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86Y1 -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기능 리모콘 - Google Patents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기능 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86Y1
KR910001086Y1 KR2019880003245U KR880003245U KR910001086Y1 KR 910001086 Y1 KR910001086 Y1 KR 910001086Y1 KR 2019880003245 U KR2019880003245 U KR 2019880003245U KR 880003245 U KR880003245 U KR 880003245U KR 910001086 Y1 KR910001086 Y1 KR 910001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knob
pad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347U (ko
Inventor
안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3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086Y1/ko
Publication of KR890020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1Constructional details using pivot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기능 리모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노브스위치 한 개만을 도시한 조립단면도.
제3도는 종래 고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케이스 2 : 하부케이스
5 : 탄력접속구 7 : 모델선택스위치
8 : 힌지측 9 : 상측커버
10 : 중간커버 11 : 상측노브
12,121 : 스폰지패드 13,131 : 패드받침판
14 : 중간노브 16 : 승강작동구
17 : 스프링
본 고안은 리모우트 콘트롤 방식의 전자, 전기기기 및 기계기구 등에 있어서 수대의 기기를 한 개의 리모콘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한 다단식 스위칭장치 복합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리모콘에 있어서는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2)내에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토록 노브(113)구조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하나의 노브로써 여러 모델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었다.
예를들면 서로 다른 기능이 인쇄된 명판을 부착된 기존 명판위에 덧대거나 부착하여 2중 기능하도록 사용하든지 아니면 한 개의 리모콘으로는 한 대의 기기만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리모콘은 리모우트 콘트롤 방식 수대의 기기를 소유하게 될 경우 각각의 리모콘이 필요하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게 될뿐만 아니라, 리모콘의 분실우려, 부착된 명판의 유동발생, 기능배열상의 제약등이 따르게 되었으며 기기마다 리모콘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기에 따라 노브커버를 각각 별도로 다단식 절첩될 수 있게하여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써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 내에는 접점단자(4)가 프린트된 PCB(3)를 고정설치하고, 이의 상면에는 도전성고무(6)가 하부에 부착설치된 탄력접속구(5)를 상부케이스(1)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일측면으로는 모델 선택스위치(7)를 돌출되게 설치한다.
상부케이스(1)선단에는 힌지축(8)으로써 상측 커버(9)와 중간커버(10)를 절접되게 설치하고, 상측커버(9)에는 누름축(110)을 가진 상측노브(11)를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후 스폰지패드(12)를 끼운다음 하면에 패드받침판(13)을 끼워서 조립설치한다.
중간커버(10)에는 중앙에 가이드공(15)을 가진 중간노브(14)를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이에 승강작동구(16)를 스프링(17)을 하부에 끼워지게 하여 삽입 설치한 다음 스폰지패드(121)와 패드발판(131)을 끼워서 조립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측커버(9)와 중간커버(10) 및 상부케이스(1)를 각각 기기의 모델에 따라 선택 조정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예를들어 상측커버(9)에 의한 기기를 조작할 경우에는 각 커버를 접은 상태에서 모델 선택스위치(7)를 해당번호에 위치시키고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노브(11)를 가압하여 누르게되면, 누름축(110)이 중간노브(14)의 가이드공(15)에 삽입되어 이에 끼워 설치된 승강작동구(16)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써 승강작동구(16)는 스프링(17)을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탄력접속구(5)를 누르게되므로 이에 설치된 도전성 고무(6)는 PCB(3)의 접점단자(4)와 접속되어 회로작동에 의한 신호를 발진하여 기기를 작동시키게 된다.
다른 기기를 중간커버(10)로써 작동시키고저 할 경우에는 모델 선택스위치(7)을 옮겨 해당번호에 위치시키고, 상측커버(9)를 위로올려 젖힌다음 중간노브(14) 상단부를 누르게되면 중간노브(14)는 승강작동구(16)를 가압하게 되고 승강작동구(16)는 스프링(17)을 압축하면서 하강되어 탄력접속구(5)를 눌러 도전성고무(6)와 PCB(3)의 접속단자(4)를 접속시켜 신호를 발진하게 되므로 기기가 작동된다. 또 다른 기기를 상부케이스(1)로써 작동시킬 경우에는 모델선택스위치(7)를 해당번호에 위치시키고 상측커버(9)와 중간커버(10)를 함께 들어올려 젖힌다음 탄력접속구(5) 상면을 누르게되면 탄력접속구(5)가 눌리면서 도전성고무(6)와 PCB(3) 접속단자(4)를 접속시켜 신호를 발진하게 되므로 해당기기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 노브(11)(14) 및 탄력접속구(5)의 누른 후의 복귀는 스폰지패드(12)(121), 스프링(17) 및 자체탄성에 의하여 상승 복귀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한 개의 리모콘으로써 수 개의 기기를 선택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되므로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한 개의 리모콘만을 제작하면 되므로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내에 PCB(3)를 설치하고, 이의 상면에 도전성고무(6)가 부착설치된 탄력접속구(5)를 상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측면 입지점에는 모델선택스위치(7)를 돌출 설치하고, 상부케이스(1) 선단에는 힌지축(8)으로써 상측커버(9)와 중간커버(10)를 절첩되게 설치하며, 상측커버(9)에는 상측노브(11)를 스폰지패드(12)와 패드받침판(13)으로써 설치하고, 중간커버(10)에는 중간노브(14) 및 승강작동구(16)를 스프링(17), 스폰지패드(121), 패드받침판(131)으로 설치하여서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 기능 리모콘.
KR2019880003245U 1988-03-11 1988-03-11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기능 리모콘 KR910001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245U KR910001086Y1 (ko) 1988-03-11 1988-03-11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기능 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245U KR910001086Y1 (ko) 1988-03-11 1988-03-11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기능 리모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347U KR890020347U (ko) 1989-10-05
KR910001086Y1 true KR910001086Y1 (ko) 1991-02-21

Family

ID=1927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245U KR910001086Y1 (ko) 1988-03-11 1988-03-11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기능 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0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744A (ko) * 2001-12-13 2003-06-25 김도형 인쇄회로기판용 코넥터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744A (ko) * 2001-12-13 2003-06-25 김도형 인쇄회로기판용 코넥터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347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8362A (en) Push-button switch with display device
US4659881A (en) Multidome multistage switch assembly
KR20020005430A (ko) 복합 조작스위치
US5268542A (en) Push button operated multi-step switch including flexible circuit board and extending push element
KR910001086Y1 (ko) 다단식 스위치장치 복합기능 리모콘
US4458123A (en) Connector for attaching an electrical component to a membrane keyboard
KR200177530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CN220138186U (zh) 一种旋钮装置
KR960002205B1 (ko) 자동카메라용 릴리즈 버튼 작동구조
WO1985000715A1 (en) Cradle contact device for a telephone with a push-button set
JPH04332413A (ja) 自照式キーボードスイッチ
KR100459772B1 (ko) 키버튼 어셈블리
KR930000088Y1 (ko) 전기 스위치
JPH0132256Y2 (ko)
KR950004942Y1 (ko) 고무버튼 스위치 장치
CA2123539A1 (en) Control Key Device
KR0115044Y1 (ko) 택트 스위치 작동장치
KR100382199B1 (ko) 전화기의 훅 스위치 장치
KR20040013742A (ko) 리모콘
KR200205039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19990055963A (ko) 전화기의 플런저
KR200159661Y1 (ko) 스위치 구조
JPH0120780Y2 (ko)
KR970003195Y1 (ko) 스위치기능를 구비한 ic테스트용 소켓.
KR200363770Y1 (ko) 개량 슬라이드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