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237Y1 - 차량용 장애물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차량용 장애물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37Y1
KR910001237Y1 KR2019870015561U KR870015561U KR910001237Y1 KR 910001237 Y1 KR910001237 Y1 KR 910001237Y1 KR 2019870015561 U KR2019870015561 U KR 2019870015561U KR 870015561 U KR870015561 U KR 870015561U KR 910001237 Y1 KR910001237 Y1 KR 910001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transistor
resistor
connec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5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741U (ko
Inventor
양성수
Original Assignee
양성수
기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수, 기경서 filed Critical 양성수
Priority to KR2019870015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237Y1/ko
Publication of KR890006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장애물 감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에 사용된 경보회로.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동부 2 : 발신부
3 : 수신부 4 : 증폭경보부
IC1: 발신아이시 TR1,TR2,TR3,TR4,TR5: 트랜지스터
IC2: 수신아이시 R1,R2,R3,R4,R5,R6,R7,R8,R9: 저항
IFT : 발진코일 C1,C2,C3,C4,C5,C6,C7: 콘덴서
Buzzer : 버저 SW2: 경보음 절환스위치
SW1: 작동 스위치 X-TAL : 수정 발진자
VR1: 거리조정 볼륨 B : 밧데리
D1,D2,D3: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P.TR : 포토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차를 후진시킬 때,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 뒷 부분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운전자에서 경보를 해주는 장치인 것이다.
종래에는 변속 레버를 후진 기어에 넣으면 스위치가 “온(ON)”되면서 멜로디를 발생시켜 보행자등에게 경보를 하여 주어서 사람등은 피하였으나, 벽과같은 부동적인 물체가 있을때와 주차된 차와의 거리등을 정확히 알수가 없어서 장애물에 부딛치거나, 주차된 차와 접촉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인데, 이를 종래의 경보식보다 고차원적인 적외선 감지회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고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부(1)의 밧데리(B)와 연결된 스위치(SW1)을 전원공급선(B+) 단자에 연결하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D1)(D2)(D3)와 연결된 저항(R7)과 수신부아이시(IC2)의 전원공급저항(R8)와 펄스신호증폭 전원공급저항(R5)과 공통접속하고, 발신부(2)에는 발신아이시(IC1)의 (10)번 핀과(11)번 핀에 수정발진자(X-TAL)의 콘덴서(C1)(C2)를 병렬조합하여 연결하고, (9)번 핀에 증폭을 위한 바이패스 저항(R1)을 연결하고 트랜지스터(TR1)(TR2)의 증폭부를 통하여 볼륨(VR1)과 적외선 발광다이오드(D1)(D2)(D3)를 연결하였으며, (4)번 핀과 (7)번 핀에 아이시(IC1) 보호용 저항(R1)을 연결하고 (14)번 핀에 스위치(SW2)를 두어 (2)번 핀과 (6)번 핀을 스위치(SW2)단자에 연결하여 (12)번 핀에 저항(R3)과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와 연결되어 있다.
수신부(3)의 아이시(IC2)에서 (8)번 핀과 (7)번 핀에 포토 트랜지스터(P.TR)와 저항(R7)을 직렬연결하며 (8)번 핀과 (3)번 핀에 발진코일(IFT)과 콘덴서(C4)를 병렬연결하고 (2)번 핀에 바이패스용 콘덴서(C7)를 연결하고 또한, (8)번 핀에 콘덴서(C5)를 연결하였으며 (1)번 핀에 신호증폭 전원공급저항(R9)를 통하여 증폭회로의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와 연결하여 바이어스 저항(R6)과 트랜지스터(TR4)(TR5)가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5)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콘덴서(C6)를 연결하며, 콘덴서(C6)는 버저(Buzzer)와 연결하여서된 회로이다.
미설명 부호(7)은 멜로디회로 (SP)는 스피커 (5)는 감지장치 (6)은 장애물 (8)은 발진적외선 (8′)는 반사수신적외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각 블록별로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작동부(1)의 밧데리(B)와 연결된 스위치(SW1)가 변속레버의 후진 기어에 넣을 때 “온(ON)”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발신부(2)의 아이시(IC1)의 (9)번 핀과 증폭부 전원이 공급되면서 (10)번 핀과 (11)번 핀에 연결된 수정발진자(X-TAL)에서 고정주파수가 발진되어(12)번 핀을 통하여 증폭부의 트랜지스터(TR1)에 들어가 바이패스용 저항(R1)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TR1)가 발진주파수를 도통시켜 적외선 발광다이오드(D1)(D2)(D3)를 발광시키는데, 볼륨(VR1)이 증폭된 전기적 펄스를 조절하여 밝기를 조정한다.
이렇게 발광된 적외선은 어떤 장애물에 부딛혀 반사되어 수신부(3)의 포토 트랜지스터(P.TR)에 수광되어 수신아이시(IC2) (8)번 핀과 (7)번 핀에 연결되어 (3)번 핀과 (8)번 핀에 콘덴서(C4)와 병렬 연결된 발진코일(IFT)의 주파수가 동조되어 (1)번 핀을 통하여 바이어스 저항(R9)이 증폭부(4)의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신호를 주어 저항(R6)을 통하여 들어온 전기적 펄스를 트랜지스터(TR4)(TR5)에 의하여 증폭되어 펄스를 콘덴서(C6)에 의하여 DC화하여 버저(Buzzer)를 울려주는 것이다.
이때, 발신아이시(IC1)의 (14)번 핀에 연결된 스위치(SW2)가 (2)번 단자와 (6)번 단자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2)번 단자에 (14)번 핀을 연결하면 발진 펄스가 간헐적으로 발생되어 적외선 발광다이오드(D1)(D2)(D3)가 간헐적 발광을 하여 수신부의 버저가 간헐적으로 소리를 내며, 발신부아이시(IC1)의 (6)번 핀과 연결하면 계속적인 발진펄스가 발생하여 수신부의 버저가 끊이지 않고 소리를 내게되는 것이다.
또한 볼륨(VR1)을 조절하여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조절하면 적외선 반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거리에 맞추면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정보하여 주므로 장애물과의 접촉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후진할 때 장애물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서 차 뒤에 있는 인명등을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변속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SW1)를 밧데리(B)와 연결하고 전원공급단자(B+)에 연결하여, 발신아이시(IC1)의 (9)번 핀과 버저(Buzzer), 저항(R1)(R5)(R7)(R8)에 공통접속시켜서 발신아이시(IC1)의 (10)번 핀과 (11)번 핀에 콘덴서(C1)(C2)와 수정발진자(X-TAL)를 병렬조합하여 연결하고 (12)번 핀에 저항(R3)을 연결하고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에 연결하여, 트랜지스터(TR2)를 통하여 볼륨(VR1)과 적외선 발광다이오드(D1)(D2)(D3)를 발광시키며, 수신아이시(IC2)의 (8)번 핀과 (7)번 핀에 포토 트랜지스터(P.TR)와 저항(R7)을 직렬 연결하여 (8)번 핀과 (3)번 핀에 발진코일(IFT)과 콘덴서(C4)를 병렬 연결되어 포토 트랜지스터(P.TR)에 수광된 적외선 주파수와 동조되어 (1)번 핀을 통하여 저항(R9)을 통한 펄스신호를 증폭부(40)의 트랜지스터(TR3)(TR4)(TR5)가 증폭하여 버저(Buzzer)를 울려주는 차량용 장애물 감지회로.
KR2019870015561U 1987-09-10 1987-09-10 차량용 장애물 감지회로 KR910001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561U KR910001237Y1 (ko) 1987-09-10 1987-09-10 차량용 장애물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561U KR910001237Y1 (ko) 1987-09-10 1987-09-10 차량용 장애물 감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41U KR890006741U (ko) 1989-05-15
KR910001237Y1 true KR910001237Y1 (ko) 1991-02-25

Family

ID=1926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5561U KR910001237Y1 (ko) 1987-09-10 1987-09-10 차량용 장애물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2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41U (ko) 198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0980A (en) Blind spot detector for vehicles
US5005004A (en) Light activated vehicle sensor with flashing light and pulsing sound alarm
US8229664B2 (en) Curb detect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US6615121B2 (en) Vehicle reversing sensor device
JPH06295394A (ja) 状態感知装置
SE8803784D0 (sv) Anordning foer att raedda liv i trafiken
KR0152096B1 (ko) 이동감시용 로보트의 장애물 감지장치
KR910001237Y1 (ko) 차량용 장애물 감지회로
US6803858B2 (en) Blind spot alert system
KR0150551B1 (ko) 차량의 도어오픈시 장애물감지장치
SE9900762D0 (sv) A disconnection and short detection circuit
KR900007037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자동차 사각지대 탐지장치
JPS6327267Y2 (ko)
JP3065903U (ja) 赤外線を発射しその反射光を受光し物体の近接に対して、警報を出す工事現場用コーン。
JPH0782590B2 (ja) 盗難防止機
JP2983719B2 (ja) 警報停止回路を有する煙感知装置
KR880002163Y1 (ko) 차량용 후진 경보장치
KR950004953Y1 (ko) 이형제감지회로
JPS6343591Y2 (ko)
KR200148229Y1 (ko) 휴대용 금속탐지기
KR0138622B1 (ko) 차량용 후방 감지장치
EP0860114B1 (en) Bite indicating apparatus
JP2731869B2 (ja) 盗難防止システム
KR950029428A (ko) 전자동 세탁기의 수평도 감지장치
KR19990026631U (ko) 차량 후진시 충돌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