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158B1 - 음식물 조리용 오븐 - Google Patents

음식물 조리용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158B1
KR910002158B1 KR1019880000046A KR880000046A KR910002158B1 KR 910002158 B1 KR910002158 B1 KR 910002158B1 KR 1019880000046 A KR1019880000046 A KR 1019880000046A KR 880000046 A KR880000046 A KR 880000046A KR 910002158 B1 KR910002158 B1 KR 91000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food
ove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192A (ko
Inventor
시. 헹크 미첼
에스. 니일레이 캐롤
제이. 리 에피
에스. 카민스키 다니엘
Original Assignee
린컨 푸드서비스 프토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시. 헤이트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컨 푸드서비스 프토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시. 헤이트하우스 filed Critical 린컨 푸드서비스 프토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1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24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 A21B1/245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with a plurality of air nozzles to obtain an impingement effect on the food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5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endless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식물 조리용 오븐
제1도는 본 발명에의한 오븐의 투시도.
제2도는 제1도 2-2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의한 복사 판넬과 닥트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의한 복사 판넬과 닥트 조립체의 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 5-5선 단면도.
제6도는 복사 판넬로부터 음식물까지 이르는 가열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의한 복사 판넬의 평면도.
제8도는 복사 판넬과 삽입관 조립체의 평면도.
제9도는 복사 판넬과 삽입판 조립체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캐비넷 조립게 50 : 컨베이어 조립체
60 : 상부 판넬 84 : 컨베이어 벨트
88 : 음식물 90 : 가열실
92 : 플레넘 104 : 통공
108 : 핑거 닥트 122 : 노즐
126 : 회전 날개 132 : 칼라
134 : 열원 136 : 송풍기
140 : 복사 판넬 닥트 141 : 주 닥트
142 : 양측판 146 : 주 닥트 챔버
148 : 복사 판넬 152 : 복사 판넬 외저면
154 : 구멍 156 : 삽입판 조립체
160 : 구멍 162 : 완층판
166 : 수직부 168 : 중앙 통기로
174 : 간주 176 : 복사판넬 내저면
180 : 제2챔버 186 : 편류판
196 : 복사 판넬 저벽
본 발명은 이동하는 공기의 기류에의하여 가열된다음 복사 에너지를 음식물에 공급하도록 된 복사 판넬을 포함하는 음식물 가열 또는 조리용 오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면은 1차 열에너지 투입량으로 가열되고 다른 면은 1차 열에너지 투입량보다 큰 2차 열에너지 투입량으로 가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오븐에 관계되는 것이다.
식당이나 음식 제조업체, 특히 간이 식당에서는 피자와같은 특정 식품을 만드는 속도가 대단히 주요시된다. 식당 주인이나 고객은 음식물이 짧은 시간내에 조리되면서도 맛이 있는 음식을 바라게된다. 어떤 종류의 음식물은 한쪽면에 투입되는 열에너지가 다른 쪽면에 투입되는 열에너지와 다를 때 더 맛있게 만들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가장 대중적인 음식물인 피자에서 잘 나타난다. 피자는 크러스트, 채소류, 육류 및 치즈로된 필링 및 각종 토핑이 얹혀진 치이즈로 된 표면층을 갖고 있다. 피자의 표면은 한정된 양이 열에너지가 투입되어 치이즈가 녹아서 구어진 다음 약간 갈색의 유백색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크러스트 또는 피자의 저면은 갈색으로 되어야 한다. 인기있는 피자제품으로서 "닢 디쉬" 또는 "스타프 피자"라는 것이 있는바, 이러한 피자는 보통 피자보다 두께가 두꺼우므로 보다 많은 열에너지를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표면층에 다량의 열이 공급되면 치이즈를 태우고 얇게 썬 양파를 그슬리므로 피자의 표면층에 가하여지는 열에너지는 피자의 하부가 가하여지는 열에너지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피자 제품, 특히 두꺼운 피자 제품은 표면층으로 투입되는 열에너지의 양이 피자 저면으로부터 가하여지는 열에너지의 양보다 적게할 필요가 있다.
다른 음식물들도 상면과 저면에 열 에너지를 달리하여 조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시이트 케이크를 구을때는 반죽을 상면이 개방된 금속 팬위에 올려 놓는 것이 보통이다. 반죽에 가하여지는 열에너지는 케이크가 팬의 한쪽에서 너무 일찍 구어지지 않으면서 반죽이 흩어져 익지 않은 부분이 생기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피자와 같은 음식물을 성공적으로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가 미국 특허 제 4,154,86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미국 특허에는 피자를 담고 있는 팬이 놓여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오븐내의 공간부로 이동시키는 가열 공기충돌 방법이 공개되었다. 가열공기의 원주상 기류가 피자의 특정 부위에 직사되어 피자를 익힘과 동시에 조리과정에서 나오는 수분과 기타의 입자들을 제거시킨다. 이 방법과 여기에 사용되는 오븐은 피자를 굽는데 수년동안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오븐을 스타프형 피자나 연약한 토핑을 가는 피자를 굽는데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자의 상면이 타는데도 크러스트와 피자내부는 익지 않을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4,462,383호에는 한쌍의 닥트 핑거가 장설된 음식물 조리용 충돌식 오븐이 공개되었는바, 여기에서 사용된 각개 핑거는 뜨거운 공기가 닥트 핑거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놓여있는 음식물에 충돌되도록 주상으로 분출되게하는 분사판을 갖고 있다. 음식물은 닥트 핑거들 사이의 공간부를 통하여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위에 놓여져 이동하면서 조리된다.
전술한 충돌식 오븐의 온도는 피자와같은 음식물의 경우 표면을 태우지 않으면서도 요구하는 시간내에 음식물의 내부가 구어지고 익을 정도로 충분히 낮아야 한다. 따라서 두꺼운 피자와 같은 음식물을 조리할때는 음식물의 저면에 가하여지는 열에너지가 음식물의 상면에 가하여지는 열에너지보다 높은 충돌식 오븐이 필요하게 된다.
시이트 케이크와같은 특수한 음식물의 경우에는 통상적인 충돌식 오븐을 사용하면 균일하게 익지 않는 경우가 나타난다. 반죽을 넣은 팬이 컨베이어에의하여 오븐 속으로 이동하면 반죽의 선단부가 고온 공기의 주상기류에 접촉하여 반죽이 익음과 동시에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러한 익은 반죽의 부풀음은 팬의 후미 부분에있는 반죽이 익지 않도록 반죽이 흩어지게 하므로 후미부분보다 얇은 선단부분을 가는 덜 익은 케이크가 얻어진다.
미국 특허 제 4,59l,333호에는 컨베이어 위에 설치되어 적외선 방사에의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게된 방사판넬을 포함하는 공지의 오븐이 공개되었다. 이러한 적외선 방사는 컨베이어 하방에 설치된 충돌식 핑거 닥트로부터 음식물에 직접 가하여지는 주상 충돌 공기류에의한 열량보다 적은 열량이 음식물에 가하여진다. 전술한 미국특허 제 4,591,333호에 기술된 오븐의 일예에서는 통상적인 충돌식 닥트 핑거들이 음식물의 측방과 상부로 충돌 공기를 굴절 시키는 열전도성 에너기 복사판으로 차단되었다. 이 에너지 복사판은 외측에 방사 표면을 갖고 있으며 판넬이 가열되면 방사 표면이 적외선 에너지를 음식물 쪽으로 향하여 방사하도록 되었다. 두번째 예에서는 닥트 핑거의 구멍 뚫린 저면한이 가압된 공기를 닥트에서 배출시켜 플레넘으로 순환시키게 된 모서리측 구멍을 갖는 고정 방사형 복사 판넬로 교체 되었다.
비록 미국 특허 제 4,59l,333호에 기재된 오븐이 음식물의 저면에 가하여지는 열에너지보다 낮은 열에너지를 음식물의 상면에 가한다는 점에서는 성공적이지만 개선할 점이 많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예를들면 상부 복사 판넬 닥트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통상적인 충돌식 오븐의 경우와는 달리 하향되지 않고 상향 배출되므로뜨거운 공기가 오븐 내부의 상층부에 모여 오븐 내부 상층부의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더구나 복사판넬은 닥트 핑거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복사 판넬이 닥트 핑거와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열 팽창율의 차이로 인하여 복사 판넬이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닥트 핑거가 통상적인 음식 가공 장치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지고 복사 판넬이 열전도성의 양극화된 알미늄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닥트 핑거와 닥트 판넬의 열팽창율이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예에의하면 개량된 음식물 조리용 오븐에 의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일면에대한 열에너지의 투입이 다른 면보다 적어야하는 오븐에 유용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은 음식물과 음식물 지지용 표면을 수장하는 동체 및 다량의 열에너지를 음식물의 저면에 투입하고 그보다 적은 열에너지를 음식물의 상면에 투입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음식물의 상면과 저면에 종래의 충돌식 오븐의 경우보다 적은 량의 열에너지를 투입할 필요가 있는 오븐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음식물의 하방에 설치된 다수의 충돌식 닥트와 음식물의 상방에 설치된 다수의 복사 판넬을 갖고 있는바, 대류 판넬에의하여 복사 에너지와 대류 공기가 음식물의 상면을 향하여 투입되도록 되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형태에서는 공기의 충돌식구상 흐름이 오븐내를 이동하는 음식물 조면의 특정 부위에 전달되는 반면 음식물의 상면은 방사된 적외선 복사열과 단속적인 공기 흐름에 의하여 가열 되게된다.
본 발명에의한 복사 판넬은 열 전도성 벽을 가는 내부가열실을 구성하는바, 이 열전도성 벽을 휩쓸고 지나가는 가열 공기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음식물 쪽으로 향한 벽의 타측면은 고도의 열 방사성으로 되어 있어서 음식물 쪽으로 복사열을 방사한다. 예를들면 방사성 표면은 흑색 양극화 표면일수 있다. 가열공기는 구멍이 없는 저벽의 내면을 쓸고 지나간다음 가열실내에 있는 음식물 지지표면 쪽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하여 챔버 밖으로 배출된다. 닥트는 가열 공기가 제한된 와류 현상을 일으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이 챔버내의 구멍을 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가열 공기가 음식물의 표면에 직접 흐르도록 한다. 적당한 예에서는, 가열 공기가 닥트 중앙에서 챔버 속으로 들어가서 전술한 저벽의 구멍 없는 부분을 쓸고 지나간다음 그 방향을 전환하여 음식물 쪽으로 향하여 형성된 챔버의 구명 속으로 들어 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의한 개량된 복사 판넬은 미국 특허 제 4,591,333호에 기재된 종래의 복사 판넬보다 우수한 여러가지 이점을 갖고 있다. 특정 예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음식물을 향하여 복사 판넬로부터 배출되는 가열공기가 하향 배출되므로 가열 공기가 음식물에 접촉한 후 플레넘의 입구속으로 보다 서서히 흡인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가열 공기가 가열상의 상부에 모여 가열실 상부의 온도를 불필요하게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음식물의 상면에 가하여지는 열전도가 적외선 열전도와 대류 공기에의한 연전도에 의하여 보다 균일하게 이루어진다는 이점도 갖게 된다.
닥트 핑거의 비틀리는 현상은 흑색 양극화 알미늄판과 스테인레스 스틸 닥트를 종래와 같이 고착 연결하지 않고 느슨하게 연결하므로서 피할 수 있다. 알미늄판과 스테인레스 스틸간의 간격은 두 부재가 서로 다른 열팽창율로 팽창하는 경우에도 알미늄판이 뒤틀리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음식물과 음식물 지지체가 장설된 챔버를 형성하는 동체와 가열 공기의 이동성 기류를 생성하는 장치를 갖는 음식물 제조 오븐으로 구성된다.
공기의 이동성 기류와 관련하여 챔버내에 설치된 대류 및 복사에너지 닥트의 결합체는 가열 공기의 기류를 순환시키는바, 이 닥트들은 가열 공기가 음식물 지지체위애 놓여 있는 음식물 쪽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체 쪽으로, 향하여 형성된 구멍들을 갖고 있다. 대류 및 복사 에너지 닥트 결합체는 구멍이 없는 표면을 갖는 방사 수단을 포함하는바, 이 방사 수단은 가열 공기의 기류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가열공기의 기류와 접촉하게 되었고 가열 공기의 기류가 구멍 없는 표면을 휩쓸고 지나간 다음에 음식물 쪽으로 열을 복사 시키도록 되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의하면 오븐(8)은 지지대 조립체(10)와 캐비넷 조립체(12)로 구성된다. 지지대 조립체(10)는 용접이나 조립구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지지다리(14)(16)(18)(20)에 고정된 하부 프레임(22)과 하부 프레임(22)에 고정된 받침판(24)을 포함한다. 또한 이 지지대 조립체(10)는 지지다리(14)(16)(18)(20)에 고정된 관상 강재(26)(제2도 참조)와 단열 판넬(28)을 포함한다. 지지대 조립체(10)는 내구성과 청결성때문에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케비넷 조립체(12)는 기산(30)과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된 측벽(34)(36)으로 구성되는바, 기판(30)은 단열 판넬(28)위에 재치되어 스커트(32)에 의하여 단열 판넬에 고정되고 측벽(34)(36)내에는 단열재가 삽설된다(도시하지 않았음). 측벽(34)(36)에는 4각 구멍(46)(48)이 형성되었고 이 구멍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컨베이어 조립체(50)가 관통되게 설치되었다.
캐비넷 조립체(12)의 후부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부 내벽(52)과 후부 외벽(54)로 구성되고 내외벽체 사이에는 단열재(58)가 삽설되었다. 내벽(52)과 외벽(54)은 보울트(56)을 체결하여 보강한다. 또한 캐비넷 조립체(12)는 측멱 부재(34)(36)와 후부 내외벽(52)(54)에 고정된 상부 판넬(60)을 포함한다.
캐비넷 조립체(12)에는 도어 조립체(68)(제2도 참조)가 설치되는바, 이 도어 조립체는 경첩(70)에 의하여 캐비넷 조립체(12)에 연결되고 손잡이(74)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도어(72)로 구성된다. 이 도어(72)에는 도어(72)를 개폐함이 없이 컨베이어 조립체(50)에 음식물을 집어 넣거나 빼내기위한 보조 도어(76)가 형성되었다.
컨베이어 조립체(50)는 양측판(80)(82)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프레임(77)을 포함하는바, 이 컨베이어 조립체(50)는 캐비넷 조립제(12)의 양측 구멍(46)(48)에 걸쳐지게 설치된다. 컨베이어 조립체(50)는 가이드(86)에 지지되어 구동되는 엔드레스 컨베이어 벨트(84)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조럽게(50)는 제1도와 6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캐비넷 조립체(12)내부에 형성된 가열실(90)을 통과하는 음식물(88)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캐비넷 조립체(12)의 후부 벽체에 형성된 절두 원추형 요입부(130)내에서는 회전 날개(126)를 회전시기기 위한 모우터(128)가 착설 되었다. 칼라(132)가 회전 날개(126)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공기를 회전 날개 쪽으로, 유도하도록 되었다. 회전 날개(126)가 회전하면 공기는 낙트 핑거(108)의 뒷쪽으로 흡인된다음 플레넘(92)을 거쳐 통공(104)로 이동한다.
열원(134)는 버어너와 송풍기(136)를 포함하는바, 송풍기는 가스를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공기를 버어너에 공급하고 열이 가스 주입 파이프와 가스 밸브를 통하여 버어너 속으로 전달 되도록 유도한다(도시하지 않았음) 여기에서는 가스 연소식 가열원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열원은 전열로 대치할 수도 있다,
오븐(8)의 구조와 작동은 전술한 특허 문헌에 기재된 오븐에 유사한 것이다. 가열된 공기는 닥트 핑거(108)속으로 유도되어 노즐(122)로 나오면서 컨베이어 벨트(84)위에 놓여 있는 음시울(88)에 원주상으로 분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오븐과는 달리 상부 닥트 핑거가 복사 닥트 판넬로 교체되어 있어서 종래의 닥트 핑거(108)와 부분적으로 유사하면서도 열 에어지가 음식물에 공급되는 방식을 달리하고 있다. 복사 판넬 닥트(140)는 상면판(142)과 삼각형의 양측판(144)로 구성된 스테인레스 스틸제 주 닥트(141)로 구성되고 주 닥트 챔버(146)를 형성한다(제4도 참조).
복사 판넬 닥트(140)의 하부는 플렌지(146)를 형성하도록 L-자형으로 절곡되었다. 복사 판넬 닥트 상면판의 플렌지(146)에는 측벽(149)과 플렌지(150)를 갖는 알미늄 복사 판넬(148)이 미끄러지도록 설치되는바, 복사 판넬(148)의 플렌지(150)가 상면판(142)의 플렌지(146)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복사 판넬(148)은 음식물 지지 컨베이어 벨트(84)쪽으로 향하는 하부 저면(152)를 갖고 있다. 또한 복사판넬(148)은 제7도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장공(154)을 갖고 있는바, 이 장공증도 컨베이어 벨트(84)쪽을 향하고 있다. 장공(154)들은 직경 3/8인치, 길이 3인치로 되게 설치 할 수 있다. 주 닥트(141)내에는 다수의 구멍 또는 다공부(160)가 형성된 U-자형 판(158)을 포함하는 삽입판 조립체(156)가 설치된다(제4,8 및 9도 참조). U-자형 판(158)에는 수평부(164)와 수직부(166)를 갖는 한쌍의 L-자형 완충판(162)이 스폿트 용접 또는 기타의 적당한 방법으로 고착되어 있는바, 수직부(166)는 인접 완층판의 수직부와의 사이에 중앙 통기로(168)가 형성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전기한 롱기로(168)는 삽입판 조립체(156)의 선단부(170)에서 플레임(92)에 고정된 후단부(172)쪽으로 경사진 쐐기 형태로 형성되었다. 완충판(162)의 수직부(166) 하단은 복사판(148)의 내저면(176)에서 떨어진 위치에 놓이도록 하므로서 공기가 통기로(168)로부터 복사 판넬(148)의 내저면(176)과 삽입판 조립체(156)사이에 형성된 제2챔버(180)속으로 흐르도록 하는 한쌍의 종방향 간극 또는 장공(174)가 수직부(166)하단과 복사판 내저면(176)사이에 형성하도록 한다.
제5도에 도시된바에 의하면, 삽입판 조립체(156)의 수직부(166)에는 중앙 통기로(168)로부터 제2챔버(180)로 흐르는 가열 공기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사 판넬 닥트 조립체(140)의 전방과 후방 위치에 절취부(182)(184)를 형성한다. 또한, 가열된 공기가 중앙 통기로(168)의 전방과 후방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닥트 핑거(108)에 사용된 것과 같은 편류판(186)을 설치할 수도 있다. 더구나 제5도에의하면 복사 판넬(148)의 선단(188)은 닥트(140)의 후단(190)을 감싸는 절곡펀(190)을 갖고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닥트(140), 복사 판넬(148) 및 삽입판 조립체(156)는 미끄러질수 있도록 설치되었다. 이러한 구성은 청소하기 위하여 부품들을 해체하기가 편할 뿐아니라 열팽창율이 상이한 스테인레스 스틸제 닥트(141)와 알미늄 복사 판넬(148)이 열팽창시 일어날수 있는 마찰을 방지하는 간극을 제공하는 의미가 있다.
복사 판넬(148)의 저벽(196) 저면(152)는 흑색 방사면과 0.070인치의 두께를 갖는 경질 피복 양극화 알미늄이다. 양극화 처리된 피복층은 그 색상이 흑색이므로 판넬(148)의 저벽(196)은 우수한 열 흡수 및 반사용 "흑체"로 작용한다. 양극화 처리는 황산 처리 양극화 타잎III하드 코트로 이루어 진다.
복사 판넬 닥트(140)는 핑거 닥트(108)과 마찬가지로 플레넘(92)에 연결되고 후단부에 개방되었다.
반사 판넬 닥트(140)는 해당하는 하부의 핑거 닥트(108)와 일직선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지만 서로 엇갈리게 배치할 수도 있다. 더구나 분사에 의한 열전달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나 또는 열에너지를 저속으로 음식물(88)에 가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반사 판넬 닥트(140)를 핑거 닥트(108)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충판의 수직부(166)의 선후단부에 절취부(200),(20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5도에의하면 복사 판넬 닥트(140)의 후단부(204)는 플레넘(92)의 내부(106)와 연통되도록 개방된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삽입판 조립체(156)는 그 단부에 부가적인 구멍(160)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오븐(8)은 다음과같이 작동된다. 회전 날개(l26)는 플레넘(92) 후방의 가열실(210)에있는 가열된 공기를 칼라(132)의 통공(104)과 플레넘내부(106)를 통하여 핑거 닥트(108)와 복사 판넬 닥트(140)속으로 끌어 들인다. 핑거 닥트(108)로부터 나오는 가열된 공기는 컨베이어 조립체(50)에 놓여 있는 음식물(88)에 하방에서 원주상 기류 형태로 발사된 다음 핑거 닥트(108)의 주위를 돌아서 가열실(210)속으로 들어가서 재차 플레넘(92)속으로 공급되게 된다.
플레넘 내부(l06)에서 나온 가열 공기는 복사 판넬 닥트(140)의 주닥트 챔버(146)내로 들어가서 삽입판조립체(156)의 구멍(160)을 통하여 중앙 통기로(168)속으로 공급된다음(제6도 참조), 복사 판넬(148)의 내저면(l76)에 충돌한후 삽입판 조립체의 수직부(166)와 저벽(196)의 내저면(176)사이에 형성된 간극(174), 절취부(182) (184)(200)(202)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 가열 공기는 중앙 통기로(168)에서 저벽(196)의 저면(176)에 충돌하면서 복사 판넬 저벽(196)을 가열함과 동시에 제6도 화살표(21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판넬(148)의 저벽(196)은 알미늄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열전도성이 우수하므로 저면(176)에 가하여진 열을 저벽(196)을 통하여 저벽(196)의 하부 외저면(152)를 가열하게 된다. 저벽(196)의 외저면(152)은 흑색이고 흑체로서의 역할을 하므로 이 열은 적외선 복사열의 형태로 음식물(88)을 향하여 방사되게 된다.
통기로(168)에서 분출되어 복사 판넬의 내저면(176)에 충돌한 가열 공기는 게6도 화살표(212)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일단 위로 꾸부러져 을라갔다가 내려오므로 이 열은 구멍(154)을 통하여 직접 컨베이어 조립체(50)위에 놓인 음식물(88)쪽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가열 공기의 방향 유도는 음식물(8)에대한 열의 대류와 전달을 보다 완벽하게 한다. 그렇지만 핑거 닥트(108)의 노즐(122)에 의한 가열 공기의 분출과는 달리전기한 복사 판넬을 통한 가열 공기는 보다 분산된 형태로 음식물에 충돌하므로 음식물에 다량의 열을 가하지는 못한다. 노즐(122)로부터의 원주상 기류(2l4)는 음식물(88)이나 음식물 용기(218)의 저면(216)에 직접 충돌할 수 있다.
제2챔버(180)내에서의 화살표(212) 방향으로 일어나는 공기의 파동은 가열 공기가 저벽(l96)에 충돌하고 반사 작용으로 위로 이동하여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외측으로 이동한 가열 공기는 그 진로를 밑으로 바꾸어 장공(154)쪽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가열 공기는 처음에 저벽(196)의 중앙부에 충돌하므로 이부분에서 다량이 열전달이 나타나고 소량의 열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복사되게 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복사 에너지 구역은 가열된 대류공기의 기류에 의하여 주변으로 확장된다.
도면에서는 통기로(168)이 닥트(140)의 중앙부에 위치한 특정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형태로 변경시킬수도 있다. 예를들면 구멍(154)들을 중앙부에 형성하고 통기로는 챙버(180)의 주변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가열된 공기가 챔버(180)의 주변에서 유입 되도록 할수도 있다. 그렇지만 제6도에서와 같이 가열 공기가 중앙부에서 저벽(196)에 층돌한다음 91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물(88)은 도시된 형태의 오븐에서 조리되는 어떠한 종류의 음식물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음식물(88)은 도시된바와 같은 팬 피자일수도 있고 비스킷트, 육류, 어류등일수도 있다. 음식물(88)은 컨베이어 조립(50)에 의하여 가열실(90)을 통과하므로 상하면이 균일하게 조리된다.
복사 판넬 닥트(140)으로부터 나온 가열 공기의 기류는 핑거 닥트(108)에서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닥트(140) 후방으로 흐른다. 가열 공기는 제2챔버(180)를 거쳐 음식물위로 분출되므로 순환공기 흐름 패턴은 통상의 분출 충돌식 오분과 유사하게 되고 가열 공기가 가열실(90) 상부에 침체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오븐에의하면 음식물의 상면은 부가적인 대류 공기의 흐름으로 하향 복사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됨과 동시에 음식물의 저면은 핑거 닥트(108)로부터 상향 분출되는 가열 공기의 충돌에의하여 가열되게 된다. 따라서 복사/대류 가열 공정의 경우보다 다량의 열에너지가 충돌에의하여 음식물에 전말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븐은 음식물의 상면은 원만하면서 균일하게 가열되어야 하고 저면은 높은 열에너지의 전달에 의하여 가열되어야 하는 음식물의 조리에 특히 적당하다. 이러한 음식물의 일예로는 상층이 쉽게 익는 버섯, 양파와 같은 토핑과 치즈로되는 형태의 피자가 있다. 복사/대류 가열은 피자의 상면을 서서히 가열하는 반면에 하부 본체는 핑거 닥트(107)로부터 이루어지는 보다 강한 충돌 가열에의하여 완전하게 익힐수가 있게 된다.
전술한 형태의 오븐은 충돌식 오분에 대한 복사 판넬의 이용을 보여 주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복사 판넬은 대륙식 오분에도 이용할 수 있다. 더구나 핑거 닥트(108)은 복사 판넬 닥트로 교체시키므로서 복사/대류열에너지가 음식물의 상면과 저면에 공급되도륵 할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오븐 내부에 고정시키는고정식 오븐에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음식물을 수장하는 가열실(90)을 형성하는 동체, 전기한 가열실 내에서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장치(50), 가열 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장치(126)(134) 및 전기한 기류 생성장치에 결합되는 닥트(140)으로 구성된 음식물 제조용 오븐에 있어서, 전기한 닥트(140)가 음식물 지지장치쪽으로 향하여 형성된 다수의 구멍(154)과 가열되었을때 지지장치 쪽을 향하여 적외선 에너지를 복사시키기위한 외부 에너지 방사 표면(152)를 갖는 열전도성 벽(196)을 갖고 있으며 이 닥트는 가열 공기가 벽을 가열한다음 음식물 지지체를 향한 전기한 구멍 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열 공기를 전기한 벽의 내저면(176)위로 이동시키게 된 가열 공기 이송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용 오븐.
  2. 청구범위 1항에서, 진기한 가열 공기 이송장치가 가열 공기를 전기한 벽의 내저면(176)의 특정 부위쪽으로 유도하고 가열 공기가 전기한 내저면을 휩쓸어서 전기한 내벽을 가열 하도록 하는 완충판(16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청구범위 1항에서, 가열 공기 이송장치가 가열 공기를 전기한 벽의 내저면(176)에 층돌하고 이어서전기한 내저면을 휩쓸고 구멍(154)쪽으로 향하도록 하므로서 전기한 벽을 가열 하도록 공기를 유도하는 완충판(16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4. 청구범위 1항에서, 전기한 가열 공기 이송장치가 가열 공기가 전기한 내저면(176)에 충돌한후 전기한 닥트 내부에서 방향을 바꾸어 구멍(154)쪽으로 곧바로 향하고 이어서 구멍(154)를 통하여 직하방으로 흐르도록 하는 완충판(16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청구범위 3항에서, 전기한 닥트(140)가 장방형으로 되었고 공기 유도장치가 전기한 벽의 내저면을 향한 개구부릍 갖는 장방형 통기로(16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청구범위 1항에서, 전기한 음식물 지지장치가 전기한 가열실(90)의 내부를 통과하는 컨베이어(50)를 포함하며 닥트(140)는 장방형으로 돠었고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가로 지르도록 컨베이어의 수직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7. 청구범위 1항에서, 전기한 닥트(140)가 장방형이고, 공기 이송장치는 장방형의 주 닥트 챔버(146), 저벽(196)과 완충판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2챔버(180)를 형성하는 저벽(162)를 포함하며 전기한 완충판(162)은 주 챔버와 음식물 지지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전기한 주 챔버와 제2챔버 사이에는 주 챔버에서 나오는 가열 공기를 구멍이 없는 내저면(176)쪽으로 유도하는 장방형 통기로(168)가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8. 청구범위 7항에서 전기한 통기로 장치가 내저면(176)쪽을 향하여 연설된 수직부(166)를 포함하고 수직부(166)의 단부는 통기로(168)로에서 나온 가열 공기가 제2챔버(180)속으로 흐르는 종방향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전기한 내저면에서 간격을 두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9. 음식물을 수장하는 가열실(90)을 갖는 동체, 전기한 가열실내에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장치(50), 가열공기의 이동성 기류를 형성하는 장치(126)(134) 전기한 가열실내의 음식물 지지장치 상방과 하방에 위치하는 다수의 닥트(140) 및 전기한 지지장치와 닥트의 다른쪽 음식물 지지장치 쪽으로 가열 공기를 분출시키도록 설치된 장치(108)로 구성되고, 전기한 닥트(140)는 음식물 지지장치 쪽으로 향한 다수의 구멍(154)과 지지장치 쪽으로 적외선 에너지를 방사하게 된 외측 복사 에너지 방사 표면을 구비한 열전도성 저벽(196)을 갖고 있고, 또한 전기한 닥트(140)는 전기한 저벽의 저면에 가열 공기를 이송하여 가열 공기가 구멍(154)쪽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수단(168)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0. 청구범위 9항에서, 가열 공기 분출 장치가 다수의 가열 공기 주상 기류를 음식물 지지장치 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최소한 하나의 충돌장치(10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KR1019880000046A 1987-04-14 1988-01-07 음식물 조리용 오븐 KR910002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38,021 US4781169A (en) 1987-04-14 1987-04-14 Oven with radiant panel
US036021 1987-04-14
US87-38021 1987-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192A KR880012192A (ko) 1988-11-26
KR910002158B1 true KR910002158B1 (ko) 1991-04-06

Family

ID=2189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046A KR910002158B1 (ko) 1987-04-14 1988-01-07 음식물 조리용 오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81169A (ko)
EP (1) EP0286759A3 (ko)
JP (1) JPS63263326A (ko)
KR (1) KR910002158B1 (ko)
AU (1) AU581573B2 (ko)
BR (1) BR8800189A (ko)
CA (1) CA1287271C (ko)
ZA (1) ZA8797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3607A (en) * 1987-02-17 1995-04-04 American Harvest, Inc. Method for rapidly cooking food
US4881519A (en) * 1988-07-18 1989-11-21 Lincoln Foodservice Products, Inc. Hot air oven having infra-red radiant surfaces
FR2642603B1 (fr) * 1989-02-02 1995-09-01 Scherrer Fernand Dispositif de chauffage, par rayonnement infrarouge, fixe sur un mur ou le plafond d'une piece d'un batiment
US5699722A (en) * 1989-03-17 1997-12-23 Erickson; Chad Rapid cooking device
US5205274A (en) * 1989-09-22 1993-04-27 Patentsmith Ii, Inc. Turntable convection oven
CA2024203C (en) * 1989-09-22 2002-07-30 Donald P. Smith Balanced air return convection oven
US5398666A (en) * 1989-09-22 1995-03-21 Patentsmith Ii, Inc. Turntable convection heater
US5365918A (en) * 1992-10-16 1994-11-22 Patentsmith Corporation Oven with short radius door
US5466912A (en) * 1993-04-13 1995-11-14 American Harvest, Inc. Convection oven
CA2151733C (en) 1993-10-14 2006-06-20 Hideki Tsukamoto High speed oven
US5512312A (en) * 1994-06-15 1996-04-30 Forney; Robert B. Radiant wall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793019A (en) * 1996-10-23 1998-08-11 Driquik, Inc. Electric infra-red and forced air oven
CA2191786A1 (en) 1996-11-29 1998-05-29 Georges Moshonas Impingement food apparatus
WO1999030565A1 (en) * 1997-12-17 1999-06-24 Quadlux, Inc. Lightwave oven having automatic food conveyor
US6369360B1 (en) * 1999-05-21 2002-04-09 Maytag Corporation Combination high speed infrared and convection conveyor oven and method of using
US6526961B1 (en) 2000-07-10 2003-03-04 Lincoln Foodservice Products, Inc Conveyor oven
US6481433B1 (en) 2000-11-17 2002-11-19 Middleby Marshall Incorporated Conveyor oven having a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 modulated gas flow
US7060942B2 (en) 2001-04-11 2006-06-13 Hardt Equipment Manufacturing Inc.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6592364B2 (en) 2001-11-30 2003-07-15 David Zapata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airflow in a conveyor oven
US6718965B2 (en) * 2002-01-29 2004-04-13 Dynamic Cooking Systems, Inc. Gas “true” convection bake oven
CN100424422C (zh) * 2002-07-05 2008-10-08 透波歇夫技术股份有限公司 快速烹饪炉
US20040068790A1 (en) * 2002-10-15 2004-04-15 Simpkins James Bradford Professional water bath
WO2004076928A2 (en) 2003-02-21 2004-09-10 Middleby Corporation Self-cleaning oven
WO2005112650A1 (en) * 2003-02-21 2005-12-01 Middleby Corporation Charbroiler
JP2004269242A (ja) * 2003-03-12 2004-09-30 Paloma Ind Ltd コンベヤーオーブン
US7293525B2 (en) * 2003-08-29 2007-11-13 Hdn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glaze or other coatings to food products
ITMI20032119A1 (it) * 2003-11-04 2005-05-05 Oem Ali S P A Forno ventilato ad alimentazione trasformabile per prodotti alimentari
US9585400B2 (en) 2004-03-23 2017-03-07 The Middleby Corporation Conveyor oven apparatus and method
US8087407B2 (en) 2004-03-23 2012-01-03 Middleby Corporation Conveyor oven apparatus and method
US7624728B1 (en) * 2004-12-22 2009-12-01 David C Forbes Impingement tunnel oven with reduced energy consumption and reduced maintenance
ITPS20060024A1 (it) * 2006-07-27 2008-01-28 Moretti Forni S P A Sistema per ottimizzazione della funzionalita' di forni a nastro a gas per alimenti
JP2010506565A (ja) * 2006-10-13 2010-03-04 リンカーン フードサービス プロダクツ エルエルシー 高質量流開口を有する空気吹付け式オーブン
US20080264623A1 (en) * 2007-04-30 2008-10-30 Bramhall Marcus E Ovens, finger ducts therefor,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ir in a finger duct
US20090139976A1 (en) * 2007-12-03 2009-06-04 Robert Lee Impingement quartz conveyor oven
US8839714B2 (en) 2009-08-28 2014-09-23 The Middleb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veyor oven
US8840942B2 (en) * 2010-09-24 2014-09-23 Emisshield, Inc. Foo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R2996414B1 (fr) * 2012-10-05 2014-12-05 Mecatherm Dispositif de cuisson pour produits de boulangerie, viennoiserie ou similaire
US9372006B2 (en) * 2013-05-06 2016-06-21 Ovention, Inc. Compact oven
US9516883B1 (en) 2013-07-18 2016-12-13 Sta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Inc. Heating assembly and method for tortilla like food
US10088172B2 (en) * 2016-07-29 2018-10-02 Alto-Shaam, Inc. Oven using structured air
AU2017231095B2 (en) * 2016-03-09 2022-12-08 Dmp Enterprises Pty Ltd Conveyor-type oven
US11045047B2 (en) 2017-11-10 2021-06-29 Ron's Enterprises, Inc. Variable capacity oven
CN210520811U (zh) * 2019-01-24 2020-05-15 斯蒂尔斯通集团有限责任公司 烤箱
CN215305176U (zh) * 2021-06-15 2021-12-28 江门市新会恒隆家居创新用品有限公司 多士炉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854A (en) * 1902-07-09 1905-03-14 Simon A Kohn Toasting-oven.
GB755237A (en) * 1954-02-03 1956-08-22 T & T Vica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akers' and the like ovens
US4154861A (en) * 1976-05-19 1979-05-15 Smith Donald P Heat treatment of food products
US4383823A (en) * 1981-06-12 1983-05-17 Williams Robert W Radiant oven for baking bread
US4679542A (en) * 1982-03-19 1987-07-14 Donald P. Smith Fan-plenum configuration
US4576090A (en) * 1982-05-19 1986-03-18 Mastermatic, Inc. Tunnel heater
US4438572A (en) * 1982-06-09 1984-03-27 Lincoln Manufacturing Co., Inc. Heat duct support assembly for a food preparation oven and method
US4462383A (en) * 1982-06-09 1984-07-31 Lincoln Manufacturing Company, Inc. Impingement food preparation apparatus
US4506652A (en) * 1984-01-06 1985-03-26 Nieco Corporation Pizza oven
US4591333A (en) * 1985-03-26 1986-05-27 Lincoln Manufacturing Company, Inc. Impingement oven with radiant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86759A2 (en) 1988-10-19
AU7980787A (en) 1988-10-20
JPS63263326A (ja) 1988-10-31
EP0286759A3 (en) 1989-08-02
ZA879725B (en) 1988-07-15
BR8800189A (pt) 1988-11-01
CA1287271C (en) 1991-08-06
AU581573B2 (en) 1989-02-23
KR880012192A (ko) 1988-11-26
US4781169A (en) 198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158B1 (ko) 음식물 조리용 오븐
US4591333A (en) Impingement oven with radiant panel
US4881519A (en) Hot air oven having infra-red radiant surfaces
JP3549526B2 (ja) マイクロ波ターンテーブル対流加熱器
US4739154A (en) Conveyor oven design and method for using same
US4701340A (en) Impingement and steam ov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products
US5033366A (en) Modular food preparation station
US4154861A (en) Heat treatment of food products
US4338911A (en) Cooking apparatus
US4289792A (en) Microwave treatment of food products
US4409453A (en) Combined microwave and impingement heating apparatus
US5818014A (en) Air dispensers for microwave oven
EP1421885B1 (en) High speed variable size toaster
US6049066A (en) Concentric air delivery and return oven
US7193184B1 (en) Impingement oven with radiant heating
US20020003140A1 (en) Combination convection/microwave oven
US8076614B2 (en) Multi-stage cooking system using radiant, convection, and magnetic induction heating, and having a compressed air heat guide
KR20140129198A (ko) 컨베이어 오븐
US3920944A (en) Method of cooking food employing both microwave and heat energy
US5560952A (en) Process for continuously cooking food
JPH03178615A (ja) 肉の直焼き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US5786566A (en) Convection/impingement oven for continuously cooking food
USRE39828E1 (en) Convection/impingement oven for continuously cooking food
KR20070030769A (ko) 컨베이어 오븐
EP1447004B1 (en) Improvements in an apparatus for heating a foo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