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225B1 - 스크로올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로올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225B1
KR900009225B1 KR1019880001336A KR880001336A KR900009225B1 KR 900009225 B1 KR900009225 B1 KR 900009225B1 KR 1019880001336 A KR1019880001336 A KR 1019880001336A KR 880001336 A KR880001336 A KR 880001336A KR 900009225 B1 KR900009225 B1 KR 900009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colool
wrap
cent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256A (ko
Inventor
아리도모 사또우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63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with coaxially-mounted members having continuously-changing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크로올 압축기
제1도는 스크로올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고정스크로올과 선회스크로올과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램과 토출공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요부확대단면도.
제4도는 종래예에서의 스크로올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5도는 고정스크로올과 선회스크로올과의 결합상태를 표시하는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용기 2 : 전동기부
4 : 스크로올압축기부 14 : 고정스크로올
15 : 선회스크로올부 16, 22 : 단판
18, 23 : 랩 19 : 토출공
25 : 압축공간
본 발명은 한쌍의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냉매를 동시에, 토출공에서 토출시키도록 개량한 스크로올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크로올압축기는 예컨대, 특개소 61-175293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보를 참고로 하여 종래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50)은 밀폐용기이고, 상기 밀폐용기안에는 스크로올압축기부(51)와 전동기부(52)가 내장되어 있다. 스크로올압축기부(51)는 고정스크로올(53), 선회스크로올(54), 올담링(55), 회전축(56), 프레임(57), 메탈축받침(58)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스크로올(53)은 단판(59)위에 직립한 소용돌이 형상의 립(60)을 구비하고 있고, 립(60)은 임볼류으트곡선 혹은 그것에 흡사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부에는 피압축가스의 흡입구(61), 단판(59)의 중앙부에는 토출공(6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스크로올(53)은 프레임(57)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선회스크로올(54)은 단판(53)과 이것에 직립한 소용돌이 형상의 랩(64)을 비치하고 있다. 고정스크로올(53)과 선회스크로올(54)의 각각의 랩(60), (64)의 형상은 서로 단면대칭의 관계에 있고, 180°각도가 벗어나고 있다. 또한, 고정스크로올(53)과 선회스크로올(54)은 각각의 소용돌이의 중심이 선회변경분 만큼 벗어나서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2개 랩(60), (64)은 복수점에서 접촉하고, 복수개의 압축공간(6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선회스크로올(54) 뒤쪽에는 회전축(56)을 삽입시키는 보스부(66)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56)은 메탈축받침(58)을 통하여 프레임(57)으로 받쳐져 있고, 한쪽끝에는 전동기부(52)의 회전자(67)가 부착되고, 타단은 선회스크로올(54)의 보스부(66)에 삽입되어 있다.
고정스크로올(53)의 랩(60)은 선회스크로올(54)의 랩(64)에 비하여, 그 감기시작하는 각도를 크게하고 있다. 즉, 고정스크로올(53)쪽이 선회스크로올(54)보다 랩의 선단부를 짧게 하고 있다.
상기 구조의 스크로올압축기에서는 고정스크로올(53)의 랩(60)의 감기시작하는 부위를 짧게하고, 상기 고정스크로올의 외벽과 선회스크로올(54)의 내벽으로 형성되는 압축공간(65A)과, 고정스크로올(53)의 내벽과 선회스크로올(54)의 외벽으로 형성되는 압축공간(65B)를 초기토출행정때에 토출공(62)에 동시에 큰 유로로 연통하도록 하고, 한쪽의 압축공간(65A)에서 과압축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고정스크로올(53)의 랩(60)의 감기시작하는 부위는 그 감기시작하는 부위의 감기시작 각도를 크게하여 길이를 짧게하고 있기 때문에, 선회스크로올(54)의 랩(64)의 감기시작하는 부위가 고정스크로올(53)의 랩(60)이 이탈하기 전에, 선회스크로올(54)의 랩(54)에서 이탈하여, 압축공간(65A)이 먼저 토출공(62)과 연통해 버리고, 나중에 연통하는 압축공간(65B)과의 사이에 압력차가 생기고, 압력 밸런스의 불균형에 의하여 스크로올압축기에 이상 진동과 이상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스크로올의 단판에 설치한 토출공의 중심을, 상기 고정 스크로올의 랩의 기초원중심에서 고정스크로올의 랩의 감기시작하는 가장자리쪽에 치우쳐서 위치시키고, 한쌍의 압축공간에서 압력차가 생기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한 것으로서, 고정스크로올과 선회스크로올로 복수개의 압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공간중에서, 각각 한쌍의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공을 고정스크로올의 단판의 중앙에 설치하고, 상기 토출공의 중심을 고정스크로올의 랩의 기초원중심으로부터 상기 고정스크로올의 랩의 감기시작하는 가장자리쪽에 치우쳐서 위치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한 것으로 인하여, 한쌍의 압축공간을 토출공간을 토출공에 동시에 연통시키고, 상기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공에서 균등하게 토출시키도록 하고있고, 한쌍의 압축공간안의 압력이 대략 같아지고, 압력밸런스에 불평형이 발생하지 않도록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3도에 표시하는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밀폐용기이고, 이 용기는 전동기부(2)가 부착되는 원통케이스(3)와, 스크로올압축기부(4)가 부착되는 윗덮개체(5)와, 오일이 저류되는 오일괴임부(6)를 가지는 아래덮개체(7)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케이스(3)의 상단면에는 스크로올압축기부(4)에 고정된 프레임(8)이 재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는 회전축(9)을 축받이하는 축받침부(1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전동기부(2)는 원통케이스(3)의 내벽에 부착되는 고정자(11)와,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서 에어캡(12)을 통하여 회전축(9)에 끼워넣어 부착된 회전자(13)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로올압축기부(4)는 고정스크로올(14)과 선회스크로올(15)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스크로올(14)는 밀폐용기(1)안을 아래위로 간막이하는 원판형상의 단판(16)과, 상기 단판의 한쪽면 주위가장자리에 돌설된 환상벽(17)과 상기 환상벽으로 둘러쌓여서 단판(16)에 입설된 신개선(involute)형상 또는 그것에 근사한 곡선으로 형성되는 소용돌이형상의 랩(18)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스크로올(14)의 단판(16)에는 중앙에 토출구멍(19)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스크로올(14)은 환산벽(17) 및 랩(18)의 돌출방향을 아래쪽으로 하여, 상기 환상벽이 프레임(8)의 주위가장자리의 부착다리(20)에 보울트(21)로 고정되어 있다. 선회스크로올(15)은 단판(22)과, 상기 단판의 한쪽면에 입선된 인볼류으트형상 또는 그것에 흡사한 곡선으로 형성되는 소용돌이형상의 랩(23)과, 단판(22)의 다른쪽면의 중앙에 천설된 핀부(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스크로올(15)은 랩(23)의 돌출방향을 윗쪽으로 하여, 상기 랩이 고정스크로올(14)의 랩(18)에 대향하여 맞물리도록 하여 내부에 복수개의 압축공간(25)을 형성하도록 하고있다. (26)은 회전축(9)의 선단에 설치되어서 선회스크로올(15)의 핀부(24)를 삽입하는 보스구멍이고, 상기 보스구멍의 중심은 회전축(9)의 축심과 편심하여 설치되어있다. 보스구멍(26)주위의 회전축(9)에는 밸런스웨이트(2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28)은 고정스크로올(14)에 대하여 선회스크로올(15)을 외견상 자전하지 않도록 원궤도위를 공전시키는 올담링이다. 프레임(8)의 외주에는 스크로올압축기부(4)에 냉매를 인도하는 흡입통로(29)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멍(19)은 중심 O을 고정스크로올(14)의 랩(18)의 기초원중심 P로부터 상기 스크로올의 랩(18)의 감기시작하는 가장자리쪽에 치우쳐서 위치시키고 있다.
(30)은 흡입관이고, 상기 흡입관은 전동기부(2)의 아래쪽의 밀폐용기(1)안에 개구하고 있다. (31)은 윗덮개체(5)와 고정스크로올(14)의 단판(16)으로 형성된 상부공간(32)에 개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크로올압축기에 있어서, 전동기부(2)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회전축(9)을 통하여 선회스크로올(15)에 전달된다. 즉, 선회스크로올(15)은 회전축(9)의 보스구멍(26)에 상기 회전축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하여 삽입된 핀부(24)로 구동되고, 올당링(28)으로 고정스크로올(14)에 대하여 외견상 자전하지 않도록 원궤도위를 공전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스크로올(14)과 선회스크로올(15)은 상기 스크로올로 형성된 압축공간(25)을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점차 축소시키고, 흡입관(30)에서 밀폐용기(1)안으로 유입하여 전동기부(2)의 에어캡(12)을 통과하여 프레임(8)의 주의 흡입통로(29)를 흐르는 냉매를 압축하고있다. 상기 압축된 냉매는 고정스크로올(14)의 단판(16)의 토출구멍(19)으로부터 상부공간(32)으로 토출되고, 토출관(32)으로부터 밀폐용기(1) 밖으로 토출된다.
토출구멍(19)은 중심 O을 고정스크로올의 랩이 기초원중심에서 상기 고정스크로올(14)의 랩(18)의 감기시작하는 가장자리쪽으로 치우쳐서 위치시킴으로서, 선회스크로올(15)의 랩(23)의 감기사작하는 가장자리가 토출구멍(19)을 통과할때에, 중심을 사이에 끼고 대칭으로 형성된 압축공간(25)중, 고정스크로올(14)의 랩(18)의 내벽과 선회스크로올(15)의 랩(23)의 외벽으로 형성되는 압축공간(25A)이 연통하는 것을 지연시키고, 고정스크로올(14)의 랩(18)의 외벽과 선회스크로올(15)의 랩(23)의 내벽으로 형성된 압축공간(25B)의 연통을 빠르게 하고, 이들 두 압축공간이 토출구멍(19)에 대략 동일한 연통상태로 연통하도록 하고, 압축공간(25A), (25B)에서 압축된 냉매가 균등하게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 즉 , 압축공간(25A), (25B)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구멍(19)에서 동시에 투출됨므로서, 토출행정이 개시될때의 연통상태의 차에 의하여 압축공간(25A), (25B)에 압력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토출구멍(19)의 중심 O를 고정스크로올(14)의 기초원중심 P에서 상기 고정스크로올의 랩(18)의 감기시작하는 가장자리쪽에 치우쳐서 위치시킴으로서, 한쌍의 압축공간(25A), (25B)이 토출구멍(19)과 열리기 시작할때에 대략 같은 크기로 열리도록하고, 이들 압축공간에서 토출구멍(19)으로 흐르는 냉매의 양 및 상태를 같게하여서 압축공간(25A), (25B)에서 압력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있다.
본 발명의 스크로올압축기는 고정스크로올과 선회스크로올로 복수개의 압축공간을 중심을 사이에 끼고 대칭으로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냉미를 토출하는 토출구멍을 고정스크로올의 단판의 중앙에 설치하고, 그 토출구멍의 중심을 고정스크로올의 랩의 기초원중심으로부터 상기 고정스크로올의 랩의 감기시작 가장자리쪽에 치우쳐서 위치시켰기 때문에, 한쌍의 압축공간이 토출구멍에 연통하는 감기사작시와 같은 열림상태의 양으로 할 수가 있고, 상기 압축공간에서 토출구멍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상태를 같게하여서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스크로올압축기의 이상진동과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밀폐용기(1)안의 윗쪽에 압축기부(4)를 아래쪽에 전동기부(2)를 각각 수납하고, 상기 압축기부(4)를 단판(16)에 소용돌이형상의 랩(18)을 입설시킨 고정스크로올(14)과, 상기 고정스크로올(14)에 대향하여 서로 맞물리는 단판(22)에 소용돌이형상의 랩(23)을 입설시킨 선회스크로올(15)로 구성하고, 상기 선회스크로올(15)을 고정스크로올(14)에 대하여 외견상 자전하지 않도록 공전시키고, 또한 고정스크로올(14)과 선회스크로올(15)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압축공간(25)을 바깥쪽에서 안쪽을 향하여 차례로 축소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스크로올(14)의 단판(16)의 중앙에 상기 고정스크로올(14)의 중심을 사이에 끼고 대칭으로 형성된 한쌍의 압축공간(25A), (25B)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구멍(19)을 설치한 스크로올압축기(4)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멍(19)의 중심은 고정스크로올(14)의 랩(18)의 기초원중심(P)에서 상기 고정스크로올(14)의 랩(18)의 감기시작 가장자리쪽에 치우쳐서 위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로올압축기.
KR1019880001336A 1987-02-20 1988-02-12 스크로올 압축기 KR900009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8259 1987-02-20
JP62038259A JPS63205481A (ja) 1987-02-20 1987-02-20 スクロ−ル圧縮機
JP?62-38259 1987-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256A KR880010256A (ko) 1988-10-07
KR900009225B1 true KR900009225B1 (ko) 1990-12-24

Family

ID=1252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336A KR900009225B1 (ko) 1987-02-20 1988-02-12 스크로올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05481A (ko)
KR (1) KR900009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336A (en) * 1989-03-06 1991-10-15 American Standard Inc. Scroll apparatus with modified scroll profile
JPH0772543B2 (ja) * 1989-08-31 1995-08-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形圧縮機
JP2740297B2 (ja) * 1989-10-03 1998-04-15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の吐出装置
DE69930372T2 (de) * 1998-04-08 2006-12-07 Daikin Industries, Ltd. Spiralpu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05481A (ja) 1988-08-24
KR880010256A (ko) 198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2417C (en) Scroll compressor with discharge valves
EP0012616A1 (en) Scroll-type fluid compressor unit
US4886434A (en) Scroll compressor having discharge part communicating with two compression spaces simultaneously
US5242282A (en) Scroll compressor with a driving pin between scrolls and a sliding shaft bearing
KR900009225B1 (ko) 스크로올 압축기
JP317011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4325792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6071099A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discharge muffler
US6077060A (en) Scroll-type fluid machine including float-protecting pin having partially-cut head
JPH0315686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S63215892A (ja) スクロ−ル圧縮機
US4904169A (en) Scroll type compressing apparatus having strengthened scroll member
JP302667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S63215891A (ja) スクロ−ル圧縮機
KR950011372B1 (ko) 스크롤형 배출장치
JP2777415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S63255585A (ja) スクロ−ル圧縮機
JP2604325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754037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S61192882A (ja) スクロ−ル型圧縮機
WO2023203947A1 (ja) 流体圧縮機
KR960004235Y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332750B1 (ko) 스크롤압축기
JPS63159689A (ja) スクロ−ル圧縮機
JP3030150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