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67Y1 -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67Y1
KR910001667Y1 KR2019910000044U KR910000044U KR910001667Y1 KR 910001667 Y1 KR910001667 Y1 KR 910001667Y1 KR 2019910000044 U KR2019910000044 U KR 2019910000044U KR 910000044 U KR910000044 U KR 910000044U KR 910001667 Y1 KR910001667 Y1 KR 910001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wire
pin
whe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규수
Original Assignee
임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01278A external-priority patent/KR900004351B1/ko
Application filed by 임규수 filed Critical 임규수
Priority to KR2019910000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0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retractable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타이어의 외형도.
제 3 도는 본 고안 구성 단면도.
제 4 도는 타이어의 트레드부내에 매설된 소갑체의 상세도.
제 5 도는 소갑체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기고 놓아주는 이송장치의 단면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소갑체 3 : 작동편
3' : 만곡경사부 4 : 핀
5.21.28 : 복귀스프링 10.10' : 고정판
10b : 고정편 11 : 와이어 이송장치
12.18 : 하우징 13 : 이동봉
14 : 회전축 15 : 마찰차
15' : 관통공 16 : 스틸볼
17 : 와이어 고정장치 25 : 구동마찰차
26 : 솔레노이드 29 : 브래킷
본 고안은 눈길이나 빙판길에서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트레드부내에 방사방향으로 등분된 소정의 각도마다 출몰가능한 스파이크(제동자 또는 핀)가 매설되고, 운전석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스파이크를 출몰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타이어의 구조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 속하는 종래의 선행기술로서는, 국내실용신안공보 제88-3950호를 들수가 있다. 그러나, 이 선행 기술에 있어서는, 출몰가능한 형태로 이뤄지는 스파이크를 내장하고 있는 제동장치는 내부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조단가가 높고 조립노력과 복잡한 구조에 기인되는 고장발생빈도 및 우려 또한 컸으며, 더욱이 적설량이나 결빙정도에 따라 타이어의 제동력에 차등을 두어 타이어에 설치된 스파이크와 노면을 다함께 보호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이같은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그 이유는, 모든 제동자가 동시에 출몰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제동자의 출몰수를 선택할 수 없는 구조적 결함을 내포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출몰가능한 스파이크 내장형 타이어는 그 구조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즉, 출몰가능한 핀이 내장된 소갑체 즉, 제동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이와함께 타이어의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매설된 제동장치의 핀 가운데 일부노출 또는 전부노출을 아울러 핀의 노출길이도, 임의로 선택하여 노면상태에 부응하여 효과적인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새롭게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이로써. 출몰가능한 핀이 내장된 제동장치의 전체 구조가 단조로와 제조, 보수하기가 한결 수월하고, 제조단가도 낮아지며, 적설량, 결빙전도에 따라 항상 적절한 제동력을 발휘하여 비정상적인 도로상에서의 안전운행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효과적인 제동력 발휘와 무관한 핀의 노출을 극력 자재할 수 있으므로 출몰식 핀(스파이크) 내장형 타이어에 부여된 본래의 기계적 사용수명보다 더 연장되는 효과도 더불어 거둬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와이어 조립체(1)(예컨대 스테레스 재)는와이어(1')의 중간부위에 복수의 소갑체(2)를 통과시키고, 이 소갑체(2)의 내부에는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면에 만곡지게 경사진 만곡경사부(3')를 가진 작동편(3)을 와이어(1')에 관통시키고 나사(3")등으로 작동편(3)을 와이어(1')상에 고정시켜서 와이어(1')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작동편(3)이 타이어의 폭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이 작동편(3)의 상부에는 소갑체(2)의 상부로 주연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구멍(2a)을 형성하고, 여기에 안내환(2b)을 삽착시키며, 이 안내환(2b)에 미끄럼 접촉되면서 상하 승강가능하게 핀(4) (예컨대, 스텐레스재 등)을 삽입한다. 그리고, 이 핀(4)은 그 아래끝에 둥근머리부(4')를 가지며, 이 머리부(4')가 상기 작동편(3)의 만곡경상부(3')에 항시 맞닿아 접촉되도록 상기 핀(4)의 머리부(4')와 상기 안내환(2b) 사이에 스프링(5)을 탄설하며, 머리부(4')가 만곡 경사부(3')의 하사점면에 위치할 때에는 핀(4)의 상단 끝부분이 상기 안내환(2b) 상단부 보다는 약간 하측에 머물도록하고, 상기 머리부(4')가 만곡 경사부(3')의 상사점면에 위치할때에는 상기 안내환(2b)의 상부로 돌출토록 한다.
한편, 상기 소갑체(2)의 양측으로 와이어(1')가 관통하도록 외측으로 주연부가 돌출되고 또한 구멍을 가진 삽입부(2')를 형성하고, 여기에 소정길이의 뉴우브(6)를 각각 삽착하되 이 튜우브(6)내부에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되게 한다.
또한, 이 와이어(1')의 양단에는 각각 작은 원판형의 연결편(7)(7')을 각각 고착시키고, 이를 상기 튜우브(7)의 양끝단으로 부터 외부로 표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조립체(1)는,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일반적인 타이어(8)의 트레드부(8a)에 상기 소갑체(2)의 구멍(2a)에 삽착되 안내환(2b)의 상단부가 트레드부(8a) 표면보다 약간 하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소갑체(2)를 대칭으로 매설하고, 이 안내환(2b)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 핀(4)이 타이어(8)이 트레드부(8a)의 표면으로 출몰 가능한 구멍(8b)을 형성하며, 상기 소갑체(2)가 트레드부(8a)에 매설됨과 동시에, 이 사이에 연결되고 와이어(1')가 삽입된 중간튜우브(6)도 매설되며, 양측의 와이어(1')가 삽입된 튜우브(6)는 타이어(8)의 측면으로 위치되게 매설하여 이 부위만이 외부로 약간 돌출이 되도록 타이어(8)의 양 측면에 방사상으로 돌조(8c)를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된 튜우브(6)를 보호하도록 하며, 이 와이어(1)의 양단에 연결된 원판형의 연결편(7)(7')이 타이어(8)의 비이드부(8d)에 근접되게 하여 외부로 표출시킨다.
이와같은 와이어 조립체(1)는,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타이어(8)의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방사상으로 다수(예컨대, 12곳, 16곳 등) 배설한다.
한편,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통상의 휠 드럼(9)에 양측으로 그 형상에 부합되게 다수의 보울트(9a)와 너트(9b)로 고정시킬수 있도록 고리모양의 고정판(10)(10')을 형성하고, 이 고정판(10)(10')의 플랜지부(10a)에는 상하 대향되는 고정편(10b)을 타발절곡하고, 여기에 고정공(10c)을 천설하여, 이 한쌍의 고정편(10b)을 상기 와이어 조립체(1)와 대응되게 방사상 등간격으로 배설한다.
한편, 제5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외이어(1')의 이송장치(11)는 원통상의 하우징(12)내부에 이동봉(13)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하고, 이 이동봉(13)의 상단부에는 와이어(13a)를 고착시키며, 이 와이어(13a)의 타단에는 고리(13b)를 부착시키고, 또한 이동봉(13)의 타측에는 내부로 암나사부(13')를 형성한다.
또한, 일단에 나사부(14')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2) 하방으로 표출된 회전축(14)을 상기 하단부에 스냅링(14b)(14c)로 고정하여 회전가능하게하여, 이 회전축(14)의 나사부(14)를 상기 이동봉(13)이 암나사부(13')에 나사결합시키고, 또한 이 회전축(14)의 외부로 표출된 부위에는 표면에 산형 돌조가 형성되고 약간 역원뿔형으로 된 마찰차(15)(예컨대, 연질의 폴리우레탄 등)를 삽착하되, 이 마찰차(15)이 일측에 관통공(15')을 천설하고 이에 스틸볼(16)과 스프링(16a))을 삽착하여 나사(16b)로 고정하며, 이 나사(16b)의 머리부는 마찰차(15)의 표면보다 하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스틸볼(16)이 회전축(14)과 당접되는 위치에는 이 회전축(14)에 오목홈(14a)을 형성하고, 여기에 스틸볼(16)을 삽착하여 회전축(14)과 마찰차(15)의 키역할을 하게 한다. 그리고, 무리한 회전이 회전축(14)에 가해질시에는 스틸볼(16)이 스프링(16a)을 후퇴시켜 마찰차(15)만을 공전되게하며, 또한 이 마찰차(15)가 회전축(1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스냅링(14d)과 나사(14e)로 고정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와이어 이송장치(11)는, 하우징(12)을 상기한 고정판(10)의 플랜지부(10a)에서 절곡 돌설된 한쌍의 고정편(10b)에 형성된 고정공(10c)에 삽입하여 양단을 고정 너트(12a)(12b)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측의 하우징(12)이 개방된 부위는 캡(12c)을 나사 결합하여 밀폐시킨다.
다음에, 전술한 와이어 조립체(1)의 와이어(1') 일끝단부에 고착된 원판형 연결편(7)을 상기 이송장치(11)의 하우징(12)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봉(13)의 일단에 고정되는 와이어(13a)의 타단에 고정하고 하우징(12)에서 표출된 장공형 고리(13b)에 상기 원판형 연결판(7)을 옆으로 삽입하여 이를 바로 세우면 이연결편(7)이 상기 고리(13b)로 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서 연결된다.
또 한편으로, 와이어(1')의 고정장치(17)는, 제6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일측에 나사공(18')이 형성되고 타측이 개방된 윈통상의 하우징(18) 내부에 나사봉(19)을 삽입하고, 이 나사봉(19)의 일단을 상기 나사공(18')에 나사결합하여 이를 외부로 표출시키며, 여기에 스프링와셔(19")와 너트(19')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너트(19')를 풀면 상기 나사봉(19)의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하고, 이 나사봉(19)이 타단에는 회전금구(20)를 부착시키며, 이 회전금구(20)는 회전가능하며, 여기에 스프링(21)을 연결하고, 이 스프링(21)의 타단에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형태의 고리(22)를 연결하여 와이어(1')의 고정장치(17)를 구성하고, 이를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고정판(10')의 플랜지부(10a)에서 절곡 돌설된 한쌍의 고정편(10b)에 형성된 고정공(10c)에 상기 하우징(18)을 삽입하되, 상기 고리(22)가 상기한 와이어(1')의 일단에 고정된 연결편(7')과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이 하우징(18)의 양단을 고정 너트(18a)(18b)로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에 상기 연결편(7')을 전술한 방식으로 고리(22)에 삽입하여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한 와이어(1')의 이송장치(11)의 회전축(14)에 축끼움된 마찰차(15)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마찰차(15)와 대응하는 곳에 차륜(23)과 일체상으로 동작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도시안됨)에 부래킷(29)을 부착시키고, 이 브래킷(29)의 하측 지지판(29b)에 경사면(26')을 가진 솔레노이드(26)를 입설하며, 그 일측에는 지지봉(27)을 세워놓고, 여기에 복귀용 스프링(28)을 삽입하며, 이 브래킷(29)의 상부측에 상부아암(29a)을 횡설하고, 그 일단에 회동핀(29c)을 고착시킨다.
한편, 상기 마찰차(15)에 대응하는 원뿔형 구동 마찰차(25)가 축고정된 통상의 모터(24) 상단부에는 회동공(24a)과 작동 레버(24b)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상부아암(29a)에는 그 끝부위에 고정된 회동핀(29c)에 상기 회동공(24a)을 회동가능하게 삽입하고, 여기에 너트(29d)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작동레버(24b)는 상기 솔레노이드(26)의 상부에 경사면(26')과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브래킷(29)에 스톱퍼(29e)를 설치하고 이 작동레버(24b)에 상기 수직봉(27)과 대응하는 수직봉(27')을 세워놓고, 이 한쌍의 수직봉(27)(27')사이에는 상기한 복귀 스프링(28)을 설치하여 상기 작동레버(24b)가 항시 상향 쏠림압력을 받도록하므로서 상기 구동마찰차(25)와 와이어 이송장치(11)의 마찰차(15)와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 이송장치(11)는 차륜(23)의 내측에 부착되고, 고정장치(17)는 차륜(23)의 외측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모터(24)는 차륜(23)의 내측에서 어느 한곳에 부착하되, 타이어(8)의 트레드부(8a)가 접지되는 부위, 즉, 도로면상에 상기 와이어 조립체(1)가 위치되는 부위를 제외한 타부위에 상기한 이송장치(11)의 마찰자(15)와 접리가능한 형태로써 전술한 바와같이 차륜(23)과 일체로 작동되는 차량의 현가부위중 가장 편리한 곳에 상기 브래킷(29)에 부착하며, 차륜(23)의 휠 드럼(9) 내측에 부착된 이송장치(11)의 마찰차(15)가 차륜(23)의 회전에 의하여 개별적, 순가적으로 구동 마찰차(25)와 마잘차(15)가 접촉하여 마찰차(15)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24)와 솔레노이드(26)의 조작은 차량의 운전석에 부착된 조작스위치(도시없음)에 의하여 조작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와이어 조립체(1)를 타이어(8) 제조시에, 와이어(1')의 중간부위에 소갑체(2)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편(3)에 고정되고, 이 와이어(1')가 삽입된 각 튜우브(6)를 타이어(8)에 매설하되 방사상으로 타이어(8)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소요장소(예컨대, 12곳, 16곳)에 매설하여, 또한 상기 한쌍의 소갑체(2)를 타이어(8)의 트레드부(8a)에 매설하고, 소갑체(2)의 구멍(2a)에 삽착된 안내환(2b)의 상단부가 트레드부(8a) 표면보다 약간 하측으로 위치시켜 상기 안내환(2b)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된 핀(4)이 타이어(8)의 트레드부(8a) 표면으로 출몰이 자재롭게 트레드부(8a)에 구멍(8b)이 형성되게 하고 양측의 와이어(1')카 삽입된 튜우브(7)를 타이어(8)의 측면으로 매설하여 이 부위만 표면으로 돌출되게 돌조(8c)를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1')의 양단부에 고착된 연결편(7)(7')이 타이어(8)의 비이드부(8d)에 근접되도록 타이어(8)를 제조하는 것이다.
한편, 통상의 휠 드럼(9)에는 양측 고정판(10)(10')을 휠드럼(9)의 형상에 맞게 보울트(9a)와 너트(9b)로 부착고정시킨다.
차량의 내측에는, 이송장치(11)가, 고정판(10)의 플랜지부(10a)에서 타발절곡된 한쌍의 고정편(10b)의 고정공(10c)에 상기한 와이어 조립체(1)와 동수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 반대측, 즉 차량의 외측 휠 드럼(9)에 있어서, 고정판(10')의 플랜지부(10a)에는 전술한 방식으로 와이어(1') 고정장치(17)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휠 드럼(9)에 상기 와이어 조립체(1)가 매설된 타이어(8)를 통상적으로 끼울때에는, 와이어(1')의 양끝단부에 고착된 연결편(10)(10')과 이송장치(11) 및 고정장치(17)와 동수로 와이어(8)를 휠 드럼(9)에 끼운다.
다음, 각 원판형 연결편(7)(7') 옆으로 돌려서 대응하는 이송장치(11)와 고정장치(17)의 일측으로 표출된 고리(13b)(22)에 각각 끼우고, 상기 연결편(7)(7')를 바로 세우며, 상기 각 고리(13b),(22)와 연결편(7)(7')이 빠지지 않도록 타이어(8)에 매설된 각 와이어 조립체(1)와 이송장치(11) 및 고정장치(17)가 연결된다.
이때, 고정장치(17)의 하우징(18) 하단으로 표출된 나사봉(19) 이 너트(419')를 풀고, 이 나사봉(19)에 회전금구(20)를 통하여 연결된 스프링(21)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상기 와이어(1')가 이 고정장치(17)측으로 항시 쏠리도록하여 소갑체(2) 내부에 설치된 작동편(3)이 와이어(1')에 나사(3")로 고정되어,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상기 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하여 우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작동편(3)의 상면에 형성된 만곡 경상부(3')의 하사점면에 핀(4)의 머리부(4')가 스프링(5)의 탄력에 의해 당접되어 핀(4)의 상단부가 안내환(2b)외부로 돌출되지 않게되며, 이에따라 타이어(8)의 트레드부(8a) 표면으로 핀(4)이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타이어(8) 및 휠 드럼(9)의 장착이 끝나면, 이 차륜(23)과 일체적으로 작동되는 차량에 현가장지(도시안됨)에 브래킷(29)을 제3도와같이 부착하고, 여기에 하측 지지판(29b)에 솔레노이드(26)를 장착시키고, 그 일측에 수직설치된 수직봉(27)에는 복귀용 스프링(28)을 삽입시키며, 모터(24)의 상단부 회동공(24a)에 상부아암(29a)의 회동핀(29c)을 삽입하고, 여기에 너트(29a)를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며, 모터(24)의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작동레버(24b)의 한쪽 하측에 고정된 수직봉(27')에는 상기 복귀용 스프링(28)의 타측을 삽입하여 작동레버(24b)가 상향탄력을 받도록하고, 이를 브래킷(29)에 부착된 스톱퍼(29e)로서 규제되게 한다.
이와같이, 와이어 조립체(1), 와이어(1'), 이송장치(11), 고정장치(17) 및 모터(24)를 각각 차량에 장착하여 운행하던 중 눈이 내리거나, 또는 운행중에 빙판길 또는 눈이 쌓여 있는 도로가 나타날 때에는, 운전자가 조작 스위치(도시안됨)를 작동시키면, 모터(24)가 구동되고, 동시에 솔레노이드(24)가 작동되어 그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면(26')상으로 작동레버(24b)를 끌어당겨 부착시키게 된다. 이 작동레버(24b)의 하향이동은 그일측에 탄설된 스프링(28)의 탄력에 대항하면서 이동하고, 그 이동에 의하여 모터(24)는, 제3도에서 가상선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모터(24)의 구동으로 구동 마찰차(2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차륜(23)도 자동차의 진행을 따라 회전하게 됨으로 휠 드럼(9)에 고정판(10)의 고정편(10b)에 장착된 이송장치(11)의 회전축(14)에 축삽된 마찰차(15)와 접촉하여 이 마찰차(25)을 회전시키게 된다. 모터(24)는 차륜(23)의 접지면을 제외한 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마찰차(25)와 마찰차(15)와의 접촉회전에 어떠한 장해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이송장치(11)의 작동이 원활하고, 이 마찰차(15)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14)도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축(14)의 하우징(12)의 일단에 스냅링(14b)(14c)으로 회전만은 가능하고 그 자체가 상하 이동은 되지 않게 되며, 회전축(14)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4')에 이동봉(13)의 암나사부(13')가 나사 결합되어 이 회전축(14)의 회전으로써 이동봉(13)을 제3도 및 제5도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동봉(13)의 이동에 의하여 이동봉(13)에 연결된 와이어(13a)와 그 고리(13b) 및 연결편(7)의 연계로 일단을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1')는 제3도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같은 와이어(1')의 이동에 의하여 소갑체(2)내부에 설치된 작동편(3)이 그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제4도에서, 좌측으로 작동편(3)이 이동되어 이 상부 만곡경상부(3')의 하사점면에 머물던 머리부(4')는 상기 만곡경사부(3')를 지나 상사점면에 위치하게 되고, 그리하여 그 높이 차이만큼 핀(4) 이 위로 올라가 타이어(8)의 트레드부(8a)표면으로 핀(4)의 상단부가 솟아오른다.
이 핀(4)은, 전술한 바와같이, 타이어(8)의 방사상으로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전 트레드부(8a)밖으로 돌출되고, 또한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한쌍의 소갑체(2)간 거리를 타이어(8)의 원주상에서 서로 엇갈리게 변화시키면, 핀(4)의 돌출되는 배열을 더욱 이상적으로 할수가 있다.
이때, 상기 모터(24) 및 솔레노이드(26)의 작동시간은 릴레이 또는 타이머와 갈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조정 및 규제할 수 있으며, 전원이 끊어지면 복귀스프링(28)의 탄력에 의하여, 제3도에서, 모터(24)는 실선위치로 복귀되고, 구동마찰차(25)와 마찰차(15)의 접촉이 해제되어 회전작동의 연계가 끊어지게 된다.
또한, 눈길이나, 빙판길을 주행하다가 일반도로(눈이 적설이 안된도로나 빙판이 아닌도로)에 진입할시에는, 운전자가 조작스위치(도시없음)를 역 작동시키면, 전술한 바와같이, 솔레노이드(26)가 작동되어 모터(24)를 역구동시키는 동시에, 구동마찰차(25)와 마찰차(15)가 접촉하되 이번에는 모터(24)의 회전이 반대로 되어 전술한 것과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서 와이어(1')는 제3도에서 우측으로 즉, 고정장치(17)가 장착된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와이어(1')에 고정된 작동편(3)도 역시 제4도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며, 이에따라 그 상단부에 당접된 핀(4)의 머리부(4')는 스프링(5)의 탄력으로 다시 만곡 경사부(3')를 거쳐 하사점면으로 이동된다. 이에따라 핀(4)의 상단부는 트레드부(8a)의 표면으로 부터 소갑체(2)의 상부구멍(2a)에 삽착된 안내환(2b)의 상단부 보다 하측에 위치되므로서 일반타이어(8)로 바뀌어 일반 도로를 편안히 주행할 수가 있다.
이때는 핀(4)이 차량운행에 어떤 지장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경우의 모터(24) 및 솔레노이드(26)의 작동시간의 규제도 전술한 바와같다.
그리고, 이송장치(11)의 회전축(14)에 축삽된 마찰차(15)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마찰차(15)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15')에 들어 있는 스프링(16a)과 스틸볼(16)이 작동한다.
즉, 스틸볼(16)이 회전축(14)의 요홈(14a)에 삽착되어 키 역할을 하므로 마찰차(15)의 회전이 회전축(14)에 전달되지만, 이 회전에 무리가 있을시에는 상기 스틸볼(16)이 오목홈(14a)으로 부터 이탈되려는 힘에 의하여 스프링(16a)을 압축시켜서 결국은 스틸볼(16)이 상기 오목홈(4a)으로 부터 이탈되어 마찰차(15)와 회전축(14)은 공회전하므로 마찰차(15)의 회전력이 회전축(14)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와이어 조립체(1)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를 종합하면, 미끄러운 노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동력을 높여줄 핀과 이 핀을 출몰가능하게 내장하는 소갑체 및 작동편으로 이뤄지는 제동장치가 상기 인용고안에 비해 단순하므로 제작과 고장시의 보수가 한결 수윌하고 제작단가도 낮으며, 또한 핀의 출몰수와 그 노출길이의 조정을 선택적으로 이룰 수 있으므로 적설량, 결빙상태등 노면사정에 따라 항상 적절한 제동력 발휘가 가능하여 비정상적인 도로상에서의 안전운행에도 이로울뿐만 아니라, 핀의 지나친 노출길이와 과량노출로 초래될 노면손상, 핀의 조기마모와 같은 불측의 피해를 줄이는데도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1)

  1. 트레드부내에서 타이어의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외부조작에 의하여 출몰되는 스파이크(제동자 또는 핀)를 내장한 건에 있어서, 상하사점면 사이에 만곡 경상부(3')를 갖고 또한 타이어의 폭방향을 따라 미끄럼운동하는 핀 출몰구동용 작동편(3)과 아래끝에 머리가 달리고 복귀 스프링(5)에 의해 항상 몰입방향으로 쏠려 작동편(3)의 상면에 맞닿아 있는 핀(4)을 핀출입공이 형성된 소갑체(2)에 내장한 것을 타이어의 원주를 등분한 곳마다 트레드부내에 매설하고, 상기 소갑체(2)의 안팎면을 관통하고 또한 작동편(3)을 꿔어 고정한 와이어(1')의 외측단은 하우징(18)내에 나사봉(19)·회전금구(20)·복귀스프링(21)으로 이뤄지고 또한 하우징 자체가 휠 드럼의 외면상에 고정되는 고정장치(17)와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1')의 내측단은 향심방향의 끝에 마찰차(15)가 축끼움된 회전축(14)과 이 회전축에 바깥나사끼움된 이동봉(13), 그리고 이들을 함께 수용한 하우징(12)으로 구성되는 와이어 이송장치(11)에 연결하며, 축끝에 구동마찰차(25)가 고정축끼움된 모터(24) 그리고 이 모터의 구동마찰차(25)를 이송장치(11)의 마찰차(15)에 선택적으로 접리시켜 구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케하는 솔레노이드(26) 및 복귀스프링(28)를, 차륜의 안쪽 차축 커버상에서 한정된 각도범위(29)내에서의 선회가능한 형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19910000044U 1988-02-11 1991-01-04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910001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044U KR910001667Y1 (ko) 1988-02-11 1991-01-04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1278A KR900004351B1 (ko) 1988-02-11 1988-02-11 차량의 미끄럼 방지장치
KR2019910000044U KR910001667Y1 (ko) 1988-02-11 1991-01-04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278A Division KR900004351B1 (ko) 1988-02-11 1988-02-11 차량의 미끄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667Y1 true KR910001667Y1 (ko) 1991-03-18

Family

ID=2662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044U KR910001667Y1 (ko) 1988-02-11 1991-01-04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6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8838A (en) Device for preventing skidding and for increasing the grip of vehicle wheels on ice and snow
US6022082A (en) Traction device for vehicle wheels
US5788335A (en) Traction device for vehicle wheels
US4906051A (en) Easily activated and deactivated traction device for vehicles
KR910001667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JP5919283B2 (ja) 車輪を備えた車両のスリップを防止する装置
CN110103649A (zh) 一种车用轮胎防滑方法及装置
KR100988373B1 (ko) 차량용 스노우체인 자동설치 장치
US5088534A (en) Traction device having projecting ribs which fit into grooves of a tire tread
CN212267165U (zh) 一种全自动防滑链
US2749931A (en) Unitary tube valve and cap
CN109017139A (zh) 自由可控式汽车防滑链和使用这种防滑链的汽车防滑装置
US2094425A (en) Manually controlled antiskid device
SU998141A1 (ru) Шип противоскольжени
KR900004351B1 (ko) 차량의 미끄럼 방지장치
EP2269843A1 (en) Anti-skid system
KR101219362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20020027452A (ko) 빙판길 주행용 보조장치
US2625441A (en) Traction device
KR102689390B1 (ko) 자동차 바퀴 미끄럼 방지장치
US2897868A (en) Anti-skid device for vehicles
US5456338A (en) Brake drum providing access to brake adjuster
US2780315A (en) Anti-skid apparatus for vehicles
CN115157928B (zh) 一种全自动车载防滑装置
US2622702A (en) Automobile tra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