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613Y1 -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613Y1
KR900010613Y1 KR2019870021473U KR870021473U KR900010613Y1 KR 900010613 Y1 KR900010613 Y1 KR 900010613Y1 KR 2019870021473 U KR2019870021473 U KR 2019870021473U KR 870021473 U KR870021473 U KR 870021473U KR 900010613 Y1 KR900010613 Y1 KR 900010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oscillator
ultrasonic
oscilla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1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026U (ko
Inventor
유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1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613Y1/ko
Publication of KR8900150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0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06B1/0215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pulses, e.g. bursts of oscillations,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4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with testing, calibrating, safety devices, built-in protection,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제1도는 종래의 초음파 발진기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보호회로가 구성된 초음파 발진기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공급부 2 : 발진부
3 : 구동부 TR1-TR3, TR11 : 트랜지스터
UM : 초음파 진동자 R1-R6, R11 : 저항
C1-C4, C11 : 콘덴서
본 고안은 세탁기등의 기기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진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초음파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음파 진동자에 부하가 인가되지 않게 되는 등의 이유로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발진부의 발진동작을 정지시켜 회로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음파 발진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음파 신호를 출력하는 저항(R1-R4), 콘덴서(C2,C3), 트랜지스터(TR1) 및 트랜스(T1)의 일차코일(T11)로 된 발진부(2)와, 상기 발진부(2)의 출력신호를 초음파 진동자(UM)에 인가하여 초음파를 출력하게 하는 저항(R5,R6), 트랜스(T1)의 이차코일(T12,T13), 트랜지스터(TR2,TR3) 및 콘덴서(C4)로 된 구동부(3)로 구성하였다.
제1도의 도면 설명중 미설명 부호 1은 전원 공급부이고, BAT는 배터리이며, FU는 퓨즈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초음파 발진기는 전원공급부(1)의 배터리(BAT)의 전원이 퓨즈(FU)를 통해 발진부(2)에 공급되면, 발진부(2)는 콘덴서(C2,C3) 및 트랜스(T1)의 일차코일(T11)의 리엑턴스에 따라 발진 즉, 발진부(2)는 콜피츠(Colpitts)발진기로 구성되어 있고, 그 발진 주파수(fO)는 다음의 식과 같다.
그리고, 발진부(2)의 발진신호는 트랜스(T1)의 일차코일(T11)에서 이차코일(T12) (T13)로 유도되고, 이때 이차코일(T12) (T13)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선돠어 발진신호가 반대방향으로 유도되며, 이와같이 이차코일(T12) (T13)로 유도된 발진신호는 저항(R5) (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 (TR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2) (TR3)가 상호간 교대로 온, 오프를 반복하면서 초음파 진동자(UM)가 진동하게 돤다.
즉, 트랜지스터(TR2)가 온될 경우에는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트랜지스터 (TR2)를 통해 콘덴서(C4)에 충전되면서 초음파진동자(UM)로 일정 전류가 흐르게 되고, 트랜지스터(TR3)가 온될 경우에는 콘덴서(C4)에 충전된 전원이 트랜지스터(TR3)를 통해 방전되면서 진동자(UM)에는 상기의 트랜지스터(TR2)가 온될 경우와는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되며, 이와같이 초음파 진동자(UM)로 흐르는 전류가 교번됨에 따라 초음파 진동자(UM)는 진동하여 초음파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초음파 발진기는 초음파 진동자(UM)에 부하가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 즉, 초음파 진동자(UM)를 세탁기의 세탁조에 설치하여 세탁수를 진동시키는 상태에서 세탁수의 배수등으로 인하여 초음파 진동자(UM)의 부하가 감소되면, 초음파 진동자(UM)로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퓨즈(FU)가 단선되기는 하나, 퓨즈(FU)가 단선되기 이전까지는 초음파 진동자(UM)로 과전류가 흘러 초음파 진동자(UM)가 손상됨은 물론 트랜지스터(TR2,TR3)등의 부품이 손상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과전류가 흐르면, 그 과전류가 흐름을 검출하여 발진부의 발진동작을 정지시킴로으서 회로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2도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보호회로가 구성된 초음파 발진기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공급부(1)에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진부(2)의 트랜지스터(TR1)가 온, 오프되어 발진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그 출력된 발진신호에 따라 구동부(3)가 초음파 진동자(UM)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교번시켜 초음파를 발생하게 한 초음파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의 마이너스 전원 출력단자와 상기 발진부(2) 및 구동부(3)의 사이에 저항(R11) 및 콘덴서(C11)를 병렬로 접속함과 아울러 그 양 접속점을 트랜지스터(TR11)의 에미터 및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를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원공급부(1)의 전원이 발진부(2) 및 구동부(3)에 공급되면, 종래와 같이 발진부(2)는 트랜지스터(TR1)가 온, 오프를 반복하면서 콘덴서(C2,C3)의 값 및 트랜스(T1)의 일차코일(T11)의 리액턴스에 따라 발진신호를 발생하고, 그 발진신호는 트랜스(T1)의 이차코일(T12) (T13)로 유도된 후 트랜지스터(TR2) (TR3)가 교대로 온 및 오프를 반복하며, 트랜지스터(TR2) (TR3)의 온 및 오프에 따라 초음파 진동자(UM)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교번되어 초음파 진동자(UM)가 진동하고, 초음파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초음파 진동자(UM)에 부하가 인가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저항(R11)으로 흐르는 전류가 많아 저항(R11)의 양단간의 전압차가 커지게 되고, 그 저항(R11)의 양단간의 전압은 트랜지스터(TR11)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11)에는 충분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11)는 온되고,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원은 트랜지스터(TR11)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저전위가 인가되어 오프되고, 발진부(2)는 발진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진부(2)가 발진동작을 중지함에 따라 트랜지스터(TR2),(TR3)가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초음파 진동자(UM)에 전류의 흐름이 없게 되므로 초음파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때, 콘덴서(C11)의 용량이 충분히 크다면, 그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이 저항(R11)을 통해 방전되는 소정시간까지는 상기 트랜지스터(TR11)가 온상태를 유지하여 발진부(2)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콘덴서(C11)의 충전전압이 방전된 후에는 트랜지스터(TR11)가 오프상태로 되므로 발진부(2)는 다시 발진동작을 수행하게 되지만, 이때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TR11)가 다시 온되어 발진부(3)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과전류가 흐르게 될 때 그를 검출하여 발진부의 발진동작을 중지시키게 되므로 과전류의 흐름을 방지하여 회로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전원공급부(1)에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진부(2)의 트랜지스터(TR1)가 온, 오프되어 발진신호를 출력하고, 그 출력된 발진 신호에 따라 구동부(3)가 초음파 진동자(UM)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교번시켜 초음파를 발생하게 한 초음파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의 마이너스 전원 출력단자와 상기 발진부(2) 및 구동부(3)의 사이에 저항(R11) 및 콘덴서(C11)를 병렬로 접속함과 아울러 그 양 접속점을 트랜지스터(TR11)의 에미터 및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를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2019870021473U 1987-12-05 1987-12-05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900010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473U KR900010613Y1 (ko) 1987-12-05 1987-12-05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1473U KR900010613Y1 (ko) 1987-12-05 1987-12-05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026U KR890015026U (ko) 1989-08-11
KR900010613Y1 true KR900010613Y1 (ko) 1990-11-23

Family

ID=1927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1473U KR900010613Y1 (ko) 1987-12-05 1987-12-05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6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026U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03943B2 (ja) 非接触電力供給装置
US4992702A (en) Inverter capable of controlling operating frequency
KR910005969B1 (ko) 구동 신호 발생 장치
US4431975A (en) Oscillator circuit for ultrasonic cleaning
JP3500815B2 (ja) 放電灯点灯装置
US4429356A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EP0806076B1 (en) Power-supply circuit
KR900010613Y1 (ko) 초음파 발진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940009873B1 (ko) 인버어터
JPH0221230B2 (ko)
JP3034734B2 (ja) 振動型圧縮機の電源装置
JP2828388B2 (ja) 振動型圧縮機の電源装置
JP3268672B2 (ja) インバータ駆動回路
JPS63178777A (ja) 振動子用電源
EP0058035A1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EP0388492B1 (en) Inverter capable of controlling operating frequency
JP2000012257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
JP4496330B2 (ja) 超音波発振回路
JP2582853B2 (ja) 振動子用電源
JPS601837B2 (ja) 電圧スイツチング形d級発振装置
JPH0714385U (ja) 電流検出装置の起動装置
JPS59103574A (ja) 自励式コンバ−タ電源装置
JPS6122342Y2 (ko)
JPH048115B2 (ko)
JPS6021658Y2 (ja) 複数火花点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