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981Y1 - 버클 조립체 - Google Patents

버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981Y1
KR900009981Y1 KR2019880016491U KR880016491U KR900009981Y1 KR 900009981 Y1 KR900009981 Y1 KR 900009981Y1 KR 2019880016491 U KR2019880016491 U KR 2019880016491U KR 880016491 U KR880016491 U KR 880016491U KR 900009981 Y1 KR900009981 Y1 KR 900009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assembly
guide
belt
support plate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302U (ko
Inventor
가즈미 가사이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8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00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e.g., hook type]
    • Y10T24/45079Belt, strap, harnes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45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 Y10T24/4558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forming total external surface of projection having inserted end formed by oppositely biased surface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slidably connected, nonself-biasing interlocking component
    • Y10T24/45743Requiring manual force thereon to interlock or disengag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클 조립체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조립체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버클 조립체 보유 기부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버클 조립체 삽입부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VII-VII선 단면도.
제8도는 버클 조립체 수용부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IX-IX선 단면도.
제10도는 이 고안에 따른 변경 버클 조립체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 단면도.
제1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다른 변경 형태의 버클조립체의 평면도 및 제13도는 제12도의 XIII-XIII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유 기부 2 : 삽입부
3 : 수용부 5, 27 : 연결 바아
6, 34 : 측판 7 : 지지판
8 : 안내바아 9, 22, 35 : 슬릿(slit)
10 : 구멍 11 : 안내홈
12 : 정지부 14 : 보유부위
15 : 요홈부위 16 : 어깨부
17 : 돌출부 19 : 머리부위
20 : 잠금다리 21 : 융기부
24 : 잠금발 26 : 결합부위
29 : 잠금돌출부 30 : 직립단위
33 : 리브 38 : 잠금연부
41 : 안내슬롯 42 : 안내핀
43 : 정지융기부 44 : 안내돌기
이 고안은 일반적으로, 헬멧, 구명대 및 배낭과 같은 여러 물품들에 벨트를 풀을 수 있게 연결하는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3개의 띠 끝부위들을 연결하기 위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3개의 구조 부품들로 구성된 버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설명된 종류의 전형적인 버클 조립체가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소 제62-247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버클 조립체는 3개의 구조 부품들, 즉 제1벨트에 부착되고 횡방향 구멍이 있는 부유 부재, 제2벨트에 부착되고 위로 튀어나온 C형 잠금 돌출부가 있는 수용부, 및 제3벨트에 부착된 평탄한 삽입부로 구성된다. 버클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해서 수용부의 C형 잠금 돌출부가 기부의 구멍 안으로 끼워지고 나서, 삽입부가 C형 잠금 돌출부의 개구부 안으로 밀어 넣어져 기부와 수용부를 결합시키므로서 제1벨트를 제3벨트와 연결시킨다.
그러나, 기부와 삽입부가 구조상 서로 떨어져 있고, 삽입부가 C형 잠금 돌출부에 끼워질때 위치 조정이 잘되지 않아서 버클 조립체를 결합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점에서 알려진 버클 조립체는 좋지 못하다. 다른 결점은 삽입부가 평탄하고 C형 잠금 돌출부에 억지 끼움될 뿐이라는데 있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삽입부가 수용부에서 멀리 당겨질때 잠금돌출부에서 분리되는 경우도 있다. 그결과, 기부와 수용부 사이가 견고히 상호잠금 결합되기가 어렵다.
상기 결점들을 감안하여, 가장 손쉽게 빠른 시간에 서로 조립될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우연히 분리되지 않게 끔 견고히 보유될 수 있는 보유기부, 수용부 및 삽입부를 포함하는 버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이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 고안에 따라 3개의 벨트들을 풀을 수 있게 연결하는 버클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이 버클 조립체는 제1벨트에 부착되기 위한 보유기부, 제2벨트에 부착되기 위한 삽입부, 및 제3벨트에 부착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한다. 보유 기부에는 구멍이 있어, 보유 기부와 수용부를 연결하기 위해 대략 C형 직립 잠금 돌출부가 그 구멍 안으로 수용된다. 삽입부는 보유기부상에 미끄럼 장착하고, C형 잠금 돌출부와 딸깍하며 결합될 수 있는 1쌍의 탄력 다리들을 갖고 있다. 삽입부는, 탄력 다리들이 잠금 돌출부를 구멍 안팎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멍에서 철회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탄력 다리들이 잠금 돌출부들과 딸깍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므로서 보유 기부와 수용부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보유 기부상에 미끄럼 장착된 삽입부는 위치 조정하는데 힘이 들거나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수용부의 잠금 돌출부와 손쉽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돌출부에 딸깍 끼움된 탄력 다리들은, 보유 기부와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우연히 분리되지 않게끔 견고히 파지되도록 해준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고안의 어떤 바람칙한 구조적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전 도면에 걸쳐 같은 부품들은 같은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제1,2도에 보이듯이, 이 고안을 실현하는 버클 조립체는 3개의 구조 부품들, 측 보유 기부(1), 이 기부(1)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삽입부(2), 및 이 삽입부(2)에 의해 보유 기부(1)에 연결된 수용부(3)로 구성된다. 보유 기부(1)와 삽입부(2)와 수용부(3)는 합성수지로 주조된다.
제3-5도에 보이듯이, 보유 기부(1)는 대략 장방형 형태이고, 횡방향 연결 바아(5)의 양끝에서 수직하게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는 1쌍의 평행 이격된 종 방향 측판들(6,6) 및 연결 바아(5)에서 멀리있는 측판들(6,6)의 전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안내 바아(8)를 포함하고 있다. 보유 기부(1)는 또한 중앙 지지판(7)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지지판(7)은 측판들(6,6)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뻗어 있고 연결 바아(5)와 안내 바아(8) 사이에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면 연결 바아(5)와 지지판(7)사이 및 지지판(7)과 안내 바아(8) 사이 각자에 횡방향 슬릿(9)과 횡방향 구멍(10)이 형성된다. 슬릿(9)은 제1벨트(B1)(제2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됨)가 통과하도록 제공되며, 반면 구멍(10)은 수용부(3)의 대략 C형 잠금 돌출부(후술됨)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측판들(6)은 지지판(7)과 안내 바아(8) 및 연결 바아(5)에서 위로 돌출하여 있고, 각자 마주보는 내측면들에 뻗어 있는 1쌍의 종방향 안내홈들(11,11)을 포함한다. 이 안내홈들(11)각자는 수평 윗벽(11a), 수직 측벽(11b) 및 수평 밑벽(11c)이 협동하므로써 그들사이에 형성된다. 안내홈들(11)은 연결 바아(5)의 후연부와 안내 바아(8)에 인접한 지지판(7)의 전연부 사이에서 각 측판(6)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어, 그 안에 삽입부(2)의 머리 부위(후술됨)를 미끄럼 수용한다. 측판들(6)각자에는 그 측판(6)의 후단부에서 내측으로 튀어나온 대략 L형의 일체 정지부(12)가 있다. 이 L형 정지부(12)는 안내홈(11)위에 배치되고, 대향 측판(6)의 기부부위(12a)를 향하여 측판(6)에서 내측으로 튀어나온 기부 부위(12a)와, 측판(6)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측판(6)의 전단부를 향하여 기부 부위(12a)의 안쪽 끝에서 뻗어 있는 아암(12b)을 포함하고 있다. 기부 부위(12a)는 연결 바아(5) 위에 배치되고, 아암(12b)은 지지판(7)의 후연부와 거의 같은 높이로 놓여 있는 전단부면에서 끝나있다. 측판(6)은 내면(13a)이 안내 홈(11)의 수직 측벽(11b)과 꼭 맞게 뻗어 있는 얇은 전단부 부위(13)를 포함하고 있어, 삽입부(2)의 머리 부위가 안내홈들(11)에 용이하게 수용되게 한다. 전단부 부위(13)는 지지판(7)의 전연부와 안내 바아(8)의 후연부 사이에서 뻗어 있는 계단식 보유 부위(14)를 제공하도록 아래쪽에 절단되어 있다.
이 보유 부위(14)는 안내 바아(8)의 밑면과 같은 높이로 놓인다. 이와 같이 계단식 보유 부위(14)가 제공되면, 전단부 부위(13)는 연결 바아(5)와 지지판(7)이 연결되는 각 측판들(6)의 나머지 부분보다 높이가 더 작다.
지지판(7)은 측판들(6)의 안내홈들(11)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그 길이는 삽입부(2)의 길이보다 약간 더 작다.
지지판(7)의 윗면에는, 후연부에서 부터 지지판(7)의 전연부를 향하여 뻗어나가 수직 어깨부(16)에서 끝나는 요홈 부위(15)가 있으며, 그 수직 어깨부는 지지판(7)의 전폭에 걸쳐 횡 방향으로 뻗어 있다. 요홈 부위(15)의 깊이가 제2벨트(B2)(제2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의 두께보다 더 크게되어 있어서, 제2벨트(B2)는 삽입부(2)에 고정될때 요홈 부위(15)에 느슨하게 수용된다. 수직 어깨부(16)는 지지판(7)의 후연부보다 전연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삽입부(2)가 안내 바아(8)쪽으로 밀어 넣어져 미끄러질때 삽입부(2)가 안내 바아(8)의 전연부를 지나 전방으로 돌출하지 못하도록 제2벨트(B2)와 닿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함몰된 지지판(7)은 안내홈들(11)의 아래 수평면들(11C)과 거의 같은 높이로 뻗어 있는 윗면(7a)을 갖고 있다. 함몰부의 윗면(15a)은 안내홈들(11) 밑의 평면에 놓인다. 지지판(7)은 1상의 돌출부들(17,17)을 포함하는데, 이 돌출부들은 측판(7)의 전연부와 후연부에서 아래로 튀어나와 있어 이들 사이에 공간 또는 요홈부를 형성하며, 삽입부(2)가 안내홈(11)을 따라 이동될 때 그 요홈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용된다.
안내 바아(8)에는, 지지판(7)의 윗면(7a)과 같은 높이로 뻗어 있는 윗면(8a)과, 각 측판(6)의 노치된 전단부 부위(13) 아래면(13b)과 같은 높이로 뻗어 있는 아래면(8b)이 있다. 안내 바아(8)는, 삽입부(2)가 안내홈들(11)안으로 끼워질때 그 삽입부(2)를 안내하도록 측판들(6)의 전연부들에서 전방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다.
보유 기부(1)는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벨트 끝을 연결 바아(5)의 아래쪽에서 부터 그 연결 바아 둘레에 고리 모양으로 감고 난 다음 그 벨트 끝을 제1벨트(B1)의 웨브에 재봉하므로서 제1벨트(B1)이 고정된다.
제6,7도에 보이듯이, 삽입부(2)는 대략 장방형 머리 부위(19)와 머리부위(19)에서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는 1쌍의 평행 이격된 탄력 잠금 다리들(20,20)을 포함하고 있다. 삽입부(2)의 길이는 지지판(7)의 전연부와 연결바아(5)의 후연부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다.
머리 부위(19)의 폭은 그 머리 부위(19)가 안내홈들(11)에 안내될 수 있게 수용될 수 있도록 그 안내홈들(11)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거나 그 보다 약간 더 작다. 머리 부위(19)는, 그 윗면에서 튀어나와 있고 보유기부(1)의 정지부들(12)과 닿을 수 있는 횡방향 접촉 융기부(21)를 포함하고 있다.
머리 부위(19)에는 또한 제2벨트(B2)(제2도에 가상선으로 표시됨)가 통과하기 위한 횡방향 슬릿(22)이 있으며, 이 슬릿(22)은 접촉 융기부(21)와 나란히 뻗어 있다. 슬릿(22)은, 접촉 융기부(21)가 정지부들(12,12)과 닿을때 그 슬릿(22)이 보유 기부(1)의 슬릿(9)과 수직 정렬되게끔 파지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탄력 다리들(20)은 장방형 머리부위(19)의 일측 연부에서 수직하게 뻗으며, 그리하여 삽입부(2)가 보유기부(1)상에 장착될때 보유기부(1)의 측판들(6)에 평행하게 뻗는다. 탄력 다리들(20)의 길이는 융기부(21)가 정지부들(12)과 접촉하였을때 다리들(20)이 지지판(7)의 전연부 너머 앞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탄력 다리들(20)에는 맨아래 단부들 근처에 한쌍의 대향 궁형 요홈부들(23,23)이 있으므로 탄력 다리들(20)은 서로를 항하여 안쪽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각각의 탄력 다리들(20)은 다리들(20)이 수용부(3)의 후술되는 C-형 잠금 돌출부와 찰칵하고 잠그어 질때 이 잠금 돌출부와 잠금 결합하도록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확대 잠금 발들(24)로 끝난다.
상기 구조물의 삽입부(2)은 머리부위(19)를 보유기부(1)의 전단부 부위들(13)로 부터 안내홈들(11)내로 삽입하여 보유기부(1)와 결합된다. 이렇게 조립된 삽입부(2)는 안내홈들(11)을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보유기부(1)에 대한 삽입부(2)의 후방운동은 융기부(21)가 각각의 정지부들(12)의 아암들(12b)과 맞물릴때 제한된다.
제2벨트(B2)가 삽입부(2)에 고정될때 삽입부(2)는 부위(19)가 보유기부(1)내의 슬릿(9)의 전방으로 배치될때 까지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 다음에 제2벨트(B2)의 자유단부가 연결바아(5)의 앞쪽으로 부터 슬릿(9)으로 통과 된다.
삽입부(2)는 융기부(21)가 정지부들(12)과 맞닿을때 까지 후방으로 움직이며, 이경우 머리부위(19)내의 슬릿(22)은 보유기부(1)내의 슬릿(9)의 바로위에 배치된다. 벨트 자유단부는 삽입부(2)내의 슬릿(22)을 통하여 위쪽으로 통과되며 그 다음 융기부(21)로 부터 후방으로 멀어지게 굽혀져서 머리부위(19)의 후부둘레에 고리 모양으로 감기게 된다. 고리로된 또는 겹쳐진 벨트단부는 뀀매져서 제2벨트(B2)는 삽입부(2)에 고정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용부(3)는 보유기부(1)와 동일크기의 일반적으로 장방향이며 보유기부(1)의 계단식 보유부위(14)와 결합할 수 있는 얇은 결합부위(26)와 제3벨트(B3)(제2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됨)에 부착하기 위한 두꺼운 연결부위(28)를 포함한다. 얇은 결합부위(26)는 보유기부(1)의 구멍(10)내에 느슨하게 수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C-형 잠금 돌출부(29)를 포함한다. C-형 잠금 돌출부(29)는 결합 부위(26)의 전단부에서 부터 위쪽으로 돌출한 한쌍의 평행 이격된 직립다리들(30,30)과 직립다리들(30,30)의 상단부들을 연결하는 횡방향 머리 부위(31)를 포함하며, 그리하여 이 직립다리들과 머리부위 사이에 접속부(2)의 후단부에서 부터 위로 뻗어있는 직립 횡방향 리브(33), 횡방향 리브(33)의 대향 단부들로 부터 수직하게 후방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측판들(34,34), 그리고 측판들(34,34)의 후단부들을 연결하는 횡방향 연결바아(27)를 포함한다. 횡방향 리브(33)와 연결바아(27) 사이에는 제3벨트(B3) 통로용의 슬릿(35)이 한정된다. C-형 잠금 돌출부(29)는 안내바아(8)의 폭보다 조금 큰 거리로 횡방향 리브(33)에서 부터 이격된다.
수용부(3)는 연결바아(27)의 밑쪽으로 부터 연결바아(27)의 둘레에 벨트(B3)의 자유단부를 고리로 만들어서 제3벨트(B3)에 부착된다. 고리로 된 벨트단부는 제2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벨트(B3)의 웨브에 뀀매어진다.
삽입부(2)로 보유기부(1)와 수영부(3)를 결합하기 위해, 삽입부(2)의 융기부(21)가 보유기부(1)의 정지 부들(12)과 결합하여 구멍(10)을 개방할때 까지 삽입부(2)는 후방으로 움직인다.
그 다음에 수용부(3)의 결합부위(26)가 안내바아(8)의 밑면(8b)에 대하여 그리고 측판들(6)의 전단부 부위들(13)의 밑면들(13b)에 대하여 평평하게 맞물림때까지 잠금 돌출부(29)는 보유기부(1)의 밑에서 부터 구멍(10)내로 삽입된다. 그 이후에 융기부(21)는 사용자의 집계 손가락에 의해 힘이 가해져 삽입부(2)가 안내홈들(11)을 따라 전방으로 움직이고 그 동안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은 보유기부(1)상의 돌출부들(17)사이에 수용된다. 삽입부(2)의 전방 운동은 잠금 발들(24)이 잠금 돌출부(29)의 각각의 직립 다리들(30,30)과 맞물릴때까지 탄력다리들(20)을 수용부(3)상의 C-형 잠금 돌출부(29)내의 구멍(32)안으로 밀고 들어가게 한다. 잠금 돌출부(29)와의 탄력다리들(20)의 이 스냅 끼워맞춤으로 보유기부(1)는 우연히 탈착하지 못하도록 수용부(3)와 단단히 연결된다.
삽입부(2)는 보유기부(1)상에 미끄러지게 장차고디므로 보유기부(1)와 수용부(3)의 연결은 삽입부(2)를 안내홈들(11)을 따라 수용부(3)를 향해 변위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구조물의 버클(buckle)조립체는 극히 용히하면서도 빠르게 조립될 수 있다. 더우기 탄력다리들(20)상의 잠금발들(24)은 C-형 잠금 돌출부(29)의 잠금 다리들(30)과 걸리게 되어 보유기부(1)와 수용부(3)가 우연히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결합관계로 보유된다.
보유기부(1)가 수용부(3)로 부터 탈착되었을때 제2벨트(B2)는 당겨져서 삽입부(2)를 정지부들(12)을 향해 후방으로 움직이게 한다. 삽입부(2)의 이 강제 후방운동으로 잠금발들(24)은 잠금 돌출부(29)와의 맞물림 관게로 부터 해제된다.
삽입부(2)의 후방운동은 융기부(21)가 각각의 정지부들(12)의 아암들(12b)상에 부딪힐때 제한된다. 이렇게 제공된 정지부들(12)에 보유기부(1)가 수용부(3)들로 부터 연결이 풀려질때 삽입부(2)가 보유기부(1)에서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L-형 정지부들(12)은 서로에 대하여 안쪽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융기부(21)가 정지부들(12)과 부딪힐때 충력력을 흡수한다.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변형된 버클 조립체는 상기 실시예의 버클 조립체와 유사하며 다만 제1벨트(B1)의 단부 부위를 해제 가능하게 붙잡도록 보유기부(1A)가 횡방향 연결바아(5b)와 지지판(7)사이에 배치된 횡방향 크로스바아(5a)를 포함하는 점이 다르다. 크로스바아(5a)에는 이가있는 한쌍의 잠금 연부들(38,38)이 있고 하나의 연부는 지지판(7)을 향해 돌출하며 다른 잠금 연부(38)는 벨트 단부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정위치에 단단히 보유하기 위해 지지판(7)을 향해 돌출한 연부와 대향하여 돌출한다. 연결바아(5b)에는 크로스바아(5a)둘레에 고리모양으로 감겨진 벨트단부 부위와 아래로 대면하며 마찰 결합하는 톱니모양 잠금연부(39)가 있어서 고리로된 벨트단부 부위를 변위되지 못하게 정위치에 보유한다.
보유기부(1A)의 지지판(7)은 삽입부(2A)와 같은 길이이며 안에는 제2벨트(B2) 통로용의 종방향 중앙 기구부(40), 중앙개구부(40)를 따라 뻗어있고 중앙 개구부(40)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종방향 안내슬롯들(41,4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A)는 삽입부(2A)의 머리부위(19)로 부터 아래로 돌출한 한쌍의 안내핀들(42,42)을 포함한다. 안내핀들(42)은 각각 안내 슬롯들(41)내에 미끄러지도록 보유되며, 삽입부(2A)가 보유기부(1)에 대하여 측면 변위 또는 흔들림 없이 안내홈들(11)을 따라 미끄럼 운동하도록 보장한다.
보유기부(1A)는 지지판(7)의 후연부를 따라 횡으로 뻗어 있는 수직 정지 융기부(43)를 더 포함한다. 정지융기부(43)는 상면과 하면이 움푹 패어있으며 이 요홈부위들은 중앙 개구부(40)와 일직선으로 배치되고 사실상 제2벨트(B2)와 동일폭을 가진다. 삽입부(2A)의 후단부와 보유기부(1A)의 정지 융기부(43)의 둘레에 잇따라 고리모양으로 감겨진 뒤의 제2벨트(B2)의 자유단부 부위가 정지유기부(43)와 삽입부(2A)의 머리부위(19)상이에 위치한 부위들에서 제2벨트(B2)의 웨브에 궤매져서 보유기부(1A)와 수용부(3A)를 결합하고 풀기위해 삽입부(2A)의 요구되는 미끄럼 운동을 허용하는 반면 보유기부(1A)로 부터의 삽입부(2A)의 완전한 분리를 방지하는 식으로 제2벨트(B2)는 삽입부(2A)와 보유기부(1A)의 양쪽으로 고정된다.
보유기부(1A)에는 정지 융기부(43)와 지지판(7)의 중간부위 사이에 종으로 뻗어있는 대향 안내홈들(11,11)이 있어서 보유기부(1A)와 수용부(2A)가 삽입부(2A)에 의해 함께 결합될때 삽입부(2A)의 머리부위(19)의 후단부 부분만이 안내홈들(11)에 수용된다.
수용부(3A)는 수용부(3A)의 잠금 돌출부(29)가 보유기부(1A)내의 구멍(10)내에 수용될때 보유기부(1A)와 수용부(3A)를 미리 조립된 상태로 붙잡도록, C-형 잠금 돌출부(29)의 각각의 직립다리들(30)의 외면과 일체로 되고 외면상에 배치되며 구멍(10)의 주변연부와 그리고 측판들(6)의 한쌍의 전단부 부위들(13)의 대향 내면과 마찰 결합하는 한쌍의 안내돌기들(44,44)을 포함한다.
제12도와 제13도는 본 고안에 따라 버클 조립체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다. 변형된 버클 조립체는 보유기부(1B)에 측판들(6)의 전단부 부위들(13)의 위쪽에 형성된 추가 계단식 보유부위(14)가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버클 조립체와 사실상 동일하다. 이 보유부위(14)로 인해 수용부(2A)의 C-형 잠금 돌출부(29)는 보유기부(1B)의 위쪽에서 부터 보유기부(1B)내의 구멍(10)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Claims (15)

  1. (a) 제1벨트(B1)에 부착되고, 구멍(10)을 갖는 보유기부(1;1A;1B) ; (b) 제2벨트(B2)에 부착되고, 상기 보유기부(1;1A;1B)상에 미끄럼 장착되어 있으며, 1쌍의 탄성다리들(20,20)을 갖고 있고, 그 탄성 다리들(20)이 상기 구멍(10)에서 쑥들어가 있는 제1위치와 그 탄성 다리들(20)이 상기 구멍(10)을 가로질러 돌출해있는 제2위치 사이를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삽입부(2;2A); 및 (c) 제3벨트(B3)에 부착되고, 상기 삽입부(2;2A)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 상기 보유기부(1;1A;1B)의 구멍(10)에 들어갈 수 있는 대략 C형의 직립 잠금 돌출부(29)를 갖는 수용부(3;3A)로서, 그 C형 잠금 돌출부(29)는 상기 삽입부(2;2A)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때 상기 보유기부(1;1A;2B)와 수용부(3;3A)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탄성 다리들(20)과 스냅식으로 맞물릴 수 있게 되어있는 상기 수용부(3;3A) ; 로 구성되어, 상기 3개의 벨트들(B1-B3)을 뗄수 있게 연결하는 버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부(1;1A;1B)에는 한쪽끝이 가로 안내 바아(8)로 연결된 1쌍의 평행 이격된 측판들(6,6)과, 상기 측판들(6)사이로 뻗어있고 상기 안내 바아(8)에서 떨어져서 그 사이에 상기 구멍(10)을 형성하는 지지판(7)이 있고, 상기 측판들(6,6)에는 1쌍의 대향 종방향 안내홈들(11,11)이 각각 있으며, 상기 삽입부(2;2A)에는 머리부위(19)가 있고, 그 머리부위(19)로부터 상기 탄성 다리들(20)이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머리부위(19)는 상기 안내홈들(11)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버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7)의 윗면(7a)은 상기 안내 바아(8)의 윗면(8a)과 같은 높이로 뻗어있고, 상기 안내홈들(11)은 상기 지지판(7)의 윗면(7a)과 상기 안내바아(8)의 윗면(8a) 바로위의 평면상에 뻗어있는 버클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바아(8)가 상기측판들(6)의 상기 한족 끝에서 바깥쪽으로 튀어나와있는 버클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7)의 윗면에는 그 중간부위로부터 상기 안내바아(8)의 반대촉으로 제2벨트(B2)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요홈 부위(15)가 뻗어있고, 그 요홈부위(15)에는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쪽으로 상기 삽입부(2)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제2벨트(B2)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안내 바아(8)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수직 어깨부(16)가 있는 버클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들(6)의 전단부들(13)은 상기 안내 바아(8)와 결합되고 상기 안내홈들(11)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은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있으며, 그 전단부들(13)의 윗면과 아랫면 중 적어도 하나는 오목하여서 상기 안내 바아(8)의 윗면 및 아랫면(8a,8b)중 해당하는 면과 같은 높이로 뻗는 오목한 보유부위(14)를 제공하는 버클 조립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7)의 밑면에는 1쌍의 이격된 돌출부들(17)이 있는 버클 조립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부(1;1A;1B)에는 상기 삽입부(2;2A)의 일부분과 맞물려 상기 구멍(10)의 반대쪽으로 그 삽입부(2;2A)가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12;43)가 적어도 하나 있는 버클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12)는 상기 측판들(6) 각자의 맞은편 끝에 있으며 그곳에서부터 맞은편측판(6)쪽을 향해 돌출해 있고, 상기 삽입부(2)의 머리부위(19)에는 상기 정지부(12)와 맞물릴 수 있는 접촉융기부(21)가 있는 버클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12)는 L형이고 탄성 변형할 수 있으며, 그 L형 정지부는 상기 측판(6)에서 안내쪽으로 수직하게 뻗어있는 기부부위(12a)와, 상기 측판(6)에 평행하게 떨어져서 상기 기부부위(12a)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구멍(10)쪽을 향해 뻗어있는 아암(12b)으로 이루어지는 버클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43)는 상기 구멍(10)에서 먼쪽에 있는 상기 지지판(7)의 후연부를 따라 뻗어있고 상기 삽입부(2A)의 머리부위(19)와 맞물릴 수 있는 버클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7)에는 제2벨트(B2)가 통과하는 기다란 중앙 개구부(40)가 있고, 상기 정지부(43)에는 상기 중앙개구부(40)와 정렬되게 뻗어있는 중앙요홈부위가 있는 버클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7)에는 상기 안내홈들(11)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안내 슬롯(41)이 적어도 하나 있으며, 상기 삽입부(2A)의 머리부위(19)에는 상기 안내 슬롯(41)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안내핀(42)이 있는 버클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3A)에는 상기 C형-잠금 돌출부(29)와 일체로 그 양측면에 배치된 1쌍의 안내 돌출부들(44)이 있고, 그 안내 돌출부들(44)은 상기 잠금돌출부(29)가 상기 구멍(10)에 들어갈때 그 구멍(10)의 주변 연부와 마찰 결함하는 버클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기부(1;1A;1B), 상기 삽입부(2;2A) 및 상기 수용부(3;3A)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버클 조립체.
KR2019880016491U 1987-10-06 1988-10-05 버클 조립체 KR9000099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153121U JPH0540734Y2 (ko) 1987-10-06 1987-10-06
JP153121 1987-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302U KR890008302U (ko) 1989-05-27
KR900009981Y1 true KR900009981Y1 (ko) 1990-10-29

Family

ID=1555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491U KR900009981Y1 (ko) 1987-10-06 1988-10-05 버클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94890A (ko)
EP (1) EP0311042B1 (ko)
JP (1) JPH0540734Y2 (ko)
KR (1) KR900009981Y1 (ko)
AU (1) AU593428B2 (ko)
BR (1) BR8805238A (ko)
CA (1) CA1313029C (ko)
DE (1) DE3872821T2 (ko)
ES (1) ES2034090T3 (ko)
HK (1) HK1912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68Y2 (ja) * 1988-06-28 1994-07-20 吉田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ル
KR940004657Y1 (ko) * 1992-01-27 1994-07-16 시삼암 고정편을 결합한 가방 괘정구
US5542161A (en) * 1994-05-11 1996-08-06 National Molding Corp.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US5590444A (en) * 1994-08-02 1997-01-07 American Cord & Webbing Company, Inc. Side release buckle with improved distribution of stress under loads
US5551131A (en) * 1994-12-15 1996-09-03 National Molding Corp.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and having improved locking capability
US5735024A (en) * 1996-05-09 1998-04-07 Ortiz; Kim A. Fastening mechanism for connecting articles and the like together
US6154936A (en) * 1998-12-21 2000-12-05 Down East, Inc. Two-piece quick release buckle and strap adjuster
US6226844B1 (en) 1999-05-26 2001-05-08 Velcro Industries B.V. Quick release buckles
USD424474S (en) * 1999-06-02 2000-05-09 Gregory Wayne B Quick release buckle
US6571434B2 (en) 2000-09-14 2003-06-03 Kim A. Ortiz Connector device for releasably securing a strap member and a fastening mechanism together
US20020185215A1 (en) * 2001-05-04 2002-12-12 Ortiz Kim A. Syste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fastening mechanisms which connect articles and the like together
US9149596B2 (en) * 2007-03-23 2015-10-06 Resmed Limited Release mechanism for patient interface and method for releasing patient interface
US20120175391A1 (en) * 2007-12-17 2012-07-12 Prezine, Llc Multi-mount system for removably securing articles to garments
KR101210722B1 (ko) * 2010-10-12 2012-12-10 백지숙 배낭의 어깨멜방 승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42837A (fr) * 1921-10-28 1922-08-22 Fermoir automatique pour bracelets et autres articles de bijouterie
CH228725A (fr) * 1942-07-20 1943-09-15 Reymond Hermann Julien Dispositif de liaison de deux extrémités d'un lien.
FR1395832A (fr) * 1964-03-06 1965-04-16 Perfectionnements aux ceintures, notamment aux ceintures de sécurité montées sur les véhicules automobiles
GB1103516A (en) * 1965-11-11 1968-02-14 Irving Air Chute Gb Ltd Improvements in couplings
GB1182751A (en) * 1968-01-24 1970-03-04 F D T 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ckles
US3534448A (en) * 1968-07-24 1970-10-20 Frederick G Hughes Dual buckle assembly for lap and shoulder belts
US3845524A (en) * 1974-01-04 1974-11-05 Ford Motor Co Coupling device for seat belts
JPS5544500Y2 (ko) * 1977-03-31 1980-10-20
DE7728527U1 (de) * 1977-09-15 1978-11-30 Fildan, Gerhard, 7250 Leonberg Verschluss fuer kleidungsstuecke, insbesondere miederwaren, bademoden u.dgl.
JPS5653690Y2 (ko) * 1977-12-27 1981-12-15
DE7929525U1 (de) * 1979-10-18 1980-03-27 Fildan, Gerhard, Ing.(Grad.), 7250 Leonberg Verschluss fuer stillbuestenhalter
GB2079833A (en) * 1980-07-14 1982-01-27 Little Rock Ltd Buckles for baby carriers
US4559679A (en) * 1984-01-18 1985-12-24 Downey Philip L Helmut strap fastener
DE8615094U1 (de) * 1986-06-04 1986-07-17 Stocko Metallwarenfabriken Henkels Und Sohn Gmbh & Co, 5600 Wuppertal Verschluß zum Verbinden zweier Teile
JPH06224721A (ja) * 1993-01-25 1994-08-12 Hitachi Ltd 半導体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342888A (en) 1989-04-06
DE3872821T2 (de) 1993-02-18
DE3872821D1 (de) 1992-08-20
JPS6456712U (ko) 1989-04-10
EP0311042A1 (en) 1989-04-12
KR890008302U (ko) 1989-05-27
AU593428B2 (en) 1990-02-08
EP0311042B1 (en) 1992-07-15
HK191295A (en) 1995-12-29
US4894890A (en) 1990-01-23
BR8805238A (pt) 1989-05-23
JPH0540734Y2 (ko) 1993-10-15
CA1313029C (en) 1993-01-26
ES2034090T3 (es) 199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981Y1 (ko) 버클 조립체
CA1183569A (en) Latching device for latching a drawer to a drawer slide
KR950004760Y1 (ko) 버클
KR870004028Y1 (ko) 버클
KR930003895Y1 (ko) 메모리카드용 코넥터
JPH0431683B2 (ko)
KR900007522Y1 (ko) 버클 조립체
JPH0746167Y2 (ja) バックル
KR900009982Y1 (ko) 버클 조립체
US7204002B2 (en) Buckle and baby carrier using the same
KR20020082146A (ko)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920000058Y1 (ko) 버클
US5396912A (en) Structure of barrette
JPH0732437Y2 (ja) 容 器
EP0348857B1 (en) Buckle
KR890000077Y1 (ko) 버 클
KR900015128A (ko)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가진 카세트 수용 콘테이너
JPH04221502A (ja) ベルト連結用のバックル
US4338706A (en) Adjustable fastener
JP2597192Y2 (ja) 用箋挾
KR910008298Y1 (ko) 버클
KR200224604Y1 (ko) 혁대용버클
KR900002288B1 (ko) 컷터나이프의 슬라이더
JPH07967Y2 (ja) 掛止め具
KR100248071B1 (ko) 서류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