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224Y1 -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 Google Patents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224Y1
KR900009224Y1 KR2019870014322U KR870014322U KR900009224Y1 KR 900009224 Y1 KR900009224 Y1 KR 900009224Y1 KR 2019870014322 U KR2019870014322 U KR 2019870014322U KR 870014322 U KR870014322 U KR 870014322U KR 900009224 Y1 KR900009224 Y1 KR 900009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ircuit
resistor
charg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738U (ko
Inventor
경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4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224Y1/ko
Publication of KR890005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따른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플러그 2 : 파우어 트랜스
3 : 정류기 4 : 전압제어부
5 : 전류제어부 6 : 충전제어부
7 : 플립플롭 8 : 전압검출부
9 : 타이머부 10 : 정전압부
11 : 리셋회로 12 : 렐레이구동부
13 : 래치회로 14 : 충전개시회로
D1~D5: 다이오우드 Q1~Q6: 트랜지스터
R1~R11: 저항 C1: 콘덴서
RL1: 릴레이
본 고안은 밧데리의 충전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완료시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한 충전기의 전원 자동차단 회로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밧데리 충전회로의 구성은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전원플러그(1)는 파우어 트랜스(2)와 정류기(3) 및 전압제어부(4) 그리고 전류제어부(5)를 순차거쳐 다이오우드(D1)의 애노우드에 접속되고, 다이오우드(D1)의 캐소우드는 충전용 밧데리(Batt)에 접속되고 정류기(3)의 출력은 정전압부(10)를 거쳐 리셋회로(11)의 저항(R2×R3)을 거쳐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동시에 정전압부(10)의 출력은 저항(R4)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접속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상기 저항(R2×R3)의 연결점에 콘텐서(C1)를 접속시키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정류기(3)의 출력단에 접속된 T플립플롭(7)의 리셋단(R)에 접속되며 T플립플롭(7)의 입력단(R)에 접속되면 T플립플롭(7)의 입력단(T)에는 충전스위치(SW1)를 연결시키고 저항(R6)을 연결시켜 정류기(3)의 출력단에 접속시키고 저항(R6)을 연결시켜 정류기(3)의 출력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T플립플롭(7)의 출력단(Q)은 저항(R1)을거쳐 에미터가 접지접속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동시에 타이머부(9)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충전제어부(6)를 거쳐 전압제어부(4)에 접속되고 타이머부(9)의 출력은 다이오우드(D3)와 저항(R5)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접속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T플리플롭(7) 입력단(T)에 접속되고 저항(R5)과 다이오우드(D3)의 연결점에서 다이오우드(D2)와 전압검출부(8)를 거쳐 다이오우드(D1)의 캐소우드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플러그(1)를 전원이 인가되는 콘센트에 꽂으면 AC전원이 파우어 트랜스(2)와 정류기(3)를 거쳐 DC전원이 출력되고 출력된 DC전원은 정전압회로(10)를 거쳐 리셋회로(11)에 인가되어 리셋회로(11)에 의해 리셋펄스를 T플립플롭(7)의 리셋단(R)에 인가시켜 초기 상태가 된다.
이때 충전밧데리(Batt)를 삽입한 상태에서 충전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T플립플롭(7)의 출력(θ)이 하이(H)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켜 충전제어부(6)를 충전가능 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 시절부터 타이머부(9)는 카운드를 개시하여 일정시간이 지난후 티이머부(9)의 출력으로 트랜지스터(Q2)를 구동시켜 정류기(3)의 출력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압검출부(8)는 전원측이 이상전원을 검출하여 트랜지스터(Q2)를 구동시키므로써 정류기(3)의 출력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충전밧데리(Batt)에 충전이 완료되었을시에도 타이머부(9)의 설정시간이 지난후에야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으므로 충전완료시에도 전원은 계속적으로 인가되어 전력손실이 있었으며, 또한 별도의 충전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충전밧데리의 충전이 개시되는 시점이 밧데리의 접속시점부터 자동으로 시작되어 충전완료시 전원을 자동차단하도록 한것으로, 이하 그 회로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를 나타낸 것으로써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플러그(1)는 파우어 트랜스(2)와 정류기(3) 및 전압제어부 및 전류제어부(5) 다이오우드(D1)를 순차거쳐 다이오우드(D1)의 캐소우드가 충전개시회로(14)의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는 접지된 콘덴서(C1)및 저항(R8)과 접속되어 저항(R7)을 거쳐 다이오우드(D1)의 캐소우드와 함께 충전밧데리(Batt)에 접속되고, 전원측의 파우어 트랜스(2)일단에는 릴레이 구동부(12)를 연결시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가 저항(R12)을 거쳐 래치회로(13)의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릴레이 구동부(12)의 릴레이(RL1)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4)의 콜랙터와 함께 다이오우드(D5)를 거쳐 전업제어부(4)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저항(R11)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접속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그 베이스는 저항(R9)을 거쳐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동시에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Q1)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충전제어부(8')를 거쳐 전압제어부(4)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저항(R12)의 일단과 접속되어 타이머부(9)에 접속되며 타이머부(9)의 출력은 다이오우드(D3)와 저항(D3)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접속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저항(R5)과 다이오우드(D3)의 연결점은 다이오우드(D2)와 전압검출부(8)를 거쳐 충전밧데리(Batt)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그의 동작 상태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플러그(1)를 AC전원이 인가되는 콘센트에 꽂게되면 이상태에서도 전류의 흐름이 없게되어 회로는 차단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충전밧데리(Batt)를 삽입시키게 되면 충전 개시회로(14)의 저항(R7)과 콘덴서(C1)의 충전시정수에 따라 제 3 도의 (a)파형이 G점이 나타나게 되고, 이때부터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어지는 기간에 제 3 도의 (b)와 같은 파형이 C점에 나타나게 되어 충전밧데리의 전압은 일정시간후로부터 차단되어진다.
상기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는 기간에 C점의 전압이 저항(R11)을 거쳐 래치회로(13)의 트랜지스터(Q6)에 인가되어지며 또한 C점이 전압은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베이스를 거쳐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Q6)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Q3)가 도통되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전압이 나타나게 되며 이전압은 다시 저항(R9)을 거쳐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6)를 구동시키므로 래치회로(13)가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E점에 나타난 전압이 저항(R12)을 거쳐 릴레이 구동부(12)의 트랜지스터(Q5)를 구동시키므로 릴레이(RL1)가 구동하게 되고 파우어 트랜스(2)의 이차측에 교류전원이 나타나며 정류기(3)를 거쳐 직류전원이 출력되게 된다.
이때 충전제어부(8')는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는 순간부터 동작을 개시하여 전압제어부(4)가 동작된 후부터는 다이오우드(D5)를 거쳐 C점에 전원을 공급하여 래치회로(13)와 릴레이 구동부(12)가 계속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Q4)는 전압제어부(4)가 동작하게 시작하는 시간보다 조금 긴 시간동안 도통되도록 저항(R7)과 콘덴서(C1)의 시정수를 조절하여 충전밧데리(Batt)의 충전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충전밧데리(Batt)에 충전이 완료되며 타이머부(9)의 출력단인 A점에 충전을 제어시키는 하이펄스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2)를 구동시켜 래치회로(13)를 오프시키게 된다.
이때 충전 제어부(8')는 충전이 끝나도록 제어하게되며 또한 릴레이 구동부(12)도 오프되어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게된다.
여기서 저항(R8)은 충전밧데리(Batt)의 제거시 충전된 콘덴서(C1)의 전하는 방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는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충전밧데리의 삽입(접속)과 동시에 충전이 개시되어 충전완료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도록 하여 전력의 낭비를 방지시키며, 뿐만아니라 별도의 충전스위치를 필요로 하지않게 되어 회로를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갖게된다.

Claims (1)

  1. 전압제어부(4)와 전류제어부(5) 및 충전제어부(8')를 포함하는 벗데리의 충전회로에 있어서, 전류제어부(5)의 출력단과 충전밧데리(Batt)사이에 트랜지스터(Q4)와 저항(R7×R8) 및 콘텐서(C1)구성된 충전제어회로(14)를 연결시키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3×Q6)와 저항(R6×R9)(R11)으로 구성된 래치회로(13)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와 콜랙터가 트랜지스터(Q5)와 릴레이(RL1)로 구성된 릴레이 구동부(12)에 접속되어 전원측의 파우어트랜스(2)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KR2019870014322U 1987-08-26 1987-08-26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KR900009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322U KR900009224Y1 (ko) 1987-08-26 1987-08-26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322U KR900009224Y1 (ko) 1987-08-26 1987-08-26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738U KR890005738U (ko) 1989-04-21
KR900009224Y1 true KR900009224Y1 (ko) 1990-10-06

Family

ID=1926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322U KR900009224Y1 (ko) 1987-08-26 1987-08-26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2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738U (ko) 198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6213B1 (en) Dual voltage motor vehicle electrical system
JPH08107606A (ja) 電動車両用充電装置
US4426144A (en) Power supply unit shared by camera's motor drive and electronic flash
KR900009224Y1 (ko) 충전기의 전원자동 차단회로
CA2044444C (en) Control apparatus for an ac generator
US5619126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decreasing the load current
JP2587222B2 (ja) 電気かみそり
JP2815230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412788Y2 (ko)
JPS6160653B2 (ko)
JPH0717237Y2 (ja) 電源回路
JPS603675Y2 (ja) 電源装置
JPH0834675B2 (ja) 充電装置
KR19990032389U (ko) 니카드 배터리 충방전 회로
JPH0851799A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
KR920008407B1 (ko) 마이콤을 이용한 급속 충전 회로 및 방법
JPH0935759A (ja) 充電装置
JPH0779560B2 (ja) ガスタ−ビン発電装置
JPS6311874Y2 (ko)
KR890006526Y1 (ko) 전원스위칭회로
JP2005519573A (ja) フリップフロップに基づいた自己発振電源
JPH09266439A (ja) 時限回路
JP3289075B2 (ja) 充電装置
JPH11178230A (ja) 充電装置
JPH0476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