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116Y1 - 자동차용 백밀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백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116Y1
KR900008116Y1 KR2019880009534U KR880009534U KR900008116Y1 KR 900008116 Y1 KR900008116 Y1 KR 900008116Y1 KR 2019880009534 U KR2019880009534 U KR 2019880009534U KR 880009534 U KR880009534 U KR 880009534U KR 900008116 Y1 KR900008116 Y1 KR 900008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s
case
front case
reflector
centr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590U (ko
Inventor
윤성원
Original Assignee
윤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원 filed Critical 윤성원
Priority to KR2019880009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116Y1/ko
Publication of KR900000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백밀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유압실린더와 고정체를 분리한 일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횡단 평면도.
제 4 도는 동 작용상태를 나타낸 종단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공간부 60 : 중심지지체
61,16a : 유압실린더 6" : 구체
7 : 탄지스프링 8 : 조절밸브
본 고안은 백밀러의 경면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백밀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모우터의 동력으로 반사경이면 축설된 회전축을 회전시켜 반사경의 경면각도를 조정케한 자동차용 백밀러가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 71-1212호로 선제안된바 있었으나, 이는 너트와 회전축을 이용한 조정이므로 반사경이 상하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백미러의 좌우방향으로의 후방시야각도를 조정관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고 뿐만 아니라, 이는 기계적 작동에 의한 것이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발생율이 높으며, 백밀러 자체의 무게가 비교적 중량화되어 자동차용 백밀러로서는 적합치 않는 결점 및 반사경 자체가 회동되는 것이므로 반사경과 케이스 틈새로 빗물이나 눈등이 침투되어 구성부품등을 노화시키게 되는 결점등으로 실제 실용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백밀러의 반사경케이스와 착부사이의 목부에 주름부를 마련하고 그안에 케이스에 고정되는 반달형기어와 평기어 및 레버를 회전시키므로서 반사경의 후면경각도를 조정토록 한 것도 선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전술한 백밀러와 같이 상, 하방향으로 만 각도조정이 이루어질뿐 좌우방향으로는 각도조정이 전혀 되지 않는 결점과 아울러 기어들간의 치합상태 불량 및 레버의 고정상태 미비등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진동에 따라 각도 조정된 백밀러가 스스로 유동하게 되어 수시로 백밀러를 재차 각도 조정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야기시켰던 것이다.
본 고안은 운전석에서 간편하게 백밀러의 경면각도를 임의로 조정가능하게 하되 경면의 각도를 상하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은 물론 임의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하려는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원가 및 공정절감과 고장이 전혀 없게 하고 백밀러 자체 중량을 경량화하여 자동차용 백밀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게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지의 백밀러 케이스를 반사경이 고정되는 프론트케이스와 착부가 일체로 되는 리어 케이스로 양분하되 이들 사이를 주름부로 연결하고, 프론트와 리어케이스 사이의 내부공간에는 중심지지체와 공지의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이들을 삼각형 상의 지지방식으로 고정설치한 다음 이들 사이에 수개의 탄지스프링을 탄설시키므로서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진퇴에 의하여 중심지축을 중심으로 반사경이 취부되어 있는 프론트케이스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함에 따라 경면각도가 임의로 조정되게 안출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즉, 반사경(1)이 고정된 프론트케이스(2와 착부(3)가 일체로 연설된 리어케이스(2')를 굴신자재되는 주름부(4)로 연설, 구성하여 그 내부에 공간부(5)를 형성토록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5)에 임의회동을 가능케 하는 구체(6")가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각각 감입연결되고 양단의 접합체(6)(6')는 프론트케이스(2)와 리어케이스(2')의 대향 내면에 각각 착지되는 중심지지체(60)와 한쌍의 유압실린더(61)(61a)를 버팀 장설케하되 전기 중심지지체(60)는 공간부(5)의 선일축에 버림착지케 하고 유압실린더(61)(61a)는 제 5 도의 가상선도시와 같이 후측에서 전기 중심지지체(60)와 삼각지점을 형성하는 위치와 각각 버팀착지케 하며 전기 유압실린더(61)(61a)의 주위에는 수개의 탄지스프링(7)을 탄지 주설케하고 전기한 유압실린더(61)(61a)는 개폐노브(8')를 가진 별개의 공지한 조절밸브(8)와 오일공급관(9)으로 각각 연결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는 연통구, 10은 오일 공급라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절밸브(8)를 자동차의 운전석부위에 부착, 설치하고 전기 조절밸브(8)의 오일 공급라인(10)의 공지의 브레이크오일공급라인(도시없음)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공지한 브레이크 폐달(도시없음)을 밟은 상태로 조절밸브(8)의 개폐노브(8')를 누르거나 돌리면 오일공급라인(10)을 통해 조절밸브(8)로 진입되는 압축오일이 개방되는 연통구(8")와 오일공급관(9)을 통해 유압실린더(61)(61a)로 공급케 되고 또, 전기 브레이크페달의 누름력을 해지하면 유압실린더(61)(61a)로 공급된 압축오일이 배출케되는 것인바, 백밀러의 경면각도를 조정함에 있어, 먼저 경면을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정할시에는 전술한 요령으로 축방의 반사경(61)에 압축오일을 공급 및 배출시키게 되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지지체(61)를 중심으로 반사경(1)이 취부된 프론트케이스(2)의 우측부가 유동하게 되므로 반사경(1)의 각도조정되는 것이고 이와는 달리 상하방향의 각도조정필요시에는 하방축의 유압실린더(61a)를 작동시켜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지지체(60)를 중심으로 프론트케이스(2)의 하측부가 유동되게 함에따라 각도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중심지지체(60) 및 유압실린더(61)(61a)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체(6")를 각각 감입시킨 것은 중심지지체(60)를 중심으로 프론트 케이스(2)가 상,하좌우로 회동하는데 있어서 자유로운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탄지스프링(7)은 프론트케이스(2)에 탄력이 가해지도록 하므로서 주행중 프론트케이스(2) 및 이에 취부된 반사경(1)의 미세한 유동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간편한 조절밸브(8)의 조작으로 운전석에서 백밀러의 후방시야각도를 임의로 조정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 및 제조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반사경이 완전 취부된 프론트케이스를 움직여 경면을 각도 조정되게한 것이므로 빗물등이 케이스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백밀러 자체의 무게를 경량화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자동차용 백밀러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반사경(1)이 고정된 프론트케이스(2)의 착부(3)가 연결된 리어케이스(2')를 주름부(4)로 연설하여 내부에 공간부(5)를 형성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전기 공간부(5)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각각 구체(6")가 감입연결되고 양단의 접합체(6)(6')는 프론트케이스(2)와 리어케이스(2')의 대향 내면에 각각 착지되는 중심지지체(60)와 한쌍의 유압실린더(61)(61a)는 후측에서 중심지지체(60)와 삼각지점을 형성하는 위치에 각각 착지케 하고 유압실린더(61)(61a)를 버팀 장설하되 전기 중심지지체(60)는 공간부(5)의 선 일축에 착지케하고 유압실린더(61)(61a)는 후측에서 중심지지체(60)와 삼각지점을 형성하는 위치에 각각 착지케 하며 유압실린더(61)(61a)의 주위에는 수개의 탄지스프링(7)을 탄지 주설하고 전기한 유압실린더(61)(61a)는 개폐노브(8')를 가진 별도의 공지한 조절밸브(8)와 오일공급관(9)으로 각각 연결 구성하여서 된 자동차용 백밀러.
KR2019880009534U 1988-06-21 1988-06-21 자동차용 백밀러 KR900008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534U KR900008116Y1 (ko) 1988-06-21 1988-06-21 자동차용 백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534U KR900008116Y1 (ko) 1988-06-21 1988-06-21 자동차용 백밀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590U KR900000590U (ko) 1990-01-17
KR900008116Y1 true KR900008116Y1 (ko) 1990-09-03

Family

ID=1927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534U KR900008116Y1 (ko) 1988-06-21 1988-06-21 자동차용 백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1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590U (ko) 199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282B2 (en) Adjustable automotive airfoil
US5412512A (en) Remotely controlled mirror assembly and control system therefor
GB2109082A (en) A headlamp for vehicles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US4190326A (en) Motor controlled mirror positioning apparatus
KR900008116Y1 (ko) 자동차용 백밀러
US3640609A (en) Automatically controlled mirror
FR2840863A1 (fr) Phare de vehicule
BR9814642A (pt) Controle de tração e suspensão ativa
US2037303A (en) Universal joint unit
JPH04501990A (ja) 姿勢可変な駆動輪を具えた車両
JPS6337317Y2 (ko)
US3536382A (en) Automatically controlled mirror
US4573107A (en) Steerable spotlight assembly
US5412511A (en) Holding device for interior mirrors in vehicles
DE3327789A1 (de) Einstell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schweinwerfer
US4519677A (en) Power-operated vehicle mirror
JPH0318280Y2 (ko)
DE19709431A1 (de) Einrichtung zum Verstellen von Scheinwerfern bei Fahrzeugen
CN2138074Y (zh) 一种转向减速器
CN2673729Y (zh) 机动车大灯自动转向装置
WO1995031354A1 (de) Manövrier-scheinwerfer für mehrspurige fahrzeuge
CN2145137Y (zh) 随动转向汽车照明装置
CN2184607Y (zh) 机动车大灯自动转向装置
CN211600564U (zh) 照射角度可调的车灯和汽车
US1212642A (en) Dirigible head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