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790Y1 - 온돌용 가스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온돌용 가스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790Y1
KR900009790Y1 KR2019880006784U KR880006784U KR900009790Y1 KR 900009790 Y1 KR900009790 Y1 KR 900009790Y1 KR 2019880006784 U KR2019880006784 U KR 2019880006784U KR 880006784 U KR880006784 U KR 880006784U KR 900009790 Y1 KR900009790 Y1 KR 900009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or
ignition
solenoid valve
room
ign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3245U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2019880006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790Y1/ko
Publication of KR890023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3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25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8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돌용 가스 연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설치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기 2 : 분사구
3 : 고정판 4 : 격판
5 : 공급관 6 : 솔레노이드 밸브
7 : 점화노즐 8 : 온도 제어기
8' : 점화기 8'' : 도선
9 : 점화봉 10 : 조절 다이얼
11 : 개폐문
본 고안은 가스연료를 온돌의 난방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온돌용 가스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격벽과 개폐문을 갖고 하부 고정판에 분사구가 천공된 연소기를 실내와 주방사이의 벽에 매설하되 상기 개폐문은 실내 방향으로 그리고 분사구는 아궁이와 당접시켜 설치한 상기 연소기의 내부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에 연결된 공급관의 단부로 점화노즐부를 구성하고 또 도선으로 점화기와 연결시키 점화봉을 상기 점화노즐부와 같이 분사구에 설치함과 동시에 조절 다이얼을 갖는 온도 제어기는 다시 솔레노이드 밸브와 전원선으로 점화기와 같이 구성하므로서 플럭을 통하여 연소기로 인가되는 주전원에 의핸 "온" "오프"스위치와 표시 램프등의 점, 소등 작용에 따라 실내에서 간편히 작동시킬 수 있게한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가스연료에 의한 연소열을 온돌의 방고래로 유입시켜 난방작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고져 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을 실내에서 연소기의 제반 작동을 직접 조작할 수 있게 하므로서 연소기가 설치된 장소와 실내를 번거럽게 왕래해야 하는 불편을 일소하는데 있다.
종래의 온돌용 연료는 대부분이 고체 및 액체 연료를 이용하고 있으나 근래에 와서는 기체연료에 의한 난방 작업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액체 연료나 고체 연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연소기 자체에 부수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게되고 연소 상태와 온도조절에 따른 제반기기의 작동을 모두 연소기가 위치한 실외에서 실시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 기체 연료를 사용하는 연소기는 가스 공급관이 연결된 지지체에 전극봉이 달린 점화플럭만을 설치한 구조로서 단순히 점화기능만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점화상태의 온도조절과 점화 및 소화 작동을 모두 외부에서 실시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직접 소화 및 연소 상태의 조절 기능을 확인하여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격벽 전면에 램프와 "온" "오프" 스위치 및 온도 조절 다이얼을 형성하고 그 이면으로 상기 온도 조절 다이얼과 연관된 온도 제어기 및 점화 기능을 갖는 점화기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선 선으로 연결하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점화기에 각각 연결된 공급관과 도선단부에 점화노즐부와 점화봉을 구성하여 하부 고정판에 천공한 분사구에 같이 설치한 구조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폐문(11)과 하부 고정판(3)에 분사구(2)가 천공된 가스연소기(1)의 내부를 격벽(4)으로 종설하되 그 이면으로 솔레노이드밸브(6)에 공급관(5)을 연결하여 구성한 단부에 점화노즐부(7)를 형성하고 이에 점화기(8')와 도선(8'')으로 연결된 점화봉 (9)을 상기 점화노즐부(7)와 같이 분사구(2)로 설치하여 각각의 전원선(E)(E')으로 솔레노이드 밸브(6)에 점화기(8')와 온도 제어기(8)를 연결시켜서 된 온도조절 다이얼 (10)에 의해 작동되게한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10'는 스위치, 12는 실내, 12'는 벽, 13은 팬, 13'는 플럭, 13''는 호스연결구, 14는 주방, 14'는 아궁이, 14''는 방고래를 나타내고 15, 15'는 램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2도에 도시한 설치 상태의 단면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방(14)과 실내(12) 사이의 벽(12')에 매설한 본 고안의 연소기(1)은 실내 (12)에서 개폐문(11)을 열고 닫을 수 있고 또 이의 하부로 천공된 고정판(3)의 분사구(2)는 방고래(14'')와 아궁이(14')에 당접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기(1)의 제반 기능 조작을 실내(12)에서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연소기(1)의 전면으로 형성한 개폐문(11)을 열고(비 사용시는 개폐문을 닫아둠) 스위치(10')를 "온"하면 먼저 전원램프(15')가 플럭(13')을 통하는 주전원에 의해 점등하고 배출연도(부호 없음)에 설치함 팬(13)도 가동을 한다.
이때 온도조절 다이얼(10)을 조정하면 격벽(4)의 이면으로 이와 연관된 온도 제어기(8)가 작동하여 전원선(E)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6)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줌에 따라 연결구(13'')를 통한 가스가 솔레노이드 밸브(6)에서 공급관(5)을 거쳐 그 선단에 설치한 점화노즐부(7)으로 공급 분사함과 동시에 점화봉(9)으로 흐르는 전극 (+)(-)의 "스파크" 작용으로 인해 가스가 분사구(2)에서 점화되는 것이다.
상기 점화봉(9)의 "스파크" 작용은 솔레노이드 밸브(6)의 개방과 동시에 이와 전원선(E')으로 연결된 점화기(8')에서 도선(8'')으로 통하는 전류에 의해 이루워지는 것이다.
이렇게 점화된 연소기(1)의 가스연소열은 하부 고정판(3)의 분사구(2)가 아궁이(14')와 당접해 있기 때문에 가스 연소열이 외부로 방열됨이 없이 전량 방고래(14'')로 유입하므로 적은 연료로 실내(12)의 난방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실내(12)의 온도가 상승할때는 온도조절램프(15)가 즉각 표시(점등)하여 주므로 이때는 다시 온도조절다이얼(10)을 조정하면 온도제어기(8)의 제어작동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가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주는 것에 의해 난방 작업을 잠시 중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태에서는 스위치(10')를 "오프"시키지 않는 이상 전원은 계속 연소기(1)에 인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얼마후 실내(12)의 온도가 다시 떨어질때는 간단히 온도조절 다이얼(10)만을 조정하여 난방 작업을 재차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연소기(1)는 실내(12)에서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문(11)에 의해 연소기(1)의 제반 기능을 실내(12)에서 직접 조작 작동시킬 수 있고 비사용시는 개폐문(11)을 닫아두므로 해서 가스 연소기(1)에 대한 사용상의 안전을 가하는 효과도 함께 제공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난방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실내외를 출입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일소하고 또 연소기(1) 자체를 벽(12')에 매설함에 따라 연소기(1)의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는 이점도 제공하는 실용적 효과가 매우 높은 고안이다.

Claims (1)

  1. 개폐문(11)과 하부 고정판(3)에 분사구(2)가 천공된 가스 연소기(1)의 내부를 격벽(4)으로 종설하고 그 이면으로 솔레노이드 밸브(6)에 공급관(5)을 연결하여 구성한 단부를 점화 노즐부(7)를 설치하되 이에 점화기(8')와 도선(8'')으로 연결된 점화봉(9)을 상기 점화노즐부(7)와 같이 고정판(3)의 분사구(2)로 구성시켜서 솔레노이드 밸브(6)와 각각의 전원선으로 점화기(8')와 온도제어기(8)를 연결한 온도조절 다이얼(10)에 의해 작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가스 연소장치.
KR2019880006784U 1988-05-04 1988-05-04 온돌용 가스 연소장치 KR900009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784U KR900009790Y1 (ko) 1988-05-04 1988-05-04 온돌용 가스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784U KR900009790Y1 (ko) 1988-05-04 1988-05-04 온돌용 가스 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245U KR890023245U (ko) 1989-12-02
KR900009790Y1 true KR900009790Y1 (ko) 1990-10-20

Family

ID=1927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784U KR900009790Y1 (ko) 1988-05-04 1988-05-04 온돌용 가스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7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3245U (ko) 198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60326A1 (en) Gas pilot system and method having improved oxygen level detection capability and gas fueled device including the same
US4171944A (en) Combined smoke detection and furnace shut off device
GB1029775A (en) Gas-fired infrared burners and heaters
US5927963A (en) Pilot assembly and control system
FR1455692A (fr) Brûleur à veilleuse pour enflammer un brûleur principal dans un dispositif brûlant un combustible
US2361530A (en) Control system for ovens
US2078576A (en) Gas lighter
KR900009790Y1 (ko) 온돌용 가스 연소장치
US5143050A (en) Water heater heat rollout sensor
US3224487A (en) Combination pilot burner and flame detector
EP0157375B1 (en) Spark ignition apparatus
US5033454A (en) Fireplace starting apparatus
US4949705A (en) Fireplace starting apparatus
US2814339A (en) Tunnel-type gas burner and double igni-
US3938946A (en) Ignition enhancer for starting pilot burners
DE3468931D1 (en) Gas burner of the premixing type with flame control, and use of this burner, especially in a submerged tube installation
JPS61285317A (ja) ガスバ−ナ
US1539324A (en) Ignition device for gas ranges, etc.
US2898980A (en) Conversion unit
US2716445A (en) Ignition and fuel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fluid fuel pot-types burners
FR1584324A (ko)
JPS6082720A (ja) バ−ナ制御装置
JPS6137981Y2 (ko)
EP0382893A1 (en) A free-flame atmospheric detector
GB780422A (en) Ignition control-and-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