단자(R)로 절환하고, 기능절환모드스위치(SW1-1∼SW1-5)를 단자(MAIN : 라디오와 테이프의 분리회로)로 절환하면서 모노/스테레오절환스위치(SW4)를 단자(ST)로 절환하면 전원(Vcc)이 기능절환 스위치(SW3-1∼SW2), (SW3-1)의 라디오 단자(R)를 통해 다이오드(D7)에 인가되지만 상기 다이오드(D7)가 차단되므로 전원(Vcc)은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3)를 거쳐 튜너로 인가되어 튜너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튜너의 레프트 채널 출력단자(L/CH)로부터 출력된 라디오 신호는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의 단자(MAIN)와 음향 조절용 가변저항(VR-L)을 거쳐 메인 앰프 레프트 채널 입력단자(L/CH)에 인가되어 레프트 채널 스피커로 출력되어지고, 상기 튜너의 라이트 채널출력단자(R/CH)로 부터 출력된 라디오 신호는 음향 조절용 가변저항(VR-R)을 통해 상기 메인 앰프의 라이트 채널입력단자(R/CH)에 인가되어 라이트 채널스피커로 출력되어진다. 여기서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SW4), (SW1-5)의 단자(MAIN)로 인가된 상기 튜너에서 출력된 라디오 신호는 각각 저항(R1), (R2), 다이오드(D5)D6)를 통해 녹음앰프 입력단자로 인가되지만 상기 녹음 앰프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녹음앰프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둘째 상기 라디오 방송과 테이프의 재생음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 (SW1-5)를 단자(T+R : 테이프와 라디오의 동시 출력회로)로 절환하면서 녹음/재생스위치(SW2)를 재생단자(P)로 절환하면 전원(Vcc)이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3-2), (SW3-2)를 통해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3)의 단자(T+R)에 인가됨과 아울러 튜너에 인가되어 튜너는 동작하게 되고, 상기 튜너의 레프트 채널출력단자(L/CH)로 부터 출력된 라디오 신호는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4)의 단자(T+R)에 인가됨가 이울러 기능절환모드스위치(SW1-1)의 단자 (T+R)를 통해 접지되며 상기 튜너의 라이트채널 출력단자(R/CH)로 부터 출력된 라디오 신호는 음향조절용 가변저항(VR-R)을 통해 메인 앰프의 라이트채널 입력단자(R/CH)에 인가되어 라이트 채널 스피커로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3)의 단자(T+R)에 인가된 전원(Vcc)이 녹음/재생 스위치(SW2)의 재생단자(P)를 통해 프리앰프(1)에 인가되어 상기 프리앰프(1)가 동작하게 되므로 상기 프리앰프(1)로부터 출력된 테이프의 재생신호가 다이오드(D1)의 음향조절용 절환모드 스위치(SW1-2)의 단자(T+R)를 통해서는 접지되므로 레프트 채널 스피커로 테이프의 재생음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상기와 같은 동작상태에서 테이프의 재생신호와 라디오 신호를 혼합하여 수신하기 위해 모노/스테레오절환스위치(SW4)를 단자(Mo)로 절환하면 레프트 채널(L/CH)과 라이트 채널(R/CH)이 서로 연결되므로 상기 신호들이 혼합되어 메인앰프의 레프트채널 및 라이트채널 입력단자(L/CH), (R/CH)에 인가된다.
넷째 더빙하기 위해 기능절환 스위치(SW3-2), (SW3-1)를 더빙단자(D)로 절환하면서 기능절환모드스위치(SW1-1∼SW3-5)를 단자(MAIN)로 녹음/재생스위치(SW2)를 녹음단자(R), 모노/스테레오 절환화스위치(SW4)를 단자(ST)로 각각 절환하면, 전원(Vcc)이 기능절환 스위치(SW3-2)를 통해 기능절환 스위치(SW3-1)의 더빙단자(D)에 인가되고, 상기 전원(Vcc)은 다이오드(D7)을 통해 튜너에 인가됨과 아울러 녹음/재생스위치(SW2)의 재생단자(P)를 통해 프리앰프(1)에 인가되어 상기 프리앰프(1)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프리엠프(1)의 출력은 다이오드(D5)(D6)를 통해 녹음앰프입력단자에 인가됨으로써 더빙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프리앰프(1)로 부터 출력되는 기록된 테이프의 재생신호가 다이오드(D1)와 음향조절용 가변저항(VR-L)을 통해서는 메인앰프의 레프트 채널입력단자(L/CH)에 인가되고 다이오드(D2), 기능절환모드스위치(SW1-2)의 단자(MAIN) 및 음향조절용 가변저항(VR-R)을 통해서는 상기 메인앰프의 라이트 채널입력단자(R/CH)로 인가된다.
이때 튜너에도 전원(Vcc)이 인가되지만 라디오를 오프시킨 상태이므로 상기 튜너의 출력단자로 부터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다섯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라디오 방송과 더빙시 테이프이 재생음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SW1-5)를 단자(D+R : 더빙녹음시 테이프의 재생 및 라디오의 동시출력회로)로 절환하면, 전원(Vcc)이 기능절환스위치(SW3-2), (SW3-1)의 단자(D)와 다이오드(D7) 및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3)를 통해 튜너에 인가되어 상기 튜너를 동작시킴과 아울러 녹음/재생스위치(SW2)를 통해 프리앰프(1)에 인가되어 상기 프리앰프(1)가 동작시키고, 상기 프리앰프(1)의 출력은 다이오드(D5)(D6)를 통해 녹음엠프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더빙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프리앰프(1)로 부터 출력되는 기록된 테이프의 재생신호가 다이오드(D1)와 음량조절용 가변저항(VR-L)을 통해서는 메인앰프의 레프트 채널입력단자(L/CH)에 인가되고 다이오드(D2)와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2)의 단자(D+R)를 통해서는 다이오드(D4)에 인가되므로 상기 다이오드(D4)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상기 튜너의 레프트체널 출력단자(L/CH)로 부터 인가된 라디오신호는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4)의 단자(D+R)를 통해 다이도오드(D8)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리게함과 아울러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를 통해 다이오드(D3)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리게 하므로 상기 라디오신호는 차단되며, 상기 튜너의 라이트 채널출력단자(R/CH)로 부터 인가된 라디오신호는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5)의 단자(D+R)를 통해 다이오드(D9)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리게 함과 동시에 음향조절용 가변저항(VR-R)을 통해 메인앰프의 라이트채널 입력단자(R/CH)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레프트채널 스피커로는 더빙시 프리앰프(1)로 부터의 테이프의 재생음을 수신하고 라이트채널 스피커로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상기 라디오 신호와 기록된 테이프 신호를 혼합하여 녹음하기 위해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4), (SW1-5)를 단자(MAIN)로 절환하면 튜너의 레프트 채널 출력단자(L/CH)와 라이트채널 출력단자(R/CH)로 부터 인가된 라디오신호는 각각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4)(SW1-5)의 단자(MAIN)와, 저항(R1), (R2) 및 다이오드(D5), (D6)를 통해 녹음앰프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상기 라디오신호가 기록된 테이프 신호와 혼합되어 녹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여러종류의 절환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두 채널을 통해 라디오 신호와 테이프의 재생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거나 동시에 녹음할 수 있도록 하여 한개의 카세트로 두 사람이 각각 듣고싶은 기능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으므로 두개의 카세트롤 가진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위치를 절환하여 프리앰프나 튜너를 동작시킴으로써 라디오신호나 테이프의 재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카세트에 있어서, 전원(Vcc)은 기능절환 스위치(SW3-2)를 통해 기능절환스위치(SW3-1)에 연결하고, 상기 기능절환 스위치(SW3-1)은 녹음/재생스위치(SW2)를 통해 프리앰프(1)에 연결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7) 및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3)를 통해 튜너에 연결하며, 상기 튜너의 레프트 채널 출력단자(L/CH)와 라이트채널 출력단자(R/CH)는 각각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4), (SW1-5)에 연결함과 아울러 기능절환모드스위치(SW1-1), (SW1-2)에 연결하고,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는 다이오드(D3)와, 접지를 통해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2)에 연결함과 아울러 모노/스테레오절환스위치(SW4)의 모노단자(Mo) 및 음향조절용 가변저항(VR-L)을 통해 메인앰프의 레프트 채널 입력단자(L/CH)에 연결하며,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2)는 다이오드(D4)와 접지를 통해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에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모노/스테레오절환 스위치(SW4)의 단자 및 음향조절용 가변저항(VR-L)을 통해 상기 메인앰프의 라이트 채널 입력단자(R/CH)에 연결하고, 한쪽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4), (SW1-5)의 단자 (D+R), (T+R)에서는 각각 다이오드(D8), (D9)를 거쳐지나 직접 저항(R1), (R2)을 통해 프리앰프(1)에 각각 연결하며 상기 프리앰프(1)는 다이오드(D5), (D6)를 통해 녹음앰프 입력단자에 연결함과 아울러 다이오드(D1)를 통해서는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1)와 상기 메인 앰프의 레프트 채널 입력단자(L/CH)에 연결하고, 다이오드(D2)를 통해서는 상기 기능절환모드 스위치(SW1-2)를 거쳐 상기 메인 앰프의 라이트 채널입력단자(L/CH)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테이프의 동시수신 녹음회로.
KR2019870024522U 1987-12-31 1987-12-31 라디오와 테이프의 동시 수신녹음회로 KR910002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22U KR910002445Y1 (ko) 1987-12-31 1987-12-31 라디오와 테이프의 동시 수신녹음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522U KR910002445Y1 (ko) 1987-12-31 1987-12-31 라디오와 테이프의 동시 수신녹음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73U KR890014673U (ko) 1989-08-11
KR910002445Y1 true KR910002445Y1 (ko) 1991-04-20

Family

ID=1927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522U KR910002445Y1 (ko) 1987-12-31 1987-12-31 라디오와 테이프의 동시 수신녹음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4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73U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209A (en) Stereo/monaural selecting circuit
CN1575045B (zh) 环绕声电路、环绕声装置、音响装置、声场调整装置
US5126981A (en) Mixed simulcast circuit
KR910002445Y1 (ko) 라디오와 테이프의 동시 수신녹음회로
JPS6117270A (ja) ト−ンコントロ−ル装置
KR900001319Y1 (ko) 덱크의 자동 전환 스위칭 회로
KR870000996Y1 (ko) 음성 다중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폰 및 스피커분리 수신장치
KR940004985B1 (ko) 브이씨알의 녹음 모니터 및 서라운드 음향회로
JPS6145479A (ja) ラジオ付テ−プレコ−ダ−の録音制御回路
KR910006568Y1 (ko) 하이파이 vtr의 합의 신호 기록 방지장치
JPS5939359Y2 (ja) オ−デイオタイマ−
KR910005613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기능 선택회로
KR880003085Y1 (ko) 방송신호출력시 더빙녹음회로
JPS6336065B2 (ko)
JP3481034B2 (ja) 信号ミュート回路およびカセットデッキ
KR920004815Y1 (ko) 음성다중용 입력 절환 스위치회로
KR930002475Y1 (ko) 음성다중방송 영상기록 재생장치의 오디오신호 제어회로
KR900006807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다기능 녹음 회로
JPS6225004Y2 (ko)
JPS5914120A (ja) 磁気録音再生装置
JPS637992Y2 (ko)
JPH0132229Y2 (ko)
JPS6336064B2 (ko)
JPS629528Y2 (ko)
JPH05230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