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7670A - 기류분급기. 토너의 제조방법 및 토너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기류분급기. 토너의 제조방법 및 토너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7670A
KR900017670A KR1019890006474A KR890006474A KR900017670A KR 900017670 A KR900017670 A KR 900017670A KR 1019890006474 A KR1019890006474 A KR 1019890006474A KR 890006474 A KR890006474 A KR 890006474A KR 900017670 A KR900017670 A KR 90001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cation
powder
chamber
louvers
int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694B1 (ko
Inventor
마사요시 가또오
히도시 간다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riority to KR101989000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694B1/ko
Publication of KR90001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6Jet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류분급기, 토너의 제조방법 및 토너의 제조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기류분급기의 종측단면 입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것을 수정한 실시예의 예시도.

Claims (24)

  1. 기류를 이용하여 분말을 분급하기 위한 분리기로서, 상기 분리기에 구비된 분말 공급 파이프와 분급 챔버; 상기 분말 공급 파이프와 소통하기 위해 상기 분급 챔버의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 챔버; 분말이 운반용 공기와 함께 도입 루버사이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챔버로부터 상기 분급 챔버로 흐르도록, 상기 가이드 챔버와 상기 분급 챔버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도입 루버; 상기 분급 챔버의 기저에 구비된, 중심부가 올라가 있는 경사진 분급 플레이트; 상기 분급 챔버안으로 운반용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상기 분말을 미세 분말과 조대 분말로 원심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회전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가 그의 개구를 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분급 챔버의 측벽을 따라 구비된 분급 루버; 상기 분급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그곳으로부터 분급된 미세분말이 방출되는 방출 개구; 상기 방출 개구에 연결된 미세 분말 방출 슈우트; 및 상기 분급 플레이트의 외주부를 따라서 형성되고 그곳으로부터 분급된 조대 분말이 방출되는 방출 개구로 이루어지는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입 루버가 고리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루버가 고리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입루버가 고리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분급 루버가 고리형태로 배열되며, 도입루버에 의해 형성된 고리의 내부 직경이 분급루버에 의해 형성된 고리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루버는 분말이 선회하면서 분급 챔버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루버는 운반용 공기가 분급 챔버내에서 회전류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루버는 분급 루버사이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분급 챔버 내부에 회전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루버는 분말이 가이드 챔버의 전체 주변으로부터 분급 챔버안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루버는 도입루버 사이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운반용 광기의 회전류의 방향이 분급 루버 사이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회전류의 방향과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루버는 가이드 챔버의 내벽의 전체 주변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분급 루버는 분급 챔버의 하단부의 외벽의 전체 주변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공급 파이프는 가이드 챔버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말 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분말은 도입 루버 사이의 개구를 통해서, 도입 루버에 의해 형성된 가이트 챔버 내벽의 전체 주변으로부터 분급 챔버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기.
  12. 기류를 이용하여 분말을 분급하기 위한 분리기와 제트 밀이 장착된, 미세 분말 제조장치로서, 상기 분리기에 구비된 분말 공급 파이프와 분급 챔버; 상기 분말공급 파이프와 소통하기 위해 상기 분급 챔버의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챔버; 분말이 운반용 공기와 함께 도입루버 사이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챔버로부터 상기 분급 챔버로 흐르도록, 상기 가이드 챔버와 상기 분급챔버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도입 루버; 상기 분급 챔버의 기저에 구비된, 중심부가 올라가 있는 경사진 분급 플레이트; 상기 분급 챔버안으로 운반용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상기 분말을 미세분말과 조대분말로 원심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회전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가 그의 개구를 통하여 흐를수 있도록, 상기 분급 챔버의 측벽을 따라 구비된 분급 루버; 상기 분급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그곳으로부터 분급된 미세 분말이 방출되는 방출 개구; 상기 방출 개구에 연결된 미세 분말 방출 슈우트; 및 상기 분급 플레이트의 외주부를 따라서 형성되고 그곳으로부터 분급된 조대 분말이 방출되는 방출 개구로 이루어 지는 상기 분리기; 분급된 조대 분말을 상기 제트 밀에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된 연결용 파이프; 및 상기 제트밀에서 마쇄된 분말을 상기 분말 공급 파이프에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된 연결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입루버가 고리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루버가 고리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입루버가 고리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분급 루버가 고리 형태로 배열되며, 도입 루버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의 내부직경이 분급 루버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루버는 분말이 선회하면서 분급 챔버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루버는 운반용 공기가 분급 챔버내에 회전류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루버는 분급 루버사이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분급 챔버 내부에 회전류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루버는 분말이 가이드 챔버의 전체 주변으로부터 분급 챔버안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 루버는 도입루버 사이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운반용 공기의 회전류의 방향이 분급 루버 사이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회전류의 방향과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루버는 가이드 챔버의 내벽의 전체 주변을 따라서 구비되고, 상기 분급 루버는 분급 챔버의 하단부의 외벽의 전체 주변을 따라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공급 파이프가 가이드 챔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분말 공급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분말은 도입 루버 사이의 개구를 통하여, 도입 루버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챔버 내벽의 전체 주변으로부터 분급 챔버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정전기적 잠상 현상용 토너의 제조방법으로서, 적어도 결합제 수지와 발색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융-반죽하여 냉각하고, 반죽된 생성물을 고체화하여 그 과화된 생성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공급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분쇄된 공급 물질을 기류를 이용하여 분급하기 위하여 분말 공급 파이프와 분급 챔버; 상기 분말 공급 파이프와 소통하기 위해 상기 분급 챔버의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챔버; 분말이 운반용 공기와 함께 도입루버 사이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챔버로부터 상기 분급 챔버로 흐르도록, 상기 가이드 챔버와 상기 분급챔버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도입 루버; 상기 분급 챔버의 기저에 구비된, 중심부가 올라가 있는 경사진 분급 플레이트; 상기 분급 챔버안으로 운반용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상기 분말을 미세분말과 조대분말로 원심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회전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가 그의 개구를 통하여 흐를수 있도록, 상기 분급 챔버의 측벽을 따라 구비된 분급 루버; 상기 분급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그곳으로부터 분급된 미세 분말이 방출되는 방출 개구; 상기 방출 개구에 연결된 미세 분말 방출 슈우트; 및 상기 분급 플레이트의 외주부를 따라서 형성되고 그곳으로부터 분급된 조대분말이 방출되는 방출 개구로 이루어지는 분리기를 사용하는 제1분급 단계로 분쇄된 공급 물질을 공급하여 공급 물질을 조대 분말과 미세 분말로 분급하는 단계; 분급된 조대 분말을 마쇄 단계에 공급한 후에 마쇄된 생성물을 제1분급 단계로 피이드 백시키는 단계; 분급된 미세 분말을 분할 수단에 의해 적어도 3부분으로 분리된 다-분할 분급 조운으로 도입시켜 미세 분말의 입자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곡선을 그리면서 떨어지게 하여 주로 규정 범위보다 큰 입경의 입자로 이루어진 조대분말부는 제1부분으로 수집하고, 주로 규정 범위내의 입경을 가지는 입자로 이루어지는 중간 분말부는 제2부분에 수집하며, 그리고 주로 규정 범위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입자로 이루어지는 미세 분말부는 제3부분에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된 조대 분말부를 분쇄된 공급 물질과 함께 제1분급단계로 피이드 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
  24. 정전기적 잠상 현상용 토너의 제조 장치로서, 토너에 대해 분쇄된 공급 물질 분말을 계속해서 공급하기 위한 연속 공급 수단; 상기 연속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분쇄된 공급 물질을 미세분말과 조대 분말로 분급하기 위한 제1분급 수단; 분쇄된 공급물질을 기류를 이용하여 분급하기 위한 것으로, 분말 공급 파이프와 분급 챔버; 상기 분말공급 파이프와 소통하기 위해 상기 분급 챔버의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챔버; 분말이 운반용 공기와 함께 도입루버 사이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챔버로부터 상기 분급 챔버로 흐르도록, 상기 가이드 챔버와 상기 분급챔버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도입 루버; 상기 분급 챔버의 기저에 구비된, 중심부가 올라가 있는 경사진 분급 플레이트; 상기 분급 챔버 안으로 운반용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상기 분말을 마세분말과 조대분말로 원심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회전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가 그의 개구를 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분급 챔버의 측벽을 따라 구비된 분급 루버; 상기 분급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그곳으로부터 분급된 미세 분말이 방출되는 방출 개구; 상기 방출 개구에 연결된 미세 분말 방출 슈우트; 및 상기 분급 플레이트의 외주부를 따라서 형성되고 그곳으로부터 분급된 조대 분말이 방출되는 방출 개구로 이루어지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1분급수단; 제1분급수단에서 분급된 조대 분말의 마쇄를 위한 마쇄수단; 마쇄수단에 의해 마쇄된 분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 상기 제1분급수단에 의해 분급된 미세 분말이 코안다 효과에 의하여 적어도 조대 분말부, 중간 분말부 및 미세분말부로 분급되는, 코안다 블록을 가지는 다-분할 분급수단; 및 상기 다-분할 분급수단에 의해 분급된 조대 분말을 상기 연속공급수단으로 피이드 백 시키기 위한 피이드-백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006474A 1989-05-15 1989-05-15 기류분급기, 토너의 제조방법 및 토너의 제조장치 KR93000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474A KR930004694B1 (ko) 1989-05-15 1989-05-15 기류분급기, 토너의 제조방법 및 토너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6474A KR930004694B1 (ko) 1989-05-15 1989-05-15 기류분급기, 토너의 제조방법 및 토너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670A true KR900017670A (ko) 1990-12-19
KR930004694B1 KR930004694B1 (ko) 1993-06-03

Family

ID=1928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474A KR930004694B1 (ko) 1989-05-15 1989-05-15 기류분급기, 토너의 제조방법 및 토너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944B1 (ko) * 2002-04-26 2005-06-10 코리아에프에이산기 주식회사 풍속을 이용한 토너용 폴리에스테르레진 미립자 제조장치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511B1 (ko) * 2009-12-28 2010-04-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트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944B1 (ko) * 2002-04-26 2005-06-10 코리아에프에이산기 주식회사 풍속을 이용한 토너용 폴리에스테르레진 미립자 제조장치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694B1 (ko) 199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6823A (en) Air current classifier, process for preparing toner, and apparatus for preparing toner
US8668091B2 (en) Air classifier
EP0449323A1 (en) Process for producing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apparatus system therefor
KR910004253A (ko) 충돌식 기류 분쇄기 및 분체의 분쇄방법
JP2001232296A (ja) 分級装置及びトナー製造方法
JP2007275712A (ja) 分級機
KR900017670A (ko) 기류분급기. 토너의 제조방법 및 토너의 제조장치
JPS641182B2 (ko)
JP7137378B2 (ja) 気流分級装置
KR970020201A (ko) 이중 분급 기능을 갖는 공기 분급기
JP2003175343A (ja) 分級装置および方法
JPH052986B2 (ko)
JPH0574681U (ja) 多段分級機
JPH0534977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JP3185065B2 (ja) 衝突式気流粉砕装置
JPH051071B2 (ko)
JP3091289B2 (ja) 衝突式気流粉砕装置
JPS63214383A (ja) 分級装置
JPH07185467A (ja) 分級装置
JPH09187733A (ja) 気流式分級装置及びトナー製造方法
JPS6039108Y2 (ja) 粉粒体の分級装置
JPH0578392B2 (ko)
JPS5925516Y2 (ja) 粉粒体の分級装置
JPH03287173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JPH06121940A (ja) 粉粒体分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