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656Y1 -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656Y1
KR910000656Y1 KR2019870002517U KR870002517U KR910000656Y1 KR 910000656 Y1 KR910000656 Y1 KR 910000656Y1 KR 2019870002517 U KR2019870002517 U KR 2019870002517U KR 870002517 U KR870002517 U KR 870002517U KR 910000656 Y1 KR910000656 Y1 KR 910000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output
discrimination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2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7016U (ko
Inventor
신현준
방호열
이덕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2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656Y1/ko
Publication of KR880017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7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656Y1/ko

Links

Landscapes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제1도는 종래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우판별회로의 상세회로도.
제3a,b도는 제2도의 좌우판별회로에 의해 분리된 기수, 우수피일드 및 전치등화펄스의 파형도.
제4도는 제2도 좌우판별회로가 정상동작시의 일부분 동작 파형도.
제5a,b도는 제2도 좌우판별회로의 오동작시의 부분 동작파형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동작 방지회로의 블럭도.
제7도는 제6도의 블럭도의 일실시에의 구체회로도.
제8도는 제7도의 각 부분의 동작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좌우 판별회로 20 :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
21 : 잡음제거 논리회로 22 : 판별신호 출력회로
본 고안은 입체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동기 신호에 펄스성 노이즈가 삽입시에 발생되는 오동작을 제거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속 액정셔터를 이용하여 3차원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양눈과 같은 조건하에서 화상을 촬영하여 이를 1피일드마다 좌우의 영상을 교체하여 나타내도록 1개로 합성된 입체영상을 만들어야 한다. 재생시에는 입체영상을 텔레비죤과 같은 모니터로 재생함과 동시에 입체화상의 수직동기 신호로부터 제어신호를 구성해서 고속 액정셔터로 구성된 액정안경을 구동하여야 한다. 이때 모니터에는 좌우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이 1피일드 마다 교체되면서 액정안경도 화상신호와 동기되어 좌우가 각각 번갈아 ″온″, ″오프″가 되어 입체화상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좌우에서 촬영한 화상을 판별해 내지 못한다면 정확한 입체화상을 인식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좌우에서 촬영한 화상을 판별하여 내지 못한다면 정확한 입체화상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서, 재생시에는 반드시 좌우의 신호를 판별하여 재생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체영상 신호의 합성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좌우를 판별하고 판별된 신호로 좌우안 액정안경을 구동하는 장치는 제1도와 같다.
제1도는 종래의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블럭도로서 입체영상의 합성영상신호(Vs)를 입력하여 북합동기신호(Composite Sync)(Comsync) 만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분리회로(11)와, 상기 동기분리회로(11)에서 출력하는 복합동기 신호를 입력하여 기수와 우수피일드의 신호를 판별하여 좌우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판별회로(12)와, 상기 판별출력된 좌우 판별신호를 입력하여 판별신호가 기수피일드 일때에는 1프레임 중의 우안영상 신호가, 우수피일드 일때에는 좌안영상 신호만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좌안, 우안 액정셔터(14,15)의 구동을 서로 달리하여 구동하는 액정셔터 구동회로(14)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좌우 판별회로의 상세회로도로서, 3차원 영상신호(Vs)를 입력하여 복합 동기신호(Comsync)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분리 회로(11)의 출력인 복합·동기 신호(comsync)에 연속트리거되어 카운터 로드 신호를 발생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MV1,MV2)와, 상기한 동기신호(comsync)와 멀티 바이브레이터(MV1)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AN1)와, 상기한 앤드게이트(AN1)의 출력을 클럭신호로 하여 트리거되며 상기한 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출력에 의해 클리어되어 제2클럭신호를 발생하는 D 플립플롭(DF1)과, 상기한 동기신호(comsync)와 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AN2)와, 상기한 앤드게이트(AN2)의 출력을 클럭신호로 하여 트리거되며 상기한 멀티바이브레이터(MV2)의 출력에 의해 클리어되는 D 플립플롭(DF2)과, 상기한 D 플립플롭(DF1)의출력과 D플립플롭(DF2)의 Q출력과 동기신호(comsync)를 논리곱하여 제1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앤드게이트(AN3)로 구성된 전치 동화펄스 분리부(12a)와, 전술한 멀티바이브레이터(MV2)에서 출력된 카운트 로드신호에 의해 입력단(A-D)를 통하여 인가된 데이터를 상기한 앤드게이트(AN3)에서 출력하는 제1클럭신호에 따라 감산카운팅 출력하는 카운터(CNT)와, 상기 카운터(CNT)의 최하위 비트출력(QA)에서 출력되어 D1 입력단자로 인가된 데이터를 D 플립플롭(DF1)의 Q 출력에서 발생되는 제2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좌우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D 플립플롭(DF3)로 구성된 좌우신호분리부(12b)로 구성된다.
제3a,b도에는 상기한 좌우 판별회로의 전치등화 펄스분리부(12a)에 의해서 발생되는 기수 및 우수의 수직동기 부분의 신호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a도 및 제3b도 각각에서 (a)는 복합동기신호(comsync)이고, (b)는 멀티 바이브레이터(MV1)의 출력이며, (c)는 상기 (b)의 신호에 트리거되는 멀티 바이브레이터(MV2)의 출력이고, (d)는 앤드게이트(AN1)의 출력이며, (c)와 (f)는 D 플립플롭(DF1)의 출력단자(Q)와 ()의 출력이며 (g)는 앤드게이트(AN2)의 출력이다.
그리고 (h)는 상기 (g)의 출력에 의해 ″하이″논리를 래치하는 D플립플롭(DF2)의 Q ,출력이며, (i)는 상기 (h)의 출력을 게이팅신호 즉 인에이블신호로 하여 상기 (f)의 신호와 (a)의 신호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AN3) 의 출력이다.
제4도는 제2도의 좌우 판별회로가 정상동작시의 일 부분의 파형도로서, 파형도중 (a′)는 제2도의 전치등화 펄스분리부(12a)에서 연속적으로 기수 및 우수 피일드 수직 동기 신호의 프론트 포치(front porch)만을 검출하여 좌우 신호분리부(12b)내 카운터(CNT)의 클럭단자(CK1)으로 입력되는 제1클럭(CK1)이다.
(b′)는 제2도의 카운터(CNT)가 상기 (a′)의 제1클럭(CK1)을 카운팅하여 최하위 출력단자(QA)로 출력하는 파형도이며, (C′)는 전치등화 펄스분리부(12a)의 D 플립플롭(DF1)의 Q ,출력으로서 좌우 신호분리부(12b)의 D 플립플롭(DF3)의 클럭단자(CK2)로 입력되는 제2클럭이다.
(D′)와 (e′)는 D 플립플롭(DF3)의 Q ,출력파형으로서 카운터(CNT)의 출력을 D 플립플롭(DF1)외 Q 출력으로 래치하여진 좌우 분리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제5a,b도는 제2도의 회로가 오동작시의 일부분 파형도이다.
제5a도의 각 부분인 (a″)-(e″)는 제4도(a′)-(e′)와 동일한 출력이나 기수,우수피일드 수직동기신호의 프론트 포치 펄스구간 사이에 노이즈 펄스가 삽입되었을 때 오동작 파형이다. (a″)에는 노이즈 펄스의 삽입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5b도는 연속되는 수직동기 신호에서 제5a도와 같은 펄스성 노이즈가 삽입시 좌우 신호분리부(12b)내 D 플립플롭(DF3)의 출력을 나타낸 것으로 (a)의 파형은 펄스노이즈가 삽입된 수직동기신호이고, (b)와 (c)의 파형은 D플립플롭(DF3)의 Q ,출력이다. 제5b도중 빗금친 부분이 펄스성 노이즈가 삽입된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제2도의 좌우 판별회로(12)가 기수,우수 피일드의 신호를 분리하여 좌우신호를 판별 출력하는 신호를 액정셔터 구동회로(13)가 입력하여 기수피일드 일때에는 우안영상이, 우수피일드 일때는 좌안 영상의 좌우 액정셔터(14,15)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입체영상을 시청하여 왔다. 그러나 좌우 판별회로(12)의 전치 등화펄스분리부(12a)에서 수직동기 신호의 프론트 포치 부분만을 분리 출력하는 신호 즉 앤드게이트(AND3)의 출력신호에 제5a도의 (a″)와 같이 펄스성 노이즈가 삽입되어 제1클럭(CK1)으로서 출력되면, 카운터(CNT)가 상기 제1클럭을 클럭단자(CK1)으로 입력하여 로드된 데이터 ″HHHL″를 다운카운팅 출력하기 시작한다.
이때 카운터(CNT)가 펄스성 노이즈에 의해 1개의 펄스를 이전보다 더 카운팅함으로 제5a도 (b″)와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좌우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D플립플롭(DF3)의 입력데이타(Di)가 제5a도의 (b″)와 같이 입력됨으로서 D플립플롭(DF3)의 Q ,Q출력은 제5a도의 (d″)와 (c″)와 같이 되어 좌우분리 기능을 상실한다.
그러므로 수직동기 신호[제5b도 (a)]에 펄스성 노이즈가 입력되면 좌우신호 분리부(12b)의 D 플립플롭(DF3)의 출력 Q와가 계속적으로 제5b도 (b)와 (c)와 같이 ″로우″또는 ″하이″가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액정셔터가 각 피일드마다 ″온″, ″오프″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동안 ″온″, ″오프″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순간적으로 입체감을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펄스성 노이즈가 삽입된 수직동기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3차원 입체액정 표시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도로써 전술한 제3a도와 같은 복합동기 신호(Comsync)를 입력하여 수직동기신호의 프론트 포치 부분의 펄스만을 제1클럭으로서 출력하는 동시에 좌우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판별회로(12)와, 상기 좌우 판별회로(12)에서 출력하는 수직동기 신호의 프론트 포치 부분의 신호인 제1클럭을 입력하여 기수 피일드 일때는 ′하이″ 우수피일드 ″로우″신호로 하여 피일드 주파수를 발생하는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와, 상기 좌우 판별회로(12)에서 출력하는 좌우 판별신호와 상기 발생된 피일드 주파수를 입력하여 좌우 판별신호의 오동작 부분을 검출하고 기수, 우수피일드 주기로써 수정출력하는 잡음제거 논리회로(21)와, 상기 잡음제거 논리회로(21)의 출력을 입력하여 위상이 상반된 좌우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판별신호 출력회로(22)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6도의 구성중 좌우 판별회로(12)는 전술한 제1도의 회로의 구성중 좌우 판별회로(1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의 구성은 전술한 제2도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제7도의 좌우 판별회로(12)에서 출력되는 제1클럭이란 제2도의 앤드게이트(AN3)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를 의미한다.
지금 수직동기신호 부분에 펄스성 노이즈가 삽입된 복합동기신호(Comsync)가 제6도의 좌우 판별회로(12)로 입력되면 상기 좌우 판별회로(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동기신호의 프론트 포치 부분의 펄스만을 검출하여 제1클럭으로서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로 출력함과 동시에 제5a도와 같이 오동작된 좌우 판별신호를 출력단자(Q)와 ()를 통해 잡음제거 논리회로(21)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클럭은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의 트리거 신호로 입력된다.
상기 좌우 판별회로(12)로 부터 출력되는 제1클럭을 입력하는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는 상기 입력된 제1클럭의 선두 펄스에 트리거되어 피일드의 주파수를 16.5msec 동안 ″하이″와 16.5msec 동안 ″로우″를 반복하는 피일드 주파수를 발생하여 잡음제거 논리회로(21)로 출력한다.
따라서 잡음 제거 회로(21)은 좌우 판별회로(12)에서 출력하는 좌우 판별신호와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에서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피일드 주파수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 판별신호와 피일드 주파수를 입력하는 잡음 제거 논리회로(21)는 상기 좌우 판별신호중 좌판별신호 혹은 우판별신호 중의 하나의 신호와 상기 피일드 주파수를 배타적으로 논리합하여 오동작 구간을 검출하고 오동작된 좌우 분리신호를 제거한다.
즉 잡음 제거 논리회로(21)는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에서 발생된 피일드 주파수의 레벨과 상기 좌우 판별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배타적논리로서 오동작된 좌우판별 신호를 제거하여 기수와 우수피일드의 주기가 같은 프레임의 주파수만을 판별신호 출력회로(22)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잡음제거 논리회로(21)에서 기수 및 우수피일드의 주기가 동일하게 하여 출력한 프레임 주파수를 입력한 판별신호 출력회로(22)는 입력된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반전하여 위상이 서로 상반된 신호를 액정 구동회로로 출력한다.
따라서 좌우 판별회로(12)가 오동작시에는 잡음제거논리부(21)에서 이를 제거함으로써 정확한 필드주기의 주파수를 출력함으로 순간적인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게된다.
제7도는 제6도의 블럭도의 상세회로도로서, 복합동기신호(Comsync)를 입력하여 수직동기의 프론트 포치 부분의 신호를 제1클럭(CK1)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출력단자 Q와로 좌우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판별회로(12)와, 상기 좌우 판별회로(12)에서 출력하는 수직동기신호의 프론트 포치 부분의 신호인 제1클럭(CK1)의 선두 펄스에 의해 트리거되어 피일드 주파수의 1/2주기인 8.25msec 주기의 펄스를 출력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21a)와,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21a)의 출력을 2분주하여 16.5msec ″하이″와 16.5msec ″로우″의 신호로 피일드 주파수를 발생하는 D 플립플롭(21b)으로 구성된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와, 상기 좌우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 ()에서 출력하는 좌우판별신호와 상기 D플립플롭(21b)의 출력(Q2)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배타적 논리합게이트(Exclusive OR Gate : 이하 EX-OR라 함)(G0)와 상기 EX-OR(G0)의 출력과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Q)의 출력을 입력하여 논리곱 출력하는 게이트(G1)와, 상기 EX-OR(G0)의 출력과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의 출력을 게이팅 출력하는 게이트(G2)로 구성된 잡음 제거 논리회로(21)와, 상기 게이트(G1-G2)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게이트(G2)와 상기 게이트(G3)의 출력을 반전 출력하는 인버터(IN1)로 구성된 판별신호 출력회로(22)로 구성된다.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7도 각부분의 동작파형도로서, (a)는 수직동기신호이고, (b)는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에 의해 발생된 피일드 주파수이며, (c)와 (d)는 좌우 판별회로(12)에서 출력하는 좌우 판별신호이며, (e)와 (f)와 (g)는 잡음 제거 논리회로(21)의 각부의 동작 파형도이고, (h)와 (i)는 잡음이 제거된 좌우 판별신호이다.
상기 제6도의 일 실시예인 제7도의 동작예를 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복합동기신호(Comsync)가 좌우 판별신호(12)로 입력되면, 좌우 판별회로(12)는 복합동기(Comsync)에서 수직동기신호의 프론트 포치부분의 제1클럭(CK1)(1)으로 하여 멀티바이브레이터(12a)를 트리거함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단자(Q)와 (Q)로 제8c도와 (d)도와 같은 좌우 분리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클럭(CK1)에 의해 트리거된 멀티바이브레이터(21a)는 저항(R)과 캐패시터(C)의 시정수에 의해 1/2피일드의 주기인 8.25msec로 발진하여 D 플립플롭(12b)의 클럭으로 출력한다.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21a)에 의해 1/2피일드(8.25msec)의 주파수로 발진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한 D 플립플롭(52)은 이를 2분주하여 1피일드(16.5msec)의 주기로 16.5msec ″하이″와 16.5msec ″로우″신호를 반복하여 제8b도와 같은 피일드 주파수를 EX-OR)(G0)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EX-OR(G0)는 제8b도와 같은 피일드 신호와 제8d도와 같은 신호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Q)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논리 ″로우″이며 피일드 신호가 ″하이″이면 배타적 논리합의 결과를 논리 ″하이″로 출력한다.
상기 EX-OR(G0)가 논리 ″하이′를 출력하는 경우라면, 게이트(G1)은 상기 EX-OR(G0)의 출력 ″하이″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Q)에서 제8c도와 같이 출력하는 좌우 판별신호를 제8f도와 같이 출력하며, 게이트(G2)는 EX-OR(G0)의 출력 ″하이′에 의해 디스에이블되어 제8c도와 같이 ″로우″를 출력한다.
따라서 좌우 판별회로(12)가 정상 동작하여 출력단자(Q)와 D 플립플롭(21b)의 출력단자(Q2)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이 동일한 경우에는 게이트(G1)가 상기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Q)로 부터 출력되는 좌우 판별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오아게이트(G3)는 상기 게이트(G1)에서 출력하는 좌우 판별 신호와 게이트(G2)에서 출력하는 논리 ″로우″를 논리합하여 상기 게이트(G1)의 출력만을 액정셔터 구동회로(제1도 참조)로 출력한다. 이때 인버터 (IN1)가 상기 오아게이트(C3)의 출력을 반전하여 액정셔터 구동회로로 출력함으로 좌안 액정과 우안 액정을 구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상 동작하는 상태에서 복합동기신호(Comsync)의 수직동기신호에 펄스성 노이즈가 삽입되면, 즉 제8a도의 (2) (3)과 같은 수직동기 신호내에 펄스성 노이즈가 실리게 되면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Q)와 (Q)로 부터는 제8c도와 (d)와 같이 오동작된 좌우분리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EX-OR(G0)는 D 플립플롭(21b)에서 제8b도와 같이 출력하는 피일드 신호와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Q)에서 제8c도같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배타적 논리합 함으로써 좌우판별회로(12)의 오동작부분(4)(5)는 제8e도와 같이 검출되어 게이트(G1)(G2)의 일단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G1)(G2)는 EX-OR(G0)에서 제8e도와 같이 출력하는 출력신호와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Q)와 ()에서 제8b,c도와 같이 각각 출력한 신호를 각각의 일단에 입력하여 논리곱함으로써 게이트(G1)와 (G2)는 제8f도와 (g)와 같은 신호를 오아게이트(G3)로 출력한다.
따라서 오아게이트(G3)는 상기 게이트(G1)와 (G2)에서 각각 출력한 제8f도와 (g)신호를 논리합하여 제8h도와 같은 좌우 판별신호로 출력하는 동시에 인버터(IN1)로 출력함으로써 좌우 판별신호는 오아게이트(G3)의 출력과 인버터(IN1)의 출력이 된다.
따라서 기수 및 우수피일드에 펄스성의 노이즈가 삽입되었을 때에도 좌우 판별신호는 정확히 출력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로직회로의 구성으로 기수피일드, 우수피일드의 수직동기부분에 펄스성 노이즈가 삽입되어 오동작 되어진 좌우분리 신호를 검출하고 수정하여 완전한 좌우 판별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셔터 구동신호를 안정화시킴으로 보다 나은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셔터 구동신호를 안정화시킴으로 보다 나은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복합동기 신호를 입력하여 수직동기 신호의 프론트 포치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좌우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판별회로(12)를 구비한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신호에 방지회로에 있어서, 좌우 판별회로(12)의 프론트 포치 신호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수직동기 신호의 프론트 포치 부분의 선두 신호에 트리거되어 기수피일드와 우수피일드 각각의 기간 동안 레벨이 다른 피일드 주파수를 발생하는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와, 상기 좌우 판별회로(12)의 좌우 판별신호 출력단자와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의 피일드 주파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되는 좌우 판별 신호 중의 하나와 상기 피일드 주파수를 비교하여 좌우 판별 신호의 오동작된 부분을 검출하고 기수, 우수피일드의 주기로서 좌우 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잡음 제거 논리회로(21)와, 상기 잡음제거 논리회로(21)의 출력단자에 입력단자 접속되며,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이를 반전하여 위상이 서로 상반된 좌우 판별 신호로 출력하는 판별신호 출력회로(2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잡음제거 논리회로(21)가 상기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와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의 출력단자에 입력단자들이 접속되고 출력단자들이 상기 판별 신호 출력회로(22)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에서 출력하는 좌우판별 신호와 피일드 주파수 발생회로(20)에서 출력하는 피일드 주파수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오동작 구간을 검출하는 EX-OR(G0)와, 상기 EX-OR(G0)의 출력과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의 출력을 논리곱하여 상기 판별 신호 출력회로(22)로 출력하는 게이트(G1)와, 상기 EX-OR(G0)의 출력을 반전 입력하고 좌우 판별회로(12)의 출력단자의 출력을 반전 입력하여 두 논리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판별 신호 출력회로(22)로 출력하는 게이트(G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KR2019870002517U 1987-02-28 1987-02-28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10000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517U KR910000656Y1 (ko) 1987-02-28 1987-02-28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2517U KR910000656Y1 (ko) 1987-02-28 1987-02-28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016U KR880017016U (ko) 1988-10-08
KR910000656Y1 true KR910000656Y1 (ko) 1991-01-31

Family

ID=1926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2517U KR910000656Y1 (ko) 1987-02-28 1987-02-28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6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016U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439089B (sv) Televisionsmottagare innefattande en linjesynkroniseringskrets
US4387396A (en) Field recognition circuit
KR910000656Y1 (ko) 액정입체 표시장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EP0327228B1 (en) Sync pulse separation circuitry
KR0164538B1 (ko) 디지탈 영상처리장치의 의사동기신호 발생회로
KR940003035B1 (ko) 영상신호처리회로
EP0454153B1 (en) Synchronizing circuit
KR900009596Y1 (ko) 입체화상의 좌우 판별회로
KR890004914B1 (ko) 액정 입체 표시장치
KR0163298B1 (ko) 프레임 스위쳐의 채널코드 입력/재생 방법 및 채널코드 재생 장치
KR900004639B1 (ko) 입체 영상시청용 액정셔터 구동회로
KR100213017B1 (ko) 신호 방식 판별회로
KR960004129B1 (ko) 프로그램 가능한 수직동기신호 추출회로
JPS6320932A (ja) パリテイカウンタ
KR0139790B1 (ko) 피일드 인식 신호 발생회로
KR910001431B1 (ko) 좌우 판별신호 부가회로
KR100425687B1 (ko) 평판표시장치의 합성동기신호 분리회로
JP3038314U (ja) 立体映像鑑賞用めがねの制御装置
KR950011527B1 (ko) 동기신호의 홀/짝수필드검출회로 및 그 방법
KR930000978B1 (ko) 필드 검출회로
KR890005453Y1 (ko) 필드(Field) 판별회로
KR900005311Y1 (ko) 영상신호의 피일드 판별회로
KR900005006B1 (ko) 입체 tv
KR0160119B1 (ko) 블랭킹신호 및 필드구별신호 검출회로
JPS61189084A (ja) 複合テレビジヨン信号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