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102B1 - 유리제품 제조장치의 주형에 윤활유를 분산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제품 제조장치의 주형에 윤활유를 분산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102B1
KR910001102B1 KR1019840008418A KR840008418A KR910001102B1 KR 910001102 B1 KR910001102 B1 KR 910001102B1 KR 1019840008418 A KR1019840008418 A KR 1019840008418A KR 840008418 A KR840008418 A KR 840008418A KR 910001102 B1 KR910001102 B1 KR 910001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mold
nozzle
lubrican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447A (ko
Inventor
아끼오 스기에
아쯔유끼 야마와끼
히로미쯔 도이
가쯔끼 아즈마
Original Assignee
야마무라 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 무라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무라 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야마 무라 다께시 filed Critical 야마무라 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40/00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 C03B40/02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by lubrication; Use of materials as releas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40/00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 C03B40/02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by lubrication; Use of materials as releas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 C03B40/027Apparatus for applying lubricants to glass shaping moulds or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제품 제조장치의 주형에 윤활유를 분산시키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예에 의한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의 상부 평면 단편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 단편도.
제3도는 제1도의 선(Ⅲ-Ⅲ)에 따라서 취한 단면 확대도.
제4도는 제1도의 선(Ⅳ-Ⅳ)에 따라서 취한 수직단면 단편도.
제5도는 네크링용 공기 공급장치 및 윤활유 공급장치의 흐름도.
제6도는 블랭크 몰드용 공기 공급장치 및 윤활유 공급장치의 흐름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공기 공급장치 제어회로 및 윤활유 공급장치 제어회로를 도시한 개념도.
제9도는 윤활유 공급장치의 자석 밸브의 기능과 윤활유 공급통로의 윤활유 압력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해도.
제10도는 취입성형 공정시에 바닥판에 윤활유를 분산시키는 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런저 장치 3 : 지지브라켓트
5 : 노즐 지지체 5a : 관통공
6a : 관통공 6A : 공기공급대
7 : 윤활유공급대 7a : 윤활유도입관
12 : 노즐 13 : 네크 몰드
17 : 노즐 18 : 블랭크 몰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리제품 제조장치용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 특히 유리병 제조장치의 주형에 예컨대, 액체로된 윤활제(앞으로는 윤활유라고만 언급할 것임)를 분산시키는데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병을 성형하는 주형의 표면에 윤활유를 자동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용융유리체가 주형속으로 부드럽게 충전되어 성형된 유리제품이 그 주형에서 잘 빠져나오도록 장치한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형태의 장치에 관한 공지의 기술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수 있다.
(a) 깔대기를 통해서 주형속으로 윤활유를 분무시키는 장치(미국 특허 제3,141,752)
(b) 윤활유 분산장치를 용융유리의 공급통로와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윤활유가 주형속으로 분무되도록 한 장치(1971년 8월 18일자 독일 공개 특허공보 P2141455 및 미국 특허 제3,623,856호)
그러나, 이들 각 장치는 주형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윤활유를 분무시키게끔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속의 플런저에 윤활유가 떨어져서 플런저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빨리 냉각되어 버리고, 국지적으로 냉각되어 버림과 아울러 오염되어 버림으로써 완성된 유리 제품에 부분적으로 결함이 생기게 된다.
더구나,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고온의 환경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이 윤활유를 하방으로분무시키게끔 할 경우에는 분무되는 윤활유가 상승기류의 작용에 의해서 교란되어 버리게 됨으로써 윤활유를 주형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거나 어려워진다는 결점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주형의 표면에 윤활유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윤활유로 인한 플런저 오염을 방지하여 공지 장치의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리병 제조장치와 같은 유리제품 제조장치의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상기한 형태의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된 작용을 하는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크링(neck ring) 및 블랭크 몰드(blank mold)와 같이 주형을 형성하는 예정된 정지 위치 하방의 지점에서 상방으로 주형의 표면을 향하여 윤활유가 분무되도록 하기 때문에 분무된 윤활유가 상승기류에 의해서 교란될 염려가 없어서 윤활유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윤활유의 필요량을 최소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주형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 지지체를 플런저 장치에 고정시켜 놓기 때문에 주형의 교체시에도 플런저 장치의 수직 이동에 대하여 노즐과 주형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거리가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주형의 표면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노즐 지지체를 바닥판 장치에 고정시켜 놓기 때문에 성형제품을 다른 종류로 바꾸기 위해서 바닥판 장치의 높이를 변화시킬지라도 바닥판 장치의 수직이동에 대한 노즐과 바닥판간의 상대적인 위치는 계속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바닥판의 표면에 대한 윤활유의 공급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제반 효과의 결과로서 윤활유의 분무상태가 변치않고, 윤활유의 공급량 조절이 간단한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를 얻어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해서 첨부한 도면을 예로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예는 유리병용 블랭크 몰드와 네크링에 윤활유를 분산시키는데 사용하는 윤활유 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동시에 두 개의 취입성형(blowing)을 해낼 수 있게끔 장치한 이중 취입 장치(douvle-gob-system)의 플런저 장치(1)를 도시하였다. 플런저 장치(1)의 상부에 있는 캡(2)에 대하여 지지브라켓트(3)를 볼트(4)로 고정시켜 놓는다. 브라켓트(3)상에는 두 개의 네크몰드 노즐 지지체(5)와 블랭크 몰드 노즐 지지체(6)를 부착시켜 놓는다.
우선, 네크링 장치에 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크링 노즐 지지체(5)는 브라켓트(3)상에 설치한 윤활유 공급대(7)의 양단에 대하여 선회시켜 올리고 내릴 수 있게끔 접속시켜 각 플런저부에 대한 네크링 삽입받이(8)의 좌우측에 형성시킨 홈(8a)속에 배치해 놓을수 있도록 한다.
윤활유 공급대(7)속에 네크링 노즐 지지체(5)에 대응하여 형성시켜 놓은 윤활유 도입관(7a)에 각각 네크링 윤활유 공급관(9)을 접속시켜 놓는다.
상기 지지브라켓트(3)에서, 윤활유 공급대(7)의 각 도입관(7a)에는 분배관(3d)을 통해서 공기 공급관(3a)을 접속시켜 놓음으로써, 윤활유 공급관(9)을 통해서 공급되는 윤활유와 공기공급관(3a)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를 도입관(7a)에서 서로 합쳐놓는다.
각 노즐 지지체(5)에는 관통공(5a)을 형성시키는 한편, 각 노즐 지지체(5)의 전방단부에는 그 관통공(5a)과 통하는 네크링 노즐(12)을 부착시켜 놓는다. 이 노즐(12)은 노즐 지지체(5)가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 그 대응하는 네크링 삽입받이(8)의 오목한 홈(8a)속에 들어있게 된다. 이와 아울러, 노즐(12)은 네크링 삽입받이(8)위로 리버어트 되어 있는 네크링(13)의 주형표면을 향하도록 상방으로 설정된다. 노즐 지지체95)의 관통공(5a)은 상기한 하강 위치에서 공기 공급대(7)의 도입관(7a)과 부분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열한다.
접속대(10)를 지지브라켓트(3)상에 부착시켜 나중에 언급하고자하는 윤활유 공급장치로부터 윤활유 공급관(61)을 거쳐서 공급되는 윤활유로 하여금 윤활유 공급관(14) 및 필요에 따라서 각 노즐(12)에 대한 윤활유 공급량을 조절하는 정량공급기(15)를 통해서 각 윤활유 공급관(9)으로 분배되어 들어가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는 플런저 장치(1)를 사이에 두고서 양측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각 네크링 삽입받이(8)에 한쌍의 노즐(12)을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한다.
이어서, 블랭크 몰드에 대한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랭크 몰드 노즐 지지체(6)의 양단에 노즐(17)을 갖추어 놓는 바, 이 노즐(17)은 블랭크 몰드(18)의 두반쪽(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하였음)이 완전히 열리게 되는(제1도에"θ"로 표시한 각도로서 본 예에서는 35°)위치 하방에 배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작용 방향은 블랭크 몰드(18)의 두반쪽의 주형표면쪽으로 상방을 향하도록 한다.
블랭크 몰드 윤활유 공급관(16)은 블랭크 몰드 노즐 지지체(6)의 양단에 형성시킨 관통공(6a)과 각각 접속시켜 놓는다. 이 관통공(6a)과 지지브라켓트(3)속의 공기 공급관(3b)을 서로 접속시켜 놓는다. 이 공기 공급관(3b)은 브라켓트(3)상의 공기 공급대(6A)속에서 지지체(6)속의 두 분배관(6d)과 접속시키는 한편, 이 분배관(6d)은 관통공(6a)과 서로 통하도록 한다.
네크링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중에 언급하고자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윤활유 공급관(63)을 통해서 공급되는 윤활유는 접속대(10), 윤활유 공급관(19), 및 정량 공급기(20)를 통해서 각 윤활유 공급관(16)속으로 분배되어 들어가게 된다. 상기한 정량 공급기(20)에 의해서 각 노즐(17)에 대한 윤활유 공급량을 필요에 따라 조절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블랭크 몰드에 대한 장치와 같은 장치를 그 두 개로 분리되는 몰드부(18)와 쌍을 이루는 다른 두쪽 몰드부(제1도에서 상부 반쪽에서 열려지는)에 대응하여 플런저 장치(1)의 양측에 대향시켜 놓는다.
제5도는 네크링 공기 공급 및 윤활유 공급장치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제6도는 블랭크 몰드에 대한 같은 흐름도이다.
이하 제5도를 참조하여 네크몰드에 대한 것을 설명하는 바, 부호(21)는 공기 공급장치를 표시하는 것이고, 부호(22)는 윤활유 공급장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공기 공급장치(21)에는 공기 공급관(23), 공기 공급관(23)의 통로에 설치한 여과기(26), 감압밸브(27), 윤활유 공급기(28), 등을 통해서 분기관(24)속으로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25)를 설치한다. 분기관(24)에는 병제조장치의 각 성형부에 대응하여 분기로(24a)를 형성시키는 한편, 그 분기로의 통로상에는 솔레노이드밸브(29)를 설치함과 아울러, 대응하는 성형부에 대하여 지지브라켓트(3)의 공기 공급관(3a)과 분기관(24a)을 서로 통하게끔 한다.
한편, 윤활유 공급장치(22)에는 윤활유 공급관(31), 분기관(32)의 단부에서 탱크(30)로 이르는 윤활유 귀환관(34), 윤활유 공급관(31)의 통로에 설치하여 그 윤활유 공급관(31)의 내부압력이 분기로(31a) 개방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을 검지토록 함으로써 그 윤활유 공급관(31)속의 윤활유 초과분이 다시 탱크(30)속으로 귀환하게금 하는 밸브(35), 윤활유 공급관(3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6), 및 윤활유 귀환관(34)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7)를 통해서 분기관(32)으로 탱크(32)의 윤활유를 공급하는 펌프(33)를 설치한다. 윤활유 공급관(31), 분기관(32) 및 윤활유 귀환관(34)은 항상 윤활유를 순환시키는 순환로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쓸데없이 윤활유가 퇴적되거나 엉기게 되는 따위를 방지한다. 아울러, 분기관(32)에는 병제조장치의 각 성형부에 대응하여 분기로(32a)를 설치하는 한편, 그 통로상에 솔레노이드 밸브(38)를 설치하여 이 솔레노이드 밸브(38)에 연결시키는 윤활유 공급관(61)을 그 대응하는 성형부의 접속부(10)에 결합시켜 놓는다.
이렇게 해서, 공기 공급장치(21) 및 윤활유 공급장치(22)에 대한 각 솔레노이드 밸브(29,36,37 및 38)의 개방/폐쇄 동작이 제5도의 제어회로(39)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다. 제7도 및 8도는 각각 상기한 제어회로(39)에 대한 공기 공급장치 및 윤활유 공급장치의 윤활을 나타낸 도해도이다.
제7도에 도시한 공기 공급장치 제어회로에는, 병제조장치의 각 성형부의 동작주기와 동시에 동작하여 각 성형부의 일동작 주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장치한 감지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시간지정장치(41)는 상기한 감지기(40)의 신호를 직접 받아서 각 성형부에 대한 일동작 주기중에 임의의 원하는 성형부를 지정하여 그 시각에 개폐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각각 서로 다른 지정 계수(set count)를 갖도록 하는 한편, 각 성형부에 대응하여 상기한 시간지정장치(41)로부터 발생된 계수신호를 받아서 예정된 계수치에 도달하면 그 계수를 소거하여 후속단계의 제어장치(43)에 대응하는 신호를 내보내는 계수기(42a,42b)를 설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각 성형부의 동작주기의 수가 계수기(42a,42b)의 지정계수에 도달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가 제어장치(43)로 들어가게 된다. 제어장치(43)에 있어서, 시간지정장치(41)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신호와 계수기(42a 또는 42b)를 통해서 들어오는 신호는 논리적으로 처리되어 그 대응하는 성형부의 솔레노이드 밸브(29)를 개폐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계수기(42a,42b)는 각 성형부에 따라서 원하는대로 지정되게끔 장치하여 각 성형부에 대한 솔레노이드 밸브(29)의 개폐동작이 그 각 동작주기로 일어나도록 한다.
한편, 제8도에 도시한 윤활유 공급장치 제어회로에 있어서는, 감지기(40'), 시간지정장치(41') 및 계수기(42'a,42b)를 전술한 공기 공급장치 제어회로와 공통으로 사용한다. 이 회로에서는, 시간지정장치(41')의 시간신호 및 계수기(42'a 또는 42'b)의 출력신호를 논리 처리하는 제어장치(44)의 출력에 의해서, 각 성형부에 대응하는 분기관(32)의 분기로(32a)에 대한 솔레노이드 밸브(38)의 개폐제어를 하는 것 말고도, 윤활유 공급장치(22)의 순환로의 가압 및 탈압( depressurizing)에 사용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6,37)의 개폐제어도 아울러한다. 이 솔레노이드 밸브(36,37)를 제어하기 위해서 이 회로는 어느 한 계수기(42a 또는 42b)가 계수할지라도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성형부에 대응하는 어느 다른 솔레노이드 밸브(38)가 동작하게끔 할 때 이들 솔레노이드 밸브(36,37)의 개폐동작이 실패없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9a,b,c도 및 (d)는 가압 및 탈압 솔레노이드 밸브(36,37) 및 기타 성형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8)의 동작과, 솔레노이드 밸브(38)의 개폐동작에 대응하는 분기관(32)속의 윤활유 압력 및 윤활유 공급관속의 윤활유 압력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이어서, 이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 공급장치(21)와 윤활유 공급장치(22)의 각 성형부에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9,38)는 평소에는 닫혀 있는 형태의 밸브로 구성한다. 한편, 윤활유 공급장치(22)용 가압 및 탈압 솔레노이드 밸브(36,37)는 평소에는 열려있는 형태의 밸브로 구성한다. 병제조장치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각 성형부의 일동작 주기마다 감지기(40)가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시간지정장치(41)로 보낸다. 시간지정장치(41)가 그 신호를 받게되면 그 성형부의 일동작 주기중에 그 예정된 특정 성형부에 상응하는 시간신호를 제어판(43,44)에 공급하게 된다. 동작주기중에 시간지정장치(41)에 의한 성형부의 지정은 그 병제조장치가 구동중일지라도 원하는 대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장치한다.
예컨대, 계수기(42a)에 대하여 미리 어떤 성형부를 지정했을 경우에 그 성형부의 동작주기수가 상기한 계수기(42a)의 지정계수와 같은 회수에 도달하게 되면 계수기(42a)로부터 제어장치(43)로 계수신호가 공급된다. 이 제어장치(43)로 온 신호를 그 성형부에 대응하여 그 시간지정장치(41)로부터 따라 공급된 신호와 함께 논리처리를 받아서 그 성형부에 대응하는 공기공급 솔레노이드 밸브(29)를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시간지정장치(41)로 부터는, 윤활유 공급제어장치(44)로도 그 성형부에 대응하는 시간신호가 동일한 방식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가압 및 탈압시간신호가 별도로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그 지정된 계수기(42a)로 부터도 계수신호가 그 제어장치(44)로 공급된다. 제어장치(44)로 온 이들 신호는 놀리처리를 받아서 가압 솔레노이드 밸브(37), 탈압 솔레노이드 밸브(36) 및 그 성형부에 대응하는 윤활유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38)를 개폐제어하게 된다.
상기한 개폐제어에 관해서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압 솔레노이드 밸브(37)를 제9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닫으면, 윤활유 공급장치(220의 순환관의 귀환로가 폐쇄되어 분기관(32)속의 윤활유 압력이 제9a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동장의 양간 후에 그 분기관(32)의 분기로(32a)의 윤활유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38)가 열리게 되면 그 윤활유 공급관속의 압력이 제9a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한다.(이 실시예에서 압력은 15kg/cm2)까지 상승한다.)
예정된 시간이 지나면, 가압 솔레노이드 밸브(37)는 원래의 개방상태로 되돌아오게 되는 한편, 가압 솔레노이드 밸브(36)는 닫힘과 아울러 분기관(32)의 윤활유 압력이 급격히 하강하게 된다. 이어서, 솔레노이드 밸브(38) 후방의 윤활유 공급관 속의 윤활유 압력도 급격히 떨어져서 각각 "0"의 수준까지 내려가게된다. 이어서, 윤활유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38)가 원래의 폐쇄 상태로 되돌아오게 되면, 탈압 솔레노이드 밸브(36)도 약간 후에 원래의 개방상태로 되돌아오게 되고, 따라서 윤활유가 순환통로를 통과하게 되는 원래의 상태가 다시 설정된다.(이때 본 예에서는 윤활유 압력이 5kg/cm2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공기 공급장치(21) 및 윤활유 공급장치(22)의 제어작용에 의해서 윤활유와 가압공기는 상기한 성형부의 네크링 노즐 지지체(5)의 각 관통공(5a)속으로 공급되어 그곳에서 혼합되어 각 지지체(5)의 선단에 있는 네크링 노즐(12)에서 분출된다. 이러한 분출시각을 맞추기 위해서 제어회로(39)의 사간지정장치(41)를 조정하여 네크링(13)을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네크 몰드 삽입받이(8)상에 리버어트한 상태로 올 수 있게끔 한다.
본 예에서는, 서로 다른 지정계수를 갖는 두 개의 계수기(42a,42b)로 윤활유의 분무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끔 하였기 때문에 그 둘중의 하나를 선택 지정함으로써 분무간격을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어느 한 계수기(42a 또는 42b)를 각 성형부에 따라서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서, 각 성형부에 따른 외적인 인자의 차이로 인해서 주형의 분리성에 편차가 존재할지라도, 각 성형부에 대응하는 분무주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 성형부의 각 공동에 대한 외적인 인자, 등의 편차가 존재할 경우에, 또는 본 예에서와 같이 한 주형에 대해서 한쌍의 노즐을 설치하고 이 노즐에 다라서 외적인 인자가 틀려질 경우에는 각 정량공급기(15)를 조정함으로써 각 노즐에 대응하는 주형에 윤활유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전술한 예에서, 계수기(42a,42b)를 공기 공급장치(21) 및 윤활유 공급장치(22)에 대해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공기 공급장치(21)와 윤활유 공급장치(22)에 대해서 각각 별도의 계수기를 사용하여 윤활유 공급주기와 공기 공급주기를 개별적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윤활유의 분무주기와 가압 공기의 공급주기가 서로 일치되게끔 조정한다.
제6도는 블랭크 몰드에 대한 도식도로서, 네크링에 대한 것과 아주 동일한 것인바, 공기 공급장치를 부호(121)로, 윤활유 공급장치는 부호(122)로서 표시하였다.
공기 공급장치(121)에는 공기공급관(123), 이것의 통로에 설치한 여과기(126), 감압밸브(127) 및 윤활유 공급기(128), 등을 통해서 분기관(124)속으로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125)가 갖추어져 있다. 분기관(124)의 각 분기로(124a)는 병제조장치의 각 성형부에 대응하여 설치시키는 것이다. 분기로(124a)는 각 솔레노이드 밸브(129)를 경우하여 대응하는 성형부에 대한 지지브라켓트(3)의 공기 공급관(3b)에 접속시킨다.
한편, 윤활유 공급장치(122)에는 탱크(130)속의 윤활유를 윤활유 공급관(131)을 통해서 분기관(132)으로 공급하는 펌프(133), 분기관(132)의 단부에서 탱크(130)로 이르는 윤활유 귀환관(134), 윤활유 공급관(131)의 통로에 설치하여 윤활유 공급관(131)의 내부압력이 기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그것을 검지하여 분기로(131a)를 개방토록하여 그 윤활유 공급관(131)속의 윤활유 초과분을 탱크(130)속으로 되돌려 보내게끔 하는 해체밸브(135), 윤활유 공급관(131)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36), 윤활유 귀환관(134)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37)를 포함하고 있고, 윤활유 공급관(131), 분기관(132) 및 윤활유 귀환관(134)에 의해 형성된 순환통로에서, 항상 윤활유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윤활유의 퇴적, 엉김 등과 같은 결점을 해소하는 순환로가 갖추어져 있다.
상기한 분기관(132)의 각 분기로(132a)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38)를 경유하여 병제조장치의 각 성형부에 대응시킴과 아울러, 이 솔레노이드 밸브(138)에는 윤활유 공급관(63)을 접속시켜 대응하는 성형부의 접속대(10)에 연결시킨다.
이와같이 해서, 상기한 공기 공급장치(121) 및 윤활유 공급장치(122)에 대한 각 솔레노이드 밸브(129,136,137 및 138)를 제어회로(139)에 의해서 개폐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어회로(139)는 제5도에 도시한 네크링에 대한 제어회로(39)의 구조와 똑같으나, 제어회로(139)의 시간 지정장치(41)는 윤활유의 분무시간과 블랭크 몰드(18)의 두 반쪽이 열려서 정지하는 시간이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각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어회로의 동작은 네크링의 경우와 똑같으므로 편의상 생략한다.
네크링(13)의 하방에 배치된 노즐(12)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그 네크링의 주형표면의 대략 중간지점으로 윤활유가 분무되기 때문에 윤활유의 분무가 플런저 장치(1) 주변의 고온 대기중에 형성되는 상승기류에 의해서 교란될 염려가 없어지게 됨으로써, 윤활유가 주형의 전체 표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분산됨과 아울러, 쓸데없이 윤활유가 흩어져버리지 않기 때문에 극히 소량의 윤활유(노즐당 0.01c.c.-0.30c.c.)로서도 그 목적을 성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생산율도 개선되는데, 왜냐하면 윤활유의 분무 직후에 형성되는 제품이 윤활유에 의해서 오염될 염려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본 예에서와 같은 이중 또는 삼중 성형장치(double or triple gob system)에 있어서도 각 공동에서 네크링(13)과 노즐(12)간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축소(약 50mm)시킬수 있기 때문에 윤활유를 더욱 소량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다는 잇점이 존재한다. 또한 하방으로부터 분무되기 때문에, 플런저가 윤활유에 의해 오염되어 최종 제품에 결점이 생긴다고 하는 불편이 회피될 수 있다.
더구나, 네크링 노즐 지지체(5)가 지지브라켓트(3)에 의해서 플런저 장치(1)의 상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네크링을 사용할 지라도 그 네크링이 그 동일한 장치에서와 같이 플런저 장치(1)의 수직이동을 쫓아서 서로 상대적인 위치변화를 하지않게 되므로, 네크링 노즐(12)과 그에 대응하는 네크링(13)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윤활유를 더욱 균일하게 분무시킴과 아울러 그 분무량을 더욱 소량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블랭크 몰드에 대한 윤활유의 분무도 네크링(13)의 경우와 동일함은 물론, 극히 소량의 윤활유를 가지고서도 균일하게 분무시킬 수가 있다.
네크링 노즐 지지체(5)는 공기공급대(7)에 대하여, 선회시켜 올리거나 내릴수 있도록 지지시키기 때문에, 플런저와 팀블(Thimble)의 교체시에 제2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5)를 들어올리면 네크링 삽입받이98)의 위치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그 교체작업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블랭크 몰드 노즐 지지체(6)의 경우에도 그 지지체(6)가 블랭크 몰드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블랭크 몰드의 교체 작업을 방해하지 않음은 물론, 네크링의 경우 마찬가지로 블랭크 몰드를 다른 종류의 것으로 바꿀지라도 그 상대적인 위치는 변치 않게 된다.
윤활유의 사용은 몰드의 분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지만, 반면에 몰드의 수명을 감소시키는 인자도 되므로, 윤활유의 분무 간격은 가능한 길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그 분무간격을 길게하기 위해서는 네크링, 블랭크 몰드, 바닥판, 등과같은 주형표면에 탄소, 니켈도금, 불화탄소도금과 같은 피막을 입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예에서 블랭크 몰드의 주형표면에 탄소피막을 입히지 않았을 경우에는, 완성된 제품에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초기단계에서의 분무간격을 계수기의 계수치로 40미만이 되도록 줄여야 하나, 그 주형표면에 탄소피막을 입혔을 경우에는 계수기의 계수치로 60이 되는 분무간격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서 알수 있는 바, 탄소피막을 입혔을 경우에는 입히지 않았을 경우보다 블랭크 몰드의 수명이 약 30%정도 더 길어지게 된다.
제10도는 병제조장치의 취입성형 공정을 위한 바닥판상에 윤활유를 분무시키는 장치의 일예로서, 전술한 예의 공기 공급장치(21) 및 윤활유 공급장치(22)와 같은 장치를 사용해서 구성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 바닥판 몰드장치(45)의 상부에 바닥판(46) 지지용 바닥판 받침대(47)를 설치한다. 상기한 바닥판 몰드장치(45)는 이중성형장치를 위한 것으로서, 바닥판 받침대(47)에 대하여 두 개의 바닥판(46)을 배열시켜 놓은 것이다. 이 바닥판 받침대(47)에 바닥판 노즐 지지체(48)를 볼트(49)로 죄어서 고정시켜 놓는다.
노즐 지지체(48)속에다 상기한 바닥판(46)에 각각 대응하는 바닥판 노즐(50)을 설치하는 바, 그 분사방향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에서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각 바닥판(46)의 주형표면을 향하도록 한다.
아울러, 바닥판 몰드 노즐 지지체(48)에는 부착판(51)도 설치하여, 이 부착판(51)에 배관대(52)를 고정시켜 이것에 의해서 바닥판 몰드 노즐 지지체(48)속에 형성시킨 관통공(48a)과 공기 공급관(53)을 서로 결합시켜 놓는다. 이 관통공(48a)은 지지체(48)속에서 분기되어 각 노즐(50)과 연결되는 것이다. 이렇게해서, 배관대(52)로부터 연장된 공기공급관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서 전술한 공기 공급장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기관(제5도에 부호(24)로 표시한 것에 상응하는)의 분기로도 접속되는 것이다.
한편, 노즐(50)은 전술한 윤활유 공급장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판(51)에 설치한 정량공급기(55)를 통해서 윤활유 공급관(54)에 각각 접속시키는 바, 이 윤활유 공급관(54)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서 분기관(제5도에서 부호(32)로 표시한 것에 상응하는)의 분기로에 접속되는 것이다.
윤활유를 바닥판(46)에 분사시킬 경우에, 노즐 지지체(48)에 가까이 있는 바닥판과 멀리있는 바닥판(46)에 각각 대응하는 노즐(50)에 대하여 각각의 분무거리 및 분무각도의 조건이 상이할 지라도 각 노즐(50)에 대응하는 정량공급기를 각각 조정하여 윤활유 공급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각 바닥판(46)에 대하여 균일하게 윤활유를 분무시킬 수가 있다(예컨대, 지지체(48)에 가까이 있는 바닥판(46)에 대해서는 한번에 0.08c.c.로 하고, 지지체(48)에서 멀리있는 바닥판(46)에 대해서는 한번에 0.2c.c.로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0도의 분무장치는 각 바닥판(46)에 대하여 하나씩 설치한 상태의 것이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각 바닥판(46)에 대해서 두 개의 노즐(50)을 설치해 놓을 수도 있다. 물론, 세개 이상의 노즐을 한 바닥판(46)에 대응시켜 놓을 수도 있다.
각 바닥판에 대한 윤활유의 분무시간은 배관통로와 제5,7 및 8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의 제어회로에 의해서 조절하여, 취입성형에 의해 형성된 최종적인 제품이 빠져나올때 분무가 이루어지게끔 한다.
아울러, 본 예에서는 상술한 네크링과 불랭크 몰드에 대한 윤활유 분무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노즐(50)과 바닥판 장치(45)가 일체가 되어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처리제품의 변경으로 인해서 바닥판 장치의 높이가 변할지라도 바닥판 몰드(46)와 노즐(50)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치않으므로 언제나 일정한 양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노즐 지지체(48)를 바닥판 몰드(46)의 부착위치에서 약간 띄어서 설치하기 때문에 바닥판(45)의 교체시에도 장애가 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에서는 각각 독립적인 배관장치와 제어장치를 네크링, 블랭크 몰드 및 바닥판에 대한 장치에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용도는 그러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배관장치와 제어장치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장치를 변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각 단계에서 주형의 예정된 정지위치 하방에 있는 플런저 장치(1)의 상부에 배치하는 노즐 지지체(5,6), 노즐 지지체(5,6)에 지지시켜 윤활유와 공기를 상방으로 상기한 각 몰드의 주형 표면에 대하여 혼합분무토록 하는 노즐(12,17), 상기 노즐(12,17)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장치(22,122), 상기 노즐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장치(21,121) 및 상기 윤활유 공급장치(22,122)와 공기 공급장치(21,121)의 공급작용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장치(39,139)로 구성한 유리제품 제조장치용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노즐 지지체(5)를 네크링(13)이 리버어트 되어 있는 정지 위치 하방에 배치한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노즐 지지체(5)는 기립 자세에서 플런저(1) 및 팀볼의 교체에 지장이 없는 후퇴 위치로 되도록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해 공기 공급대(7) 및 윤활유 공급대(7)에 선회식으로 결합된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노즐 지지체(5)는 블랭크 몰드(18)가 열려져 분리되는 정지 위치 하방에 배치한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주형(13,18)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노즐(12,17)을 설치한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
  6. 바닥판 장치에 설치하는 노즐 지지체(48), 이 노즐 지지체(48)에 부착시켜 상기한 바닥판 장치상의 바닥판의 주형 표면에 대하여 윤활유와 공기를 혼합분무토록 하는 노즐(50), 이 노즐(50)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장치(22,122), 노즐(50)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장치(21,121), 및 상기 윤활유 공급장치(22,122)와 공기 공급장치(21,121)의 공급작용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9,139)로 구성한 유리제품 제조장치용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바닥판에 대하여 다수의 상기 노즐(50)을 설치한 주형 윤활유 분산장치.
KR1019840008418A 1983-12-27 1984-12-27 유리제품 제조장치의 주형에 윤활유를 분산시키는 장치 KR910001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45886 1983-12-27
JP58245886A JPS60141641A (ja) 1983-12-27 1983-12-27 ガラス製びん機の金型潤滑液塗布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447A KR850004447A (ko) 1985-07-15
KR910001102B1 true KR910001102B1 (ko) 1991-02-23

Family

ID=1714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418A KR910001102B1 (ko) 1983-12-27 1984-12-27 유리제품 제조장치의 주형에 윤활유를 분산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79574A (ko)
EP (1) EP0147229B1 (ko)
JP (1) JPS60141641A (ko)
KR (1) KR910001102B1 (ko)
AU (1) AU565085B2 (ko)
CA (1) CA1240518A (ko)
DE (1) DE347041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0530U (ko) * 1986-12-31 1988-07-15
US4765821A (en) * 1987-01-30 1988-08-23 Ball Corporation Apparatus for lubricating glassware mold
US20090061100A1 (en) * 2007-08-27 2009-03-05 Donges William E Material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JP5504031B2 (ja) * 2010-03-30 2014-05-28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品成形機における塗油作業監視装置およびガラス製品成形機
ES2791730T3 (es) * 2015-08-26 2020-11-05 Socabelec S A Engrase de moldes desbastadores en un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productos de vidrio hueco
DE102017115418A1 (de) * 2016-07-12 2018-01-18 Schot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rmen eines gläsernen Werkstücks mit Minimalschmierung
JP6511565B1 (ja) * 2018-05-07 2019-05-15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離型剤供給監視装置、および、ガラスびん成形用金型への離型剤噴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0609A (en) * 1938-12-31 1941-02-04 Hartford Empire Co Spray mechanism for glass machinery
US3141752A (en) * 1960-05-03 1964-07-21 Owens Illinois Glass Co Lubrication of glass molds
US3480422A (en) * 1966-12-23 1969-11-25 Armstrong Cork Co Lubrication system for a parison blank
US3523016A (en) * 1967-12-27 1970-08-04 Production Specialties Co Mold lubricating means for glassware making machines
US3580711A (en) * 1968-08-05 1971-05-25 Lynch Corp Spraying mechanism for glassware forming machines
US3623856A (en) * 1970-02-02 1971-11-30 Owens Illinois Inc Mold spray apparatus
DE2141455C3 (de) * 1971-08-18 1975-12-04 Deutsche Acheson Gmbh, 7900 Ulm Einrichtung zum Einbringen von versprühbarem Schmiermittel in Formen für die Herstellung von Hohlglaskörpern
CA1184036A (en) * 1980-06-26 1985-03-19 Roy Brown Glass mould lubrication
US4392880A (en) * 1980-08-18 1983-07-12 Emhart Industries, Inc. Glassware forming apparatus with blow mold spray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41641A (ja) 1985-07-26
KR850004447A (ko) 1985-07-15
US4579574A (en) 1986-04-01
AU565085B2 (en) 1987-09-03
JPS6250420B2 (ko) 1987-10-24
AU3692384A (en) 1985-07-04
DE3470412D1 (en) 1988-05-19
EP0147229B1 (en) 1988-04-13
EP0147229A3 (en) 1985-11-27
CA1240518A (en) 1988-08-16
EP0147229A2 (en) 1985-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102B1 (ko) 유리제품 제조장치의 주형에 윤활유를 분산시키는 장치
US3141752A (en) Lubrication of glass molds
CA1184036A (en) Glass mould lubrication
NO134944B (ko)
IE44381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cooled moulding devices
US5215261A (en) Electrostatic sprayer installation for powder coating product
US4765821A (en) Apparatus for lubricating glassware mold
US8186181B2 (en) Material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JPH0699155B2 (ja) ガラス製びん機の金型潤滑液塗布装置
US5205982A (en) Tundish flow control
CN104045219A (zh) 在落至坯模期间用润滑分散剂涂覆玻璃料滴的系统及方法
US46041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ubricating and moulding glass parisons
EP0125477B1 (de)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s Trenn- bzw. Schmiermittels in die Vorform einer IS- oder RIS-Maschine
CN110508781B (zh) 一种用于模具降温的喷雾系统
US4861363A (en) Lubricant spray device for glass moulds
EP0887305A1 (en) Method of handling liquid using a buffer tank
US48677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ubricating glassware mold
CN111347058B (zh) 一种金属气雾化速度动态控制设备
CN209205578U (zh) 一种用于热交换机生产的涂装设备
CN212693212U (zh) 模具喷淋喷嘴的检测装置
CZ297986B6 (cs) Stroj s individuálními sekcemi
CN218985761U (zh) 一种激光熔覆喷头
CN220178113U (zh) 一种连铸铸坯冷却装置
EP0121346A1 (en) Blow mould cooling
GB2331091A (en) Plunger mechanism for I. S. machine using distribution bas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