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107Y1 - 절첩식 과일상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과일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107Y1
KR900009107Y1 KR2019870003962U KR870003962U KR900009107Y1 KR 900009107 Y1 KR900009107 Y1 KR 900009107Y1 KR 2019870003962 U KR2019870003962 U KR 2019870003962U KR 870003962 U KR870003962 U KR 870003962U KR 900009107 Y1 KR900009107 Y1 KR 900009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ox
folding
fruit box
box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7868U (ko
Inventor
박욱열
Original Assignee
박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욱열 filed Critical 박욱열
Priority to KR2019870003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107Y1/ko
Publication of KR880017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78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32Winding keys
    • B65D35/34Winding keys connected to, or associated with, tub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과일상자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단면사시도.
제 2 도의 (a)(b)는 본 고안 뚜껑과 측면 셔터의 작동 상태를 보인 횡 단면도.
제 3 도의 (a)(b)는 본 고안의 절첩되는 상태를 보인 제 2 도 (b)의 A-A선 단면도.
제 4 도의 (a)(b)는 밴드 손잡이에 대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판 3 : 중절편
4 : 상절편 6,6' : 측면셔터
10,11 : 힌지축 16 : 밴드 손잡이
본 고안은 과일을 운송, 보관 및 판매할 때 사용하는 과일상자를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과일을 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자를 절첩하여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의 상자를 적층 보관하기 위한 절첩식 과일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과일상자로는 골판지로된 상자와 나무판재로된 나무상자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골판지로된 지상자는 과일을 담지 않고 접은 상태의 보관 면적은 줄일수 있으나 과일을 담은 상태에서는 강도가 약해 적층해서 보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고, 또한 나무판재로 된 나무상자는 과일을 담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잇점은 있으나 공상자 상태에서 보관하는데에 넓은 보관 장소가 필요하였고 특히 가격면에서 나무상자는 비싼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일 상자의 결점을 해결하면서 과일을 담은 상태의 적층과 과일을 담지 않은 상태의 보가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홈(17)이 형성된 밴드 손잡이(16)와 각홈(19) 및 단척(12)이 형성된 고정판(2)에 중절편(3)을 힌지축(10)으로 결합하고 사각링(9)을 설치한 뚜껑(5)이 삽입될 각홈(14)과 단부(13)가 형성된 상절편(4)을 힌지축(11)으로 중절편(3)에 결합하여 과일상자(1)를 형성한 후 결합된 상절편(4)과 중절편(3) 및 고정판(2)의 내측에 통공(7)과 다수개의 요홈(8)이 형성된 축면셔터(6)(6')가 삽입된 각홈(15)을형으로 형성하여서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과일을 담아 사용할 때에는 제 2 도의 (a)와 같이 측면셔터(6)(6')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과일을 담고 두껑(5)을 덮은 후 과일상자(1)를 상하로 적층하여 보관 및 이송할 수 있는 것으로 과일상자(1)의 상측에는 단부(13)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단턱(12)을 형성하므로서 과일상자(1)를 안전하게 적층하여 보관 및 이송할 수 있고 뚜껑(5)에는형상의 사각링(9)을 설치하므로서 과일상자(1)가 흔들릴 때 사각링(9)이 측면셔터(6)(6')에 걸려 뚜껑(5)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형의 각홈(15)양측에 측면셔터(6)(6')를 수직으로 세우므로서 과일상자(1)을 적층하여 이송할 때 과일상자(1)를 보관할때에는 양손으로 사각링(9)을 잡고 상절편(4)의 각홈(14)으로부터 뚜껑(5)를 빼내어 고정판(2)의 각홈(19)에 삽입하고 측면셔터(6)(6')의 하측을 밀면서 통공(7)을 잡고 제 2 도의 (b)와 같이 측면셔터(6)(6')를 이동시킨 후 제 3 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상절편(4)을 외측으로 180°절첩하고 힌지축(10)을 중심으로 중절편(3)을 내측으로 90°절첩하여 보관하는 것으로 상절편(4)과 중절편(3)을 절첩하여 고일상자(1)의 부피를 줄이므로서 동일 면적 내에서 종래의 나무상자로 보다 다수의 과일상자를 보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은 물론 장홈(17)이 형성된 밴드 손잡이(16)를 고정판(2)의 고정핀(18)에 결합설치하므로서 절첩된 과일상자(1)를 간편하게 손으로 들고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과일상자를 고정판과 중절판 및 상절판으로 구분하여 절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다수의 과일상자를 적층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합성수지와 같은 강도 있는 재료로 과일상자를 제작하므로서 과일을 담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과일상자를 적층 보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힌지축(10)(11)에 의하여 중절편(3)과 상절편(4)이 절첩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고정판(2)에 각홈(19)과 단턱(12)을 형성하고 상절편(4)에는 각홈(14)과 단부(13)을 형성하며 과일상자(1)의 내측에 형성된 형의 각홈(15)에 통공(7)과 다수개의 요홈(8)이 형성된 측면셔터(6)(6')를 삽입하여서된 절첩식 과일상자.
KR2019870003962U 1987-03-27 1987-03-27 절첩식 과일상자 KR900009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962U KR900009107Y1 (ko) 1987-03-27 1987-03-27 절첩식 과일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962U KR900009107Y1 (ko) 1987-03-27 1987-03-27 절첩식 과일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868U KR880017868U (ko) 1988-10-27
KR900009107Y1 true KR900009107Y1 (ko) 1990-09-29

Family

ID=1926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962U KR900009107Y1 (ko) 1987-03-27 1987-03-27 절첩식 과일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1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868U (ko) 198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4946A (en) Collapsible partitioned corrugated cardboard container
CA1065777A (en) Collapsible crate
US3889868A (en) Mail handling container
US4175691A (en) Stackable carton for perishable commodities
US4245773A (en) Container with stacking alignment and latching structure
US2265618A (en) Collapsible container
US5071010A (en) Collapsible container
US4069938A (en) Returnable shipping container
US2358614A (en) Shipping container
KR900009107Y1 (ko) 절첩식 과일상자
KR100627177B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KR102130449B1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EP0579479A1 (en) Fruit and vegetable box
DE4109360A1 (de) Sammelverpackung fuer auf kerne gewickelte bandfoermige aufzeichnungstraeger
JPH11105855A (ja) ダンボール箱
JP2003026244A (ja) 段ボール製緩衝材
KR200363603Y1 (ko) 접철식 포장 박스
GB2266705A (en) Stacking tray
KR200362247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조립식 포장상자
JP7171303B2 (ja) 梱包箱
KR20000006250U (ko) 통풍공이 형성된 포장용 상자체
US5975289A (en) Container for transport of printed products
KR200496433Y1 (ko) 전면 개폐가 가능한 포장용 상자
GB2076365A (en) Containers erected blanks
KR960000856Y1 (ko) 절첩식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