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839Y1 -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코로나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코로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839Y1
KR900008839Y1 KR2019870023175U KR870023175U KR900008839Y1 KR 900008839 Y1 KR900008839 Y1 KR 900008839Y1 KR 2019870023175 U KR2019870023175 U KR 2019870023175U KR 870023175 U KR870023175 U KR 870023175U KR 900008839 Y1 KR900008839 Y1 KR 900008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ona
corona wire
guide film
fixed
laser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277U (ko
Inventor
조진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3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839Y1/ko
Publication of KR8900142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2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aser arrays, the laser array being smaller than the medium to be recor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코로나 장치
제 1 도는 통상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
제 2 도는 종래 전사코로나장치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 전사코로나장치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B-B선 단면도.
제 6 도는 가이드 필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시일드케이스 14',14″: 양측판
15, 16 : 앤드블록 17 : 코로나와이어
18 : 스프링 19 : 코넥터
20 : 접촉부 21 : 가이드필름
22 : 부착부
본 고안은 레이저 프린터 및 복사기의 전사코로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의 원활한 이송을 유지하고 코로나와이어의 진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한 전사코로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프린터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내부에 드럼(2)과 그 주위로 대전 코로나(3), 크리닝기(4), 전사코로나(5)및 현상기(6)가 배열설치되고, 상측으로 레이저스캐너(7)가 설치되어 있으며, 카세트(8)에서 급지롤(9)로서 용지(10)가 레지스터롤(11),전사코로나(5) 및 정착기(12)를 통과한 뒤 배지트레이(13)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저 프린터에 있어서 종래 전사코로나장치는 제 2,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자 단면의 금속판재 시일드케이스(14)의 양끝에 손잡이겸 엔드블록(15)과 앤드블록(16)이 끼워져 있고, 양측 앤드 블록(15) (16)은 부도체 물질(일예들들어 POM)로 되어 있으며, 일측 앤드블록(15)에는 코로나와이어(17)의 일단이 스프링(18)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다른 한쪽끝에 코넥터(19)에 걸려있다. 이 코넥터(19)는 앤드 블록(16)에 조립되어 있고 고전압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앤드블록(15) (16)은 제 3 도와 같이 V자형 홈이 형성되어 코로나와이어(17)가 얹혀지게 되어있고 코로나와이어(17)에 스프링(18)을 연결한 것은 텐션을 주기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전사코로나(5)는 카세트(8)내의 용지가 급지롤(9)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송하여 레지스터롤(11)에 의하여 드럼(2)으로 보내지면 드럼(2)상에 현상기(6)에 의하여 부착된 토너를 용지로 전기적 힘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전사코로나(5)의 전기적 극성은 토너가 갖는 전하극성의 반대라야만 전기적 힘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전사코로나(5)가 본체에 삽입되면 코넥터(19)가 고전압에 연결되어서 코로나와이어(17)에는 5-6KV의 고압이 걸려서 코로나방전을 일으킨다.
그러면 이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공기가 이온화되어서 토너전하와 반대극성인 이온이 용지 아래면에 부착되어 드럼(2)상의 토너가 용지로 옮겨온다.
이때 고압이 걸린 코로나와이어 (17)는 미소진동을 일으키는데 이 진동이 심해서 직경이 매우 작은(60/㎛) 코로나와이어 (17)가 끊어지기도 하고 혹은 이송되어오는 용지가 제 1 도에 "가"와같이 전사코로나(5)속으로 빠지곤 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전사코로나장치는 고전압에 의한 코로나와이어의 진동발생으로 인하여 코로나와이어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이송하는 용지의 선단부가 전사코로나 속으로 빠지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일드케이스의 양측판 내면에 전기적 부도체인 가이프필름을 서로 대향되게 다수개 부착하여 가이드 필름의 접촉부에 의하여 코로나와이어가 접촉지지되게 하고, 가이드필름의 상측연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지가 안내되게하여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게한 것인바,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일드케이스(14)의 양측부에 엔드블록(15) (16)이 삽입고정되고, 일측 앤드블록(15)에는 코로나와이어(17)의 일단이 스프링(18)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타측 앤드블록(16)이 고정되는 코넥터(19)에 코로나와이어(17)의 타단이 고정된 전사코로나에 있어서, 전촉부(20)을 갖는 자상 가이드필름(21)의 후단부에 부착부(22)를 일체로 형성하여 그 가이드필름(21)을 시일드케이스(14)의 양측판(14') (14")내면에 부착부(22)로 부착하여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가이드필름(21)의 접촉부(20)에 의하여 코로나와이어(17)가 지지되게 하였다.
이와같이 설치되는 가이드필름(21)의 부착부(22)는 시일드케이스(14)의 양측판(14') (14")내면에 접착제 혹은 양면테이프로 부착한다.
또한 시일드케이스(14)의 앙측판(14') (14")과 가이드필름(21)사이에는 간격 (ℓ)을 주어서 코로나와이어(17) 즉 교환시 통과가능하게 하며, 상기 가이드필름(21)의 재질은 전기적으로 부도체이고 단단한 투명합성수지로 두께는 0. 3㎜정도로 얇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모서리부(21a)는 용지가 전사로로나(5)위를 지나갈때 용지에 간섭을 주지않도록 하기 위하여 등글게 형성한다. 일예로서 상기 가이드필름(21)은 마이러필름(듀퐁사의 상품명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필름(21)의 끝면과 접촉부(20)의 거리(d)가 정확히 유지되도록 제작하고 시일드케이스(14)의 바닥면에 접촉부(22)의 하단을 맞추어서 조립하여 코로나와이어 (17)와 드럼 (2)과의 간격유지에 방해를 주지않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일드케이스(14)의 양측판(14')(14") 내면에 다수개의 가이드필름(2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다수개 고정되어 그 접촉부(20)에 코로나와이어(17)가 접촉되어 가이드 되도록 되어있으므로 고전압에 의한 코로나와이어 (17)의 진동이 방지되며, 이송되는 용지가 전사코로나(5)위를 지날때에 모서리부(21a)가 둥글게 가공된 가이드필름(1)의 상단연부에 가이드되면서 이송되므로 용지가 시일드케이스(14)내부에 쳐박히게 되는 문제점이 배제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시일드케이스에 가이드필름을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인 전사코로나장치 내부로의 종이 쳐박힘과 고전압에 의한 코로나와이어 진동으로 코로나와이어가 절단되는 결함을 완전히 제거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시일드케이스(14)의 양측부에 엔드블록(15) (16)이 삽입고정되고 일측 엔드블록(15)에는 코로나와이어(17)의 일단이 스프링(18)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타측 앤드볼록(16)에 고정되는 코넥터(19)에 코로나와이어(17)의 타단이 고정된 것에 있어서, 하측에 접촉부(20)가 구비되고 후단부에 부착부(22)가 일체로 구비된 부도체인 가이드필름(21)을 시일드케이스(14)의 양측판(14') (14")내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다수개 부착하여, 각 가이드필름(21)의 접촉부(20)의 하측에 코로나와이어(17)가 삽입지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코로나 장치.
KR2019870023175U 1987-12-26 1987-12-26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코로나 장치 KR900008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175U KR900008839Y1 (ko) 1987-12-26 1987-12-26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코로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175U KR900008839Y1 (ko) 1987-12-26 1987-12-26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코로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77U KR890014277U (ko) 1989-08-10
KR900008839Y1 true KR900008839Y1 (ko) 1990-09-28

Family

ID=1927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175U KR900008839Y1 (ko) 1987-12-26 1987-12-26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코로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8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77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214B1 (en) Image transferr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1038923A (en) Belt transfer system
KR0123949B1 (ko) 토너수집기구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CA2016944C (en) Printing machine with charge neutralizing system
US473936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4563076A (en) Imaging apparatus
EP0473161B1 (en) A recording paper separating device
KR900008839Y1 (ko) 레이저 프린터의 전사코로나 장치
EP0223481A2 (en) Electrographic charge deposition apparatus
JPH0435904Y2 (ko)
JP3330721B2 (ja) 転写ベルト装置
US5083145A (en) Non-arcing blade printer
US5194902A (en) Transfer unit
JP2685658B2 (ja) 転写分離装置
JPS6224290Y2 (ko)
JPH041563Y2 (ko)
JPH0244305Y2 (ko)
JPH02240675A (ja) 電子写真記録装置の転写・分離装置
JP2023118520A (ja) 電極装置、シート剥離装置、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S61102674A (ja) 剥離装置
JPS6281680A (ja) 分離装置
JP2001072281A (ja) 転写搬送装置
JP2586824B2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435903Y2 (ko)
JPH05249782A (ja) 静電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