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06Y1 -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06Y1
KR910001006Y1 KR2019880004944U KR880004944U KR910001006Y1 KR 910001006 Y1 KR910001006 Y1 KR 910001006Y1 KR 2019880004944 U KR2019880004944 U KR 2019880004944U KR 880004944 U KR880004944 U KR 880004944U KR 910001006 Y1 KR910001006 Y1 KR 910001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quare
hole
lin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4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225U (ko
Inventor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최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규 filed Critical 최현규
Priority to KR2019880004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006Y1/ko
Publication of KR890021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8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eccentric or helical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격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반대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서 라이닝과 드럼과의 사이를 유지하는 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간격 조절상태도.
제7도는 라이닝의 작동 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9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10도는 종래것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 2 : 간격조절캠
3 : 사각장공 4 : 지지편
5 : 돌턱 6 : 지지구
7 : 환돌부 8 : 사각돌부
9 : 캠 10 : 와셔
10′ : 사각공 11 : 스프링
12 : 고정구 13 : 사각돌부
15 : 콩공 16 :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과의 사이를 자동적으로 조절되고 또한 라이닝의 이동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이 일정시간 운행하여 라이닝의 어느정도 마모하게되면 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과의 사이가 벌어지기 때문에 라이닝의 간격조정구를 정기적으로 회동시켜서 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과의 사이를 일정간격으로 조정하였다.
따라서 라이닝의 어느정도로 마모되면 라이닝의 간격을 주기적으로 조정하기 때문에 불편하였고 또한 간격을 주기적으로 조정하지 않으면 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과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운행중에 브레이크를 밟았을때 브레이크가 빨리 작동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한 우려가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라이닝의 마모가 되면 브레이크를 밟을때마다 캠이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회동되어 라이닝과 드럼과의 사이를 항상 같은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또한 라이닝의 좌,우로 움직이는 간격도 조절캠에 의하여 임의로 정하여 항상 같은 간격만을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장공(3)이 뚫리고 주연에 돌턱(5)이 형성된 지지구(6)의 전면에 지지편(4)을 형성하고, 배면에 환돌부(7)와 사각돌부(8)를 차례로 형성한후 환돌부(7)에 캠(9)의 통공(9″)에 끼우고 다음에는 와셔(10)의 사각공(10′)을 사각돌부(8)에 끼워 고정하며, 스프링(11)이 권취되고 일단이 고정되 고정부(12)에 돌출되어 있는 사각돌부(13)를 지지구(6)에 뚫여 있는 사각공(3)에 끼우고, 고정구(12)에 권취된 스프링(11)의 선단에 캠(9)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9′)에 고정하며, 사각돌부(13)내에 뚫린 통공(15)에 간격조절캠(2)이 형성된 축(1)을 끼우고 사각돌부(13)의 일면에 뚫린 통공(14)에 스프링(16)을 끼워 사각공(3)의 일면에 탄지토록 하여서된 것이다.
17은 고정와셔, 18은 스프링, 19는 와셔, 20은 핀, 21은 정지편, 22는 브레이크 슈, 23은 브레이크 라이닝, 24는 드럼, 25는 리턴 스프링, 26은 휘일 시린더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브레이크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라이닝(23)이 마모됨으로 인하여 라이닝(23)과 드럼(24)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라이닝(23)과 드럼(24) 사이가 벌어지게 되면 종래에는 브레이크 슈(22)를 밀어 라이닝(23)과 드럼(24) 사이의 간격을 일정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조정구를 주기적으로 회동시켜주면 조정축의 선단에 형성된 캠이 브레이크 슈를 밀어주어 벌어진 드럼과의 사이를 일정간격으로 조정하였다.
본 고안은 운행중 정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휘일시린더(26)의 로드(26′)가 브레이크 슈(22)를 밀어주어 브레이크 슈(22)에 부착된 브레이크 라이닝(23)이 드럼(24)에 닿게된다.
이와같이 브레이크 슈(2)가 드럼(24)쪽으로 밀리면 제5도처럼 캠(9)의 주면과 브레이크 슈(22) 사이가 벌어지게 되므로 고정구(12)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된 스프링(11)의 선단이 캠(9)의 돌기(9′)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11)에 의하여 제5도와 같이 캠(9)이 회동되어 캠(9)의 주면이 브레이크 슈(22)에 닿게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라이닝(23)이 마모되는대로 브레이크 슈(22)가 밀리면서 캠(9)이 회동되어 캠(9)의 주면이 브레이크 슈(22)에 항상 맞닿아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된 상태에서 밟고 있던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리턴 스프링(25)에 의하여 브레이크 슈(22)가 당겨지면서 원위치로 가게된다.
이때 캠(9)의 주면이 브레이크 슈(22)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캠(9)이 회동되지 못하고, 캠(9)이 브레이크 슈(22)에 의하여 밀리게 된다.
그 이유는 캠(9)에 형성된 통공(9″)에 지지(6)의 돌환부(7)가 삽입되어져 있고 돌환부(7)에는 사각장공(3)이 뚫여 있으며, 사각장공(3)에는 고정구(12)에 돌출되어있는 사각돌부(13)가 삽입되어 제9도와 같이 사각돌부(13)의 일면에 뚫인 통공(14)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16)에 의하여 사각장공(3)을 밀기 때문에 지지구(6)가 밀리므로 캠(9)도 따라 밀린다.
따라서 스프링(11)으로 밀려있던 지지구(6)가 제7도와 제9도와 같이 밀리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구(6)가 캠(16)에 의하여 밀리다가 지지구(6)의 선단에 형성된 지지편(4)이 축(1)의 선단에 형성된 조절캠(2)의 주면이 닿게되므로 더이상 이동을 하지 않게 되므로 브레이크 슈(22)는 리턴스프링(25)에 의하여 원위치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브레이크 슈(22)가 리턴스프링(25)에 의하여 원위치될때 원위치되는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조절은 축(1)을 회동시키면 축(1)의 선단에 형성된 조절캠(2)이 회동하면서 제6도와 같이 조절캠(2)의 주면과 지지구(6)에 형성된 지지편(4)과의 사이(a)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이 (a)의 간격에 따라 브레이크 슈(22)의 이동거리가 조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라이닝이 마모가 되었을때 브레이크를 밟게되면 라이닝이 마모된 만큼 브레이크 슈가 작동적으로 이동되어 종래와 같이 브레이크 슈와 드럼과의 사이를 자주 조절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고 브레이크 슈의 작동간격을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대로 조절하여 놓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중앙에 사각장공(3)이 뚫리고 주연에 돌턱(5)이 형성된 지지구(6)의 정면에 지지편(4)을 형성하고 배면에 환돌부와 사각돌부(8)를 차례로 형성한후 환돌부(7)을 캠(9)의 통공(9″)에 끼우고 다음에는 와셔(10)의 사각공(10′)을 사각돌부(8)에 끼워 고정하며, 스프링(11)이 권취되고 일단 고정된 고정구(12)에 돌출되어 있는 사각돌부(13)를 지지구(6)에 뚫여있는 사각공(3)에 끼우고 고정구(12)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된 스프링(11)의 선단을 캠(9)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9′)에 고정하며 사각돌부(13)내에 뚫린 통공(15)에 간격조절캠(2)이 형성된 축(1)을 끼우고 사각돌부(13)의 일면에 뚫린 통공(14)에 스프링(16)을 끼워 사각공(3)의 일면에 탄지토록 하여서된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격 조절장치.
KR2019880004944U 1988-04-06 1988-04-06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격 조절장치 KR910001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944U KR910001006Y1 (ko) 1988-04-06 1988-04-06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944U KR910001006Y1 (ko) 1988-04-06 1988-04-06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225U KR890021225U (ko) 1989-11-02
KR910001006Y1 true KR910001006Y1 (ko) 1991-02-20

Family

ID=1927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4944U KR910001006Y1 (ko) 1988-04-06 1988-04-06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0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225U (ko) 198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085796T3 (es) Dispositivo de pedal para vehiculo automovil, principalmente para sistema de frenado.
US4064972A (en) Caliper brake for bicycles for maintaining equal distance between both brake shoes and a wheel therebetween
KR890007944Y1 (ko) 스피닝리일의 드래그 제동장치
JPS60101237U (ja) 車両用ブレ−キ組立体
SE7910312L (sv) Anordning vid cigarrettendare, speciellt for motorfordon
KR910001779Y1 (ko) 스피닝 릴의 드랙기구
KR910001006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의 간격 조절장치
GB1530938A (en) Internal shoe drumbrake
GB1085213A (en) Improved belt or chain tensioning device
JPH028375U (ko)
US2641900A (en) Timepiece with chronograph
GB1111644A (en) Automatic adjuster for internal shoe-drum brakes
JPH07119776A (ja) オートスラックアジャスタ
JPH034840Y2 (ko)
JPH09249180A (ja) アジャスタ機構を有する車両用操作レバー
US3050226A (en) Tape feed device
JPS61186630U (ko)
JPS6039550Y2 (ja) 作動間隙自動調整装置付ドラムブレ−キ
JP2538688Y2 (ja) 内拡式ブレーキのブレーキレバー調節装置
KR200195318Y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H03124506U (ko)
JPH0143251Y2 (ko)
GB114430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isc brakes
KR830001409Y1 (ko) 자전거용 브레이크
JPH0737502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ライン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