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208B1 - 혈액성분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혈액성분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208B1
KR910002208B1 KR1019890700337A KR890700337A KR910002208B1 KR 910002208 B1 KR910002208 B1 KR 910002208B1 KR 1019890700337 A KR1019890700337 A KR 1019890700337A KR 890700337 A KR890700337 A KR 890700337A KR 910002208 B1 KR910002208 B1 KR 91000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blood component
separation device
component separation
circula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146A (ko
Inventor
다까아끼 오우사와
다쯔야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데루모가부시끼가이샤
도자와 미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모가부시끼가이샤, 도자와 미쓰오 filed Critical 데루모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70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61M1/3633Blood component filters, e.g. leukocyte filters
    • A61M1/3635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4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at least one flow duct intersecting th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혈액성분 분리장치
혈액성분 분리장치는 혈액을 각종의 성분, 예를들면 혈구성분과 혈장성분으로 분리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혈액으로부터 일정한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를 갖는 분리기와 혈액을 일정한 질서에 의하여 체외순환시켜서 상기 분리기에 송급하기 위한 혈액회로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혈액회로는, 개략적으로 다음의 부분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① 인체로부터 체혈한 혈액을 분리기에 송급하는 입구측 회로
② 분리기를 통과함으로써 예를들면 혈장등의 성분을 분리된 혈액을 인체에 되돌리는 출구회로
③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성분(예를들면 혈장)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회로(혈장을 분리할 경우에는 여액회로라 불리운다)
또, 각각의 혈액회로내에는 혈액의 순환 및 분리기에서의 여과를 원활히 행하기 위하여, 압력모니터회로, 혈액펌프용 튜브, 약액 주입구, 버블트랩(bubble trap) 등의 여러가지의 기능부가 조입된다.
혈액성분 분리장치를 조립하기 위하여는, 상기의 혈액회로 및 기능부를 소정 장소에 배치하고, 그리고 이들 모두를 착오없이 접속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조작은 대단히 번잡하여 잘못접속할 염려가 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조립때의 번잡을 경감하고, 그리고 접속의 착오를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혈액회로 및 회로내 기능부만을 집적하고, 이에 중앙이 빈 실과같은 형태의(이하 중공사형이라 한다) 혈장분리 필터를 접속한 혈장분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소 60-190967호). 이 장치에 있어서의 혈액회로는 적어도 일방에 요홈을 갖는 2매의 플레이트를 적층하고,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을 이용함으로써 집적토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혈액회로 및 기능부 뿐 아니라, 중공사형 혈장분리 필터도 동일한 케이싱내에 패케이지화하여, 공기압 제어에 의하여 혈액을 구동시키도록한 혈장분리장치도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소 60-500159호). 이 장치에서는 혈액회로, 혈장분리 필터 및 다른 기능부가 모두 평면적으로 배치된 상태로 집적화되어 있다.
한편, 기술의 진보에 수반하여, 근년의 혈액성분 분리기술의 분야에서는 2중여과법이나 단침식(單針式)혈액 재순환 혈장 채취법과 같이 보다 고도한 혈액성분 분리가 행하여지게 되었다. 2중 여과법은 혈액으로부터 큰 분자단백질만을 분리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 단침식 혈액 재순환 혈장 채취법에서는 인체로부터의 채혈과 반혈(返血)을 1본의 채혈침에 의하여 행한다. 그리고, 일정량의 혈액으로부터 가급적 대량의 혈장을 채취하기 위하여, 혈액전류 용기, 재순환 회로 및 재순환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혈장분리된 혈액을 분리 필터에 재순환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은 고도한 혈액성분 분리를 행하는 장치에서는 혈액순환회로가 복잡하게 되고 그 조립조작도 한층더 복잡하게 되지 않을 수 없다. 또, 이와같이 복잡한 혈액성분 분리장치의 형액회로, 기능부 및 분리기를 일체로 집적화할 경우, 기술한 종래예와 같이 각부를 평면적으로 배치할 수 없는 기술로서는 도저히 대응할수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침식 혈액 재순환 혈장 채취방식 또는 2중여과방식등과 같이, 극히 복잡한 회로 구성 및 다수의 기능부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도 그 조립 조작을 간략화하여 회로 접속의 착오를 회피할 수 있는 혈액성분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혈액성분 분리장치의 사용에 있어, 혈액을 체외순환시키기전에 필요한 준비조작을 간략화하는 일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혈액을 체외순환시키기 위한 혈액회로, 혈액회로중에 배치되는 회로내 기능부 및 분리필터를 동일한 케이싱내에 입체적으로 집적화 시킴으로써 일체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케이싱에는 내부에 혈액회로와 연통하는 외부 접속포오트(port)를 형성하고, 이 외부 접속포오트를 통하여 여러가지의 외부 기능부 또는 다른 회로와 연동시키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혈액성분 분리장치는 서로 적층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판상체와, 이들 판상체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에 적층하여서 형성된 혈액순환회로와, 이들 혈액유로에 조입된 혈액성분 분리용의 필터와 상기 혈액순환회로에 연통하도록 상기 판상체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포오트, 이들 접속포오트의 일부를 서로 연통하여 형성된 상기 혈액순환회로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연락튜브와 다른 접속포오트에 접속된 외부기능부를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판상체로서는 합성수지의 성형판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판상체에는 혈액순환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 및 요부 및 접속구를 위한 투공(透孔)을 구비시킨다. 이와같은 판상체를 예를들면 평탄한 판상체와 적층함으로써, 양자의 사이에 혈액유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3개의 판상체를 적층함으로써, 혈액회로를 입체적으로 구성한다. 이것이 본 발명에 있어의 중요한 특징이다. 즉, 이와같이 입체적으로 혈액회로를 집적함으로써, 혈액회로가 평면적으로 밖에 집적되지 않았던 종래의 장치보다도 더 복잡한 혈액회로를 집적화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와 같이 하여서 집적형성되는 혈액순환회로에는 혈액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필터를 수납하는 케이싱이 포함된다. 이 케이싱에 수납되는 필터로서는, 일반적으로 구멍직경 0.005∼20μm의 미세 다공질막이 사용된다. 회로의 복잡한 2중 여과법 또는 단침식 혈액 재순환 혈장 채취법에 적용할 경우에는, 구멍 직경 O.1∼1μm의 것이 사용된다. 또 중공사형 및 평막적층형의 어느것의 필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런나, 포팅(potting) 조작(구멍 끼움)을 필요로하는 중공사형 필터보다도, 평막적층형 필터의 쪽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하여서 집적형성되는 혈액순환회로에는, 버블트랩, 압력 모니터회로, 혈액 또는 생리식염수등의 액면을 검출하기 위한 액면 검출부, 액체중의 헤모글로빈을 검출하기 위한 용혈검출부 혈액저류 용기, 혈액 또는 혈액 성분을 샘플링하기 위한 채취구 등을 포함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 2 이상의 접속포오트를 상호 연락하는 연락튜브로서는, 일반적으로 연질의 것이 사용된다. 이 연락튜브는 로울러 펌프나 회로크럼프등의 외부장치에 세팅시킴으로써, 펌프튜브 또는 회로폐색부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로울러 펌프나 회로크럼프등을 적층된 상기 판상체가 일체로 장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접속 포오프에 접속되는 외부기능부로서는, 예를들면 다음의 것을 들수 있다.
(a) 채혈용의 침 또는 카테테르 등을 포함한 채혈라인
(b) 인체에 혈액을 반환하는 반혈라인
(c) 체혈후의 혈액에 ACD(acid citrate dextrose) CPD(citrare phosphate dextrose) 헤파린 또는 메실산가 벡세이트(mesyl acid cachexate) 등의 항응고제를 혼입하기 위한 항응고제 혼입라인
(d) 체외 순환회로내의 각부의 압력을 모니터 하기위한 압력 모니터 포오트 접속라인
(e) 체외 순환회로의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생리식염수 용기 접속라인
(f) 항응고제 용기와 접속하기 위한 항응고제 용기 접속라인
(g)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혈액성분, 예를들면 혈장, 다혈소 판혈장 등을 저류하는 용기를 접속하기 위한 혈액성분 채취라인
(h) 구연산계 약제사용시의 칼슘제, 혈장 교환시의 신선 동결혈장 또는 알부민제제등의 약액용기에 접속하기 위한 약액용기 접속라인과 같이,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각종의 라인
(i) 채혈된 혈액 또는 필터로 처리된 혈액을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혈액저류 용기
(j) 회로세정액 또는 혈액 프라이밍액 등을 배출하기 위한 폐액저류 용기
(k) 필터로부터 분리된 핍(乏) 담백혈장 또는 2중 여과법에 의하여 분리된 부(富) 고분자량 담백혈장 등의 혈액성분을 배출하기 위한 혈액성분 폐액용기, 기타의 각종용기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혈액성분 분리장치는, 필터기구를 조입한 소정의 혈액회로를 입체적으로 집적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술에서는 대응이 곤란하였던 복잡한 혈액회로를 집적화하여서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이 집적된 혈액회로에 외부 접속포오트를 형성하였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외부기능부를 접속할 수가 있다. 따라서, 2중 여과법 또는 단침식 혈액 재순환 혈장 채취법 등을 실시하기 위한 혈액성분 분리장치와 같이, 복잡한 체외순환회로를 필요로하는 장치에 대하여도, 조립을 위한 번잡한 조작을 불필요하며, 회로접속의 착오를 없앨 수가 있다.
또, 각종 기능부도 포함하여, 혈액회로를 고도로 집적화함으로써, 프라이밍 조작에 사용하는 액체의 사용량도, 종래에 비교하여서 적게되는 등, 여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뿐아니라, 종래의 장치에서는, 개개의 부품을 각각 독립적으로 멸균하고 조작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주요부분이 일체로 집적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수가 적고, 멸균조작의 간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종래의 장치에서는 멸균한 부품을 조립하고 있는 동안에 잡균이 부착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멸균후의 조립이 간략하므로, 잡균의 부착도 회피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도∼제9도는, 단침식 혈액 재순환 혈장 분리장치에 적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는 그 전체적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6도는 제1도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2도∼제5도 및 제9도는 그 각 구성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 1은 그 내부에 혈액회로 및 버블트랩을 집적하고, 그리고 필터부를 일체로 조입한 적층체이다. 이 적층체 1은, 제2도에 나타낸 제1의 판상체 2, 제3도에 나타낸 제2의 판상체 3, 제5도(a),(b)에 나타낸 제3의 판상체 5, 제4도(a),(b)에 나타낸 제4의 판상체 4로써 되고, 이들을 적층한 4층구조를 갖고 있다. (제6도 참조). 그리고, 제2도의 Ⅶ-Ⅶ에 따른 단면도, Ⅷ-Ⅷ 따른 단면도를 각각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다.
제1의 판상체 2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접속포오트 29∼42, 44∼59가 투공 또는 요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적속포오트 40,44는 요공). 또 개구부 60이 뚫어 설치되고 요부 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접속포오트 사이 및 요부 접속포오트와 요부 43을 잇는 요홈 a가, 소정의 혈액회로를 구성하는 형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의 판상체로서는, 예를들면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압축성형등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합성수지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체, 폴리스티렌등을 들수 있다.
제2의 판상체 3에는 제1의 판상체 2의 개구부 60, 접속포오트 40,44,52와 중첩하는 위치에 개구부 60a,40a,44a가 뚫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의 판상체 2 및 제2의 판상체 3을 적층하고, 덧붙임으로써 양자의 사이에는, 요홈 a 및 요부 43에 대응한 공극이 형성된다. 요홈 a는 혈액회로를 구성하고, 요부 43은 버블 트랩을 구성한다. 또 개구부 40a,44a는, 제3의 판상체 5 및 제4의 판상체 4로 형성되는 혈액회로와의 사이의 접속포오트로 된다. 개구부 60,60a 부분은, 제11도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같이, 예를들면 회로크램프를 조입하기 위한 투공으로 된다.
이 제2의 판상체 3으로서는, 전기 제1의 판상체와 같이, 의료용의 합성수지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의 합성수지로서는, 예를들면 고주파 융착, 초음파 융착, 용제, 접착제 등의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1의 판상체에 대하여 접착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이와같은 합성수지의 예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제, 들리스티 렌, 에 틸렌-비 닐 아제테 이트 공중함제, 들리우례 탄, 함성고우 실 리큰 고무등을 을수 있다.
제5도(a)는 제3의 판상체의 평면도이며, 동도(b)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3의 판상체 5는, 연부에 프런지 5a를 갖는 접시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그 저부에는, 접속포오트 64∼67이 천설되어 있다. 이들 접속포오트는, 제1의 판상체 2의 접속포오트 40,44,52,53과 각각 접속한다. 그리고 이 제4의 판상체 4는, 제1의 판상체 2와 같은 합성수지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제4도는 (a)는 제4도의 판상체의 평면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판상체 4는 원판상을 하고 있다. 이 제4의 판상체 4는, 제3의 판상체 5의 프런지면 5a에 덧붙인다. 그리고, 이제4의 판상체 4는, 제2의 판상체 3과 같은 합성수지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제3 및 제4의 판상체 5,4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제9도(a),(b)에 나타낸 평막적층형 필터 62가 수용된다. 제9도(a)는 평면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이 필터 62는 도시한 바와같이, 유체유로 62a를 형성한 미세다공막 62b를 다수적층한 것이다. 이리하여, 필터부를 포함한 혈액회로가 입체적으로 구성되게 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포오트 29,41의 사이, 접속포오트 55,57의 사이, 접속포오트 58,59 사이, 접속포오트 36,37의 사이는 각각 펌프튜브 23,26,27,28을 통하여 접속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부분은 제1 및 제2의 판상체 2,3 모두 절결되어 있다. 이 절결부에는, 제10도에 나타낸 로울러 펌프가 조입된다.
제10도에 있어, 113은 튜브고정부재이다. 이 고정부재 113은, 원호상의 고정면 113a을 갖고 있으며, 펌프튜브 27은 이 고정면에 따라서 고정된다. 고정면 113a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3개의 로울러 114a를 갖는 회전자 114가 배치된다. 회전자 114는 로울러 114a를 펌프튜브 27에 압부하여서 소정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혈액들의 액체를 소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포오트 45,47의 사이, 접속포오트 46,48의 사이는 각각 접속튜브 24,25를 통하여 접속된다. 이 부분에는 기술한 바와같이, 개구부 60,60a에 의한 투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부에는 제11도에 나타낸 회로크럼프가 조입된다. 도시한 바와같이, 여기에 조입되는 회로크럼프는 고정부재 111과, 도시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고정부재 111의 표면에 대하여 직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압압부재 112로써 되어 있다. 접속튜브 25는 고정부재 111의 표면에 고정되고, 도면중 압압부재 112로 압압됨으로써 유로가 폐색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회로크럼프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1의 판상체에 형성된 다른 접속포오트는 기술한 바와같은 여러가지의 외부기능부와 접속된다. 예를들면, 접속포오트 78,79에는 혈액전류 용기 69가 접속되어 있다. 혈액전류 용기 69로서는 염화비닐제의 백을 사용하여 이를 도시한 바와같이 적층제상에 재치하였다. 접속포오트 30은 라인 71을 통하여 ACD 용기 21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프오트 31은, 라인 72 및 밸브 72a를 통하여 생리식염액 용기 22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포오트 32는 라인 74를 통하여 정맥압 모니터 8a에, 접속포오트 33은 라인 75를 통하여 출구압 모니터 8b에, 접속포오트 34는 라인 76을 통하여 입구압 모니터 8c에, 접속포오트 35는 라인 77을 통하여 혈장압모니터 8d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포오트 42는 ACD 혼입라인 9에, 접속포오트 51은 반혈라인 10에, 접속포오트 54는 채혈라인 12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반혈라인 10에는 밸브 10a가, 채혈라인 12에는 밸브 1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속포오트 49는 라인 20을 통하여 폐액용기 19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포오트 39는 혈장라인 14에 접속되고, 또한 밸브 15,16을 통하여 혈장폐액 용기 17 및 혈장채취 용기 18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포오트 50 및 56분 각각 연락튜브 78,79을 통하여 혈액전류 용기 69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 62을 적층 제1에 조입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3의 판상체 5 및 제4의 판상체 4 대신에, 혈액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 122, 필터 하우징을 위한 요부 129, 접속포오트 126,127,128을 형성한 판상체 12l올 사용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이 판상체 121을 제2의 판상체 3의 위에 직접 첨착함으로써, 혈액회로 122 및 필터 하우징 129가 형성된다. 이 하우징 129내에 필터 62를 수납하고, 접속포오트 126,127 사이를 연락튜브 124로 접속한다. 또 접속포오트 128은 연락튜브 125를 사용하여 다른 접속포오트에 접속된다. 이로써, 필터부를 포함한 혈액회로를 제1 및 제2의 판상체 3,4에 의하며 형성된 혈액회로의 위에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제1도에서 설명한 혈액전류 용기 69를 일체로 집적할 수도 있다. 당연하지만, 제12도의 경우, 제2의 판상체 3에 형성하는 접속포오트는 제3도의 경우와는 달라진다.
다음에, 제1도의 실시예의 혈액성분 분리장치를 사용하여, 혈액으로부터 혈장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프라이밍 세정, 혈액프라이밍, 채장 및 세정반혈순으로 행한다.
프라이밍 세정
먼저 밸브 72a,12a를 열음으로써, 라인 72 접속구 31,54 시간의 라인 및 라인 12에 생리식염수를 채운다. 다음에, 밸브 12a 연락튜브 25를 폐색하고, 연락튜브 26의 로울러 펌프를 회전시킴으로써, 접속포오트 54,55 사이 접속포오트 57,50 사이의 라인을 사용하여 혈액저류 용기 69내에 생리식염수를 도입한다. 동시에 밸브 10a를 열고, 연락튜브 24를 폐색한 상태에서, 연락 튜브 27의 로울러 펌프를 회전시킨다. 그 송액속도는 연락튜브 26의 로울러 펌프와 같게한다. 이로써, 접속포오트 56,58 사이, 접속포오트 59,53 사이의 라인을 사용하여 분리 필터 62에 생리식염수릍 도입한다. 또한 접속포오트 44,51 사이의 라인(밸브 트랩 43을 포함한다) 및 라인 10을 사용하여 필터 62의 프라이밍을 행한다.
이어서, 밸브 15를 열고, 밸브 16을 닫은 상태에서 연락튜브 28의 로울러 펌프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접속포오트 52,40,36,37,38,39를 잇는 라인을 사용하고, 필터 62로부터 여과된 생리식염수를 폐액하여 필터여액축피로의 프라이밍을 행한다.
마지막에 ACD 용기 21에 연계된 라인 71 접속포오트 30,29,41,42 사이를 잇는 라인 및 라인 9로 구성된 ACD 라인의 프라이밍을 행한다. 이는 밸브 72a,10a 및 연락튜브 25를 닫고, 연락튜브 26,27,28의 로울러 펌프를 정지한 상태에서, 연락튜브 23의 로울러 펌프를 회전시킴으로써 행한다. ACD 라인의 프라이밍 종료후, 연락튜브 23의 로울러 펌프를 정지한다.
혈액프라이밍
채혈침을 공혈자의 정맥에 천자한다. 이어서, 밸브 12a,15 및 연락튜브 24를 개방하고, 연락튜브 26,27의 로울러 펌프를 송액 속도 50ml/분으로 각각 회전시킨다. 이로써 회로에 혈액이 채워짐과 동시에 채혈된 혈액은 혈액 전류용기 69내에 전류된다.
이와동시에, 연락튜브 28의 로울러 펌프를 송액속도 10ml/분으로 회전시켜서, 연락튜브 23의 로울러 펌프를 회전시킨다. 통상, 연락튜브 23의 로울러 펌프의 회전속도는 연락튜브 26의 로울러 펌프의 회전속도의 10분의 1 즉, 송액속도 5ml/분으로 한다. 이로써, 채혈된 혈액중에 ACD액을 혼입한다.
2분후에 연락튜브 24를 닫고, 연락튜브 25를 연다. 다시 1분후, 연락투브 23,26의 호울러 펌프를 정지하고, 연락 튜브 27의 로울러 펌프의 회전속도를 송액속도 75ml/분까지 상승시킨다. 동시에, 밸브 12a을 열고, 연락튜브 25을 닫음으로써, 혈액저류 용기 69내의 혈액을 필터 62을 통하여 혈액공급자에 반혈한다. 혈액저류 용기 69내의 혈액을 필터 62을 통하여 혈액공급자에 반혈한다. 혈액저류 용기 69내의 혈액이 없어을때, 밸브 10a,15을 닫고, 연락튜브 25 및 밸브 16을 열어서 채장조작으로 이행한다.
채장
혈액프라이밍에 이어서, 채혈 및 혈액 재순환에 의한 채장을 행한다.
먼저, 연락튜브 23,26의 로울러 펌프를 각각 5ml/분, 50ml/분의 송액속도로 회전시키고, 또 연락튜브 27의 로울러 펌프를 75ml/분의 송액속도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혈액공급자로부터 채혈된 혈액은 필터 62를 통하고, 여기서 채장된 후에 혈액저류 용기 69내에 저류된다. 저류된 혈액은, 채혈된 새로운 혈액과 함께 필터 62에 제순환되어, 채장이 반복된다. 필터 62로부터의 영액, 즉 채장된 혈장은 혈창채취 용기 18내에 저류된다. 그리고, 채혈동안, 연락튜브 28의 로울러 펌프는 13ml/분의 송액속도로 회전시킨다.
1회의 채장사이클은 25∼250ml의 소정량의 혈액이 채혈된 시점에서 종료한다. 이는, 연락튜브 23,26의 로울러 펌프를 정지하고, 밸브 10a를 열고, 연락튜브 25를 닫음으로써 행한다. 이어서 반혈로 이행하고, 혈액저류 용기 69내의 혈액이 없어질때까지 반혈사이클을 실시한다. 이 사이, 연락튜브 28의 로울러 펌프는 13m1/분의 송액속도로 회전시킨다.
혈장채취 용기 18내의 혈장량이 400∼500ml의 소정량에 달할때까지, 채장사이클과 반혈사이클을 반복한다. 채장량이 소정량에 달하면, 모든 로울러 펌프를 정지하고, 밸브 16를 닫는다.
세정반혈
밸브 12a를 닫고, 밸브 72a를 연다. 연락튜브 26,27의 로울러 펌프를 50ml/분의 송액속도로 1분간 회전시킴으로써, 회로중의 혈액을 혈액공급자에 반혈한다.
다음에, 연락튜브 27의 로울러 펌프를 정지하고, 연락튜브 26의 로울러 펌프를 50ml/분의 송액속도로 1분간 회전시킴으로써, 혈액저류 용기 69내에 생리식염수를 저류한다.
다음에, 밸브 72a를 닫고, 밸브 12a를 연다. 이 상태에서 연락튜브 26의 로울러 펌프를 50ml/분의 송액속도로 1분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라인 12를 세정한다.
다음에 밸브 10a,12a를 닫는다. 이 상태에서 연락튜브 27의 로울러 펌프를 50ml/분의 송액속도로 10초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라인 88 연락튜브 25, 접속포오트 48,49 사이의 라인을 세정한다.
다음에, 연락튜브 25를 닫고, 밸브 72a,10a를 연다. 이 상태에서, 연락튜브 26,27의 로울러 펌프를 각각 50ml/분의 송액속도로 1분간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필터 62를 세정한다.
마지막으로, 채혈침을 혈액공급자로 부터 빼고, 혈장채취의 조작을 종료한다.
본 발명은, 혈액성분을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혈액성분 분리가 포함하여 혈액순환회로를 집적화하고, 일체화한 혈액성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혈액성분 분리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2도 및 제3도, 각각 제1도의 혈액성분 분리장치의 구성부품을 나타낸 평면도.
제4도(a),(b) 및 제5도(a),(b)는, 각각 제1도의 혈액성분 분리장치의 다른 구성부품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1도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제2도의 Ⅶ-Ⅶ선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제9도(a),(b)는, 혈액성분 분리 필터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로울러 크럼프의 설명도.
제11도는, 혈액회로 크럼프를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Claims (24)

  1. 서로 적층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판상체와 이들 판상체의 사이에 적어도 2층 이상으로 적층하여서 형성된 혈액순환회로와, 이들 혈액유로의 일부로서 형성된 필터하우징과, 이 필터 하우징내에 장착된 혈액성분 분리용의 필터와 상기 혈액순환회로에 연통하도록 상기 판상체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포오트와, 이들 접속포오트의 일부를 서로 연통하여서 형성된, 상기 혈액순환회로내의 유체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연락튜브와, 다른 접속포오트에 접속된 외부 기능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에 영향이 없는 위치에 상기 적층된 적어도 3개 이상의 판상체를 관통하여서 형성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연락튜브가 이 개구부를 가로질리서 배설됨과 동시얘 이 연락튜브의 폐색 및 개방을 제어하기 위한 크럼프부재가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에 영향이 없는 주연부에 있어, 상기 적층된 적어도 3개이상의 판상체를 관통하여서 형성된 절결부를 갖고, 상기 연락튜브가 이 절결부를 가로질리서 배설됨과 동시에 이 연락튜브가 장착되는 로울러 펌프를 상기 절결부에 장착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성분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가 밸브 트랩을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5.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가 압력 모니터 회로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가 회로 폐색우위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7.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가 필터기구 하우징부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8.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가 액면 검출부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9.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가 용혈 검출부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가 혈액전류 용기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순환회로가 샘플채취구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탈혈(脫血) 라인을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판혈라인을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항응고제 혼입라인을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압력 모니터 포오트 접속라인을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생리식염수 용기 접속라인을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항응고제 용기 접속라인을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혈액성분 채취용기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혈액전류 용기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혈액성분 배출용기를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21. 제1항에 있어, 상기 외부기능부가 약액 용기 접속라인을 포함한 혈액성분 분리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튜브가 로울러 펌프에 세트할 수 있는 펌프튜브인 혈액성분 분리장치.
  23. 제1항에 있어, 상기 연락튜브가 외부의 튜브 폐색장치에 세트되어 회로폐색부위로 되는 혈액성분 분리장치.
  24. 제1항에 있어, 상기 혈액성분 분리용의 필터가 평막적층형 필터인 혈액성분 분리장치.
KR1019890700337A 1987-06-25 1988-06-25 혈액성분 분리장치 KR910002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58141A JPH01124467A (ja) 1987-06-25 1987-06-25 血液成分分離器
JP62-158141 1987-06-25
PCT/JP1988/000633 WO1988010125A1 (en) 1987-06-25 1988-06-25 Blood component sepa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146A KR890701146A (ko) 1989-12-19
KR910002208B1 true KR910002208B1 (ko) 1991-04-08

Family

ID=1566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337A KR910002208B1 (ko) 1987-06-25 1988-06-25 혈액성분 분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74894A (ko)
EP (1) EP0372074B1 (ko)
JP (1) JPH01124467A (ko)
KR (1) KR910002208B1 (ko)
AU (1) AU610205B2 (ko)
DE (1) DE3851333T2 (ko)
WO (1) WO19880101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056B1 (ko) * 2009-05-15 2013-11-19 인터페이스 바이오로직스 인크. 항혈전성 중공 섬유막 및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74692B2 (en) * 1992-07-13 1997-01-09 Haemonetics Puerto Rico, Llc Automatic processing of biological fluids such as whole bloodpacked red cells, platelet concentrate & plasma
US5441636A (en) * 1993-02-12 1995-08-15 Cobe Laboratories, Inc. Integrated blood treatment fluid module
AU678537B2 (en) * 1993-09-14 1997-05-29 Baxter International Inc. Medical container port
US5591337A (en) * 1993-09-14 1997-01-07 Baxter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filtering leukocytes from blood cells
US5733253A (en) * 1994-10-13 1998-03-31 Transfusion Technologies Corporation Fluid separation system
US7332125B2 (en) 1994-10-13 2008-02-19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lood
US5651766A (en) * 1995-06-07 1997-07-29 Transfusion Technologies Corporation Blood collection and separation system
US6632191B1 (en) 1994-10-13 2003-10-14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blood components
US5795317A (en) 1995-06-07 1998-08-18 Cobe Laboratories,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US5676644A (en) 1995-06-07 1997-10-14 Cobe Laboratories,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WO1998022165A1 (en) * 1996-11-22 1998-05-28 Therakos, Inc. Integrated cassette for controlling fluid having an integral filter
US6200287B1 (en) 1997-09-05 2001-03-13 Gambro,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US6296602B1 (en) 1999-03-17 2001-10-02 Transfusion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for collecting platelets and other blood components from whole blood
US6526357B1 (en) 1999-08-09 2003-02-25 Gambro, Inc. Associated parameter measuring and/or monitoring such as in the evaluation of pressure differences
US6899691B2 (en) 1999-12-22 2005-05-31 Gambro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US7169352B1 (en) 1999-12-22 2007-01-30 Gambro,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US7608053B2 (en) * 2000-01-10 2009-10-27 Caridianbct,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methods with return-flow alarm
WO2001066172A2 (en) 2000-03-09 2001-09-13 Gambro, Inc.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7704454B1 (en) * 2003-10-08 2010-04-27 Caridianbct,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cessing blood
EP1950568B1 (en) * 2005-10-05 2017-08-09 Nikkiso Company Limited Biological component measuring unit
US8702637B2 (en) 2008-04-14 2014-04-22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heresis draw and return
US8454548B2 (en) 2008-04-14 2013-06-04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lasma reduced platelet collection
US8628489B2 (en) 2008-04-14 2014-01-14 Haemonetics Corporation Three-line apheresis system and method
US8834402B2 (en) 2009-03-12 2014-09-16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anticoagulation of platelet rich plasma
US9034280B2 (en) 2009-12-16 2015-05-19 General Electric Corporation High-throughput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biological materials
EP2881127B1 (en) 2010-11-05 2017-01-04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latelet wash
US9302042B2 (en) 2010-12-30 2016-04-05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platelets and anticipating plasma return
US11386993B2 (en) 2011-05-18 2022-07-12 Fenwal, Inc. Plasma collection with remote programming
US10758652B2 (en) 2017-05-30 2020-09-01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plasma
US10792416B2 (en) 2017-05-30 2020-10-06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plasma
HUE056564T2 (hu) 2018-05-21 2022-02-28 Fenwal Inc Rendszerek plazmagyûjtõ térfogatok optimalizálására
US11412967B2 (en) 2018-05-21 2022-08-16 Fenw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sma col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0803A (en) * 1968-12-24 1970-07-21 Ionics Membrane fluid separation apparatus and process
US3774762A (en) * 1971-01-20 1973-11-27 E Lichtenstein Analogue fluid flow programming structures
US3946731A (en) * 1971-01-20 1976-03-30 Lichtenstein Eric Stefan Apparatus for extracorporeal treatment of blood
US3912455A (en) * 1971-01-20 1975-10-14 Lichtenstein Eric Stefan Apparatus for clinical laboratory sample collection and automatic sample processing
JPS49130091A (ko) * 1973-04-17 1974-12-12
IE40006B1 (en) * 1973-09-07 1979-02-14 Lichtenstein Eric Stefan Automated apparatus for monitoring of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control of fluid therapy including extracorporealcirculation of blood
US4436620A (en) * 1977-05-09 1984-03-1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Integral hydraulic circuit for hemodialysis apparatus
IL64001A0 (en) * 1981-10-06 1982-01-31 Elmar Medical Systems Ltd Blood treatment system
US4479762A (en) * 1982-12-28 1984-10-3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Prepackaged fluid processing module having pump and valve elements operable in response to applied pressures
EP0129554B1 (en) * 1982-12-28 1988-12-07 BAXTER INTERNATIONAL INC. (a Delaware corporation) Prepackaged fluid processing module having pump and valve elements operable in response to applied pressures
US4610781A (en) * 1983-12-30 1986-09-09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Fluid processing system with flow control manifold
JPS60190967A (ja) * 1984-03-12 1985-09-28 旭メデイカル株式会社 血液回路用ユニツト
US4661246A (en) * 1984-10-01 1987-04-28 Ash Medical Systems, Inc. Dialysis instrument with dialysate side pump for moving body fluids
JPS61113461A (ja) * 1984-11-06 1986-05-31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血液成分処理用の回路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056B1 (ko) * 2009-05-15 2013-11-19 인터페이스 바이오로직스 인크. 항혈전성 중공 섬유막 및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0205B2 (en) 1991-05-16
EP0372074B1 (en) 1994-08-31
JPH01124467A (ja) 1989-05-17
DE3851333D1 (de) 1994-10-06
EP0372074A1 (en) 1990-06-13
DE3851333T2 (de) 1995-03-09
US5174894A (en) 1992-12-29
AU1955788A (en) 1989-01-19
KR890701146A (ko) 1989-12-19
WO1988010125A1 (en) 1988-12-29
EP0372074A4 (en) 1990-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208B1 (ko) 혈액성분 분리장치
US20210001033A1 (en) Priming System and Method for Dialysis Systems
JP6810233B2 (ja) クロスフローろ過装置
EP1251922B1 (en) Cassette with integral separation device
JP4861649B2 (ja) 血液成分採取回路および血液成分採取装置
EP3511034B1 (en)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system for conducting hemodialysis and hemofiltration
JP4848143B2 (ja) 血液成分採取装置
JPH03502647A (ja) 血液浄化装置
EP0952857A1 (en) Integrated cassette for controlling fluid having an integral filter
AU2019271940B2 (en) Priming System And Method For Dialysis Systems
JP3487609B2 (ja) 血液処理装置
JP2007319542A (ja) 血球製剤処理装置および血球製剤処理回路
JP6636624B2 (ja) 流体処理および回路配列、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H07265407A (ja) 細胞分離器具および細胞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