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894B1 - 물질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물질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894B1
KR910001894B1 KR1019840001273A KR840001273A KR910001894B1 KR 910001894 B1 KR910001894 B1 KR 910001894B1 KR 1019840001273 A KR1019840001273 A KR 1019840001273A KR 840001273 A KR840001273 A KR 840001273A KR 910001894 B1 KR910001894 B1 KR 91000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wall
supply
condui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823A (ko
Inventor
오스땡 쟝
니뉴일 귀
왈롱 베르나르
Original Assignee
롱 뽈랑 쉬미드 바쓰
필립 두브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 뽈랑 쉬미드 바쓰, 필립 두브르 filed Critical 롱 뽈랑 쉬미드 바쓰
Publication of KR84000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물질 분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또는 케이싱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배플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5도는 분배할 물질과 함께 케이싱을 공급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본 발명은 표면을 통한 물질의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여과면을 통하여 여과시킬 물질을 분배하는데 또한 인산의 제조분야에 응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여과기를 통하여 세정액 또는 고체물질이 다소 함유되어 있는 어떤 액체를 분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데, 특히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418012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장치는 여과시킬 물질이 공급되는 공급구획, 및 공급구획으로부터의 익류에 의해 물질이 흘러들어가는 분배구획으로 구성된 몸체 또는 케이싱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물질은 여과표면을 통하여 분배구획의 밖으로 흐른다.
현재에는, 생산 톤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설비의 크기가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각 공정에 있어서 위에 기술한 유형의 케이싱내로 도입시킬 물질의 유속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높은 유속으로 인하여 물질의 대부분이 공급 및 분배구획의 측면 가장자리를 향해 옮겨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여과표면을 통한 물질의 분배가 동일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모든 환경하에서 특히 높은 유속으로 기존장치의 크기 및 부피 증가가 없이 여과할 물질의 균일한 분배를 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크기의 증가는 장치의 제로비가 증가하게 되며 또한 이를 이동시키는 데도 불리한 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표면을 통한 물질의 분배장치가 개발되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물질공급부재가 갖추어져 있으며 바닥, 후벽, 두 측벽 및 익류를 발생시키는 전벽을 형성하는 벽에 의해 구분된 공급구획; 위의 익류에 의해 구분되는 후벽, 두 측벽, 전벽, 바닥 및 표면을 통해 물질이 흘러나갈 수 있는 개구를 지닌 분배구획으로 구성된 유형의 장치인데, 공급구획에 배플부재가 갖추어져 있음이 특징이다.
제1도 및 제3도에 있어서, 여기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또는 장치가 나타나 있는데, 이는 회전 순환여과기로 여과할 물질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케이싱은 공급구획 1 및 분배구획 2로 구성되어 있다. 공급구획은 바닥 3, 두 측벽 4 및 5, 후벽 6 및 전벽 7로 구분되어진다. 여기서 전 및 후벽은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과표면 8의 이동방향에 관해 규정되어진다. 공급구획내로 여과할 물질을 도입시키는 부재는 상기 공급구획의 중앙부에 물질을 도입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분배구획 2는 전벽 9, 두 측벽 10 및 11, 바닥 12 및 후벽에 의해 형성되며, 후벽은 공급구획의 벽 7에 의해 형성되고, 두 구획에 공통인 벽은 익류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분배구획에는 여과표면 8을 통하여 여과할 물질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는 개구 13이 바닥 12에 갖추어져 있다.
제2도에 있어서, 공급구획의 바닥 3은 장치의 중앙부에서 편평한 부분을 형성할 수 있음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편평한 부분에서 공급구획의 측벽 4 및 5의 각각으로 위로 향하고 있는 두 경사진 표면부위에 의해 뻗어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으로는, 공급구획에 배플부재가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배플부재는 공급구획의 전벽 또는 후벽중의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앵글부재 14로 구성될 수 있다.
앵글부재 14는 림 부위에 의해 구획 1의 후벽 6에 고정되어 있다.
여러개의 배플부재 또는 앵글부재를 갖출 수 있는데, 이 배플부재 또는 앵글부재는 여과할 물질이 구획내로 도입되는 위치의 근처에 위치함에 바람직하다.
배플부재 또는 앵글부재 14는 구획의 바닥(3)에서 익류 7의 상부 끝까지의 높이 및 거의 전체 거리에 관해 수직으로 이를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렇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플부재 또는 앵글부재에 관해 이들의 하부 끝에서 바닥 3간의 공간 15를 둠이 바람직하다. 또는 높이에 관해 조절할 수 있는 배플부재 또는 앵글부재의 설치를 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므로써 위의 공간을 여과시킬 물질의 유속 및 구획 1로의 도입위치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배플부재가 앵글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앵글부재는 두번째 앵글부재에 속하거나 이를 받아 들일 수 있으며, 앵글부재는 이를 고정시키며 높이를 조정하는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제4도에 나타나 있다.
제4도는 두 림부분의 기구에 의해 후벽 6에 접합되어 있는 내부 앵글부재를 나타낸다.
외부 앵글부재 17은 앵글부재 16위에 고정되어 있다.
두 앵글부재가 높이에 관해 조절되고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앵글부재 16의 림 부위는 각각 일련의 개구 18을 지니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앵글부재 17의 림 부위는 각각 개구 19로 구성되어 있다. 위의 개구를 통하여 지나는 핀 20은 이동성 외부 앵글부재 17이 고정된 내부 앵글부재 16에 관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공급구획의 바닥과 이동성 앵글부재 17 하부 말단 간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으로는, 익류 7은 여과할 물질에 대한 익류 오리피스와 함께 특히 상부 가장자리에 제공될 수 있으며 ; 익류 오리피스는 익류를 통하여 여과할 물질의 완전한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리피스 21은 정점이 장치의 바닥을 향해 또는 아래로 향하는 직사각형 배열을 할 수 있는 반면에, 삼각형의 바닥은 익류 7의 상부 가장자리와 함께 한다.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418,012호에는 이러한 유형의 오리피스 특히 회전 순환여과기, 오리피스가 구비된 장치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데, 오리피스의 면적은 각각 서로 달라 이를 통하는 흐름은 여과표면의 부위와 비례하게 된다. 이러한 오리피스의 배열은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제1도, 2도 및 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편향기 22는 공급구획내에 비치할 수 있는데, 편향기 22는 오리피스 21의 근처에, 즉 물질의 도입위치에서 측벽방향으로 이동할시 오리피스에 뒤따르는 벽 7의 일부에, 익류기류를 형성하는 벽 7에 고정되어 있다.
편향기 22는 익류기구를 형성하는 벽의 전 높이상에 실질적으로 뻗어나 있는 평형부재 또는 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페이싱 23은 편향기의 하부 끝과 바닥 3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도∼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편향기는 벽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는 오리피스가 뻗어나 있는 높이보다 큰 거리상에서 위의 벽에 뻗어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삼각형의 정점을 지나 아래방향으로 뻗어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분배구획에는 스크린을 형성하는 판이 비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구획의 전 또는 후벽의 하나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의 배출흐름 개구상에 배치되어 있다. 스크린은 구획의 전 길이상에 뻗어나 있으며 이의 바닥을 향해 경사지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는 구획의 전벽 9에 고정되어 있는 스크린 24를 나타낸다.
더우기, 위에 기술한 장치는 공급구획 내로 여과할 물질을 도입시키는 기구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도입기구는 공급구획내로 열려져 있는 파이프 또는 도관 25로 구성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관 25는 링의 형태이며 도관 25를 따라 높이에 관해 회전시켜 바꾸어 놓을 수 있는 얼레멘트 26을 지닌 그의 하부끝에 제공되며, 상기의 링에는 구획의 바닥을 향해 있는 돌출부 또는 러그 부위가 비치될 수 있다. 여러 러그 부위간의 간격은 변할 수 있으며, 이는 엘레멘트 26을 적절히 배향시킴으로써, 이 경우 물질의 더욱 많은 흐름이 한 방향으로 지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도관 25는 도관 25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보호판 27이 갖추어져 있다. 판 27은 도관의 근처에서 공급구획을 덮고 있으며, 구획의 전 너비상에 뻗어나 있고 구획의 후벽 6과 접촉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조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여과할 물질은 매우 높은 유속으로 도관 25에 의해 구획 1의 내로 들어간다. 판 27은 장치의 후방으로 돌발적으로 튀어 나오는 물질을 막고 있으므로, 장치 케이싱의 인접부가 부식되는 현상을 야기시키는 위험성을 제거한다.
제품은 공급구획으로부터 분배구획으로 벽 7을 통해 익류된다.
분배구획 2내로 홀러 들어갈때, 물질은 여과표면 8로 흘러 나오기 전에 스크린 24 및 바닥 12와 만나게 된다.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여러 변화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위에서 기술된 앵글부재 이외에도 다른 형태의 배플부재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수평 또는 바부재, 구멍난 금속시이트, 또는 격자형 배열을 한 패널모양의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배플부재의 수, 위치 및 배열은 장치의 사용 형태에 따라 변하게 된다. 특히 공급구획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배플부재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익류배열의 오리피스는 지금까지 기술된 것보다도 더 적절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스크린 형성 판부재를 분배구획내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공급구획의 중앙부위 이외에 장치의 한 부위에다 공급도관을 위치시키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장치의 한 측면을 향해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질은 위에 기술한 도관 이외의 기구에 의해 장치내로 공급할 수 있으며, 물질의 공급을 바닥공급방식, 또는 아래로부터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인산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징수, 재순환 여과액 및 슬러리를 분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장치는 기타의 영역 또는 실질적인 양의 물질을 여과하는데 필요로 하는 공정에 그리고 어떠한 유형의 여과기, 특히 회전식 또는 벨트형 여과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표면을 통해 물질을 균일하게 분배하는데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위에 기술한 대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한 예에 불과할 뿐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사용될 경우, 위에서 기술한 기구와 기술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구성된 모든 기구 뿐 아니라 이들의 결합물도 포함된다.

Claims (11)

  1. 물질공급용 기구가 갖추어져 있으며 바닥을 형성하는 벽, 후벽, 두 측벽 및 익류를 형성하는 전벽에 의해 구분되는 공급구획 ; 및 상기의 익류, 두 측벽, 전벽, 바닥, 및 상기 물질이 표면상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개구에 의해 구분되는 후벽을 지닌 분배구획으로 이루어진 유형의 분배장치에 배플부재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상에 물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플부재가 공급구획의 전벽 또는 후벽의 최소한 한군데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배플부재의 하부말단과 공급구획의 바닥을 형성하는 벽사이에 공간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플부재가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플부재가 앵글부재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앵글부재가 제2의 앵글부재에 체결되거나 이를 수용하며, 상기 앵글부재들은 다른 앵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하는 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 내지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분배구획에 분배구획의 전벽 또는 후벽중의 하나에 관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의 개구 및 상기 구획의 전장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의 바닥을 향해 기울어져 배치된 스크린을 형성하는 판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 내지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익류기구를 형성하는 벽에 바람직하게는 그의 상부 단부에서 여과되는 물질의 익류를 위한 오리피스가 제공되며, 상기 오리피스 근처에 설치된 익류기구를 형성하는 벽에 고정된 편향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편향기가 익류기구를 형성하는 벽의 전장에 걸쳐 신장해 있는 평판기구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 내지 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구가, 공급구획내로 열려져 있으며, 구획의 바닥을 향해 있는 돌출부를 동반하고 또 도관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회전가능한 링부재가 하부에 제공되어 있는 도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 내지 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도관 근처에서 공급구획을 덮고 있고 공급구획의 전체너비에 걸쳐 신장해 있는 보호판이 도관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40001273A 1983-03-14 1984-03-14 물질 분배 장치 KR910001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304119A FR2542629B1 (fr) 1983-03-14 1983-03-14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produit sur une surface
FR8304119 1983-03-14
FR83-04119 1983-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823A KR840007823A (ko) 1984-12-11
KR910001894B1 true KR910001894B1 (ko) 1991-03-30

Family

ID=928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273A KR910001894B1 (ko) 1983-03-14 1984-03-14 물질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4568461A (ko)
JP (1) JPS59169528A (ko)
KR (1) KR910001894B1 (ko)
AU (1) AU564053B2 (ko)
BE (1) BE899144A (ko)
BR (1) BR8401126A (ko)
CA (1) CA1269961A (ko)
DE (1) DE3409049A1 (ko)
ES (1) ES286168Y (ko)
FR (1) FR2542629B1 (ko)
GR (1) GR81774B (ko)
IL (1) IL71209A (ko)
MA (1) MA20059A1 (ko)
MX (1) MX158345A (ko)
OA (1) OA07678A (ko)
PH (1) PH21417A (ko)
PT (1) PT78247B (ko)
SU (1) SU1316551A3 (ko)
YU (1) YU43347B (ko)
ZA (1) ZA848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16B1 (ko) * 2009-01-30 2009-05-11 주식회사 수엔테크 침전여과판을 이용한 오염성물질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4535A (en) * 1985-03-25 1987-01-06 Lott W Gerald Drilling mu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DE3520614A1 (de) * 1985-06-08 1986-12-11 Mogensen Gmbh & Co Kg, 2000 Wedel Vibrations-siebmaschine mit integrierter verteil- und segregationseinrichtung
US5453193A (en) * 1994-01-04 1995-09-26 Thermo Fibertek Inc. Strain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9573A (en) * 1932-07-25 1936-05-05 Deister Concentrator Company Apparatus for feeding liquid
DE1180716B (de) * 1962-12-19 1964-11-05 Krauss Maffei Imp G M B H Vorrichtung zur gleichmaessigen Einstellung des Zulaufes einer Suspension zum Trog eines Drehfilters
US3259244A (en) * 1963-01-31 1966-07-05 Dorr Oliver Inc Screen with open conduit feed
US3426908A (en) * 1964-08-14 1969-02-11 Eimco Corp Horizontal vacuum filter
US3540596A (en) * 1968-12-26 1970-11-17 Cities Service Co Filter feed distributor
US3626486A (en) * 1969-12-29 1971-12-07 Tennessee Corp Fluid-distribution apparatus
GB1437336A (en) * 1972-08-26 1976-05-26 Shattock G F Dewatering of slurries
US3988243A (en) * 1974-09-30 1976-10-26 Huff Kenneth O Riser box
SE392816B (sv) * 1975-09-05 1977-04-25 Nordengren Patenter Sett och anordning for att fordela slam pa oversidan av en filterduk i ett filter av roterande bandtyp
FR2418012A1 (fr) * 1978-02-22 1979-09-21 Rhone Poulenc Ind Procede et dispositif pour alimenter et distribuer un produit a filtrer sur une surface filtrante horizontale
US4376052A (en) * 1981-02-23 1983-03-08 Dravo Corporation Fluid manifold assembly for solvent extractor
US4366058A (en) * 1981-06-02 1982-12-28 Donaldson Company, Inc. High efficiency settling system
US4422931A (en) * 1982-04-15 1983-12-27 Wolde Michael Girma Oil concentrator
US4469556A (en) * 1982-09-29 1984-09-04 Beloit Corporation Flow distribu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16B1 (ko) * 2009-01-30 2009-05-11 주식회사 수엔테크 침전여과판을 이용한 오염성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58345A (es) 1989-01-26
PT78247A (fr) 1984-04-01
JPS6121695B2 (ko) 1986-05-28
AU564053B2 (en) 1987-07-30
FR2542629B1 (fr) 1986-02-14
BR8401126A (pt) 1984-10-23
AU2529484A (en) 1984-09-20
PT78247B (fr) 1986-06-02
IL71209A (en) 1987-02-27
MA20059A1 (fr) 1984-10-01
IL71209A0 (en) 1984-06-29
YU43347B (en) 1989-06-30
US4568461A (en) 1986-02-04
FR2542629A1 (fr) 1984-09-21
KR840007823A (ko) 1984-12-11
DE3409049A1 (de) 1984-10-25
ES286168Y (es) 1986-06-01
ES286168U (es) 1985-11-01
BE899144A (fr) 1984-09-13
OA07678A (fr) 1985-05-23
SU1316551A3 (ru) 1987-06-07
ZA84858B (en) 1984-09-26
YU43584A (en) 1986-12-31
PH21417A (en) 1987-10-15
JPS59169528A (ja) 1984-09-25
GR81774B (ko) 1984-12-12
CA1269961A (fr) 199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3219B2 (en) Device for distributing a poly-phase mixture over a bed of a granular solid, comprising a porous jet disturber element
DE60223359T2 (de) Verfahren zur reduktion von mitgerissenen feststoffen und flüssigkeiten
US5087362A (en) Flume distribution system with removable block
DE1752212C3 (de) Anlage zum Beschichten von Gegenständen durch Besprühen
JP2002532246A (ja) 分配器アセンブリー
CA2689266A1 (en) Improved distributor
US4477271A (en) Modified nozzles for polymer finishers
US5030326A (en) Paste-like mixture feed device
KR910001894B1 (ko) 물질 분배 장치
KR940009214B1 (ko) 자갈재와 역청의 혼합방법 및 혼합장치
AP1276A (en) Particle separator including continuous train of separating pans.
EP1218077B1 (en) Vapor-liquid contact apparatus
KR101379103B1 (ko) 새로운 흡착기 격자 분배기 박스 설계
JPH0372339B2 (ko)
JPS5811243B2 (ja) 「ろ」過しようとする生成物を水平「ろ」過面に供給し分配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GB2107751A (en) Paper machine having a head box with a plurality of tuyeres
EP0046277A1 (de) Vorrichtung zum Schwerkrafttrennen von Flüssigkeitsgemischen
CA1045046A (en) Filter having a truncated conical sieve surface
US4305820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a filter cake with a liquid on a movable filter
US4139465A (en) Method for washing filter-cakes and a spray nozzle intended for use with the method
US304220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granular solids into two or more end fractions
DE842302C (de) Vorrichtung zum gleichmaessigen Verteilen des einer Papier- od. dgl. Entwaesserungsmaschine zugefuehrten Faserstoff-Wasser-Gemisches
SE450689B (sv) Anblasningsbotten for virvelskiktapparater
DE3719267C2 (ko)
CA1198757A (en) Agglomeration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