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075B1 - 릴레이 - Google Patents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075B1
KR910000075B1 KR1019870013336A KR870013336A KR910000075B1 KR 910000075 B1 KR910000075 B1 KR 910000075B1 KR 1019870013336 A KR1019870013336 A KR 1019870013336A KR 870013336 A KR870013336 A KR 870013336A KR 910000075 B1 KR910000075 B1 KR 910000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lay
excitation coil
movable plate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737A (ko
Inventor
아까마사 사사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0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lay Circuit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릴레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의 구성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전기회로도.
제3도는 동실시예와 관련된 전자레인지의 제어회로의 구성도.
제4도는 종래의 릴레이의 구성도.
제5도는 종래의 릴레이의 전기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3 : 철심 64 : 여자(勵磁)코일
67 : 중간단자 68 : 가동판(可動板)
70 : 가동접편(接片) 73 : 상개(常開)접점
80 : 접편 81 : 상폐(常閉)접점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제어회로 등에 사용되는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 예를 들면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으로 통전하는 주회로에 릴레이(직류 릴레이)의 접점을 끼워서 연결하고 그 릴레이의 ON.OFF로 조리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릴레이의 예를 제4도와 제5도에 나타낸다.
직류 릴레이(1)는 L자형 받침대(2)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2)의 바닥부에는 철심(3)이 세워서 설치되고 그 철심 (3)에는 여자코일(4)이 감겨진다.
받침대(2)의 세워진 부분에는 철심(3)의 상단부와 대향하도록 가동판(5)이 설치된다.
이 가동판(5)은 철제로 받침대(2)의 세워진 부분에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6)으로 윗쪽으로의 편기력(偏
Figure kpo00001
力)을 받아 통상 철심(3)과 간격을 두도록 되어있다.
또한 가동판(5)에는 가동접편(7)이 설치되고 그 가동접편(7)의 아랫쪽에는 고정단자(8)가 설치된다.
그리고 가동접편(7)은 고정단자(9)에 접속된다.
즉, 고정단자(8)(9) 사이에는 상개접점(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여자코일(4)의 양끝에 직류전압(Vdc)을 인가하면 철심 (3)이 자기화되어 거기에 가동판(5)이 흡착(吸着)된다.
가동판(5)이 흡착되면 가동접편(7)이 고정단자(8)에 접촉되어 고정단자(8)(9) 사이가 전기적으로 통전하게된다.
즉, 상개접점(10)이 ON 된다.
또한 여자코일(4)로의 전압인가를 해제하면 철심(3)으로 부터 가동판(5)이 떨어져 가동접편(7)이 고정단자(8)로부터 떨어진다.
즉 고정단자(8)(9) 사이의 전기적 ON 상태가 해제되어 상개접점(10)이 OFF 된다.
그런데, 전자레인지에 일어서는 마그네트론의 발진에 의한 레인지로 조리만이 아니라 전기 히이터의 발열로 인한 오븐 조리 기능을 구비한것도 있으므로 기능이 늘어나는데 따라 릴레이 수도 많아진다.
단지, 릴레이 수가 많으면 소비 전력이 증대하여 제어부에 대형의 전원 트랜스를 사용해야 한다.
이것은 코스트 상승을 초래하는 동시에 제어부가 탑재된 제어회로기판의 대형화, 나아가서는 전자레인지 본체의 대형화로 이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비전력이 적으며 이로써 전원 트랜스의 대형화등을 막을 수 있는 뛰어난 릴레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자코일과 이 여자코일에 전기가 통하게 하므로써 구동되는 접점과, 이 접점과 연동하여 여자코일의 권수(卷數)를 전환하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큰 기자력(起磁力)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접점 구동 후에는 여자코일의 권수가 많아져 임피이던스가 커져서 전류를 제어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먼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자레인지의 제어회로를 제3도에 도시했다.
상용전류전원(20)에는 퓨우즈(21), 마그네트론 더어멀(thermal)(22), 제1도어 스위치(23), 제 2도어 스위치(24), 릴레이 접점(55a), 릴레이 접점(53a)의 상개쪽과 릴레이 접점 (51a)을 직렬로 통해서 고압트랜스(25)의 1차 코일(25a)이 접속된다.
고압트랜스(25)의 2차 코일(25b)에는 고압콘덴서(26), 방전용 저항(27) 그리고 고압 다이오우드(28)로 이루어진 반파배(半波倍) 전압 정류회로를 통해서 마그네트론(29)의 애노우드, 캐소우드 사이가 접속된다.
그릴 히이터(3)는 퓨우즈(21), 마그네트론 더어멀(22), 제1도어 스위치(23), 제2도어 스위치(24), 릴레이 접점 (55a), 릴레이 접점(53a)의 상폐쪽과 릴레이 접점(51a)을 직렬로 통해서 전원(20)에 접속된다.
열풍 히이터(31)는 퓨우즈(21), 마그네트론 더어멀(22), 제1도어 스위치 (23), 제2도어 스위치(24), 릴레이접점(54a), 릴레이접점(53a)의 상폐쪽과 릴레이 접점(51a)을 직렬로 통해서 전원(20)에 접속된다.
그리고 열풍 히이터(31)에 대하여 열풍팬 모우터(32)가 병렬로 접속된다.
턴 테이블 구동 모우터(33)과 마그네트론 냉각용 팬 모우터(34)는 각각 퓨우즈(21), 마그네트론 더어멀(22), 제1도어 스위치(23)와 릴레이 접점(52a)을 직렬로 통해서 전원(20)에 접속된다.
도어 모니터 스위치(35)는 퓨우즈(21), 마그네트론 더머얼(22)과 제1도어 스위치(23)를 직렬로 통해서 전원(20)에 접속된다.
가열실내 조명 램프(36), 소위 고내등(庫內
Figure kpo00002
)은 퓨우즈(21), 마그네트론 더어멀(22)과 릴레이 접점(51a)을 직렬로 통해서 전원(20)에 접속된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와 그 주변회로로 이루어진 제어부(40)는 전자레인지 전반에 걸친 제어를 하는 것이다.
이 제어부(40)는 동작전압 취입용 전원 트랜스(41)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전원 트랜스(41)의 1차 쪽은 퓨우즈(21)와 마그네트론 더어멀(22)을 직렬로 통해서 전원(20)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어부(47)에 대하여 도어오픈 모니터 스위치(42), 가열실내 온도센서(43), 가스센서(44), 조작표시부(45)와 본 발명의 직류 저전압 릴레이(51)(52)(53)(54)(55)가 접속된다.
여기서 릴레이(51)(52)(53)(54)(55)의 구체적인 구성을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내고 있다.
본체(61)는 L자형의 받침대(62)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62)의 바닥부에는 철심(63)이 세워서 설치되고 그 철심(63)에는 여자코일(64)이 감겨진다.
여자코일(64)은 한쪽끝에 단자(65), 다른쪽 끝에 단자(66)가 있으며 또한 도중에 중간 단자(67)가 있고 그 중간 단자(67)를 경계로하여 한쪽끝이 코일(64a), 다른쪽 끝이 코일(64b)로 되어있다.
받침대(62)의 세워진 부분에는 철심(63)의 상단과 대향하도록 가동판(68)이 설치된다.
이 가동판(68)은 철제로 받침대(62)의 세워진 부분에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69)에 의해 윗 방향으로 편기력을 받아 통상 철심(63)에서 떨어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가동판(68)에 가동접편(70)이 설치되고 그 가동접편(70)의 아랫쪽에는 고정단자(71)가 설치된다. 그리고 가동접편(70)은 고정단자(72)에 접속된다. 즉, 고정단자(71)(72) 사이에 상개접점(73)이 형성된다. 또한 가동판(68)에 접편(80)이 설치된다.
이 접편(80)은 힘이 해제되면 여자코일(64)의 단자(66)와 중간단자(67) 양쪽에 접촉하여 힘이 부가되면 단자(66)로 부터 떨어지도록 되어있다.
즉, 단자(66)(67) 사이에 상폐접점(81)이 형성된다.
또한, 릴레이(53)와 같이 쌍방 향성 접점을 지닌 경우에는 가동접편(70) 근방에 고정단자가 또하나 늘어나게 된다.
지금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단자(65)(66) 사이에 직류전압(Vdc)을 인가하면 여자코일(64a)이 여자되어 철심(63)이 자기화된다.
이때 직류전압(Vdc)의 인가시에 접편(80)이 단자(66)(67)에 접촉되어 상폐접점(81)이 먼저 ON 상태에 있으므로 여자코일(64)은 코일(64a)만의 임피이던스가 된다
이것은 큰 전류를 허용하고 철심(63)에 대하여 커다란 기자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철심(63)이 자기 화되면 거기에 가동판(68)이 흡착된다.
가동판(68)이 흡착되면 가동접편(70)이 고정단자(71)에 접촉되어 고정단자(71)(72) 사이가 전기적으로 전기가 흐르게 된다.
즉 상개접점(73)이 ON 된다.
또한 철심(63)에 가동판(68)이 흡착되면 접편(80)이 단자(66)로부터 떨어져 상개접점(81)이 OFF 된다.
상개접점(81)이 OFF되면 여자코일(64)에서 코일(64b)이 투입되어 여자코일(64)의 임피이던스가 커진다.
이것은 가동판(65)의 흡착 유지에는 그다지 커다란 기자력이 필요치 않다는 것을 고려하여 여자코일(64)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는 것이다. 직류전압(Vdc)의 인가를 해제하면 철심(63)의 자기화가 해제되어 철심(63)으로부터 가동판(68)이 떨어진다.
그러면 가동접편(70)이 고정단자(71)로 부터 떨어져 고정단자(71)(72) 사이의 전기적인 ON 상태가 해제된다.
즉 상개접점(73)이 OFF 된다.
이와 같이 커다란 기자력을 필요로 하는 접점 구동시에는 여자코일(64)의 임피이던스를 작게하여 큰 전류를 허용하는데 커다란 자기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접점 구동후엔 여자코일(64)의 임피이던스를 크게하여 전류를 억제하도록 한것으로 소비전력을 적게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도의 제어회로와 같이 다수의 릴레이를 사용하는 상황일지라도 제어부(40)의 전원트랜스(41)를 대형으로 할 필요는 전혀 없다.
즉 코스트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더구나 제어부(40)가 올려진 제어회로기판의 대형화, 나아가서는 전자레인지 본체의 대형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레인지의 제어회로에 대한 적용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다른기기의 제어회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자코일과 이 여자코일로 전기를 흐르게 하므로써 구동되는 접점과, 이 접점과 연동하여 여자코일의 권수를 전환하는 장치를 설치했으므로 소비전력이 적으며, 이로써 전원 트랜스의 대형화를 막을 수 있는 뛰어난 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여자코일(64)과, 이 여자코일로 전기가 흐르게 하므로써 구동되는 가동판(68)을 구비한 릴레이에 있어서, 가동판의 동작에 연동하여 릴레이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여자코일의 권수를 전환하는 접점장치(8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릴레이는 한쌍의 고정단자(71)(72)와, 이 고정단자의 한쪽(7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가동판(70)과 연동하여 고정단자 사이를 OFF 시키는 가동접편(70)을 구비하며, 가동판이 구동된 때에는 한쌍의 전술한 고정단자가 가동접괸에 의해 OFF된 후에 여자코일의 권수가 접점장치로 인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KR1019870013336A 1986-11-26 1987-11-26 릴레이 KR910000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79712A JPS63133417A (ja) 1986-11-26 1986-11-26 リレ−
JP61-279712 1986-11-26
JP86-279712 1986-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737A KR880006737A (ko) 1988-07-23
KR910000075B1 true KR910000075B1 (ko) 1991-01-19

Family

ID=1761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336A KR910000075B1 (ko) 1986-11-26 1987-11-26 릴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33417A (ko)
KR (1) KR9100000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737A (ko) 1988-07-23
JPS63133417A (ja) 198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2952B2 (en) Dual coil induction heating system
CA1303144C (en) Relay, cook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power reducing method thereof
JP2651764B2 (ja) ガス放電ランプの明るさを制御する電子切換装置
KR910000075B1 (ko) 릴레이
US5486972A (en) AC powered electrical control device with logic level control
US4009412A (en) Fluorescent lamp ballast circuit with magnetic switch
KR910002246B1 (ko) 릴레이
JPH09224255A (ja) 消磁回路および消磁回路用部品
EP0973357A2 (en) AC/DC powered microwave oven
US4918291A (en) Electric heater assemblies
KR100642117B1 (ko) 전동기용 시동 장치
US3345538A (en) Current switching arrangement to cutout the defective gas lamp upon failure
JPH01294326A (ja) リレー
KR20030092915A (ko) 전자렌지
JP2590088B2 (ja) 調理器
KR940002504Y1 (ko) 110v/220v 겸용 전자 레인지 회로
KR200143528Y1 (ko) 전자 렌지
KR100686148B1 (ko) 오븐레인지 냉각장치
KR200143545Y1 (ko) 감열식차단기의 동작시간표시장치
JPH035765Y2 (ko)
KR100348978B1 (ko) 전자레인지의 마그네트론 컨트롤 전용 릴레이
JPS63269493A (ja) 調理器
JPH0521151A (ja) 高周波加熱装置
JPS63133494A (ja) 調理器
JPS63131489A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