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233B1 - 선회운동식 파쇄기 - Google Patents

선회운동식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33B1
KR910001233B1 KR1019880011808A KR880011808A KR910001233B1 KR 910001233 B1 KR910001233 B1 KR 910001233B1 KR 1019880011808 A KR1019880011808 A KR 1019880011808A KR 880011808 A KR880011808 A KR 880011808A KR 910001233 B1 KR910001233 B1 KR 91000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tle
concave
crushed
crushing
uneven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406A (ko
Inventor
시게도 후꾸무라
쯔까사 가다야마
요리조오 구도요
마사히꼬 니시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쥬우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바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쥬우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바 히로시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쥬우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8001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233B1/ko
Publication of KR90000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회운동식 파쇄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선회운동식 파쇄기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a) 및 (b)는 제1실시예를 표준이되는 전형적인 형식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
제3도(a), (b), (c), 제4도(a), (b) 및 제5도(a), (b), (c)는 제1실시예의 파쇄촉진체의 표준 양태를 전형적인 형식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제6도(a) 및 (b)는 제2실시예를 표준이되는 전형적인 형식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
제7도는 종래의 선회운동식 파쇄기를 표시하는 단면 정면도.
제8도(a) 및 (b)는 제7도를 표준이 되는 전형적인 형식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콘케이브(concave) 10 : 맨틀
19, 20 : 파쇄촉진체
본 발명은 선회운동식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맨틀과 콘케이브의 파쇄면을 개량한 선회운동식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선회운동식 파쇄기는 맨틀과 콘케이브를 가지고 파쇄실을 형성하고 있으며, 예컨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있어서, 1은 상부 프레임으로, 걸침대(도시않음)에 얹혀져 있는 하부 프레임 (2)의 상부에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 (1)의 상부에는 광석이나 암석등의 피파쇄물의 입구가 되는 입구호퍼(3)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상부 프레임(1)내에는 파쇄면이 되는 내주면을 원활한 곡면으로 형성한 원추대형상의 콘케이브(4)가 장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2)의 보스(2a)에는 편심축 구멍을 갖는 편심 슬리이브(5)가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고, 편심 슬리이브(5)에는 주축(7)이 회전가능하게 끼워 통해 있다. 주축(7)의 하단을 쓰러스트 베어링등의 하부 베어링 (도시않음)에 지지되어 있다.
주축(7) 상단은 레이디얼 구면 베어링등의 상부 베어링(8)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부 베어링 (8)은 상부 프레임 (1)에 설치한 복수의 아암(9)에 지지되어 있다. 주축(7)에는 맨틀코어 (11)를 통하여 원추대형상의 맨틀(10)이 부착되어 있다. 맨틀(10)은 상기 콘케이브(4)에 대한 가동부가 되는 것으로. 맨틀(10)과 콘케이브(4)와의 사이에 파쇄실(12)이 형성되어 있다.
맨틀(10)의 파쇄면에 있어서는 상단부근에서 하단부근에 걸쳐 원주방향으로 연속상태로 이어지는 요철(凸凹)(19)이 맨틀(10)의 선회방향(제8도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의 전방 아래쪽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주축(7)이 끼워져 통해 있는 편심 슬리이브(5)의 하단에는 종동 베벨기어(13)가 부착되어 있고, 종동 베벨기어(13)에는 수평회전축(14)의 내단부에 부착된 원동 베벨기어(15)가 맞물려 있다.
수평회전축(14)은 하부 프레임 (2)에 부착된 케이싱 (16)에 베어링 (17)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고, 수평회전축(14)의 외단부에는 V벨트를 통하여 전동기(모두 도시않음)와 연동되는 V풀리(1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선회운동식 파쇄기에 의해 피파쇄물을 파쇄하는데는 전동기를 작동하여 편심 슬리이브(5)를 회전함과 동시에 입구호퍼 (3)에서 피파쇄물을 투입한다. 편심 슬리이브(5)를 회전에 의해 주축(7)의 하단에 편심 선회운동함에 따라 맨틀(10)도 마찬가지로 편심 선회운동하고, 맨틀(10)과 콘케이브(4)와의 사이의 파쇄실(12)내에 투입된 피파쇄물은 일부가 맨틀(10) 파쇄면의 오목부에 들어간 상태로 콘케이브(4)의 내주면 및 맨틀(10) 파쇄면의 인접한 볼록부의 3점에 끼어, 맨틀과 콘케이브와의 간격의 감소에 의해 상방향 및 원주방향에의 미끄럼이 규제된 상태로 압축·굽힘·전단의 작용을 받아 파쇄되면서 낙하되고, 파쇄제품이 되어 파쇄실(12)의 하부에서 하부 프레임 (2)의 배출구(도시않음)를 거쳐 기계밖으로 배출된다. (예컨대, 특개소 61-263655호 공보등)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선회운동식 파쇄기로는 맨틀의 파쇄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속상태로 이어지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나 콘케이브의 파쇄면에는 원활한 곡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쇄실내에 투입된 파쇄물은 콘케이브의 내주면 및 맨틀의 파쇄면의 인접한 볼록부의 3점에 끼여서 파쇄되지만 이 같은 상태에서의 파쇄로서는 충분한 압축, 굽힘, 전단의 작용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파쇄저항도 감소될 수 없고, 압축 작용의 기여가 크기 때꾼에 파쇄제품의 입자형상은 여전히 편평한 형상을 이루고 만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능력을 향상시켜 소비동력 절감을 가능케하며, 더우기 파쇄제품 입도를 미세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자형상을 입방체형상으로 개량할 수있는 우수한 선회운동식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맨틀의 파쇄면과 콘케이브의 파쇄면의 각각에 원주방향으로 연속상태로 이어지는 요철을 형성한 맨틀과 콘케이브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즉, 맨틀과 콘케이브와의 사이의 파쇄실에 투입된 피파쇄물은, 일부는 맨틀 파쇄면의 오목부에 들어간 상태이고, 또 상대하는 콘케이브 파쇄면의 오목부에 들어간 상태하에서 양자의 오목부에 끼여 맨틀과 콘케이브와의 간격의 주기적인 변동하에서 압축, 굽힘, 전단 작용에 의거한 입자간 파쇄에 의한 파쇄작용이 촉진된다.
특히, 파쇄저항이 적은 굽힘, 전단작용이 크게 기여하고 있음으로써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능력이 향상되어 소비동력의 절감을 가능케 하고. 더욱 양파쇄면의 오목부간 운동에 의해 마모 파쇄작용도 증대하여 파쇄제품의 입도를 미세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자형상을 입방체형상으로 개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선회운동식 파쇄기의 실시예를 제1도-제6도에 의거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7도와 동일한 구성부재 등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를 생략한다.
제1도는 제1 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맨틀(10)의 파쇄면에는 요철(19)이 설치되어 있다. 요철(19)은 맨틀(10)의 원주방향으로 균일한 피치를 가지고 연속 형상으로 이어져 있다. 한편, 콘케이브의 파쇄면에는 요철(20)이 설치되어 있다. 요철(20)은 콘케이브(4)의 원주방향으로 균일한 피치를 가지고 연속형상으로 이어져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표준이 되는 전형적인 형상의 모식도이다. 맨틀(10)의 파쇄면은 원추대형상을 이루고, 요철(19)이 설치되어 파쇄면에 있어서의 상단 부근에서 하단 부근에 걸쳐 맨틀(10)의 선회방향(제2도(a)에 있어서의 반시계방향)의 전방하측으로 경사시켜서, 즉 왼쪽으로 비틀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콘케이브(4)의 파쇄면은 회전곡면등을 이루고, 요철(20)이 설치되며, 파쇄면의 상단 부근에서 하단 부근에 걸쳐 맨틀(10)의 요철(19)의 경사방향으로 교차하여 대면하도록 경사시켜서 즉, 오른쪽으로 비틀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3도-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요철(19 및 20)의 표준양태를 전형적인 형식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3도(a) 내지 제3도(c)에 있어서 맨틀(10)의 요철(19)의 경사방향은 모두 제2도(a)와 동일하다.
제3도(a)에 있어서 콘케이브(4)의 요철(20)의 경사방향은 제2도(a)와 동일하다.
제3도(b)에 있어서 콘케이브(4)의 요철(20)은 콘케이브(4)의 수직축으로부터의 모선을 따라, 즉 수직으로 균일한 피치를 가지고 연속상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제3도(c)에 있어서 콘케이브(4)의 요철(20)은 맨틀(10)의 요철(19)의 경사방향으로 동일방향을 가지고 대면하도록 경사져서, 균일한 피치를 가지고 연속상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제4도(a) 및 제4도(b)에 있어서 맨틀(10)의 요철(19)은 맨틀(10)의 수직축으로부터의 모선을 따라 즉, 수직으로 균일한 피치를 가지고 연속상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제4도(a)에 있어서, 콘케이브(4)의 요철(20)의 경사방향은 제2도(a)와 동일하다.
제4도(b)에 있어서, 콘케이브(4)의 요철(20)의 경사방향은 제3도(c)와 동일하다.
제5도(a)-제5도(c)에 있어서, 맨틀(10)의 요철(19)의 경사방향은 모두 맨틀(10)의 선회방향의 후방하측으로 경사시켜서 즉, 오른쪽으로 비틀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5도(a)에 있어서, 콘케이브(4)의 요철(20)의 경사방향은 제3도(a)와 동일하다.
제5도(b)에 있어서. 콘케이브(4)의 요철(20)의 경사방향은 제3도(b)와 동일하다.
제5도(c)에 있어서, 콘케이브(4)의 요철(20)의 경사방향은 제3도(c)와 동일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맨틀(10)과 콘케이브(4)와의 사이의 파쇄실(12)에 투입된 피파쇄물은 일부는 맨틀(10) 파쇄면의 요철(19)의 오목부에 밀려들어간 상태로, 또 상대하는 콘케이브(4) 파쇄면의 요철(20)의 오목부에 밀려 들어간 상태하에서 양자의 요철(19, 20)간에 끼여, 맨틀(10)과 콘케이브(4)와의 간격의 주기적 변동하에서 압축, 굽힘, 전단 작용에 의거한 입자간 파쇄에 의한 파쇄작용이 촉진된다.
특히, 압축에 비해 파쇄저항이 적은 굽힘, 전단작용이 크게 기여하고 있음으로써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능력이 향상되고, 소비동력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제3도(a)에 있에서, 피파쇄물은 파쇄과정에 있어서 맨틀(10)의 선회운동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것처럼 흘러내리고, 또 콘케이브(4)의 요철(20)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것처럼 작용하며, 파쇄실내에 있어서의 흘러내림 이동속도가 억제되어 맨틀(10) 및 콘케이브(4)의 요철(19, 20)간에 있어서 마모슬라이딩 작용을 받는 기회, 회수도 증대하고, 파쇄제품의 입자형상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3도(b) 및 제3도(c)에 있어서, 제3도(a)와 같이 양자의 요철(19, 20)간에 있어서 마모슬라이딩 작용을 받지만 제3도(a)에서 제3도(b) 및 제3도(c)와 요철(20)의 경사방향이 상이함에 따라 마모슬라이딩작용을 받는 기회, 회수가 점차 저하되기 때문에 파쇄제품의 입자형상 향상도 점차 감소경향을 띠지만 반면에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도(a)에 있어서 피파쇄물은 파쇄공정에 있어서 맨틀(10)의 선회운동에 따라 콘케이브(4)의 요철(20)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것처럼 작용하며, 요철(19, 20)간에 있어서 마모슬라이딩 작용을 받는 기회, 회수도 증대되고 파쇄제품의 입자형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용은 상기 제3도(a)와 비교하면 감소경향을 띠지만 반면에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제4도(b)에 있어서 맨틀(10)의 선회운동에 따라 콘케이브(4)의 요철(20)에 의해 피파쇄물을 하부로 밀어넣는듯이 작용하고, 파쇄실내에 있어서의 흘러내림 이동속도가 증가하여 마모슬라이딩 작용을 받는 기회, 회수가 점차 저하되기 때문에 파쇄제품과 입자형상 향상도 점차 감소경향을 띠지만, 반면에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작용은 상기 제3도(c)와 비교하면 입자형상의 향상이 감소경향을 띠지만, 반면에,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도(a)에 있어서, 피파쇄물은 파쇄과정에 있어서 맨틀(10)의 선회운동에 의해 하부로 밀어넣는 듯이 흘러내리고, 콘케이브(4)의 요철(20)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것처럼 작용하고, 파쇄실내에 있어서의 흘러내림 이동속도가 조절되어 요철(19, 20)간에 있어서의 마모슬라이딩 작용을 받는 기회, 회수도 증대되고, 파쇄품의 입자형상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때, 상기의 작용은 상기 제3도(a), 제4도(a)와 비교하면 감소경향을 띠지만, 반면에,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도(b) 및 제5도(c)에 있어서 제5도(a)와 같이 양자의 요철(19, 20)간에 있어서 마모슬라이딩 작용을 받으나, 제5도(a)에서 제5도(b) 및 제5도(c)에로 요철(20)의 경사방향이 상이함에 따라 마모슬라이딩 작용을 받는 기회, 회수가 점차 저하되므로 파쇄제품의 입자형상 향상도 점차 감소경향을 띠지만 반면에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때, 상기의 작용은 상기 제3도(b) 및 제3도(c), 제4도(b)와 비교하면, 입자형상 향상도 감소경향을 띠지만 반면에 파쇄에 있어서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킬 수있다.
이리하여, 요철(19, 20)의 경사방향 조합의 선택에 의해, 상이한 상호 운동하에서의 피파쇄물의 마모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파쇄제품의 입자형상, 입도 및 처리능력을 용이하게, 게다가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선회운동식 파쇄기의 파쇄성능을 종래의 것과 비교하면, 파쇄제품의 입도를 나타내는 세트언더는, 종래의 것은 60∼70%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것은 85∼95%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쇄제품의 입도를 미세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요철(19, 20)의 폭이나 경사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6도(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가 맨틀(10)의 파쇄면을 직선의 회전면으로 형성한데 대하여 맨틀(10)의 파쇄면을 오목곡선의 회전면으로 형성한 점이 상이하고,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로서 분명한 바와같이 맨틀의 파쇄면과 콘케이브의 파쇄면의 각각에 형성된 요철간에 끼인 피파쇄물은 압축, 굽힘, 전단작용 및 마모슬라이딩 작용에 의거한 입자간 파쇄에 의한 파쇄작용이 촉진된다. 특히 파쇄저항이 적은 굽힘, 전단작용에 의거한 파쇄가 행해지므로 선회운동파쇄기의 파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비동력의 절감을 가능케할 수 있다.
또 요철간의 상호운동에 의해 피파쇄물의 마모슬라이딩 작용도 증대하여 파쇄제품의 입자를 미세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자형상을 입방체 형상으로 개량할 수 있는 등, 실용상의 효과는 다대하다.

Claims (1)

  1. 맨틀의 파쇄면과 콘케이브의 파쇄면의 각각에, 원주방향으로 연속상태로 이어지는 요철을 형성한 맨틀과 콘케이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운동식 파쇄기.
KR1019880011808A 1988-09-13 1988-09-13 선회운동식 파쇄기 KR910001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808A KR910001233B1 (ko) 1988-09-13 1988-09-13 선회운동식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808A KR910001233B1 (ko) 1988-09-13 1988-09-13 선회운동식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06A KR900004406A (ko) 1990-04-12
KR910001233B1 true KR910001233B1 (ko) 1991-02-26

Family

ID=1927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808A KR910001233B1 (ko) 1988-09-13 1988-09-13 선회운동식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088A1 (ko) * 2009-08-26 2011-03-03 (주)인광환경 순환골재용 파쇄 및 마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088A1 (ko) * 2009-08-26 2011-03-03 (주)인광환경 순환골재용 파쇄 및 마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06A (ko) 199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6506A (en) Vertical type roller mill
KR910001233B1 (ko) 선회운동식 파쇄기
EP0958057B1 (en) A pair of co-operating refining elements for a disc refiner
JPH043260B2 (ko)
NL192951C (nl) Breekinrichting.
CN107983505A (zh) 一种物料粉碎机
CN208554345U (zh) 一种颚式破碎机
CN213160984U (zh) 一种旋盘式圆锥制砂机
KR940006972B1 (ko) 선회식 분쇄기의 분쇄부재
JPH0611108Y2 (ja) リングロ−ルミル
KR200390479Y1 (ko) 콘크러셔용 분쇄실 구조
JPH08999Y2 (ja) ハンマーミル
JPS61263655A (ja) 旋動式破砕機
JP2673292B2 (ja) コーンクラッシャ用ライナ
CN2352255Y (zh) 一种悬臂螺旋壳体锤片式粉碎机
CN213287224U (zh) 一种持续进料药品粉碎机
CN1035961A (zh) 笼式粉磨机
FI76503B (fi) Kross.
JPH0352651A (ja) コーンクラッシャ用ライナ
JP4301605B2 (ja) 竪型ローラ粉砕機
JPH0360746A (ja) コーンクラッシャ用ライナ
CN2057860U (zh) 变啮角单辊破碎机
JPS631101B2 (ko)
JPH01184043A (ja) 旋動式破砕機
JPS61278361A (ja) 旋動式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