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141B1 - 소프트타입의 냉음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소프트타입의 냉음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141B1
KR910002141B1 KR1019870009247A KR870009247A KR910002141B1 KR 910002141 B1 KR910002141 B1 KR 910002141B1 KR 1019870009247 A KR1019870009247 A KR 1019870009247A KR 870009247 A KR870009247 A KR 870009247A KR 910002141 B1 KR910002141 B1 KR 91000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driving motor
ice
level sig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00A (ko
Inventor
도시오 안도오
Original Assignee
쥬우부 고오끼 가부시기가이샤
미쓰바야시 요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57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226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36116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4148Y2/ja
Application filed by 쥬우부 고오끼 가부시기가이샤, 미쓰바야시 요시히꼬 filed Critical 쥬우부 고오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12Ice-shav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45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of slush-ice, e.g. semi-frozen bever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0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the products being mixed with gas, e.g. soft-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1/00Solid material comminution or disintegration
    • Y10S241/17Ice cru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6/00Agitating
    • Y10S366/601Mot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프트타입의 냉음료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타입 냉음료 제조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자른 정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제어회로를 설명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제어회로의 작동을 설명하는 시간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坮) 2 : 기저부
4 : 원동형 벽 7 : 절삭실
14 : 제1구동모우터 17 : 틈
18 : 투하관 19 : 절삭날
25 : 회전날 50 : 제2구동모우터
53 : 상부 회전날 57 : 용기
54 : 하부 회전날 71 : 제1스위치
72 : 제2스위치 73 : 제1입력회로
73' : 제2입력회로 74 : 카운터
75 : 제어기 76 : 제1타이머
77 : 제2타이머 78 : 제3타이머
88 : 플립플롭 92 : 제1고체릴레이
93 : 제2고체릴레이
본 발명은 시럽(syrup), 꿀 및 과일쥬스등을 분쇄한 얼음과 혼합함으로서 혀에 닿는 감촉이 부드러운 냉음료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과일쥬스등의 주재료를 반쯤 얼린 샤베트(sherbet) 같은 반냉동상태의 소프트타입 냉음료가 시판되었다.
이러한 샤베트는 과일쥬스와 우유를 냉동기에 투입한 후 저으면서 냉동시킴으로서 제조된다.
또한 샤베트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시럽과 물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섞고, 교반시켜서 거품을 생성시키면서 냉동기로 냉동시켜서 제조하는 방법도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액체음료는 교반시키면서 냉동기로 냉동시키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얻게 되고, 그 음료가 거품이 있고 부드럽다하더라도 결과적으로 얼음조각을 함유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그 음료를 마실때 입속에서 실제로 차가운 느낌을 주는 잇점은 있지만 종종 혀에 불쾌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냉음료 제조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미합중국 특허출원번호 제053,971호의 소프트타입 냉음료 제조장치를 이미 제시한 바 있다.
제시한 소프트타입 냉음료 제조장치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장치의 기반 위에 얼음 절삭장치가 놓여지고, 이 절삭장치의 케이스에는 틈이 형성되어 이 틈사이로 절삭날이 노출되어 있으며, 또한 절삭장치의 케이스내에는 절삭된 얼음을 투하하는 투하관 및 회전날 등이 마련되어 절삭날과 더불어 절삭장치의 케이스내에 투입된 얼음덩어리를 절삭한다.
그리고 회전날을 회전가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모우터와 혼합장치가 얼음 절삭장치의 아래의 기반위에 배치되고 절삭된 얼음을 투하하는 투하관의 아래에 배치된 용기내에는 다른 회전날이 마련되어 있어서 용기내에 미리 투입된 시럽같은 액체물질과 절삭된 얼음조각을 혼합하는 한편 절삭된 얼음조각을 얼음의 미세입자로 분쇄한다.
한편, 용기내의 회전날을 고속회전시키기 위해서 제2구동모우터가 마련되어 있다.
제시된 장치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제시된 장치에서 제1구동모우터 및 제2구동모우터는 실상 동시에 시동되기 때문에 절삭된 얼음조각이 용기내의 상부에 정체하여 격벽을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용기내에서 수행되는 얼음조각의 분쇄작업 및 액체 물질과의 혼합작업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시된 장치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절삭된 얼음조각을 용기내에서 더욱 원활히 분쇄할 수 있고, 액체물질과 적살된 얼음조각을 부드럽게 혼합할 수 있는 소프트타입 냉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한 바 있는 제시된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제어회로가 도입되었으며, 이 제어회로는 제1구동모우터가 시동된 후 제2구동모우터가 시동되고, 제1구동모우터가 정지한 후에 제2구동모우터가 정지하도록 제1구동모우터 및 제2구동모우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소프트타입 냉음료 제조장치에 있어서, 제1구동모우터가 먼저 구동되어 얼음덩어리를 얼음조각으로 절삭하고, 이후 절삭된 얼음조각이 투하관을 통하여 용기내부로 투하되어 액체물질속으로 투입되면, 제2구동모우터가 동작하는데, 이때 제1구동모우터는 용기내부로 일정량의 절삭된 얼음조각을 투입하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동작하고, 제2구동모우터는 제1구동모우터가 정지해도 계속 동작하여 혼합장치의 회전날이 절삭된 얼음조각을 분쇄하고 이미 용기내에 투입되어 있는 액체물질과 혼합한다.
이때 용기내에는 수직방향의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주위의 공기를 용기내의 저부로 빨아들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동모우터 및 제2구동모우터와 이들 모우터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는 장치의 기반내부에 장치되고, 제어회로에는 전력을 제1구동모우터 및 제2구동모우터에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교체상태의 제1릴레이 및 제2릴레이가 포함되고, 이들 릴레이들은 열전도성이 높은 바닥판이 방열판위에 배치된다.
상기한 고체릴레이들은 전력을 정확하고 부드럽게 제1구동모우터 및 제2구동모우터에 공급해주는데는 효과적이지만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외부로 열을 분산시키지 않으면 그 열이 얼음덩어리와 절삭된 얼음조각 및 액체물질로 전달되는 불상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닥판으로서 발열판을 사용했기 때문에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분산되어 추가적으로 특별한 방열장치가 필요치 않다.
이제부터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기본 골격구조로서 대(1)와 대(1)의 바닥부인 기저부(2) 그리고 기저부(2)위에 설치된 다수의 지주(3)등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3)의 상단부에는 프레임(5)의 평면부(6)가 고정 설치되며, 평면부(6)를 제외한 프레임(5)의 나머지 부분은 원추형태로서 절삭실(7)이 된다. 기저부(2)와 프레임(5)간의 공간은 원통형의 벽(4)으로 둘러 싸인다.
한편 프레임(5)중 절삭실(7)에는 중심돌출부(8)가 마련되어 있어서 중심돌출부(8)의 후면이 원통형 축 하우징(1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원통형 축 하우징(10)내에는 회전축(11)이 수직 관통하며, 회전축(11)의 상단부는 중심돌출부(8)의 중심구(9)를 관통하여 돌출하고 하단부는 원통형 축 하우징(10) 하부로 돌출하여 풀리(pulley)(12)에 고정장치 된다.
또한 원통형 벽(4)내에는 지지아암(supprt arm)(13)이 원통형 축 하우징(10)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식으로 마련되어 있고, 이 지지아암(13)에 제1구동모우터(14)가 부착된다.
한편, 절삭실(7)내에는 개구 또는 일명 틈(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틈(17)에 절삭날(19)이 가동식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절삭날(19)이 절삭실(7) 내부쪽으로 돌출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절삭된 얼음조각을 투하하는 투하관(18)이 상기 틈(17)에 연결된다.
한편 중심돌출부(8)의 중심구(9)를 관통하여 돌출한 회전축(11)의 상부 돌출부는 회전자(21)의 중심돌출부(22)의 저면에 형성된 중심구(23)내로 삽입되고, 보울트(24)를 회전축(11)의 상부 돌출부에 삽입시킴으로서 회전축(11)은 가동적이면서도 안정되게 중심돌출부(22)와 연결된다. 회전자(21)는 다수의 회전날(25)들로서 구성되었고, 이 회전날(24)들은 중심돌출부(22)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회전날(25)의 저면은 절삭실(7)의 상부면과 마주보는 형태이지만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접촉하지 않으며, 회전날(25)들의 일단부는 모두 환형판(26)에 접속되어 회전날(25)들은 서로 연결하고, 하퍼(hopper)(28)가 그의 저부 원형 테두리로부터 연장된 플랜지(27)를 도시하지 않은 세트 스크류로서 환형판(26)에 접속시킴으로서 환형판(26)위에 설치된다. 한편 방수커버(30)는 하퍼(28)의 외경과 인접하면서 평면부(6)위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포함된 얼음 절삭장치는 상기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원 제053,971에서 제시한 장치에 포함된 얼음 절삭장치와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얼음 덩어리 저장고(35)(이하 저장고로 약함)가 도시하지 않은 보울트등으로서 평면부(6)에 설치된다는 점이 특별하다.
저장고(35)는 투명한 원통형 벽(36)(이하 원통형 벽이라 칭함)과 이 원통형 벽(36)의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37), 그리고 원통형 벽(36)의 내측에 고정되고 하퍼(28)와 통하는 개구가 마련된 깔대기형벽(38)등으로 구성된다.
혼합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저부(2)에는 접속용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어서, 원통형의 용기지지대(42)가 이 접속용 돌출부(41)와 접속되어 기저부(2)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중간격벽(43)이 용기지지대(42)의 내측벽면으로부터 돌출한 형태로 마련되며, 그의 중심돌출부(44)내에 형성된 중심구를 회전축(45)이 관통하게 되고, 회전축(45)의 상단부는 중심돌출부(44)의 중심구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하며, 하단부는 역시 중심구를 관통하여 하향 돌출되고 여기서 회전축(45)의 하부 돌출부는 상부 커플링(47)에 고정설치된다.
상부 커플링(47)과 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커플링(48)은 서로 접속 및 분리 가능하며, 기저부(2)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원통형 벽(4)내에는 제2전기모우터(50)와 제어장치(59)가 설치된다.
하부 커플링(48)과 제2전기모우터(50)의 축에 고정된 풀리(51)는 벨트(52)로 구동 접속된다.
기저부(2)는 방열판 역할을 수행하는 고도의 열전도성을 가진 상부 알루미늄판과 하부 금속판(61)으로 구성된다. 한편 회전축(45)의 상단부는 그의 횡단면 형태가 사각형이고, 용기(57)의 개구 근처까지 연장되며, 하단부는 혼합용의 상부 회전날(53)과 분쇄용의 하부 회전날(54)이 고정 장착되고, 상부 회전날(53)과 하부 회전날(54)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용기지지대(42)의 상부 내경부는 용기(57)의 저부 외경부와 방수되도록 결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질의 뚜겅(63)이 투하관(18)의 저단부에 부착되어 용기(57)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1구동모우터(14) 및 제2구동모우터(50)와 연결된 제어장치(59)의 제어회로를 블록형태로 도시한 제2도는 참조 설명하겠다.
제1스위치(71)과 제2스위치(72)는 소프트타입 냉음료를 1인분의 양만큼 만들것인가 아니면 2인분의 양만큼 만들것인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2인분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제2스위치(72)는 2인분 이상의 다량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으나, 제1스위치(71)는 다수인분의 소프트타입 냉음료를 만드는데 사용할 수 없다.
제1스위치(71) 및 제2스위치(72)의 일단자는 직류전압 공급회로(70)를 통하여 접지단자에 연결되고(이 접속은 도시되지 않았으며 이후 설명하겠다), 또한 직류전압 공급회로(70)는 도시되지 않은 선로를 통해서 제어회로의 다른 소자아게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스위치(71) 및 제2스위치(72)의 일단자는 직류전압 공급회로(70)를 통하여 접지단자에 연결되고(이 접속은 도시되지 않았으며 이후 설명하겠다), 또한 직류전압 공급회로(70)는 도시되지 않은 선로를 통해서 제어회로의 다른 소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스위치(71) 및 제2스위치(72)에 의해서 발생된 신호는 각각 제1입력회로(73) 및 제2입력회로(73')에 공급되며, 제1입력회로(73) 및 제2입력회로(73')는 각각 노이즈 제거회로 및 트리스테이트버퍼(tristate buffer)로 구성되고, 노이즈(noise) 및 동작중에 추가적 입력신호를 수신함으로 야기되는 오동작(erroneous operation)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1입력회로(73) 및 제2입력회로(73')는 카운터(74)에 접속되고, 카운터(74)는 1인분용과 2인분용의 2개의 채널을 가지고 있으며, 카운터(74)의 출력단자는 제어기(75)에 접속된다.
제1타이머(76) 및 제3타이머(78)는 일단자가 공통적으로 도선(79)을 통하여 제어기(75)에 접속되고, 제1타이머(76)는 도선(80)을 통하여 제2타이머(77)에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제1타이머(76)는 도선(84)을 통하여 출력회로(86)에 접속되고, 제3타이머(78)은 도선(85)을 통하여 플립플롭(88) 경유하여 출력회로(86)에 접속된다. 플립플롭(88)은 도선(89)을 통하여 제어기(75)에 접속된다.
출력회로(86)는 도선(90) 및 (91)를 통하여 제1고체릴레이(92) 및 제2고체릴레이(93)을 경유하여 제1구동모우터(14) 및 제2구동모우터(50)에 접속된다.
주스위치가 온되면 제어회로가 동작하게 되며, 교류전압원으로부터 100V의 교류전압이 제1고체렐레이(92) 및 제2고체릴레이(93)을 통하여 제1구동모우터(14)및 제2구동모우터(50)으로 공급되고, 여기서 교류전압원은 주스위치를 통하여 직류전압공급회로(70)에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제3도의 시간 선도를 참조 설명하겠다.
먼저 뚜껑(37)을 열고 육각형의 얼음덩어리(A)를 다량으로 저장고(35)안으로 투입한다. 그다음 뚜껑(37)을 닫는다. 용기(57)를 용기지지대(42)와 함께 기저부(2)로부터 분리하여 적당량의 시럽같은 액체물질(B)을 용기(57)안에 부어 넣는다.
이후 용기(57) 및 용기지지대(42)를 상부 커플링(47)이 하부 커플링(48)과 접속되도록 기저부(2)에 다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재료준비과정이 종료되면 주스위치를 온시킨다. 그런 다음 1인분의 음료를 만들고 싶으면 제1스위치(71)를 온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신호가 제1입력회로(73)으로부터 발생되어 카운터(74)로 전달되고, 카운터(74)는 "1"을 세트한다. "1"로서 상징되는 하이레벨신호는 제어기(75)로 입력되고, 제어기(75)는 하이레벨신호를 제1타이머(76) 및 제3타이머(78)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어기(75)로부터 전달된 하이레벨신호 파형중 상승부분이 제1타이머(76)을 트리거시키고, 따라서 제1타이머(76)는 시간간격(T1) 동안 하이레벨신호를 발출하도록 세트되며, 이 하이레벨신호가 출력회로(86)로 전달된다.
그러면 출력회로(86)는 제1고체릴레이(92)를 에너지화시키게 되고, 따라서 제1구동모우터(14)가 교류 100V 인가하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제1구동모우터(14)는 시간간격(T1)동안 동작하고, 따라서 이 기간동안 절삭날(19)이 얼음덩어리(A)를 절삭하며 절삭된 얼음조각(C)들은 용기(57)내에 있는 액체물질(B)안으로 투입된다. 시간간격(T1)이 종료되면 제1타이머(76)로부터의 출력신호인 하이레벨신호는 로우레벨로 떨어지고 제1고체릴레이(92)는 에너지화되지 못하며 따라서 제1구동모우터(14)가 멈추게 된다.
제1타이머(76)의 신호파형중 하강부분은 제2타이머(77)을 트리거시키며, 따라서 제2타이머(77)는 시간간격(T2)동안 하이레벨신호를 발출하도록 세트된다. 시간간격(T2)이 종료되면, 제2타이머(77)로부터 발출된 출력신호인 하이레벨신호는 로우레벨로 떨어지고, 이 신호의 하강부분은 카운터(74)의 한 채널을 리세트시켜서 로우레벨신호를 발출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기(75)는 지연회로(83)을 통하여 지연된 제2타이머(77)로부터의 출력파형중 하강부분에 의해서 트리거되며, 이때 제2타이머(77)로부터의 출력파형을 지연시키는 것은 카운터(74)로부터 입력되는 로우레벨신호와 매칭(matching)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기(75)는 로우레벨신호를 발출하고, 도선(89)을 통해서 전달한다.
한편, 제3타이머(78)는 제어기(75)로부터 도선(79)을 통해 하이레벨신호를 받게되면 이 신호의 상승부분에 대응하여 시간간격(T3)동안 하이레벨신호를 발출하도록 세트된다.
시간간격(T3)가 종료되면 제3타이머(78)로부터의 출력신호중 하강부분에 의해 플립플롭(88)이 트리거되고, 플립플롭(88)로부터 발출된 하이레벨신호는 출력신호(86)에 인가된다.
그러면 출력회로(86)는 제2고체릴레이(93)를 에너지화 하고 따라서 제2구동모우터(50)가 교류 100V 인가하에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부회전날 및 하부회전날(53) 및 (54)이 고속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깍여진 얼음조각(C)과 액체물질(B)은 중심부위에서는 낙하하면서 거품과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외측에서는 상승하는 수직방향의 송용돌기형태로 유동하게 되며, 따라서 얼음조각(C)은 분쇄되어 입자화되고 액체물질(B)과 혼합된다.
제2구동모우터(50)의 동작이 진행중에 있을때, 시간간격(T2)이 종료되면 제어기(75)로부터의 로우레벨신호가 도선(89)을 통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플립플롭(88)에게 전달되고, 플립플롭(88)은 로우레벨로 리세트된다. 이러한 식으로 제2구동모우터(50)는 시간간격(T4)동안 회전하고, 시간간격(T2)의 종료시에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여 액체물질(B)과 거품이 있는 얼음입자가 혼합되어 음료가 제조완료되면 용기 지지대(42)와 용기(57)를 상부커플링(47)과 하부커플링(48)을 분리함으로서 기저부(2)로부터 용기내에 제조된 음료를 컵에 부어서 마시면 된다.
또한 본 장치로 제조한 음료는 얼음조각의 실체감을 제거했기 때문에 혀에 닿는 느낌이 매우 부드러우며, 이러한 성질은 종래의 크림과 샤베트의 중간정도이다.
또한, 본 장치로 제조한 음료내에 있는 얼음입자는 거품으로 싸여 있기 때문에 쉽게 녹지 않고 따라서 소비자가 컵에 부어서 마실때까지 충분한 냉각도를 유지한다.
한편, 2인분의 냉음료를 만들고 싶을 때에는 제2스위치(72)를 온시킨다.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제2입력회로(73')가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신호는 카운터(74)의 다른 채널(1인분 때와 다른 채널)로 입력되어 카운터(74)가 "2"를 카운트하도록 세트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75)는 카운터 "2"에 대해 반응하여 하이레벨신호를 발출하고 이 하이레벨신호는 제1타이머(76) 및 제3타이머(78)로 전달된다.
1인분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1구동모우터(14)는 시간간격(T1)의 종료시에 잠시 회전을 멈추게 되며, 시간간격(T2)의 종료시에는 제2타이머(77)로부터의 신호파형의 하강부분이 카운터(74)(1인분때와 다른 채널을 통해) 및 제어기(75)에 인가된다.
2인분의 경우에서 카운터(74)는 1인분의 동작을 진행한 후에도 리세트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다른 "1"이 남아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카운터(74)는 다시 하이레벨신호를 발출하고, 이 하이레벨신호는 다시 제1타이머(76) 및 (78)에 인가된다.
그러면 제1구동모우터(14)는 시간간격(T1)의 제2출현기간동안 다시 동작하고, 시간간격(T1)의 제2출현기간 종료시에 회전을 멈추게 된다.
시간간격(T1)의 제2출현기간 시초에 저어기(75)로부터 플립플롭(88)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계속 하이레벨상태이기 때문에 제2구동모우터(50)는 시간간격(T3)의 종료시에 동작을 시작하여 계속 동작한다. 시간간격(T2)의 제2출현기간이 종료되면, 즉 시간간격(T1)과 시간간격(T2)를 합한 시간간격(T5)이 종료되면, 제2타이머(77)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하강부분이 카운터(74)를 리세트시키고, 그러면 1인분의 경우와 같이 제어기(75)가 로우레벨신호를 발출하게 되어 플립플롭(88)를 리세트시키며, 따라서 제2구동모우터(50)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얼음절삭공정이 시작된후 시간간격(T3)이 지나면 혼합공정이 시작되며, 그후 얼음절삭공정은 시간간격(T2)동안, 즉 시간간격(T4)이 종료될때까지 잠시 진행을 멈추지만, 혼합공정은 계속 진행된다.
그후 얼음절삭공정은 시간간격(T1)의 제2출현기간동안 진행되고, 시간간격(T2)의 제2출현기간이 종료되면, 공정을 완료한다. 그러나 혼합공정은 시간간격(T6)이 종료될때까지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3인분의 음료를 제조할때는 제3도의 참조 설명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2인분의 채널을 통해 1을 추가하면 된다. 따라서 3인분 이상의 음료를 제조하는 일은 3인분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한편 다수인분의 음료를 제조할 경우에 얼음절삭공정이 간헐적으로 멈추지 않게되면, 깍여진 얼음이 계속 용기(57)내로 투입되고, 따라서 분쇄 및 혼합작용이 원활히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냉음료 제조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절삭공정은 1인분씩 간헐적으로 진행되고, 반면에 제2전기모우터(50)는 계속적으로 분쇄 및 혼합동작을 진행하기 때문에 1인분의 깍여진 얼음이 용기(57)내에 투입될때마다 분쇄 및 혼합작업은 원활히 수행될 수 있게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구동모우터(14) 및 제2구동모우터(50)는 교류전력공급기로부터 제1고체릴레이(92) 및 제2고체릴레이(93)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두 모우터에 필요한 전류는 정확하고 부드럽게 공급된다. 더우기, 본 전력 공급회로에서 사용한 제1고체릴레이(92) 및 제2고체릴레이(93)가 열을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방열판이 없으면 장치전체에 피해를 주는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기저부(2)의 상부판(60)을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서 그위에 제1고체릴레이(92) 및 제2고체렐레이(93)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 상부판(60)이 방열판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추가적으로 특별한 방열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은 본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단지 도식적인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취지하에서 부품의 변경을 포함한 장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3)

  1. 틈(17)사이로 노출되는 절삭날(19)이 마련된 절삭실(7), 깍여진 얼음조각(C)이 투하되는 투하관(18), 상기 절삭실(7)내로 투입된 얼음덩어리(A)를 상기 절삭날(19)과 더불어 절삭하는 용도로 절삭실(7)내에 마련된 회전날(25), 이 회전날(25)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우터(14) 등을 포함하는 얼음절삭장치와, 상기 투하관(18)밑에 배치되는 용기(57)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용기(57)내에 기존한 시럽같은 액체물질(B)과 용기(57)내로 투하되는 절삭된 얼음조각(C)을 혼합하고 얼음인자로 분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상부회전날(53) 및 하부회전날(54), 이 상부회전날(53) 및 하부회전날(54)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우터(50)등을 포함하며 상기 얼음절삭장치 아래의 대(1)위에 배치되는 혼합장치와 상기 제1구동모우터(14)가 동작을 시작한 후에 제2구동모우터(50)가 동작을 시작하게 하고, 제1구동모우터(14)가 정지한 후에 제2구동모우터(50)가 정지하도록 제1구동모우터(14) 및 제2구동모우터(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소프트타입의 냉음료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구동모우터(14) 및 제2구동모우터(50)와 이들 모우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는 대(1)의 일부를 형성하는 원통형벽(4)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회로에는 전력을 제1구동모우터(14)와 제2구동모우터(50)로 전달하는 제1고체릴레이(92) 및 제2고체릴레이(93)가 포함되고, 이들 제1고체릴레이(92) 및 제2고체릴레이(93)는 상기 원통형벽(4)의 기저부(2)를 형성하며 고도의 열전도성을 가진 방열판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타입의 냉음료 제조장치.
  3. 제1스위치(71)과 제2스위치(72) 그리고 제1입력회로(73)과 제2입력회로(73')를 각각 구분 형성하여 제조할 음료의 양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발출하게 하며, 카운터(74)는 상기 제1입력회로(73) 및 제2입력회로(73')의 출력과 접속되고, 제어기(75)가 상기 카운터(74)의 출력에 접속되며, 제1타이머(76) 및 제3타이머(78)는 각각 그의 일단자를 공통으로 제어기(75)의 출력에 접속되고, 제2타이머(77)는 상기 제1타이머(76)의 출력에 접속되며, 플립플롭(88)은 상기 제3타이머(78)의 출력에 접속되고, 상기 제1구동모우터(14) 및 제2구동모우터(50)는 각각 제1타이머(76) 및 플립플롭(88)에 접속되는 등의 회로구성으로 제어회로가 구성되며, 상기 제1구동모우터(14) 및 제2구동모우터(50)는 각각 제1타이머(76) 및 플립플롭(88)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이레벨신호에 의해서 구동되고, 상기 카운터(74)는 제1입력회로(73) 및 제2입력회로(74)는 제1입력회로(73) 및 제2입력회로(73')로부터의 카운트신호에 의해서 세트되며, 제어기(75)에 하이레벨신호를 전달하고, 제어기(75)는 수신한 하이레벨신호를 제1타이머(76) 및 제3타이머(78)에 전달하며, 제1타이머(76) 및 제3타이머(78)는 각각 그에 배정된 시간간격(T1) 및 (T3) 동안 하이레벨신호를 발출하고, 제2타이머(77)는 상기 제1타이머(76)에 배정된 시간간격(T1)이 종료되면 하이레벨신호를 배정된 시간간격(T2) 동안 발출하고, 상기 제2타이머(77)에 배정된 시간간격(T2)가 종료되면 카운터(74)가 리세트되고 제어기(75)가 트리거되어 상기 카운터(74)는 로우레벨신호를 발출하고, 제어기(75)는 이 로우레벨신호를 상기 플립플롭(88)으로 전달하여 플립플롭(88)이 리세트되는 등의 특징을 가진 제어회로를 마련한 소프트타입의 냉음료 제조장치.
KR1019870009247A 1987-03-11 1987-08-24 소프트타입의 냉음료 제조장치 KR910002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57511 1987-03-11
JP62-36116 1987-03-11
JP62057511A JPS63222655A (ja) 1987-03-11 1987-03-11 ソフトアイス飲料製造装置
JP62-57511 1987-03-11
JP87-36116 1987-03-11
JP3611687U JPH0114148Y2 (ko) 1987-03-11 1987-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00A KR880010700A (ko) 1988-10-24
KR910002141B1 true KR910002141B1 (ko) 1991-04-06

Family

ID=2637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247A KR910002141B1 (ko) 1987-03-11 1987-08-24 소프트타입의 냉음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45773A (ko)
EP (1) EP0290696B1 (ko)
KR (1) KR910002141B1 (ko)
AU (1) AU585828B2 (ko)
CA (1) CA1297307C (ko)
DE (1) DE377319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5710A (en) * 1990-03-19 1992-03-17 Imi Cornelius Inc. Frozen carbonated beverage apparatus and method and control system therefor
IT1244518B (it) * 1991-01-18 1994-07-15 Transtyle Ltd Gruppo motore per il comando di una macchina atta alla produzione di prodotti alimentari pastosi e/o a comportamento fluido
US5165255A (en) * 1991-07-29 1992-11-24 Mile High Equipment Company Intermediate staging ice bin for ice and beverage dispensing machines
JP3437858B2 (ja) * 1993-08-27 2003-08-18 トリー食品工業株式会社 氷菓の製造方法と氷菓
US5743105A (en) * 1994-09-30 1998-04-28 Yamauchi; Keijiro Apparatus for producing ice vessel
KR0123199B1 (ko) * 1995-09-29 1997-11-13 배순훈 얼음분쇄장치
US5795062A (en) * 1996-10-03 1998-08-18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Milkshake machine
US6012660A (en) * 1997-12-02 2000-01-11 Vaansinn Products, Inc. Rotary ice shaving machine
WO2001042725A1 (fr) * 1998-06-26 2001-06-14 Koyo Industry Co., Ltd. Machine a neige artificielle
US6527212B2 (en) * 1999-06-03 2003-03-04 Carl A. Rupp Ice shaver
US7048217B2 (en) * 2000-09-22 2006-05-23 K-Tec, Inc. Blending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609821B2 (en) * 2001-04-13 2003-08-26 Sunbeam Products, Inc. Blender base with food processor capabilities
US6811303B2 (en) * 2002-05-17 2004-11-02 K-Tec, Inc. Blending apparatus with articulable motor-actuating housing
US20040194643A1 (en) * 2003-04-04 2004-10-07 Prince Tikare Texture synchronizer
US6959562B2 (en) * 2003-12-15 2005-11-01 The Coleman Company, Inc. Portable frozen drink machine
JP2005180845A (ja) * 2003-12-22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製氷機の駆動装置
US20050170054A1 (en) * 2004-01-30 2005-08-04 The Holmes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rozen desserts
KR20050122673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바이 모드에서 디지털 셋탑박스의 전력을 절감하는방법 및 장치
US7340905B2 (en) * 2004-09-30 2008-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king shaved ice
KR100704480B1 (ko) * 2005-01-06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 분쇄장치
US7422361B2 (en) * 2005-02-04 2008-09-09 Hamilton Beach Brands, Inc. Dispensing blender
US7350963B2 (en) * 2005-02-04 2008-04-01 Hamilton Beach Brands, Inc. Blender jar
US7278275B2 (en) * 2005-03-15 2007-10-09 Whirlpool Corporation Mechanism for dispensing shaved ice from a refrigeration appliance
WO2008004355A1 (fr) * 2006-07-06 2008-01-10 Joytec Corporation Grattoir à glace
EP1906119A1 (en) * 2006-09-29 2008-04-0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appliance for the supplying of cooled water or other beverage and relative operation method
US7621475B2 (en) 2006-12-21 2009-11-24 Whirlpool Corporation Mechanism for shaving ice in a refrigeration appliance
CN100457006C (zh) * 2007-04-20 2009-02-04 陈亚静 一种双电机型碎冰搅拌机
KR20090054088A (ko) * 2007-11-26 2009-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얼음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8685477B2 (en) * 2008-01-17 2014-04-01 Enodis Corporation Method for blending a beverage in a single serving cup
US20090285958A1 (en) * 2008-05-15 2009-11-19 Garcia Jorge B System and methods for food processing
US8606396B2 (en) * 2008-12-08 2013-12-10 Enodis Corporation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grated system for dispensing and blending/mixing beverage ingredients
US8857667B2 (en) * 2008-12-08 2014-10-14 Enodis Corporatio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beverage ingredients
WO2011043784A1 (en) 2009-10-07 2011-04-14 Robert Almblad A cylindrical piston assisted blending vessel
US9717264B2 (en) * 2011-10-05 2017-08-01 Island Oasis Frozen Cocktail Co., Inc. Individual frozen drink dispenser
US10455848B2 (en) * 2011-10-05 2019-10-29 Island Oasis Frozen Cocktail Company, Inc. Individual frozen drink dispenser
EP2764306A2 (en) 2011-10-06 2014-08-13 The Delfield Company, LLC A method and system for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9867387B2 (en) * 2012-08-16 2018-01-16 Sunbeam Products, Inc. Frozen beverage blending and dispensing appliance
US10405701B2 (en) 2015-04-17 2019-09-10 Koolatron Corporation Apparatus for making mixed beverages
US9894912B2 (en) * 2015-06-04 2018-02-20 Blendtec, Inc. Chilled product post-proces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5673A (en) * 1968-12-20 1971-10-26 Vendo Co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carbonated beverages within a cup
US3791597A (en) * 1972-02-14 1974-02-12 Sunbeam Corp Combination ice crusher and drink mixer
US3837587A (en) * 1972-02-14 1974-09-24 Sunbeam Corp Combination ice crusher and drink mixer
US4528824A (en) * 1984-08-10 1985-07-16 Herbert John M Frozen drink apparatus
US4653281A (en) * 1985-07-19 1987-03-31 Veer Richard F V D Drink mak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45773A (en) 1988-05-24
KR880010700A (ko) 1988-10-24
CA1297307C (en) 1992-03-17
AU7658287A (en) 1988-09-15
EP0290696A2 (en) 1988-11-17
EP0290696B1 (en) 1991-09-18
DE3773199D1 (de) 1991-10-24
AU585828B2 (en) 1989-06-22
EP0290696A3 (en) 198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141B1 (ko) 소프트타입의 냉음료 제조장치
KR910002140B1 (ko) 소프트 타입의 냉음료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5933507B2 (ja) 一杯分のカップ内で飲料を撹拌するための方法
US6527212B2 (en) Ice shaver
JP2677354B2 (ja) 冷凍飲料調合装置
US4885917A (en) Household appliance for making frozen food products
US200501700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rozen desserts
JPH0131031Y2 (ko)
JPH0114148Y2 (ko)
JPH0120844B2 (ko)
JPH0149464B2 (ko)
JPH0121736B2 (ko)
JPH0131032Y2 (ko)
JPH0131033Y2 (ko)
JP7221311B2 (ja) 高温飲料又は冷凍飲料又は氷飲料を製造する装置
JPH0131034Y2 (ko)
US2266093A (en) Method of converting edible compositions
JPS62296843A (ja) ソフトアイス飲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55903Y2 (ko)
GB2139516A (en) An apparatus for use in preparation of foodstuffs
AU2016202325A1 (en) Method for blending a beverage in a drink container
JP2004145811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BR102015013952B1 (pt) Processo de preparação de sobremesas geladas e máquina correspondente
AU2014201086A1 (en) Method for blending a beverage in a single serving cup
JP2004057136A (ja) 冷菓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