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259Y1 - 플라이백 (flyback) 변성기의 소자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flyback) 변성기의 소자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259Y1
KR900008259Y1 KR2019900002570U KR900002570U KR900008259Y1 KR 900008259 Y1 KR900008259 Y1 KR 900008259Y1 KR 2019900002570 U KR2019900002570 U KR 2019900002570U KR 900002570 U KR900002570 U KR 900002570U KR 900008259 Y1 KR900008259 Y1 KR 900008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retainer
arms
bobbin
st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히로 기꾸찌
도시미 미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503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9330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무라다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900002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with several winding chambers separated by flanges, e.g.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이백(flyback)변성기의 소자 설치장치
제 1 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변성기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플라이백 변성기의 등가회로를 표시하는 회로도.
제 3 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다이오우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의 배치를 표시하는 부분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선행기술 유지기의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기의 배치를 표시하는 부분 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에 표시된 선 Ⅵ-Ⅵ에 따라 취해진 사시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기의 정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에 유사하나 그것의 부분적인 수정을 표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플랜지 9 : 코일홈
10 : 분리홈 15 : 다이오우드
15a : 도선 15b : 도선
31 : 보빈 32 : 유지기
32a : 베이스부분 32b : 아암
32c : 아암 32d : 경사진면
33 : 유지기 33a : 베이스부분
33b : 아암 33c : 아암
33d : 경사진면 34 : 계단
35 : 계단 36 : 홈
37 : 홈 38 : 면
39 : 면
본 고안은 플라이백 변성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것에 사용되는 다이오우드와 같은 소자를 설치하기 위한 소자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백 변성기는, 예컨데 전자비임을 가속하기 위하여 음극선관에 높은 DC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텔레비젼 수진기, 또는 CRT표시장치에 사용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다이오우드가 2 차권선의 출력전압을 정류하게 플라이백변성기에 제공된다.
선행기술의 플라이백 변성기의 예시가 제 1 도에 표시되며 그것은 내부보빈(3)과 외부보빈(11)을 가진다.
내부보빈(3)은 다수의 핀(1)을 가지고 설치된 베이스부분(2)과 일체로 형성된다. 1 차권선(4)과 3 차권선(5)의 내부보빈(3)에 감겨진다. 외부보빈(11)은 코일홈(9)과 분리홈(10)을 이루는 다수의 플랜지를 가진다.
다수의 절편(12a)으로 구분된 2 차권선(12)이 외부보빈(11)에 감겨지고 각 코일절편이 코일홈(9)에 감겨진다. 코일절편(12a)은 다이오우드(15)를 통하여 직렬로 연결되고 각기 분리홈(10)에 설치된 한쌍의 유지기(16) 및 (27)에 의하여 지지된다.
내부보빈(3)이 외부보빈(11)에 삽입되고 양 보빈은 합성수지와 같은 전기절연재로 만들어진 케이싱(16)에 수용된다.
보빈이 케이싱(16)내측에 놓여진후 용융합성수지(미표시)가 그것에 채워져 잠시동안에 굳혀진다.
그후, 한쌍의 U형 페라이트코어(17) 및 (18)가 O형 코이유닛을 이루게 설치되어 O형코이 유닛의 일부는 내부보빈(3)을 통하여 연장한다. O형 코이유닛은 권선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속용자기회로를 형성하게 제공된다.
플라이백변성기의 등가회로가 제 2 도에 표시되며, 2 차권선(12)이 다이오우드(15)를 통한 코일절편(12a)의 직렬접속으로 이루어진다.
2 차권선(12)의 일단은 핀(21)을 통하여 접지되고, 그것의 타단은 고압을 공급하는 라인(22)에 다이오우드를 통하여 접속된다.
일본실용신안공개공보 78-118024 호에 "플라이백변성기"의 제목으로 발표되고 1978 년 9 월 20 일에 간행된 선행기술의 플라이백변성기에 따르면 각각의 다이오우드(15)가 제 3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유지기(26) 및 (27)에 의하여 지지된다.
유지기(26) 및 (27)은 외부보빈(11)에 놓여지고 그들은 분리홈(10)의 바닥으로부터 연장한다.
한쌍의 유지기(26) 및 (27)간의 거리는 축방향으로 측정된 다이오우드(15)의 길이 보다 약간 길다.
유지기(26) 및 (27)은 각기 분리홈(10)의 바닥에 연결된 끝으로부터 먼 그들의 끝에 홈(26a) 및 (27a)을 가진다.
홈(26a), (27a)의 각각의 폭은 다이오우드(15)의 몸체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도선(15a) 및 (15b)의 직경보다 약간좁다.
따라서 다이오우드(15)는 도선(15a) 및 (15b)이 각기 홈(26a) 및 (27a)에 압력으로 맞추어지게 지지된다.
이 경우에서, 다이오우드가 유지기(26) 및 (27)에 설치되었을 때 다이오우드에 적용된 미는 힘이 다이오우드의 몸체에 연결된 도선의 목에서 도선(15a) 및 (15b)의 바라지 않는 만곡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유지기는 다이오우드 몸체 자체를 지지하지 않고 다이오우드 몸체로부터 연장하는 도선을 지지하므로 그러한 만곡된 도선을 가진 다이오우드 유지기(26) 및 (27)간에 오프세트 위치로 설치된다.
예로서, 다이오우드 몸체는 유지기 위에 올려지거나 제 4 도의 파선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같이 분리홈(10)의 바닥 가까이에 밀려내려진다.
이러한 일이 생겼을 때 다이오우드 몸체와 케이싱의 벽간의 스페이스 또는 다이오우드 몸체와 분리홈(10)의 바닥간의 스페이스가 대단히 좁아진다.
따라서 용융수지가 분사되었을 때 그것이 좁은 스페이스를 통하여 흐르지못하고 다이오우드 몸체 주위에 바라지 않는 기포가 생겨서 다이오우드의 절연 파괴가 빈약하게 된다.
그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각각의 다이오우드는 그것이 한쌍의 유지기에 설치된후 점검된다.
더우기 제 4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선행기술의 플라이벡변성기에 따르면 유지기(26) 및 (27)간의 거리(L1)는 유지기(26) 및 (27)간에 각각의 아이오우드를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이오우드 몸체의 길이(K)보다 약간 길게 만들어진다. 더욱이 각각의 유지기의 두께(T)는 유지기(26) 및 (27)간에 다이오우드(15)가 단단하게 지지하도록 비교적 두껍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한쌍의 유지기(26) 및 (27)에 의하여 점유되는 전체거리(L2)는 비교적 크게 되어 결과적으로 큰 크기의 외부보빈, 환언하면 큰 크기의 플라이벡변성기로 된다.
본 고안은 상술된 단점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되었고, 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것에 사용되는 다이오우드를 지지하기 위한 개량된 장치를 가진 변성기를 제공한다.
다이오우드 주위의 바라지 않은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플라이벡변성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전형적인 목적이다.
크기가 콤팩트한 상술된 형의 플라이백변성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플라이백변성기의 소자를 설치한 소자의 설치장치가 서로 관련된 소정의 간격으로 보빈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의 유지기를 가진다.
제 1 유지기는 제 2 유지기에 면하는 제 1 면을 가지고 제 1 면과 보빈간에 형성된다. 따라서, 소자는 제 1 및 제 2 계단에 앉게 되는 소자의 상대단을 가지고 제 1 및 제 2 면간에 압력으로 맞추어진다.
본 고안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양상이 같은 부분과 같은 참조번호를 표시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것의 양호한 실시와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제 5 도 및 제 6 도를 참조하면, 외부보빈(31)은 코일홈(9)과 분리홈(10)을 이루는 복수의 플랜지(8)를 가진다.
외부보빈(31)은 절편으로 구분된 2 차권선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각각의 코일 절편이 제 1 도와 관련하여 상술된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코일홈(9)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자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치가 분리홈(10)에 제공된 한쌍의 유지기(32) 및 (3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설치장치에 유지된 소자는 다이오우드이고 그것을 통하여 코일 절편이 직렬로 접속된다. 다이오우드(15)는 다이오우드 몸체와 다이오우드 몸체로부터 외부로 동축작으로 뻗은 한쌍의 도선(15a) 및 (15b)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유지기(32) 및 베이스부분(32a)과 아암(32b) 및 (32c)사이에 홈(36)을 이루는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상부로 평행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아암(32b) 및 (32c)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아암(32b) 및 (32c)는 서로가 공통으로 다른 유지기(33)에 면하는 유지면(38)(제 6 도)을 이루게 하는 면을 가진다. 유지면(38)밑에서 베이스 부분(32A)에는 V형 요홈의 계단(34)이 제공된다.
더우기 아암(32b) 및 (32c)의 면(38)은 유지기(32) 및 (33)간의 거리가 아암(32b) 및(32c)의 자유단으로 향하여 좁아지게 경사진다.
아암(32b) 및 (32c)의 상부단은 다이오우드의 삽입으로 입구가 넓어지게 경사진 면(32d)이 제공된다.
동일하게 우지기(33)는 베이스부분(33a)과 홈(37)을 이루는 한쌍의 아암(32b) 및 (32c)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부분(33a)에는 V형의 계단(35)이 형성되고 다른 유지기(32)에 향하는 아암(32b) 및 (32c)의 면(제 6 도)이 경사진다.
면(38) 및 (39)간의 거리는 다이오우드의 길이(K)보다 약간 짧고 각기 베이스부분(32a) 및 (33a)에 향하여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것에 주의 되어야 한다.
제 7 도를 참조하면 홈(36)의 폭(W)은 다이오우드 몸체로부터 동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도선(15a)또는 (15b)의 직경(D)보다 넓다. 따라서 홈(36) 및 (37)은 단순히 도선을 안내학 위하여 제공된다.
다이오우드의 단단한 고착과 지지는 아래에 설명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다이오우드는 다이오우드몸체의 바닥모서리(15c) 및 (15d)가 각기 계단(34) 및 (35)에 앉게 될 때까지 보빈(31)으로의 다이오우드 몸체에 대한 압력의 적용에 의하여 유지기(32) 및 (33)간에 삽입된다.
면(38) 및 (39)간의 거리는 그것의 상부단에서 길이(K)보다 약간 짧으므로 다이오우드의 상부단은 노닐수지로 만들어진 아암의 탄성에 의하여 아암(32b) 및 (33b)간과 역시 아암(32c) 및 (33c)간에 단단하게 유지된다.
면(38) 및 (39)는 경사지고 있으므로 유지압력(F1) 및 (F2)는 서로에 직접 향하지않고 다이오우드몸체의 상대 단면의 중앙에 대하여 비스듬히 향한다.
따라서 벡터(F1) 및 (F2)의 하강 벡터성분은 다이오우드 몸체에 억누르는 힘을 제공하여 V형 계단(34) 및 (35)에 대하여 다이오우드 몸체를 단단하게 압축한다.
더욱 특별하게 다이오우드의 바닥모서리(15c)는 계단(34)에 대한 압력으로 유지되고 바닥모서리(15d)는 계단 (35)에 대한 압력으로 유지된다.
더우기 계단(34) 및 (35)는 V형으로 절삭되어 있으므로 다이오우드는 도선(15a)또는 (15b)가 만곡되거나 않되는 일없이 중앙에 적합하게 위치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38)(또는 39)과 다이오우드 몸체의 대응하는 끝면간의 스페이스는 선행기술과 같이 넓지가 않다. 더욱이 아암은 바이어스력(F1) 및 (F2)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두께를 가지므로 그들은 비교적 얇게 만들어진다. 베이스부분이 역시 다이오우드 몸체밑에 부분적으로 놓여진다.
따라서 그들의 두께를 포함한 유지기(32) 및 (33)간의 전체 거리는 비교적 좁게 만들어져서 플라이백변성기의 소형화를 기할 수가 있다.
제 8 도를 참조하면, 한 수정이 표시되어 그들은 경사진면(38) 및 (39)를 만드는 대신에 면(38)과 다이오우드 몸체의 일단 면과의 사이 및 면 (39)과 동일의 타단면과의 사이를 압축하는 것에 의하여 면접촉을 가져오게 서로가 더욱 평행으로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서 힘(F1) 및 (F2)는 거의 서로에 대하여 직접 향한다.
면(38) 및 (39)의 하나는 경사지고 다른 면은 직립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상술된 실시 및 수정에서 계단(34) 및 (35)에 형성된 요홈은 원효형 요홈 또는 다각형 요홈과 같은 V형 요홈보다 다른 것으로 될 수 있다. 더우기 계단(34)또는 (35)는 평탄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도 및 제 2 도에 표시된 플라이백 변성기만 아니라 2 차권선의 출력을 정류하게 한 다이오우드만을 사용하는 형. 접지핀(21)과 2 차권선(12)간의 다이오우드를 사용하는 형, 또는 라인(22)과 2 차권선(12)간에 다이오우드를 않가지는 형과 같은 어느 다른 형에도 적용될수 있다.
더우기 본 고안은 도선을 가지지않는 다이오우드를 사용하는 플라이백 변성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유지기(32) 및 (33)의 홈(36) 및 (37)을 각기 제공할 필요는 없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지기(32) 및 (33)는 각기 계단(34) 및 (35)을 가지고 제공되고 그와 동시에 다이오우드몸체는 상대아암(32b) 및 (33b)간과 상대아암(32c) 및 (33c)간에 압력으로 맞추어지므로 다이오우드 몸체로부터 연장한 도선이 만곡될지라도 다이오우드몸체는 위치에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유지기(32) 및 (33)간의 거리도 역시 비교적 짧게 만들 수 있으므로 플라이백변성기의 크기를 감소시킬수 있다.
본 고안은 몇 개의 양호한 실시를 참조로 하여 완전히 설명되었지만 그것의 많은 수정과 변경이 이 분야에 훈련된 사람들에게 나타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양호한 실시의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의 범위 항에 의하여만 한정된다.

Claims (9)

  1. 플라이백 변성기의 소자를 설치하기 위하여 그것에 협동되는 보빈장치를 가진 소자설치장치에 있어서, 외부보빈(31)에 설치된 유지기(32)와, 이 유지기(32)와 관련되는 소정의 스페이스로 외부보빈(31)에 설치된 유지기(33)를 가지고, 이 유지기(32)는 유지기(33)에 면하는 유지면(38) 및 유지면(38)과 다이오우드(15)간에 형성된 계단(34)을 가지며, 유지기(33)는 유지기(32)에 면하는 유지면(39) 및 유지면(39)과 다이오우드(15)간에 형성된 계단(35)을 가지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다이오우드(15)가 계단(34)와 (35)에 앉게 되는 다이오우드의 상대단을 가지고 유지면(38)과 (39)간에 압력으로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백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34)와 (35)는 각각 V형 요홈으로 되는 플라이백 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34)와 (35)는 각각 원호형 요홈으로 되는 플라이백 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34)와 (35)는 각각 평행하게 되는 플라이백 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34)와 (35)는 각각 다각형 요홈으로 되는 플라이백 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면(38)과 (39)는 다이오우드(15)로부터 면 그것의 일단 부분의 유지면(38)과 (39)간의 거리가 상기 다이오우드의 길이 보다 약간 작고, 계단(35), (35)쪽으로 점차 넓어지면서 경사지는 플라이백 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면(38)와 (39)는 유지면(38)과 (39)간의 거리가 다이오우드의 길이에 동일하거나 약간 적게 서로 평행인 플라이백 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32)는 바닥부분과 아암(32b), (32c)간에 유지된 소정의 스페이스를 마련하고, 베이스부분(32a)으로부터 평행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아암(32b), (32c)을 가지며, 이 아암(32b), (32c)은 유지면(38)을 이루는 플라이백 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33)는 바닥부분과 아암(33b), (33c)간에 유지된 소정의 스페이스를 마련하고, 바닥부분으로부터 평행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아암(33b), (33c)을 가지며, 이 아암(33b), (33c)은 유지면(39)을 이루는 플라이백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KR2019900002570U 1984-03-15 1990-03-06 플라이백 (flyback) 변성기의 소자 설치장치 KR900008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2570U KR900008259Y1 (ko) 1984-03-15 1990-03-06 플라이백 (flyback) 변성기의 소자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384 1984-03-15
JP59050384A JPS60193309A (ja) 1984-03-15 1984-03-15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KR1019850001525A KR850006643A (ko) 1984-03-15 1985-03-11 플라이백(flyback) 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KR2019900002570U KR900008259Y1 (ko) 1984-03-15 1990-03-06 플라이백 (flyback) 변성기의 소자 설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525A Division KR850006643A (ko) 1984-03-15 1985-03-11 플라이백(flyback) 변성기의 소자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259Y1 true KR900008259Y1 (ko) 1990-09-10

Family

ID=2729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570U KR900008259Y1 (ko) 1984-03-15 1990-03-06 플라이백 (flyback) 변성기의 소자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2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3754A (en) Element installation arrangement for installing an element in a flyback transformer
US4363014A (en) Snap-on cover for bobbin-wound coil assembly
US4429358A (en) Flyback transformer
JPH03234006A (ja) 薄形トランス
US5815061A (en) Low cost and manufacturable transformer meeting safety requirements
EP0197698B1 (en) Inductance adjustment for transformers
US4271463A (en) High voltage transformer
KR900008259Y1 (ko) 플라이백 (flyback) 변성기의 소자 설치장치
EP0666579B1 (en) High-tension transformer
EP0561455A1 (en) Line output transformer
US2844761A (en) High voltage transformer
KR200176183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보빈과 포커스 팩의 전기적 접속 구조
JPH0412655Y2 (ko)
JPH08273954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ファーマー(fbt)の同期ケーブル結合装置
KR910001019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저압코일 권선용보빈
JPS62236365A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KR100266773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용 박막코일의 다이오드 접합구조
JPH0331051Y2 (ko)
JPS5932228Y2 (ja) 端子ピン
JPH0751786Y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H0426768B2 (ko)
JPH07283033A (ja) トランス
EP0286980A1 (en) High-voltage transformer
JPS6138395Y2 (ko)
JPH04126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