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738Y1 -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738Y1
KR910001738Y1 KR2019870013593U KR870013593U KR910001738Y1 KR 910001738 Y1 KR910001738 Y1 KR 910001738Y1 KR 2019870013593 U KR2019870013593 U KR 2019870013593U KR 870013593 U KR870013593 U KR 870013593U KR 910001738 Y1 KR910001738 Y1 KR 910001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spring
toilet
lever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95U (ko
Inventor
안병윤
Original Assignee
안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윤 filed Critical 안병윤
Priority to KR2019870013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738Y1/ko
Publication of KR890004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 측단면도.
제3도는 변기본체에 설치된 누름판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작동 단면도.
제5도는 조작간의 평면도.
제6도의(a)(b)(c)(d)는 본고안의 요부 작동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본체 2 : 고정판
3 : 좌판 4,4' : 승강판
5,15,16,16' : 스프링 6 : 핀
7 : 작동간 8 : 연결끈
9 : 급수탱크 10 : 조작레바
11 : 함체 12 : 조작간
12' : 교차부 13,13' : 구배면
14 : 수동누름간 17,17' : 스토퍼
1ω: 배수 마개
본 고안은 급수탱크의 조작레바를 조작하지 않고 양변기내의 용변을 자동으로 수세할수 있도록 안출한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변기는 용변을 본후 급수탱크에 설치된 조작레바를 조작해야만 수세가 되므로 불편과 번거러움이 수반되고 사용자가 조작 부주의로 조작레바를 잘못 조작하면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용변이 양변기내에 잔류하므로서 제차 조작해야 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용변을 본후 좌판에서 일어서면 조작레바를 손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완전한 배수가 되도록 하므로서 종래의 패단을 일소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변기본체(1)의 상면테두리 양측에 고정판(2)을 부착하여 좌판(3)의 저면에 밀착되는 승강판(4)(4')을 일측(4')은 스프링(5)으로 탄력설치하고 타측(4)은 고정판(2)에 핀(6)으로 축착시킨형 상의 작동간(7)의 상단에 연결하며 작동간(7)의 하단은 연결끈(8)으로서 통상의 급수탱크(9)의 조작레바(10) 외주에 실치한 함체(11)내부의 조작간(12)의 외측단에 연결하고 조작간(12)의 전방에는 이와 접탈하는 통상의 조작레바(10)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조작간(12)내측 상면의 구배면(13)에 대응하는 구배면(13')을 내측 저면에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함채(11)상부 밖으르 돌출시킨 수동 누름간(14)을 스프링(15)으로 탄력설치하여 조작레바(10)를 필요에 따라 수동누름칸(14)으로 조작할수 있게 하였으며 조작간(12)은 중심에 형성한 교차부(12')양단을 함체(11)에 유설하여 시소식으로 작동되게 하되 양측 교차부(12')에 스프링(16)(16')을각각, 끼워넣어 각 일단은 조작간(12)의 좌우측에, 그리고 각 타단은 함체(11)의 내부에 부착한 스토퍼(17)(17')의 상하에 각각 탄지시켜 일측 스프링(16)은 조작간(12)을 상향 탄지시키고 타측 스프링(16')은 조작간(12)을 하향 탄지시켜서 조작간(12)을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여서 되는 구조이다.
도면중 미실명부호 18은 배수마개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승강판(4)(4')을 좌판(3)의 저면에 밀착되게 형성한 것이므로 변기본체(1)위에 좌판(3)을 덮은 상태에서 사람이 앉으면 승강판(4)(4')은 둔부에 의해 아래로 가압되어 하강되므로 일측 승강판(4)에 유착된 작동간(7)이 핀(6)을 중구축으로 하여 회동됨에 따라 그 끝단이 하강하여 연결끈(ε)을 아래로 당기게 된다.
연결끈(ε)이 아래로 당겨지면 함체(11)의 내부에 스프링(16)(16')에 의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정지되어 있던 조작간(12)의 상측단이 연결끈(ε)의 당김 작동에 의해 스프링(16)(16')을 압축시키면서 교차부(12')를 중구축으로 하여 아래로 하강되는 동시에 구배면(13)이 형성된 하측단은 상승하면서 그 우측 전방에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있던 조작레바(10)의 구배면(13')과 접살하여 조작 레바(l0)를 제6도의(가)와 같이 강제 상승시키면서 회동되고 조작간(12)이 완전히 회동되면 첨부도면 제6도의 (나)와 같이 원상태와는 반대상태로 정지되는 반면에 조작레바(10)는 조작간(12)과 이간되어 다시 원상태인 수평상태로 복귀되어진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용변을 본후 사람이 좌판(3)으로부터 일어서면 스프링(16)(16')을 압축시키면서 강제로 변형되어 있던 조작간(12)이 원상태로 복귀됨에 따라 상승되어 있던 내측단이 하강하면서 수평상태로 배치된 조작레바(10)를 강제로 밀고 내려가게 되므로 조작레바(10)는 통상과 같이 작동되어 이에 연결된 급수탱크(9)내의 배수마개(1ε)를 열어 급수탱크(9)내의 물을 배수를 시키게 되고 조작간(12)이 원상태로 완전히 복귀되면 조작레바(10)는 조작간(12)을 벗어나게 되어 통상과 같이 배수마개(1ε)의 닫힘 작동에 의해 조작간(12)의 구배면(13)을 따라 원활히 접찰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조작간(12)과 조작레바(10)는 본래와 같은 상태로 복귀되어 연속작동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변을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양변기의 물을 배수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이때에는 조작레바(10)의 상방에 설치되어 함체(11)밖으로 탄지상태로서 돌출된 수동누름간(14)을 누르면 수동누름간(14)이 하강하여 조작레바(10)를 하강시켜 물을 배수시키게 되고 수동누름간(14)을 놓으면 스프링(15)의 복귀력에 의해 다시 상승되므로 조작레바(10)는 물을 배수시키고 통상과 같은 작동으로 원상태에 복귀된다.
이때 조작레바(l0)의 전방에 위치한 조작간(12)은 내측단이 하강상태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조작레바(10)와는 접찰되지 않아 조작레바(10)의 작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앉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용변을 본후 일어서면 자동적으로 배수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과 번거러움이 해소되며 조작레바(10)가 기계직 조작에 의해 작동되므로 조작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변기본체(1)의 상면태두리 양측에 고정판(2)을 부착하여 좌판(3)의 저면에 밀착되는 승강판(4)(4')을 일측(4')은 스프링(5)으로 탄력설치하고 타측(4)은 고정판(2)에 핀(6)으로 축착시킨형 상의 작동간(7)의 상단에 연절하며 작동간(7)의 하단은 연결끈(ε)으로서 통상의 급수탱크(9)의 조작레바(10) 외주에 설치한 함체(11)내부의 조작간(12)의 외측단에 연결하고 조작간(12)의 전방에는 이와 접탈하는 통상의 조작레바(10)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조작간(12)내측 상면의 구배면(13)에 대응하는 구배면(13')을 내측 저면에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함채(11)상부 밖으로 돌출시킨 수동 누름간(14)을 스프링(15)으로 탄력설치하여 조작레바(10)를 필요에 따라 수동누름간(14)으로 조작할수 있게 하였으며 조작간(12)은 중심에 형성한 교차부(12')양단을 함체(11)에 유설하여 시소식으로 작동되게하되 양측 교차부(12)양단을 함체(11)에 유설하여 시소식으로 작동되게하되 양측 교차부(12')에 스프링(16)(16')을 각각 끼워넣이 각 일단은 조작간(12)의 좌우축에, 그리고 각 타단은 함체(11)의 내부에 부착한 스토퍼(17)(17')의 상하에 각각 탄지시켜 일측스프링(16)은 조작간(12))을 상향 탄지시키고 타측 스프링(16')은 조작간(12)을 하향 탄지시켜서 조작간(12)을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여서 되는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KR2019870013593U 1987-08-13 1987-08-13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KR910001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593U KR910001738Y1 (ko) 1987-08-13 1987-08-13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593U KR910001738Y1 (ko) 1987-08-13 1987-08-13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95U KR890004995U (ko) 1989-04-18
KR910001738Y1 true KR910001738Y1 (ko) 1991-03-22

Family

ID=1926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593U KR910001738Y1 (ko) 1987-08-13 1987-08-13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7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427A (ko) * 2019-02-18 2020-08-26 이인실 좌변기의 핸드레버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427A (ko) * 2019-02-18 2020-08-26 이인실 좌변기의 핸드레버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95U (ko) 198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1029A (en) Control device for the water tank of a flush toilet
KR910001738Y1 (ko)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NL8600583A (nl) Spoelkast.
CN108915055B (zh) 一种机械式自动冲水马桶
JPH0342143Y2 (ko)
EP1288381A1 (en) Western-style water closet
US5291618A (en) Automatic toilet seat lift mechanism
JPS6022147Y2 (ja) 水槽用排水栓装置
KR920005982Y1 (ko) 좌변기의 세정수 자동 배수장치
KR920004476Y1 (ko) 양변기용 좌판과 덮개의 자동개폐 장치
CN2365278Y (zh) 抽水马桶机械式自动开闭盖冲水器
CN214017112U (zh) 一种电热水壶用温控器
KR200193972Y1 (ko) 세면기용 자동폽업장치
KR880002966Y1 (ko) 양변기 좌판의 개폐장치
CN2715681Y (zh) 一种快速拆离装置
CN210942884U (zh) 一种马桶生产用的放置箱
JP3344076B2 (ja) 排水栓装置
KR19990036029U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WO2001039648A1 (fr) Systeme de montee et de descente d'abattant (siege) pour cuvette wc
KR100275369B1 (ko) 양변기의 좌판 자동개폐장치
KR960016757B1 (ko) 좌변기용 물탱크의 자동배수장치
JPH0643266Y2 (ja) 手洗器付き洋風便器
KR101773261B1 (ko) 자동 변기 물내림 장치
CN2174512Y (zh) 自动启盖抽水马桶
CN2158421Y (zh) 脚踏式节水自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