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225Y1 - 분배기 연료분사펌프의 속도변동을 개선장치 - Google Patents

분배기 연료분사펌프의 속도변동을 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225Y1
KR900010225Y1 KR2019880011603U KR880011603U KR900010225Y1 KR 900010225 Y1 KR900010225 Y1 KR 900010225Y1 KR 2019880011603 U KR2019880011603 U KR 2019880011603U KR 880011603 U KR880011603 U KR 880011603U KR 900010225 Y1 KR900010225 Y1 KR 900010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governor
injection pump
fuel injectio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087U (ko
Inventor
김세영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1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225Y1/ko
Publication of KR900003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2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02D1/04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by mechanical means dependent on engine speed, e.g. using centrifugal govern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16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 F02M41/08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 F02M41/1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 F02M41/12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the pistons rotating to act as the distribu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배기 연료분사펌프의 속도변동을 개선장치
제1도는 분배형 연료분사폄프의 단면도.
제2도는 연료분사량 조정 상태도.
제3도는 회전수 조정 작동 상태도.
제4도는 종래의 설치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설치상태도.
제6도는 종래와 본 고안에 의한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캠플레이트 2 : 프라이웨이트
3 : 콘트롤 슬리브 4 : 플런저
5 : 조속기 스프링 6 : 힌지축
7 : 인장시동레버 8 : 구동축
9 : 조속기 기어 10 : 텐션레버
11 : 연결구멍
본 고안은 분배기 연료 분사폄프가 설치된 디젤엔진의 속도 변동율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조속기의 속도 변동을 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분배기 분사펌프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 1, 2,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분사펌프 구동축(8)의 회전에 의해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끌어올려 분배기 펌프내에 내장된 연료가 플런저실(41)에 유입되며 펌프 구동축(8)와 연계 동작되는 캠 플레이트(1)의 곡면에 의해 플런저(4)가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플런저실(41)에 유입된 연료를 고압으로 압축시켜, 플런저의 출구를 통해 엔진의 각 실린더로 고압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엔진의 속도 조정은 구동축의 기어(81)와 맞물려 있는 조속기 기어(9)의회전에 의해 플라이웨이트(2)에 원심력이 발생, 이 원심력과 조속기 스프링(5)과의 평형관계로 콘트롤 슬리브(3)의 위치가 정해져 엔진의 회전수에 적정한 연료량이 각 실린더에 공급되게 된다.
이때 각 실린더에 분배되는 연료량은 플런저(4)와 함께 구동되는 콘트롤 슬리브(3)의 행정에 의해 결정된다.
이 슬리브의 유효행정이 감소(슬리브가 왼쪽으로 움직임)하면 분사량이 감쇠되고, 역으로 유행행정이 증가(슬리브가 오른쪽으로 움직임)하면 분사량이 증가하게 된다.
조속기의 이러한 일반적인 기능중에서 속도 변동율(SPEED DROOP)이란 조속기 작동의 정상 및 비정상여부를 판단하는 척도이며, 이값이 작은 것일수록 민감한 조속기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진이 전부하 최고속도로 운전되고 있을때, 어떤 이유로 엔진의 부하가 감소되면 엔진의 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조속기는 이를 방지하기 우해 연료의 분사량이 감소되도록 작동되나 어느정도는 속도가 증가한다.
이 전부하 최고속도와 무부하 최고속도와의 차가 작은 것이수록 좋은 것이 된다.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속도 변동율이라 하며,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속도 변동율(SPEED DROOP)
여기서 Nmax = 무부하최고회전수 NR= 정적회전수이다.
종래의 분배기 연료분사펌프 조속기의 무부하 최고 회전수 조정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엔진속도가 최대 정격회전수보다 증가하면 플라이 웨이트(2) 원심력이 텐션레버(10)를 당기고 있는 조속기 스프링(5)의 인장력을 극복할때까지 증가한다.
이로인해 인장시동레버(7)가 힌지축(6)축에 대해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콘트롤 슬리브(3)를 왼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결과적으로 플린저의 컷 오프 포트(42)가 펌프하우징(100)과 연결되어 하우징내로 연료가 배출되므로서 실린더내로 분사되는 연료량이 줄어 엔진속도의 더 이상 증가를 막는다.
즉, 도면 제4도와 같이 종래의 조속기 기능은 플라이 웨이트(2)의 원심력 "FG" 와 조속기 스프링 장력 "FC" 와의 평형관계로 속도 조정이 가능하며, 이 조속기 스프링(5)의 인장력 보다 큰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면 이로인해 텐션레버(10)가 힌지축(6)에 대해 오른쪽 "A"방향으로 회전하고, 콘트롤 슬리브(13)는 왼쪽 "B"방향으로 움직여, 엔진속도의 더 이상 증가를 막게된다.
플라이 웨이트의 원심력은 오직 수평방향으로만 작용하고 조속기 스프링력도 수평방향의 힘만이 작용되므로 종래의 조속기 기능으로 만족될만한 속도 변동을 얻기가 어려운 폐단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분배기 연료분사펌프 조속기 기능을 원활히 하기 위해 텐션레버에 별도의 조속기 설치용 연결구멍을 설치하여 속도 변동율을 자유롭게 조정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속기 기어의 회전에 따른 플라이 웨이트(2)의 원심력에 대응토록 텐션레버(1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조속기 스프링(5)의 말단부 설치용 연결구멍(11)을 복수개 형성하여 상기 조속기 스프링의 장력을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축(8)의 회전으로 인하여 구동축 기어(81)와 치합된 조속기 기어(9)가 함께 회전하여 조속기 기어의 후방 일측상에 케이스(21)내에 위치한 플라이 웨이트(2)가 조속기 기어의 회전원심력에 의해 제3도와 같이 플라이 웨이트(2)가 벌려지면서, 플라이 웨이트(2)의 내부홈(22)에 삽입되었던 밀대(23)의 돌기(24) 후방을 홈의 단부(25)가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어 밀대는 전방으로 밀려 나면서 인장 시동 레버(7)와 텐션레버(10)를 후방으로 밀어 주게 되는데, 이때 엔진속도의 고저에 따라 플라이 웨이트(2)의 벌어짐 각도가 가변되며, 그에 따라 밀대(23)의 돌출 또한 변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 밀려난 밀대(23)의 밀림 하중으로 인하여, 인장시동레버(7)와 텐션레버(10)를 후방으로 밀게 되는데, 텐션레버(10)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조속기 스프링(5)을 설치할 연결구멍(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실린더내로 분사되는 연료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제5도와 같이 조속기 스프링(5)을 "가"의 위치에 장착시켰을 경우에는, FC=FGCOSθ의 관계식이 성립된다.
여기에서 FC는 플라이 웨이트의 원심력, FG는 조속기 스프링의 장력이다.
이와 같이 텐션레버(10)의 연결구멍(11)에 "가"와 같이 조속기 스프링(5)을 연결하게 되면, 텐션레버(10)에 작용하는 스프링 장력 FG값은 "COSθ"값만큼 감소하게 되어, 인장시동 레버(7)는 힌지축(6)을 중심으로 해서 "A"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말단부에 연결된 콘트롤 슬리브(3)를 좌측 "B"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텐션레버(10)에 걸려 있는 조속기 스프링(5)의 장력이 약하게 작용하므로 밀대(23)가 인장시동레버(7)를 조속기 스프링(5)의 약화된 장력 만큼 강하게 밀게 되어 그만큼의 각도만큼 "A"방향으로 더 밀리게 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장시동레버(7)의 상단부 "A"방향으로 밀려 선회함에 따라 힌지축(6)을 중심으로 해서 인장시동레버(7)는 "C"방향으로 선회하는데, 상기 조속기 스프링이 약화된 장력 만큼 더 밀린 인장 시동레버(7)의 각도에 비례하여 콘트롤 슬리브(3)를 "B"방향으로 밀게 되어, 플런저(4)의 컷 오프 포트(42)의 개방폭이 많아지게 되어 압축되었던 연료가 펌프 하우징(100)내로 배출되게 되므로 연료 압축력이 약화되면서 실린더내로 분사되는 연료량이 감소되어 엔진 속도가 감소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조속기 스프링(5)을 "나"의 위치에 장착시키게 되면 FC=FG의 관계식이 성립되므로 전에 설명한 "가"의 위치 즉 FC=FGCOSθ값보다 FC값이 커지게 되므로 인장 시동 레버(7)의 선회 각도가 작아지게 되면서 그에 따라 콘트롤 슬리브(3)의 수평 이송량 즉, 행정 또한 적어지게 되어 플런저(4)의 컷 오프 포트(42)가 콘트롤 슬리브(3)의 내면에 막히게 되므로 플런저실(41)내에서 연료압축력이 커지게 되어 연료의 분사량이 많아지게 되어 엔진의 속도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텐센레버에 설치되는 조속기 스프링의 위치에 따라 엔진의 속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어 분배기 분사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매우 실용성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연료분사펌프의 구동축 회전으로 흡입된 연료를 구동축과 연계 동작할 캠 플레이트에 의해 플런저로서 압축 평행시켜 각 실린더내로 분사시키는 분배기 연료 분사펌프 조속기에 있어서, 텐센레버(10)의 일측면에는 조속기 스프링(5)의 장력을 가변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연결구멍(11)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의 속도 변동율 개선장치.
KR2019880011603U 1988-07-16 1988-07-16 분배기 연료분사펌프의 속도변동을 개선장치 KR900010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603U KR900010225Y1 (ko) 1988-07-16 1988-07-16 분배기 연료분사펌프의 속도변동을 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603U KR900010225Y1 (ko) 1988-07-16 1988-07-16 분배기 연료분사펌프의 속도변동을 개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87U KR900003087U (ko) 1990-02-07
KR900010225Y1 true KR900010225Y1 (ko) 1990-11-05

Family

ID=1927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603U KR900010225Y1 (ko) 1988-07-16 1988-07-16 분배기 연료분사펌프의 속도변동을 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2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87U (ko) 199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9071A (en) Fuel injection pump for diesel engines
US4703730A (en) Controlling device for a fuel-quantity adjusting member of a fuel injection pump
US4402290A (en) Fuel injection pump
JPH02191825A (ja) 内燃機関用の燃料噴射ポンプ
US4430974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900010225Y1 (ko) 분배기 연료분사펌프의 속도변동을 개선장치
JP2525363B2 (ja) エンジンのための燃料噴射ポンプ
US4253438A (en) RPM Regulator for fuel injection pumps with an adaptation of the injection quantity
US3973542A (en) Liquid fuel injection pumping apparatus
US5220894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1200027A (ja) 燃料噴射ポンプの調速機
US3991732A (en) Fuel injection timing control
JPS59200059A (ja) 燃料噴射ポンプの噴射率制御装置
JPH0143507Y2 (ko)
JPS6327090Y2 (ko)
US4474156A (en) Governor mechanism for a fuel pumping apparatus
JP2936566B2 (ja) 燃料噴射装置
JPS5936666Y2 (ja) 燃料噴射ポンプのガバナ
KR950008335Y1 (ko) 디젤엔진용 분배형 분사펌프의 토크조절장치
JP2513633B2 (ja) 燃料噴射ポンプのための調速機
JPS6023470Y2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KR890002533A (ko)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펌프
KR960002023Y1 (ko) 디젤엔진용 연료분사펌프의 분사량 조절장치
JPS6338362Y2 (ko)
JPS62123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