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975B1 - 수광소자 자동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광소자 자동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975B1
KR910001975B1 KR1019870013627A KR870013627A KR910001975B1 KR 910001975 B1 KR910001975 B1 KR 910001975B1 KR 1019870013627 A KR1019870013627 A KR 1019870013627A KR 870013627 A KR870013627 A KR 870013627A KR 910001975 B1 KR910001975 B1 KR 91000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axis
circuit
error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763A (ko
Inventor
김영기
이중화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975B1/ko
Publication of KR89000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광소자 자동조정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레이저빔 위치 검출회로.
제2도는 수광소자에 수광되는 레이저빔의 위치도.
제3도는 오실로스코프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검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6도는 레이저픽업 구성도.
제7도는 레이저픽업과 디스크와의 변위에 따른 레이저빔의 손실 상태도.
제8도는 레이저픽업과 디스크와의 변위에 따른 수광소자(100)에 수광되는 레이저빔의 형성도.
제9도는 레이저픽업과 디스크와의 변위에 따른 수광소자(100)에 수광되는 레이저빔 광량에 대한 그래프.
제10도는 리니어곡선 및 수광소자(100)에 수광되는 레이저빔의 광량과의 관계 그래프.
제11도는 액츄에이터의 상세도.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픽업 제작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픽업은 레이저시스템에 이용되는 것으로 콤팩트디스크에 수록된 디지탈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장치로서 레이저빔을 소정크기(일반적으로 1.6㎛)로 집속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에 주사하여 이때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수광소자로 수광하므로서 디스크에 수록된 디지탈 정보를 읽어내게 되는데 제작시 수광소자는 콤펙트 디스크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수광소자의 중앙부분으로 수광할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레이저픽업에 수광소자 설치 방법에 레이저빔 위치검출회로를 제1도와 같이 디스크로부터 레이저빔을 수광하여 각기 수광된 레이저빔량에 해당하는 제1-4전류를 발생하는 제1-4수광소자편(A-D)로 구성되 레이저픽업에 설치할 수광소자(10)와, 상기 수광소자의 제1 및 제3전류를 비교하여 평면좌표 상에서 레이저빔의 y축 위치를 나타내는 제1검출 전류를 발생하는 제1비교기(A1)와, 상기 수광소자의 제2 및 제3전류로 평면좌표상에서 레이저빔의 x축 위치를 나타내는 제2검출전류를 발생하는 제2비교기(A2)와, 상기 제1비교기(A1)의 제1검출전류와 상기 제2검출전류로 레이저빔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오실로스코프(20)로 구성하여 디스크로부터 주사된 레이저빔이 제2도(a)-(c)와 같은 형상으로 수광소자(10)에 반사되면 수광소자(10)의 제1-4수광소자편(A-D)는 수광된 레이저빔의 광량에 해당하는 각각 제1-4전류를 발생하여 제1수광소자편(A)는 제1비교기(A1)이 비반전단자로 제2수광소자편(B)는 제2비교기(A2)의 비반전단자로 제3수광소자편(C)는 제1비교기(A1)의 반전단자로 제4수광소자편(D)는 제2비교기(A2)의 반전단자로 각각 제1-4전류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1비교기(A1)은 상기 제1전류와 제3전류를 비교하여 정(+) 부(-) 또는 0상태의 제1검출 전류를 발생 오실로스코프(20)의 제1입력단자로 출력하고 한편 제2비교기(A2)도 상기 제2전류와 제4전류는 비교하여 정(+) 부(-) 또는 0상태의 제2검출전류를 발생 오실로스코프(20)의 제2입력단자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검출전류를 입력하는 오실로스코프(20)는 상기 제1 및 제2검출전류에 의해 제3도(a)-(c)와 같이 레이저빔의 위치를 스크린에 도시하게 된다.
이때 제작자는 상기 오실로스코프(20)에 나타난 레이저빔을 보면 수광소자(10)를 레이저빔이 중앙 부분에 수광되도록 상기 수광소자(10)부착하기 위한 치구를 손으로 조작하여 조정한 후 수광소자(10)를 레이저픽업에 부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작시 수광소자 조정방법은 외부 영향에 의해 디스크에 기동함으로 레이저 빔이 소정크기(1.6㎛)로 디스크에 주사되도록 즉 디스크가 레이저픽업의 대물렌즈의 촛점 거리에 있도록 포커스를 맞출때 다시 수광소자를 재조정해하는 문제점과 치구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조작하므로서 많은 시간소요와 조정상태가 조정하는 사람에 따라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픽업 제작시 레이저빔이 소정크기(일반적으로 1.6㎛)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레이저빔이 정확하게 수광소자의 중앙부분에 위치주사되도록 수광소자를 자동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수광소자 조정장치도로서, 레이저픽업을 수직 고정하기 위한 레이저픽업 고정대(10)과, 상기 레이저픽업 고정대(10)를 수평 유지하기 위해 벽면에 상기 레이저픽업고정대(10)를 고정하는 있는 지지대(20)과, 상기 레이저픽업 고정대(20)의 하부에서 상하 이동을 하기위해 상기 지지대(20)의 벽면에 고정된 미동대(30)와, 상기 이동대(3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이동조정레버(40)와 상기 이동대(30) 윗면에 있는 다수의 홈이 이루는 정방형 면적과 일치되는 구멍을 상기 다수의 홈과 일치되게 설치한 제1강자성체(50)과, 상기 제1강자성체(50)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강자성체(50)의 구멍보다 큰 정방향 면적의 구멍을 갖는 영구자석(60)과, 상기 영구자석(60)의 상부에 제1강자성체(50)과의 구멍과 일치되게 설치되는 제1강자성체와 동일한 제2강자성체(51)과, 상기 제1강자성체(50)의 중앙쪽으로 향하는 상기 이동대(30) 홈의 벽면에 접촉 설치한 다수의 봉스프링과 상기 다수의 봉스프링에 의해 제1 및 제2강자성체(50 및 51) 사이에 지지 설치되어 전후 좌우로 이동하는 액츄에이터(70)과, 상기 액츄에이터(70)위에 설치되어 상부의 지지턱(81)에 의해 레이저픽업의 하부에 부착할 수광소자를 지지하는 수광소자 지지대(80)으로 구성되고 제5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서, 수광된 레이저빔의 광량에 해당하는 제1-4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제1-4수광소자편으로 이루어진 수광소자(100)와, 상기 수광소자(100)의 제1-4전류를 균일하게 다수의 출력라인에 공급하기 위해 제1-4전압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전류 전압변환기(110-113)와, 상기 제1 및 제3전류 전압변환기(110 및 112)의 제1전압 및 제3전압을 가산하여 제5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다수의 저항(R1-R3) 및 제1오피앰프(A1)으로 이루어진 제1가산회로(120)와, 상기 제2 및 제3전류전압변환기(111 및 113)의 제2전압 및 제3전압을 가산하여 제6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다수의 저항(R4-R6) 및 제2오피앰프(A2)로 이루어진 제2가산회로(121)와, 상기 제1 및 제2가산회로(120 및 121)의 제5전압과 제6전압을 가산하여 제7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다수의 저항(R7-R9)와 오피앰프(A3)로 이루어진 제3가산회로(122)와, 상기 제1가산회로(120)의 제5전압과 제6가산회로(121)의 제6전압을 비교하여 포커스에러전압을 검출하는 제1비교회로(123)와, 상기 제2전류전압변환기(111)의 제2전압과 상기 제4전류 전류전압변환기(113)로 제4전압을 비교하여 x축 4변위에러를 검출하는 제2비교회로(124)와, 상기 제1전류전압변환기(110)의 제1전압과 상기 제3전류전압변환기(112)의 제3전압을 비교하여 y축 변위에러를 검출하는 제3비교회로(125)와, 상기 다수의 저항(R10-R13)과 오피앰프(A6) 및 콘덴서(C1, C2)로 구성되어 상기 제1비교회로(123)의 포커스 에러로 포커스 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포커스 에러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1서보회로(126)과, 상기 제2비교회로(124)의 x축 변위에러로 상기 제3가산회로(122)의 제7전압을 제산하여 x축 변위에러를 검출하는 제1연산회로(127)과, 상기 제3비교회로(125)의 y축 변위에러로 제7가산회로(122)의 제7전압으로 제산하여 실 y축 변위에러를 검출하는 제2연산회로(128)와, 가변저항(VR2) 및 다수의 저항(R14-R19)과 오피엠피(A7) 및 콘덴서(C3, C4)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산회로(127)의 실 X축 변위에러로 실제 X축 변위 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x축 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2서보회로(128)와, 가변저항(VR1) 및 다수의 저항(R20-R23)과 오피앰프(A9) 및 콘덴서(C5, C6)로 구성되어 상기 제2연산회로(128)의 실 y축 변위에러로 실제 y축 변위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y축 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3서보회로(129)와, 상기 제2비교회로(124)의 x축 변위에러를 제1입력단자로 상기 제3비교회로(125)의 y축 변위에러를 제2입력단자로 입력하여 x축 및 y축 변위에러를 디스플레이하는 오실로스코프(130)와, 가변저항(VR3)과 오피앰프(A9)로 구성되어 제작자에 의해 조작되어 수동 x축 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4서보회로(131)와, 가변저항(VR5)와 오피앰프(A10)로 구성되어 제작자에 의해 조작되어 수동 y축 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5서보회로(132)와, 가변저항(VR1) 및 저항(R24)와 오피앰프(A11) 및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상기 제3가산회로(122)의 제7전압을 제1참고 전원과 비교하여 포커스 조정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4비교회로(133)와 제1 및 제2스위치(SW1 및 2)로 구성되어 상기 조정제어신호에 의해 픽업 코일 동작신호나 서치신호를 선택 전송하는 제1전송수단과, 제1전송수단과, 상기 제4비교회로(133)의 조정제어신호에 따라 포커스에러 보정전압이나 상기 제1전송수단에 의해 전송되는 픽업코일 동작신호 또는 서치신호를 선택 전송하는 제3스위치(SW3)과, 상기 제4비교회로(133)의 포커스 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제2서보회로(128)의 x축 보상전압이나 제4서보회로(132) 수동 x축 보상전압을 선택 전송하는 제4스위치(SW4)와, 상기 제4비교회로(133)의 포커스 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제3서보회로(129)의 수동 y축 보상전압이나 제5서보회로(133)의 수동 y축 보상전압을 선택 전송하는 제5스위치(SW5)와, 상기 제3스위치(SW3)가 전송하는 포커스보상전압이나 픽업코일 동작신호 또는 서치신호를 레이저픽업의 픽업코일에 인가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회로(134)와, 다수의 저항(R25-R32) 및 다이오드(D1, D2)와 오피앰프(A13) 및 트랜지스터(Q2, Q3)로 구성되어 상기 제4스위치(SW4)가 전송하는 x축 보상전압이나 수동 x축 다수의 저항(R33-R40) 및 다이오드(D3, D4)와 오피앰프(A14) 및 트랜지스터(Q4, Q5)로 구성되어 보상전압을 입력 증폭하여 액츄에이터(70)을 x축 이동 코일을 구동하는 x축 에러조절회로(135)와, 상기 제5스위치(SW5)가 전송하는 y축 보상전압이나 수동 y축 보상전압을 입력 증폭하여 액츄에이터(70)의 y축 구동코일을 구동하는 y축 에러조절회로(136)으로 구성되며 제6도는 레이저픽업의 구성도이고 제7도는 레이저픽업 디스크와의 변위에 따른 레이저빔의 손실상태도.
제7도는 레이저픽업 디스크와의 변위에 따른 레이저빔의 손실상태도.
제8도는 디스크의 변위에 따른 수광소자(100)의 수광되는 레이저빔의 형상도.
제9도는 디스크의 변위에 따른 수광소자(100)에 수광되는 레이저빔 세기그래프.
제10도는 리니어곡선 및 수광소자에 수광되는 레이저빔의 광량과의 관계.
제11도는 액츄에이터(70)의 상세도로서 제11도(a)는 액츄에이터(70)의 구성도이고, 상기 다수의 봉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지는 기판(73)과, 상기 기판(73)중 이동대(30)의 다수의 홈간의 이루는 y축 구간으로부터 양우 양측 방향의 소정구간에 걸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 수광소자(10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용 코일(71)과, 상기 기판(73)중 이동대(30)의 다수의 홈간의 연결라인중 x축 라인구간으로 부터 상하 양측 방향의 소정구간에 걸쳐 상호반대방향으로 감겨진 수광소자(10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용 코일(72) 이루어지며 (b)는 상기 제11도(a)중 x 및 y방향 이동용 코일의 상세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제4-1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5도의 제1-5스위치(SW1-SW5)를 초기상태로 한 다음 제4도에서와 같이 레이저픽업 고정대(10)에 레이저픽업을 고정하고 수광소자(100)을 수광소자 지지대(80)에 올려놓은 후 이동대 조정레버(40)를 조정하여 수광소자(100)를 레이저픽업의 하단부에 밀착시킨다.
제작자는 제1스위치(SW1)을 조작하여 온(ON)시키면 접점(a) 상태로 있는 제2스위치(SW2)는 이때 접점(b)를 온(ON)시켜 외부로부터 접점(b)로부터 입력되는 픽업코일동작신호를 제3스위치(SW3)의 접점(a와 c)를 통해 포커스 조정회로(134)로 출력하며 상기 픽업코일 동작신호를 입력하는 포커스조정회로(134)는 상기 픽업코일 동작신호를 레이저픽업의 포커스 픽업코일로 인가하여 초기 기저상태에 있는 대물렌즈를 정상동작한다. 그러면 이때 레이저픽업 제작자는 제1스위치(SW1)을 다시 오프시키면 제1스위치(SW1)와 연동되는 제2스위치(SW2)는 접점(b) 대신 접점(a)를 통해 입력하여 제3스위치(SW3)의 접점(a와 c)을 통해 포커스조정회로(134)로 출력하여 상기 서치신호를 입력하는 포커스조정회로(134)는 상기 서치신호를 레이저픽업코일에 인가하여 포커스를 맞추어간다.
이때 레이저픽업에 의해 디스크에 주사되어 반사되는 레이저빔이 수광소자(100)에 수광되면 수광소자(100)의 제1-4수광소자편(101-104)는 각각 수광된 레이저빔의 광량이 해당하는 제1-4전류를 발생하여 제1-4전류 전압변환기(110-113)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제1-4전류를 각각 입력하는 제1-4전류전압변환기(110-113)은 상기 제1-4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제1-4전압을 발생출력한다. 그러면 이때 상기 제1가산회로(120)는 상기 제1전류전압변환기(110)의 제1전압과 제3전류전압변류기(112)의 제3전압을 입력 가산하여 상기 제1전압과 제3전압을 가산한 제5전압을 발생 제1비교회로(123)와 제3가산회로(122)로 출력하고 제2가산회로(121)은 상기 제2전류전압변환기(111)의 제2전압과 제4전류전압변환기(113)의 제4전압을 입력 가산하여 상기 제2전압과 제4전압을 가산한 제6전압을 발생 제1비교회로(123) 및 제3가산회로(122)로 출력한다.
상기 제1가산회로(120)의 제5전압과 제2가산회로(121)의 제6전압을 입력하는 제1비교회로(123)은 상기 제5전압과 제6전압을 비교하여 포커스에러를 검출하여 제1서보회로(127)로 출력하고 상기 제1비교회로(123)의 포커스에러를 입력하는 제1서보회로(127)는 상기 포커스에러와 동일한 역전압을 갖는 포커스보상전압을 발생한다.
한편 제1가산회로(120)의 제5전압과 제2가산회로(121)의 제6전압을 입력하는 제3가산회로(122)는 상기 제5전압과 제6전압을 가산한 제7전압을 발생하여 제4비교회로(133)과 제1 및 제2연산회로(127 및 128)로 출력한다.
상기 제3가산회로(122)의 제7전압과 제1참고전원을 입력하는 제4비교회로(133)의 오피앰프(A11)는 상기 제7전압을 제1참고전원과 비교하여 제7전압이 제1참고전원보다 클 경우에나 로우논리를 발생 트랜지스터(Q1)을 오프시켜 하이논리상태의 조정제어신호를 발생 제3-5스위치(SW3-SW5)를 제어하는데 상기 제1참고전원은 다음과 같이 정해진 것이다.
제6도와 같이 구성된 레이저픽업에 있어서, 대물렌즈와 디스크간의 거리에 따른 변위에 의해 수광소자(100)에 형성되는 빔의 형성 및 광량이 변화하는데 제7도(a)와 같이 대물렌즈와 디스크간의 거리가 대물렌즈의 촛점거리와 같을 경우 손실되는 레이저빔이 없어 수광소자(100)에 형성되는 레이저빔은 제8도와 같은 제1수광소자편(101)이 수광하는 광량과 제3수광소자편(103)가 수광하는 광량의 합에서 제2수광소자편(102)와 제4수광소자편(104)이 수광하는 광량의 합으로 뺄샘을 하면 제9도(a)와 같이 0이되고 더했을 때에는 최고의 광량을 갖게되는 제9도(d)와 같이 되고, 제7도(b)와 같이 대물렌즈와 디스크간의 거리가 대물렌즈의 촛점거리보다 더 멀경우에는 대물렌즈에 되반사되지 않고 손실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수광소자에는 수광되는 레이저빔의 형상은 제8도(b)와 같이 되며, 이때 제1수광소자편(101)과 제3수광소자편(103)의 광량으로 제2수광소자편(102) 제4수광소자편(104)의 합광량을 뺄시 제9도(b)와 같이되고 더했을시에는 제9도(e)와 같이되며, 제7도(c)와 같이 대물렌즈와 디스크간의 거리가 초점거리가 가까운 경우 대물렌즈와 클리핑 렌즈사이 구간에서 손실되는 레이저빔으로 제8도(b)와 같이 형상이 레이저빔이 수광되어 이때 제1수광소자편(101)과 제3수광소자편(103)의 합광량으로 제2수광소자편(102)과 제4수광소자편(104)을 뺄시 부의 부호를 갖는 제9도(c)와 같이 광량그래프가 형성되며 이때 더하면 제9도와 같이 된다.
상기 제9도(a)와 (c)는 촛점을 맞출수 있는 최대 단장거리를 나타내는 거으로 디스크의 떨림에 대해 대물렌즈를 움직여 촛점을 조정할 수 있는 한계에 있어 최소 광량은 상기 제9도를 통합 정리한 제10도에서 보면 높이 h에 해당한다. 상기 h에 해당하는 광량으로 발생되는 전압이 바로 제4비교회로(133)의 제1참고 전원으로 이용된다.
그러면 상기 제4비교회로(133)의 하이논리상태의 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제3스위치(SW3)는 초기상태인 접점(a)대신 접점 (b)를 온하여 제1서보회로(127)의 포커스 보상전압을 포커스 조정회로(134)로 전송하여 포커스 조정회로(134)로 하여금 대물렌즈를 조정하여 포커스를 맞추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2전류전압 변환기(111)의 제2전압과 제4전류 전압변환기(114)의 제4전압을 입력하는 제2비교회로(124)는 상기 제2전압과 제4전압을 비교하여 x축 변위에러를 제1연산회로(127)와, 오실로 스크프(130)로 출력하면 제1연산회로(127)은 상기 제2비교회로(124)의 x축 변위에러와 상기 제3가산회로(122)의 제7전압을 입력하여 상기 제7전압을 상기 x축 변위에러를 제산하여 실 x축 변위에러를 발생 제2서보회로(128)로 출력하며 상기 실 x축 변위에러를 입력하는 제2서보회로(128)은 상기 실 x축 변위에러와 동일 크기의 역전압을 갖는 실 x축 보상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제4비교회로(133)의 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초기상태인 접점(a)에서 접점(b)를 온상태로 유지하는 제4스위치(SW4)를 통해 x축 에러조절회로(13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실 x축 보상전압을 입력하는 x축 에러조절회로(135)는 상기 실 x축 보상전압을 소정 증폭율로 증폭하여 제6도와 같은 액츄에이터(70)이 x축 이동용 코일(72)에 인가하여 액츄에이터를 좌우로 이동시키므로 수광소자(100)를 좌우로 이동 레이저빔을 상기 수광소자(100)의 x축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작한다.
한편 제1전류 전압변류기(110)의 제1전압과 제3전류 전압변류기(112)의 제3전압을 입력하는 제3비교회로(125)는 상기 제1전압과 제3전압을 비교하여 y축 변위에러를 검출하여 제2연산회로(128)와 오실로스코프(130)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3비교회로(125)의 y축 변위에러와 상기 제3가산회로(122)의 제7전압을 입력하는 제2연산회로(128)의 제7전압을 입력하는 제2연산회로(128)은 상기 제7전압을 상기 y축 변위에러로 제산하여 실 y축 변위에러를 검출 제3서보회로(129)로 출력하면 제3서보회로(129)는 상기 제2연산회로(128)의 실 y축 변위에러를 입력하여 상기 실 y축 변위에러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역전압의 실 y축 보상전압을 발생 제4비교회로(133)의 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초기상태인 접점(a)에서 접점(b)를 온상태로 유지하는 제5스위치(SW5)를 통해 y축 에러조절회로(136)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3서보회로(129)의 실 y축 보상전압을 입력하는 y축 에러조절회로(136)은 상기 실 y축 보상전압을 소정 증폭율로 증폭하여 제11도 액츄에이터(70)의 y축 이동용 코일(71)에 인가하므로서 액츄에이터(70)을 전후 이동시켜 수광소자(100)을 전후로 이동레이저빔을 수광소자(100)의 y축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레이저픽업 제작자가 수광소자(100)를 수동으로 조작하고자할 경우에는 제1스위치(SW1)을 조작하여 온상태로하면 제1스위치(SW1)는 하이논리상태의 조정제어신호가 발생되더라도 제2전원(GND)로 도통시켜 자동으로 수광소자를 조장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3-5스위치(SW3-SW5)를 초기상태인 접점(a)를 온상태로 유지하게 하면 이때 제1스위치(SW1)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제2스위치(SW2)는 접점(a)를 온상태로 유지하여 제작자에 의해 접점(a)로 인가되는 포커스 서치신호를 제1스위치(SW1)의 제어에 의해 접점(a)을 온상태로 유지하는 제3스위치(SW3)를 통해 포커스 조정회로(134)을 출력한다.
그러면 포커스 조정회로(134)는 상기 포커스 서치신호로 레이저픽업의 픽업코일을 인가하여 대물렌 조정 촛점을 맞추어간다. 이때 제작자는 수광소자(100)의 제1-4수광소자편(101-104)는 분활수광되는 레이저빔의 광량에 해당하는 제1-4전류를 발생하면 제1-4전류전압변환기(110-113)가 상기 제1-4전류를 제1-4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제2비교회로(124)는 상기 제2전류전압변환기(111)의 제2전압과 제4전류전압변환기(113)의 제4전압을 비교하여 x축 변위에러를 검출하여 오실로스코프(130)으로 출력하며 제3비교회로(125)는 제1전류전압변환기(110)의 제1전압과 제3전류전압변환기(112)의 제3전압을 입력 비교하여 y축 변위에러를 검출하여 오실로스코프(1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작과 오실로스코프(130)에 디스플레이되는 x-y변위에러를 보면 제4서보회로(131)의 가변저항(VR3)를 조정하여 수동 x축 보상전압을 발생 제4스위치(SW4)를 통해 x축 에러조절회로(135)를 출력하고 제5서보회로(132)의 가변저항(VR5)를 조정하여 수동 y축 보상전압을 발생 제5스위치(SW5)를 통해 y축 에러조절회로(136)으로 출력한다. 이때 x축 에러보상회로(135)는 상기 수동 x축 보상전압을 증폭하여 제11도의 액츄에이터(70)의 x축 이동용 코일(70)에 인가하여 수광소자(100)를 좌우이동시켜 조정하고 y축 에러 보상회로(136)는 상기 수동 y축 보상전압을 증폭하여 제11도 액츄에이터(70)이 y축 이동용 코일(71)에 인가하여 수광소자(100)를 전후 이동 레이저빔이 수광소자(100)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광소자를 자동으로 조정하므로 조립시간의 단축과 조정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점과 액츄에이터를 사용함으로 응답시간 및 조정의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Claims (2)

  1. 수광소자 자동조정장치에 있어서, 레이저픽업을 수직 고정하기 위한 레이저픽업 고정대(10)과, 상기 레이저픽업 고정대(10)를 수평 유지하기 위해 벽면에 상기 레이저픽업고정대(10)를 고정하고 있는 지지대(20)과, 상기 레이저픽업 고정대(20)의 하부에서 상하 이동을 하기위해 상기 지지대(20)의 벽면에 고정된 미동대(30)와, 상기 미동대(30)의 상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이동조정레버(40)와 상기 미동대(30) 윗면에 있는 다수의 홈이 이루는 정방형 면적과 일치되는 구멍을 상기 다수의 홈과 일치되게 설치한 제1강자성체(50)과, 상기 제1강자성체(50)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1강자성체(50)의 구멍보다 큰 정방향 면적의 구멍을 갖는 영구자석(60)과, 상기 영구자석(60)의 상부에 제1강자성체(50)과의 구멍과 일치되게 설치되는 제1강자성체와 동일한 제2강자성체(51)과, 상기 제1강자성체(50)의 중앙쪽으로 향하는 상기 이동대(30) 홈의 벽면에 접촉 설치한 다수의 봉스프링과 상기 다수의 봉스프링에 의해 제1 및 제2강자성체(50 및 51) 사이에 지지 설치되어 전후 좌우로 이동하는 액츄에이터(70)과, 상기 액츄에이터(70)위에 설치되어 상부의 지지턱(81)에 의해 레이저픽업이 하부에 부착할 수광소자를 지지하는 수광소자 지지대(80)으로 구성되는 장치부와, 수광된 레이저빔의 광량에 해당하는 제1-4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제1-4수광소자편으로 이루어진 수광소자(100)와, 상기 수광소자(100)의 제1-4전류를 균일하게 다수의 출력라인에 공급하기 위해 제1-4전압으로 변환하는 다수의 전류 전압변환기(110-113)와, 상기 제1 및 제3전류 전압변환기(110 및 112)의 제1전압 및 제3전압을 가산하여 제5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다수의 저항(R1-R3) 및 제1오피앰프(A1)으로 이루어진 제1가산회로(120)와, 상기 제2 및 제3전류전압변환기(111 및 113)의 제2전압 및 제3전압을 가산하여 제6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다수의 저항(R4-R6) 및 제2오피앰프(A2)로 이루어진 제2가산회로(121)와, 상기 제1 및 제2가산회로(120 및 121)의 제5전압과 제6전압을 가산하여 제7전압을 발생하기 위해 다수의 저항(R7-R9)와 오피앰프(A3)로 이루어진 제3가산회로(122)와, 상기 제1가산회로(120)의 제5전압과 제6가산회로(121)의 제6전압을 비교하여 포커스에러전압을 검출하는 제1비교회로(123)와, 상기 제2전류전압변환기(111)의 제2전압과 상기 제4전류 전류전압변환기(113)로 제4전압을 비교하여 x축 4변위에러를 검출하는 제2비교회로(124)와, 상기 제1전류전압변환기(110)의 제1전압과 상기 제3전류전압변환기(112)의 제3전압을 비교하여 y축 변위에러를 검출하는 제3비교회로(125)와, 상기 다수의 저항(R10-R13)과 오피앰프(A6) 및 콘덴서(C1, C2)로 구성되어 상기 제1비교회로(123)의 포커스 에러로 포커스 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포커스 에러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1서보회로(126)과, 상기 제2비교회로(124)의 x축 변위에러로 상기 제3가산회로(122)의 제7전압을 제산하여 x축 변위에러를 검출하는 제1연산회로(127)과, 상기 제3비교회로(125)의 y축 변위에러로 제7가산회로(122)의 제7전압으로 제산하여 실 y축 변위에러를 검출하는 제2연산회로(128)와, 가변저항(VR2) 및 다수의 저항(R14-19)과 오피앰프(A7) 및 콘덴서(C3, C4)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산회로(127)의 실 x축 변위에러로 실제 x축 변위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x축 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2서보회로(129)와, 가변저항(VR1) 및 다수의 저항(R20-R23)과 오피앰프(A9) 및 콘덴서(C5, C6)로 구성되어 상기 제2연산회로(128)의 실 y축 변위에러로 실제 y축 변위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y축 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3서보회로(129)와, 상기 제2비교회로(124)의 x축 변위에러를 제1입력단자로 상기 제3비교회로(125)의 y축 변위에러를 제2입력단자로 입력하여 x축 및 y축 변위에러를 디스플레이하는 오실로스코프(130)와, 가변저항(VR3)과 오피앰프(A9)로 구성되어 제작자에 의해 조작되어 수동 x축 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4서보회로(131)와, 가변저항(VR5)와 오피앰프(A10)로 구성되어 제작자에 의해 조작되어 수동 y축 보상전압을 발생하는 제5서보회로(132)와, 가변저항(VR1) 및 저항(R24)와 오피앰프(A11) 및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상기 제3가산회로(122)의 제7전압을 제1참고 전원과 비교하여 포커스 조정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4비교회로(133)와 제1 및 제2스위치(SW1 및 2)로 구성되어 상기 조정제어신호에 의해 픽업 코일 동작신호나 서치신호를 선택 전송하는 제1전송수단과, 제1전송수단과, 상기 제4비교회로(133)의 조정제어신호에 따라 포커스 에러 보정전압이나 상기 제1전송수단에 의해 전송되는 픽업코일 동작신호 또는 서치신호를 선택 전송하는 제3스위치(SW3)과, 상기 제4비교회로(133)의 포커스 조정제어신호에 의해 제2서보회로(128)의 x축 보상전압이나 제4서보회로(132) 수동 x축 보상전압을 선택 전송하는 제4스위치(SW4)와, 상기 제4비교회로(133)의 포커스 조정제어신홍 의해 제3서보회로(129)의 수동 y축 보상전압이나 제5서보회로(133)의 수동 y축 보상전압을 선택 전송하는 제5스위치(SW5)와, 상기 제3스위치(SW3)가 전송하는 포커스보상전압이나 픽업코일 동작신호 또는 서치신호를 레이저픽업의 픽업코일에 인가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포커스 조정회로(134)와, 다수의 저항(R25-R32) 및 다이오드(D1, D2)와 오피앰프(A13) 및 트랜지스터(Q2, Q3)로 구성되어 상기 제4스위치(SW4)가 전송하는 x축 보상전압이나 수동 x축 다수의 저항(R33-R40) 및 다이오드(D3, D4)와 오피앰프(A14) 및 트랜지스터(Q4, Q5)로 구성되어 보상전압을 입력증폭하여 액츄에이터(70)을 x축 이동 코일을 구동하는 x축 에러조절회로(135)와, 상기 제5스위치(SW5)가 전송하는 y축 보상전압이나 수동 y축 보상전압을 입력 증폭하여 액츄에이터(70)의 y축 구동코일을 구동하는 y축 에러조절회로(13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수광소자 자동 조정장치에 있어서, 레이저빔의 광량을 수광하여 광량에 의해 포커스 에러를 검출 보상하는 과정과, 동시에 레이저빔의 광량을 수광하여 레이저빔의 위치를 검출보상한 전기적신호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디렉터를 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70013627A 1987-11-30 1987-11-30 수광소자 자동조정 장치 및 방법 KR91000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627A KR910001975B1 (ko) 1987-11-30 1987-11-30 수광소자 자동조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627A KR910001975B1 (ko) 1987-11-30 1987-11-30 수광소자 자동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763A KR890008763A (ko) 1989-07-12
KR910001975B1 true KR910001975B1 (ko) 1991-03-30

Family

ID=1926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627A KR910001975B1 (ko) 1987-11-30 1987-11-30 수광소자 자동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9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763A (ko) 198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24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focused beam on an integrated circuit
US5825560A (en) Optical apparatus
US6392703B1 (en) Optical apparatus for forming an object image on a sensing element
US5386294A (en) Pattern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US6498624B1 (en) Optical apparatus and image sensing apparatus mounted on the same surface of a board
KR890000199B1 (ko) 전자 광학장치
JP2821005B2 (ja) 微細表面形状計測装置
US7385671B2 (en) High speed lithography machine and method
JPS6314426A (ja) 表面輪郭決定装置
US4468565A (en) Automatic focus and deflection correction in E-beam system using optical target height measurements
US6791095B2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semiconductor wafer inspection with Z-stage focus
US70688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optical fibers
US6859325B2 (en) Objective lens device,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device
KR910001975B1 (ko) 수광소자 자동조정 장치 및 방법
JP2973636B2 (ja) 変位検出装置
JPH05157554A (ja) 光学顕微鏡組込型プローブ顕微鏡
JPH0264401A (ja) 精密3次元形状測定装置
JP3260513B2 (ja) 荷電ビーム描画装置
JP3528895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の組立・調整装置
US5126579A (en) Optical thickness measuring instrument for transparent work pieces
KR960013488B1 (ko) 데이타 재생장치
JPH0216403A (ja) 顕微鏡装置
JPH02163601A (ja) 走査型トンネル顕微鏡
JP3409361B2 (ja) 電子銃カソードの組立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H10246728A (ja) 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における部分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