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035Y1 - 습자용 서판 - Google Patents

습자용 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035Y1
KR910000035Y1 KR2019880016832U KR880016832U KR910000035Y1 KR 910000035 Y1 KR910000035 Y1 KR 910000035Y1 KR 2019880016832 U KR2019880016832 U KR 2019880016832U KR 880016832 U KR880016832 U KR 880016832U KR 910000035 Y1 KR910000035 Y1 KR 910000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igraphy
slab
lines
practice
reinforc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906U (ko
Inventor
이봉구
Original Assignee
이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구 filed Critical 이봉구
Priority to KR2019880016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035Y1/ko
Publication of KR900008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0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습자용 서판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일부 확대 단면도.
제3a,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석반 2a,2b : 종,횡의 표시선
3 : 문자 4 : 볼강테
10a,10b : 종회의 표시선 20a,20b : 세종횡 선
40 : 합성수지(고무포함) 보강테 41 : 금속 보강테
본 고안은 붓글씨 연습용으로 특히 아동들의 서예체 연습에 필요한 습자용 서판에 관한 것으로, 점판암을 재단한 석반에 테두리와 종횡보조선을 부가시켜 붓글씨 연습을 영구히 습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예체를 익히고자 하는 초보자 들이 붓글씨를 연습하고자 할때 벼루에 일정량의 물을 붓고 먹을 갈아서 먹물을 만든다음 붓으로 습자지 또는 연습지에 서예체를 연습하였던 것으로, 이는 먹을 갈아 글씨를 쓰기 까지에는 번거로운 준비과정이 필요하며 붓글씨 연습중 먹물이 소비되어 없어지면 다시 먹을 갈아 항상 먹물을 준비한 상태에서만 붓글씨 연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었고, 습자지 또는 먹등의 연습재료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습량도 한정되어 계속 연습하고자 할경우에는 연습재료를 새로 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 부담을 주게되므로, 연습량을 충족 시킬수 없었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글씨를 쓰다가 한 획이 틀릴 경우 이 틀린 획만을 지우고 고칠수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난필이 된다.
이로 인하여 초보자로 하여금, 의욕상실을 가져오게 하여 금방 실증을 느끼기 때문에 흥미를 잃어 연습을 포기하는 일도 있었다.
특히 아동들이 붓글씨 연습을 할경우에는 연습중 부주위나 장난으로 먹물을 엎질러 아동의 옷이나 손등의 피부에 뭍게되는 등의 먹물사용상 피해를 입게 되어 아동들이 서예체를 익히기를 꺼려하는 이유가 되기도 하였다.
이와같이 먹물을 사용하는 종래의 것은 사용이 불편하고, 특히 아동들의 서예체 연습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점판암(點板岩)을 일정두께와 크기로 재단한 석반에 종횡의 표시선과 문자를 형성하여 맹물로 상기 석반에 글씨를 쓰면 일정시간이 지난후에는 자연히 글씨가 지워지므로서, 서예체를 먹물이나 연습지등에 관계없이 영구적으로 연습할 수 있게 한 것이고, 특히 아동들의 서예체 연습에 매우 편리하고 아울러 실력향상을 꾀하려는 습자용 서판을 제공코저한 것이다.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습자용 서판을 나타낸 것으로, 미세한 조직으로되고, 흑색인 점판암을 일정두께와 크기로 재단한 석반(1)의 표리면에 종횡의 표시선(2a,2b)과 문자(3)를 식각(蝕刻)하여 합성수지(고무포함)의 보강테(4)로 상기 석반(1)의 테두리를 보호하도록 결합한 형태로 된다.
또한, 제3a,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석반(1)에 글자크기 간격의 종,횡의 표시선(10a, 10b)을 글씨 형태에 따라 조정 형성하여 식각한 것이고, b는 종횡의 표시선(2a, 2b)에 글자 바로 쓰기 기준인 세종횡선(20a, 20b)를 형성하여 식각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확대 단면도로써, 석반(1) 주연에 보강테(4)를 결합함에 있어 합성수지(고무포함) 보강테(40) 또는 금속보강테(41)로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하여 표리면이 바닥으로 부터 닿지 않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된 본 고안은, 석반(1)이 흑색의 점판암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물로 글씨를 쓰게 되면 물이 묻은 점판암의 표면에 투과된 빛이 물에 의해 굴절 반사되어 흑색의 점판암을 더욱 검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는, 먹물로 쓴 것 이상의 검정색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먹물과 연습지가 필요치 않아 경제적인 잇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점판암이 미세한 조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물로 쓴 글씨가 절대로 번지지않는 것이어서 서예체를 충분히 표현할 수 있고 더우기 먹물이 아닌 물로 쓰기 때문에 부담이 없어 대담하게 글씨를 쓸 수 있으므로 필체의 발전 능률도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글씨를 쓰다가 틀릴경우에는 마른 걸레등으로 틀린부분을 닦아 내어말리면 금방 글씨가 지워지기 때문에 다시 고쳐 쓸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물로 쓴 다음 닦지 않아도 뒷면을 쓰는 사이에(10-15분간) 자연히 물이 말라 글씨가 없어지므로, 계속해서 앞뒤로 글씨를 쓸 수 있게 되며, 약 10분-15분간은 글씨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지도자의 지도를 받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석반(1)의 표리면에 문자(3)와 종,횡표시선(2a, 2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동들의 경우에 미리 형성된 한글(한자)등의 문자(3)를 따라서 쓸 수 있어 실력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3a,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3)의 크기에 맞게 종,횡의 표시선(10a, 10b)을 형성하고, 또는 문자(3) 크기의 종,횡의 표시선(2a, 2b)에 세 종횡선(20a, 20b)을 석반(1)의 표리면에 각각 식각하여 된 것으로는, 글씨를 연습함에 있어서 글씨의 크기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고 글씨를 세 종,횡선(20a, 20b)에 의하여 바르게 쓸 수 있어 글씨의 크기와 균형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실력향상에 더욱 기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반(1) 주연의 보강테(4)를 합성수지(고무포함)보강테(40) 또는 금속보강테(41)로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되게 하여 석반(1)을 보호하고, 석반(1)의 면과 바닥면이 서로 닿지 않게되므로 석반(1)의 앞,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제4도에서 석반(1) 표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나 종횡의 표시선을 인쇄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흑색의 점판암을 일정 크기로 재단한 석반에 문자와 종횡의 표시선등을 형성되게 하여, 맹물로 글씨를 쓰므로서 종래의 연습지나 먹물이 필요없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미리 일정크기로 바르게 쓸 수 있기 때문에 서예체의 실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특히, 아동들의 경우에 있어서는 먹물에 의한 피해를 서예체연습을 꺼리게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어 서예체에 흥미를 갖고 쉽게 익힐 수 있어 실력이 급성장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아동들의 서예체 연습용으로서는 아주 적합하고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흑색의 점판암을 일정두께와 크기로 재한한 점판암 석반(1)에 종횡의 표시선(2a, 2b)과 문자(3)를 형성하고 보강테(4)를 결합시켜된 습자용 서판.
  2. 제1항에 있어서, 석반(1)에 글자크기 간격의 종,횡의 표시선 사이에 글자 바로쓰기 기준의 세종횡선(20a, 20b)을 표리면에 식각하여 된 습자용 서판.
  3. 제1항에 있어서, 석반(1) 주연에 보강테를 합성수지(고무포함) 보강테(40) 또는 금속보강테(41)를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하여 표리면을 이용할 수 있게 한 습자용 서판.
KR2019880016832U 1988-10-14 1988-10-14 습자용 서판 KR910000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832U KR910000035Y1 (ko) 1988-10-14 1988-10-14 습자용 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832U KR910000035Y1 (ko) 1988-10-14 1988-10-14 습자용 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906U KR900008906U (ko) 1990-05-03
KR910000035Y1 true KR910000035Y1 (ko) 1991-01-18

Family

ID=1928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832U KR910000035Y1 (ko) 1988-10-14 1988-10-14 습자용 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0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906U (ko) 199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msden The art of etching
KR910000035Y1 (ko) 습자용 서판
Fielding The Art of Engraving, with the Various Modes of Operation Under the Following Different Divisions: Etching, Soft-ground Etching, Line Engraving, Chalk and Stipple, Aquatint, Mezzotint, Lithography, Wood Engraving, Medallic Engraving, Electrography, and Photography: Illustrated with Specimens of the Different Styles of Engraving
US3408932A (en) Game
CN103050031B (zh) 一种可重复描红、摹影、临写字帖及习字方法
Biegeleisen et al. Silk screen techniques
JP2592228Y2 (ja) 文字練習板
JP3103795U (ja) 毛筆書きのお手本シート
CN110428697A (zh) 硬笔五格组合练字模板
KR200394631Y1 (ko) 화이트보드를 구비한 찰흙판
JPS63317399A (ja) 書道用下敷き
CN2178187Y (zh) 凹痕习字板
CN209183046U (zh) 字帖宝
CN107665617A (zh) 字帖像素摹影纸
Allison et al. Block Printing: Techniques for Linoleum and Wood
JP2552641Y2 (ja) 実用漢字斜線入練習紙
JPH0648533Y2 (ja) 文字、図形等の練習用具
KR890002811Y1 (ko) 노트
CN2341812Y (zh) 透写复写字模卡
US3515065A (en) Drafting tool
US2079870A (en) Print block
Fielding The art of engraving with the various modes of operation
Fletcher Wood-block printing
KR850000529Y1 (ko) 칠판층의 구조
Gilks The Art of Wood Engraving: A Practical Hand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