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971B1 - 연 결 기 - Google Patents

연 결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971B1
KR910000971B1 KR1019870013304A KR870013304A KR910000971B1 KR 910000971 B1 KR910000971 B1 KR 910000971B1 KR 1019870013304 A KR1019870013304 A KR 1019870013304A KR 870013304 A KR870013304 A KR 870013304A KR 910000971 B1 KR910000971 B1 KR 910000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nductor
fingers
groove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968A (ko
Inventor
프란시스 훠슬맨 데이빗드
앨런 렘키 티모시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죠오지프 플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죠오지프 플린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3Surface mounted components, e.g. affixing before soldering, aligning means, spac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결기
제1도는 이 발명의 연결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조립된 상태에 있는 이 발명의 연결기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기 12 : 도선
14 : 도체 16 : 케이블
16J : 외측 절연 피복물 18 : 패드
22 : 기판 26 : 전도성 시일드
27 : 전도성 페룰(ferrule) 32 : 기부
34 : 덮개 38 : 삽입 통로
40A,40B,70 : 슬롯 42A,42B,72A,72B : 보어
44 : 요홈부 48A,48B,57,58 : 측벽
52,62,66 : 홈 56 : 주 몸체
60 : 핑거 64 : 격벽
76 : 조임 수단 82 : 클립
88A,88B : 절연물 변위 가지(tine)
이 발명은 다심 케이블의 개개의 도선들과 평탄한 회로판상의 대응하는 부착 패드(pad)들을 납땜 연결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을 회로판에 부착하는데 있어서의 주요 문제점들중 하나, 더 정확하게는 다심 케이블의 개개의 도선들을 평탄한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각 부착 패드들에 납땜이나 다른 열 용착 방법들에 의해 부착하는데 있어서의 주요 문제점들중의 하나는 개개의 도선들을 부착 패드들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 결정시키는데 있다. 개개의 도선은 적절한 전도성 패드상에 정확히 위치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열 용착 과정중 약간의 바이어싱(biasing) 힘에 의해 패드들쪽으로 밀어붙여져야 한다. 이는 특히, 개개의 도선이 패드들쪽으로 적절히 밀어붙여지지 않을때 땜납이 용융되어 있는 동안 부유할 수 있는 납땜 과정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선이 부유하면, 도선과 패드 사이가 오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도선과 패드 사이가 불완전하게 납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유익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기판의 가장자리에 직접 납땜되는 다심 케이블의 각 도선에는, 도선이 그의 각 패드에서 우연히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 제거 기구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시일드(shield)를 가진 케이블들이 사용되는 몇몇 경우들에서, 회로판상의 접지회로에도 효과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통상, 도선 부착은 개개의 도체를 기판에 위치결정시키는 재사용가능한 금속 고정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한 고정구는 다루기가 복잡하고 조립 라인을 통하여 순환되어야 하고 조심스럽게 유지되어야 한다. 케이블이 기판에 집접 부착될 때, 변형 제거 기구는, 특히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생각되는 금속 스트립들 또는 케이블 연결구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시일드의 장착은 능숙한 접속 기술에 의존하며, 케이블 시일드와 기판 사이의 연결부가 너무 길면 케이블에 대한 차페 효과가 감소된다.
상기의 견지에서, 다심 케이블의 개개의 도선들을 그들의 각 접촉 패드들에 적절히 위치심킴과 동시에, 도선들상에 바이어싱 힘을 가하여 도선들을 패드상의 용융된 땜납 푸울(pool)에 강제로 접촉시키는 기구를 제공하는 연결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시일드가 있는 케이블이 사용될때, 효과적이고 확고한 시일드 종단(termination)뿐 아니라 개개의 도선들을 위한 변형 제거 작용을 제공하는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 발명에 따른 다심 케이블 연결기는 기부와 그에 상보적인 덮개로 구성된다. 기부에는, 앞 가장자리를 가지는 요홈부가 있다. 이 요홈부는 다심 케이블에서 나오고 부채꼴로 배열된 도체들을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이때 각 도체는 기부의 앞 가장자리를 지난 캔틸레버(cantilever) 방식으로 뻗는다. 일련의 위치결정 홈들이 기부에 형성되어 있고, 각 홈은 다심 케이블의 개개의 도선들을 하나씩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덮개는 기부위에 끼워지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이 덮개에는 일련의 탄성 핑거들이 있으며, 이 핑거들은 덮개가 기부상에 끼워진 때 기부의 앞 가장자리를 지나 소정 거리만큼 뻗는다. 핑거들에는 기부의 홈들과 읽치하는 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와 기부의 홈들은 협동하여 안내 채널들을 형성하고, 이 채널들은 그 안에 수용된 개개의 도선들을 평행하게 위치시킨다. 또한, 덮개는 핑거들의 후방으로 떨어져 있는 격벽을 포함한다. 이 격벽에는 그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격벽의 홈들은 핑거들의 홈들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요홈부내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판, 기부 및 덮개를 함께 조이는 조임 수단이 제공된다. 이렇게 조여지면, 전방으로 돌출한 탄성 핑거들이 구부러져 개개의 도체들에 바이어싱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인해 도체들이 평탄한 기판상에 마련된 땜납 패드들과 강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가 기부에 고정된 때, 도체들의 도선들은 그들이 땜납 패드들에 대해 부유하지 않게끔 기판 표면쪽으로 밀어붙여지게 되며, 이로써 도체의 도선이 패드에 직접 확고하게 접합되게 한다.
또한, 연결기는 전형적으로 절연물 변위 타입의 접지 접속 요소를 포함하며, 이 접지 접속 요소는 조임 수단들과 결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케이블의 접지 시일드와 서로 접속된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전체 도면들에서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에 연결기(10)가 나타내어져 있고, 그 연결기에서 다심 케이블(16)의 개개의 피복된 도체들(14)의 개개의 도선들(12)이 전도성 패드들(18)에 효과적이고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그 패드들은 예를 들어 평탄한 기판(22)상에 그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것이 편리하다. 그 기판(22)에는 후술되는 목적을 위해 구멍들(24A,24B)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16)은 외측 절연 피복물(16J)에 의해 둘러싸인 전도성 시일드(shield)(26)(접지 시일드)(제3도)를 가지는 어떤 적당한 나선식으로 감긴 케이블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대로, 케이블내의 개개의 도체들(14)이 사실상 평편하게 부채꼴로 펼쳐질 수 있도록 외측 절연 피복물(16J)이 케이블(16)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제거된다. 전도성 페룰(ferrule)(27)이 도체들(14)과 전도성 시일들(26) 사이에 위치되어 그 지역에서 케이블(16)을 견고하게 한다. 개개의 도체들(14)의 피복물들(14J)이 개개의 도체들(14)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벗겨져 그 피복물들내에 배치된 도선(12)을 소정 길이만큼 약간 노출시킨다.
연결기(10)는 기부(32)와 그 기부에 상보적인 덮개(34)를 포함한다. 이 기부(32)와 덮개(34)는 둘다 플라스틱과 같은 적당한 절연물질로부터 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부(32)는 보스(boss) 부분(36)을 가지며, 이 보스 부분에는 그를 통하여 뻗어있는 통로(38)가 있다. 후술되는 목적을 위해 통로(38)의 각 측부에 슬롯들(40A,40B)과 보어들(42A,42B)이 각각 제공되어 있다. 그 통로(38)는 개방된 요홈부(44)와 소통되며, 이 요홈부(44)는 보스 부분(36)과 일체로 형성된 바닥(46)과 2개의 직립 측벽들(48A,48B)에 의해 형성된다. 기부(32)의 바닥(46)의 앞 가장자리(50)에는 홈들(52)이 형성되며, 이 홈들은 앞 가장자리(50)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하여 있다. 제1도에서, 홈들(52)을 도시하기 위해 몇개의 도체들(14)이 제거되어 있다. 바닥(456)의 저면에 제공된 받침대들(54)(제3도)이 기판(20)위에 기부(32)를 지지한다.
도면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요홈부(44)의 크기는 부채꼴로 펼쳐진 도체들(14)을 수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있다. 도체들(14)의 피복 부위들이 개개의 홈들(52)에 수용되어 도체들(14)이 서로 사실상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체들(14)은 캔틸레버(cantilever) 방식으로 기부(32)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나서 뻗는다.
덮개(34)는 기부(32) 상에 겹쳐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덮개(34)는 아래로 연장하는 측벽들(57,58)을 가진 주 몸체(56)를 포함하고, 이 측벽들(57,58)은 조립된때, 기부의 측벽들(48A,48B)과 보스 부분(36)의 측면들 및 후면의 외측면에 꼭맞게 접촉한다. 측벽(58)의 뒷부분은 케이블(16)이 연결기(10)내에 들어간때 그 케이블(16)위에 놓인다. 기부(32)의 통로(38)는 케이블(16)의 외부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원형 케이블의 경우에 통로(38)는 사실상 원형이다. 케이블이 납작한 경우에는, 통로(38)도 그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벽(58)의 뒷부분에 있는 통로(59)(제3도) 역시 케이블의 외부 형상과 일치한다. 기부(32)와 덮개(34)의 동일형상의 상기 통로들(38,59)이 서로 협동하여 케이블 삽입 구멍을 형성하며, 그 구멍을 통하여 어떤 형태의 케이블(16)이든 연결기(10)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다수의 핑거들(60)이 덮개(34)의 주 몸체(56)로부터 전방으로 뻗어있다. 이 핑거들(60)은 가요성이고, 덮개(34)가 기부(32)에 고정될 때, 기부(32)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난 캔틸레버 방식으로 돌출한다. 그 핑거들(60) 각자의 밑면에는 홈들(62)이 형성되는데, 이 홈들(62)은 기부(32)에 형성된 홈들(52)과 갯수가 같고 위치가 일치한다. 따라서, 덮개(34)가 기부(32)에 결합된때, 그 기부(32)와 덮개(34) 각자에 형성된 홈들(52,62)이 협동하여 안내 채널들을 형성하며, 이 안내 채널들은 도체(14)를 기부(32)의 폭을 가로질러 평행하고 인접하게 떨어지게 수용한다. 격벽(64)(제3도)이 핑거들(60)에서 후방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덮개(34)의 주 몸체(56)의 밑면에 매달려 있다. 격벽(64)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홈들(66)(제3도)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들(66)은 상기 홈들(52,62)에 의해 형성된 안내 채널들과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도체들(14)을 고정시키고 기부(32)의 요홈부(46)내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덮개(34)의 주 몸체(56)상에는 절제부(68)가 있고, 슬롯(70)과 2개의 보어들(72A,72B)이 덮개(34)를 관통하여 뻗어있다. 그 보어들(72A,72B)은 각자 기부(32)의 보어들(42A,42B)과 정렬되는 한편, 슬롯(70)은 기부(32)의 보스 부분(36)의 슬롯들(40A,40B)과 정렬된다.
작동시, 각 도체(14)의 개개의 도선들(12)이 단부들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노출된때, 케이블(16)이 덮개(34)와 기부(32)에 의해 형성된 케이블 삽입 구멍(통로들(38,59)로 이루어진)을 통하여 도입된다. 도체들(14)은 부채꼴로 펼쳐져 배열되고 기부(32)의 앞 가장자리(50) 근처의 홈들(52)에 수용되며 그 앞 가장자리(50)를 지나서 연장한다.
그후 덮개(34)의 측벽들(57,58)이 기부(32)의 측벽들(48A,48B)과 보스 부분(36) 위에 꼭맞게 놓이고 핑거들(60)의 홈들(62)이 도체들(14)을 수용하게끔 덮개(34)가 배치된다. 도체들(14)은 격벽(64)의 하부 가장자리에 있는 홈들(66)내에 수용된다. 볼트(78A,78B) 형태의 조임 수단(76)이 기판(22)에 있는 구멍들(24A,24B)과, 기부(32)에 있는 보어들(42A,42B)과, 덮개(34)에 있는 보어들(72A,72B)을 통하여 연장한다. 그 볼트들(78A,78B)은 기부(32), 덮개(34) 및 기판(22)을 함께 끌어당겨 핑거들(60)을 구부리도록 그 요소들을 나사 고정시킨다.
실제로는, 나사 구멍들(86A,86B)과 절연물 변위 가지들(88A,88B)이 있는 판 부분(84)을 가지는 클립(82)이 덮개(34)와 기부(32) 각자의 정렬된 슬롯들(70,40A,40B)을 통하여 끼워진다. 볼트들(78A,78B)이 클립(82)의 나사구멍들(86A,86B)에 나사 결합되어 기판(22), 기부(32), 덮개(34) 및 클립(82)이 서로 죄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대로, 덮개(34)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핑거들(60)이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이렇게 변형함으로써, 핑거들(60)이 도체들(14)의 연장부분에 화살표(90)(제3도)방향으로 바이어싱(biasing) 힘을 부여하게 되어 도체들의 노출된 도선들(12)이 하방으로 눌려 전도성 패드들(18)과 긴밀하게 접촉하게 된다. 또한, 클립(82)이 볼트들(78A,78B)에 의해 바싹 조여지므로, 절연물 변위 가지들(88A,88B)이 케이블(16)의 외측 절연 피복물(16J)을 절단하여 케이블(16)의 접지 시일드(26)를 클립(82)과 전기 접속시킨다. 볼트들(78A,78B)중 한 볼트가 기판(22)상의 접지 트레이싱(tracing)(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접지 시일드(26)를 상기 접지 트레이싱과 서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립(82)의 절연물 변위 가지들(88A,88B)과 케이블(16)과의 절연물 변위 결합이 케이블(16)의 축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케이블(16)에 대한 기부(32)와 덮개(34)의 조임 작용이 케이블(16)의 수직 및 측방 이동을 제한하고, 전체 케이블 시스템에 변형 제거 작용을 제공한다.

Claims (24)

  1. 다심 케이블(16)의 개개의 도선들(12)을 기판(22)상에 제공된 각 부착 패드(18)에 서로 접속시키는 연결기로서, 기판(22)상에 장착될 수 있고 요홈부(44)와 앞 가장자리(50)를 가지며, 상기 요홈부(44)의 크기는 부채꼴로 펼쳐진 도체들(14)의 단부들이 상기 앞 가장자리(50)를 지나 캔틸레버(cantilever) 방식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연장하는 도체의 도선(12)이 상기 패드들(18)과 하나씩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부채꼴로 펼쳐진 도체들(14)을 수용하는 크기로된 기부(32)와 ; 일련의 핑거들(60)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핑거들의 밑면이 상기 연장하는 도체들(14)과 결합하게 상기 기부(32)와 결합가능한 덮개(34) ; 및 상기 핑거들(60)을 구부려 도체들(14)에 바이어싱(biasing) 힘을 가함으로써 도선들(12)을 패드들(18)과 강제로 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기판(22), 기부(32) 및 덮개(34)를 함께 조이는 조임 수단(76)으로 구성되는 연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4)와 기부(32)는, 상기 요홈부(44)와 소통하고 상기 요홈부로 들어가는 케이블 삽입 구멍을 형성하도록 서로 협동하는 통로들(59,38)을 가지며, 상기 삽입 구멍은 케이블의 외부 형상과 꼭 들어맞는 크기와 형상으로 되어 있는 연결기.
  3. 제2항에 있어서, 케이블(16)이 접지 도체(26)을 가지며, 상기 조임 수단(76)과 결합가능하고 그 결합에 따라 상기 덮개(34), 기부(32) 및 기판(22)이 함께 조여질 때 케이블의 상기 접지 도체(26)와 서로 접속되는 접지 접속 요소(82)가 상기 삽입 구멍 근처에서 상기 덮개와 기부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연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76)과 결합가능하고, 그 결합에 따라 상기 덮개, 기부 및 기판이 함께 조여질 때 케이블의 접지 도체와 서로 접속하는 접지 접속 요소(82)가 배치된 연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32)는 그의 상기 앞 가장자리(50)에 인접하여 있는 일련의 홈들(52)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들(52) 각각의 크기는 도체들(14)을 하나씩 수용하여 그 도체를 인접 도체와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연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32)는 그의 상기 앞 가장자리(50)에 인접하여 있는 일련의 홈들(52)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들(52) 각각의 크기는 도체들(14)을 하나씩 수용하여 그 도체를 인접 도체와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연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32)는 그의 상기 앞 가장자리(50)에 인접하여 있는 일련의 홈들(52)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들(52) 각각의 크기는 도체들(14)을 하나씩 수용하여 그 도체를 인접 도체와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연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32)는 그의 상기 앞 가장자리(50)에 인접하여 있는 일련의 홈들(52)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들(52) 각각의 크기는 도체들(14)을 하나씩 수용하여 그 도체를 인접 도체와 평행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연결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60) 각각은 그의 밑면에 홈(62)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62)은 상기 기부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나 연장하는 도체(14)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연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60) 각각은 그의 밑면에 홈(62)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62) 상기 기부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나 연장하는 도체(14)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연결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60) 각각은 그의 밑면에 홈(62)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62)은 상기 기부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나 연장하는 도체(14)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연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60) 각각은 그의 밑면에 홈(62)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홈(62)은 상기 기부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나 연장하는 도체(14)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연결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60) 각자의 밑면상에 홈(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62)은 상기 기부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나 연장하는 도체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기부의 각 홈(52)과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연결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60) 각자의 밑면에 홈(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62)은 상기 기부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나 연장하는 도체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기부의 각 홈(52)과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연결기.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60) 각자의 밑면에 홈(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62)은 상기 기부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나 연장하는 도체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기부의 각 홈(52)과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연결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들(60) 각자의 밑면에 홈(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62)은 상기 기부의 앞 가장자리(50)를 지나 연장하는 도체의 일부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기부의 각 홈(52)과 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연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4)는 상기 핑거들(60) 뒤에 떨어져 위치된 격벽(64)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핑거들(60)의 상기 홈들(6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기부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각 도체들을 하나씩 수용하는 일련의 홈들(66)이 형성된 연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4)는 상기 핑거들(60) 뒤에 떨어져 위치된 격벽(64)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핑거들(60)의 상기 홈들(6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기부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각 도체들을 하나씩 수용하는 일련의 홈들(66)이 형성된 연결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4)는 상기 핑거들(60) 뒤에 떨어져 위치된 격벽(64)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핑거들(60)의 상기 홈들(6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기부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각 도체들을 하나씩 수용하는 일련의 홈들(66)이 형성된 연결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4)는 상기 핑거들(60) 뒤에 떨어져 위치된 격벽(64)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핑거들(60)의 상기 홈들(6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기부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각 도체들을 하나씩 수용하는 일련의 홈들(66)이 형성된 연결기.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4)는 상기 핑거들(60) 뒤에 떨어져 위치된 격벽(64)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핑거들(60)의 상기 홈들(6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기부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각 도체들을 하나씩 수용하는 일련의 홈들(66)이 형성된 연결기.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4)는 상기 핑거들(60) 뒤에 떨어져 위치된 격벽(64)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핑거들(60)의 상기 홈들(6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기부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각 도체들을 하나씩 수용하는 일련의 홈들(66)이 형성된 연결기.
  2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4)는 상기 핑거들(60) 뒤에 떨어져 위치된 격벽(64)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핑거들(60)의 상기 홈들(6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기부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각 도체들을 하나씩 수용하는 일련의 홈들(66)이 형성된 연결기.
  2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4)는 상기 핑거들(60) 뒤에 떨어져 위치된 격벽(64)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핑거들(60)의 상기 홈들(6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기부에서 도체들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각 도체들을 하나씩 수용하는 일련의 홈들(66)이 형성된 연결기.
KR1019870013304A 1986-11-26 1987-11-25 연 결 기 KR91000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5,386 1986-11-26
US935386 1986-11-26
US06/935,386 US4735582A (en) 1986-11-26 1986-11-26 Soldered cable transition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968A KR880006968A (ko) 1988-07-25
KR910000971B1 true KR910000971B1 (ko) 1991-02-19

Family

ID=2546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304A KR910000971B1 (ko) 1986-11-26 1987-11-25 연 결 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35582A (ko)
EP (1) EP0269403B1 (ko)
JP (1) JP2513741B2 (ko)
KR (1) KR910000971B1 (ko)
AT (1) ATE84919T1 (ko)
AU (1) AU591437B2 (ko)
CA (1) CA1285040C (ko)
DE (1) DE378373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582A (en) * 1986-11-26 1988-04-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oldered cable transition connector
US4887977A (en) * 1988-06-15 1989-12-19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ble connector haing a resilient cover
DE4018033A1 (de) * 1990-06-05 1991-12-12 Siemens Nixdorf Inf Syst Steckverbinder fuer ein ein- oder mehradriges kabel
WO1994026004A1 (en) * 1993-04-26 1994-11-10 Berg Technology, Inc. Wire management adapters for terminating a cable
US5334775A (en) * 1993-06-02 1994-08-02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lymer Alkylation of hydroxyaromatic compounds
JP4270335B2 (ja) * 1999-03-10 2009-05-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同軸細線の接続方法及びコネクタ
US6309223B1 (en) 2000-06-13 2001-10-30 Trw Inc. Terminal assembly for flexible circuit strip
US7238164B2 (en) 2002-07-19 2007-07-03 Baxter International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umping cassette-based therapies
US6893295B1 (en) * 2003-12-23 2005-05-17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integrated strain relief
GB2415835B (en) * 2004-06-30 2008-05-28 Contactum Ltd Cable connection method
DE102008020969B4 (de) * 2008-04-25 2014-09-18 Provertha Connectors Cables & Solutions Gmbh Haltevorrichtung zum Fixieren elektrischer Leiter
FR2942083B1 (fr) * 2009-02-11 2014-10-10 Jtekt Europe Sas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elements souples dans un milieu peu accessible
DE102011088335A1 (de) 2011-12-13 2013-06-13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für ein Kraftfahrzeug
CN206225596U (zh) * 2014-01-24 2017-06-06 3M创新有限公司 提供无焊接触的连接器和连接器组件
DE102014201331B4 (de) * 2014-01-24 2016-06-23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Baugrupp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erbindungsanordnung und Steuergerät
DE102014209283A1 (de) * 2014-05-16 2015-11-19 Zf Friedrichshafen Ag Elektrische Schaltungsanordnung mit Positionierungshilfe für Kabellitzen
WO2017151779A1 (en) * 2016-03-02 2017-09-08 Heartware, Inc. Skin button with flat c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3349A (en) * 1961-09-18 1963-03-26 Blonder Tongue Elect Transmission-line clamp-and-connector
US4252392A (en) * 1979-09-07 1981-02-24 Amp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clip
DE3405126C2 (de) * 1984-02-14 1985-12-05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Zugentlastungsaufsatz für Mehrfach-, insbesondere Flachbandkabel
US4735582A (en) * 1986-11-26 1988-04-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oldered cable transition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167087A (en) 1988-06-02
EP0269403A2 (en) 1988-06-01
DE3783733D1 (de) 1993-03-04
JPS63141275A (ja) 1988-06-13
US4735582A (en) 1988-04-05
KR880006968A (ko) 1988-07-25
ATE84919T1 (de) 1993-02-15
JP2513741B2 (ja) 1996-07-03
EP0269403A3 (en) 1989-10-04
AU591437B2 (en) 1989-11-30
EP0269403B1 (en) 1993-01-20
CA1285040C (en) 1991-06-18
DE3783733T2 (de) 199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971B1 (ko) 연 결 기
US4094564A (en) Multiple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US5546281A (en) Removable optoelectronic transceiver module with potting box
US6582252B1 (en)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tight angle for shielded cable
KR960002138B1 (ko) 모듈형 전기 커넥터
EP0297699B1 (en) Flat cable connectors
KR910002264B1 (ko) 다수의 전기 도체를 위한 종단기(terminator)와 그 중단기용 하우징
US6585528B1 (en) Wire spacer for high speed cable termination
US4491381A (en) Electrical panelboard connector
US5618202A (en) Connector having strip line structure
BR8604052A (pt) Terminacao para cabo eletrico,processo de terminacao de cabo eletrico e aparelho para mecanica e eletricamente conectar um cabo eletrico a um cartao de circuito plano
KR920007270A (ko) 차폐된 전기 커넥터
US4577920A (en) Electrical assembly with cable guiding member
US20050075009A1 (en) Micro coaxial cabel assembly having improved contacts
JP2002151201A (ja) ケーブル終端接続用ワイヤマネイジメントアダプタ
US4458967A (en) Connector for shielded flat cable
EP0967683B1 (en) Connector for a coaxial flat cable
US4737888A (en) Receptacle assembly and mounting bracket for circuit board connections
US4776806A (en) Low-profile connector assembly
JP2686652B2 (ja) 多心同軸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結線方法
US5061208A (en) Conductive shell for clamping onto a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0128455A1 (en) Light assembly for use on vehicles
JPS6332224B2 (ko)
KR100546096B1 (ko) 컨넥터 장치의 전기적 접속구조
JPS6035978Y2 (ja) フラットケ−ブルに接続され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