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928B1 - 국부발진장치 - Google Patents

국부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928B1
KR900007928B1 KR1019880700172A KR880700172A KR900007928B1 KR 900007928 B1 KR900007928 B1 KR 900007928B1 KR 1019880700172 A KR1019880700172 A KR 1019880700172A KR 880700172 A KR880700172 A KR 880700172A KR 900007928 B1 KR900007928 B1 KR 900007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power supply
supply voltage
variable capacitance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493A (ko
Inventor
히데유끼 이꾸하라
아끼라 우스이
카즈히코 쿠보
히로유끼 나가이
테쯔오 쿠쯔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70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1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805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coaxial reson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 H03J7/08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using varactors, i.e.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2201/00Aspects of oscillators relating to 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 H03B2201/02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 H03B2201/0208Varying the frequency of the oscillations by electronic means the means being an element with a variable capacitance, e.g. capacitance di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국부발진장치
근년, 자동차전화등, 이동통신에 800∼1000MHz 대를 이용한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으며, 그 통신기기의 국부발진기로서, 또 최근의 텔레비젼의 CATV화에 따라, 다 채널수신에 적합한 더블슈우퍼방식의 튜너의 고정국부발진기로서, 유전체세라믹을 사용한 동축공진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종래예의 국부발진장치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AFC검파회로의 일부분, (2)∼(10)의 트랜지스터, 및 (11)∼(17)의 저항은, AFC의 출력회로를 전류밀러형으로 구성한것을 도시한다. (18)은 AFC출력저항, (19), (22)는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에 전압을 인가하는 저항, (20), (21)은 AFC의 센터전압을 부여하는 저항으로서 (21)은 발진주파수를 조정하는 가변저항기, (24)는 직류저지용의 용량, (25), (26)은 결합용량, (27)은 유전체 공진기, (28)은 발진회로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먼저, 제2도는 본 발진장치에 관계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41)은 혼합기, (42)는 중간주파수증폭기, (43)은 AFC회로, (44)는 국부발진장치이다. 먼저 혼합기(41)는, 입력신호와 국부발진장치(44)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고, 그 차의 주파수의 중간주파신호를 출력한다. 이 중간 주파신호를 중간주파증폭기(42)에 의해 증폭한다. 중간주파증폭기(42)의 일부로부터 뽑아낸 중간주파신호는 AFC회로(43)에 입력된다. AFC회로(43)는 입력된 중간주파신호의 본래의 중간주파수로부터의 어긋남을 검출하고, 그 검출전압을 국부발진장치(44)에 부여하는 것이다.
다음에 AFC회로의 동작에 대해서 제3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Figure kpo00001
는 AFC검파특성을 표시한 특성곡선,
Figure kpo00002
는 AFC제어감도특성을 표시한 특성직선이다. 예를 들면 발진주파수의 어긋남에 의해서 프리이런 중간주파수가 f1과 같이 높은쪽으로 어긋나게 되면, AFC동작에 의해서 f2의 주파수에 끌려들어가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Figure kpo00003
의 AFC제어감도 특성은, AFC제어전압을 올리면 중간주파수를 올리는 방향의 기울기가 아니면 안된다. 따라서 국부발진주파수가, 제2도의 혼합기(41)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주파수보다 중간주파수분만큼 낮게 설정되는 아래쪽 헤테로 다인의 경우에는, 국부발진주파수의 변화는 AFC제어전압이 올라가면 주파수가 내려가도록 구성되지 않으면 않된다.
이상과 같은점을 고려하여, 제1도의 종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AFC검파회로의 일부를 표시하고 있으며, 단자 A, B에는 서로 역위상의 스위칭용의 중간주파캐리어신호가 입력되고, 또 단자 C, D에는 90°이상(移相)된 중간주파캐리어신호가 입력되어, 더블벨런스형 차동앰프에 의해, AFC 검파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 그 출력부하회로는 트랜지스터(2)∼(10), 및 저항(11)∼(17)에 의한 전류밀러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AFC 검파전압출력단 E의 DC전위는 외부에서 설정을 할수 있다. 즉, 전류밀러회로에 의해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전류 I1는 트랜지스터(7)의 콜렉터 전류 I2와 동등하고, 또 트랜지스터(9)의 콜렉터전류 I3와 동등하다. 한편, 트랜지스터(4)의 콜렉터전류 I4는 트랜지스터(6)의 콜렉터전류 I5와 동등하다. 따라서 차동앰프가 완전히 벨런스되어 있으면 I1=I2로 되므로 I3=I5가 되며, 단자 E로부터 외부회로를 접속하여도, 외부와의 전류의 주고받기가 없어진다. 따라서 단자 E의 DC전위 즉 AFC의 센터전압을 외부로부터 자유로히 설정할수 있게 된다.
한편, (27)은 유전체를 사용한 동축공진기이며, 중심도체 부분으로부터 결합용량(26)을 통해서 발진회로(28)에 접속되어있다. 또 동축공진기(27)는 결합용량(25)을 통해서, AFC제어 및 발진주파수를 조정하는 회로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동축공진기(27)를 사용한 발진회로는, 예를 들면 "National Technical Report" 1985년 4월호 115∼123페이지, 특히 그 제20도 a에 기재되어 있다. AFC전압출력단자 E에는, 저항(20)(21)의 분할전위를 인가하므로서 AFC의 센터전압을 설정하는 동시에 저항(21)을 가변하므로서, 소망의 발진주파수로 조정할수 있다. 이 출력단자 E는 저항(19)을 통해서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양극에 접속된다. 또,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음극쪽은 용량(24)에 의해 교류적으로 접지되고, 저항(22)에 의해 전원전압 Vcc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동축공진기(27)는, 등가적으로는 LC(인덕턴스와 용량)의 병렬공진기로 생각할수 있으며, 따라서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에 의한 병렬용량이 증대하면, 동축공진기(27)와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를 포함해서 결정되는 발진주파수는 낮은쪽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제1도와 같은 접속으로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AFC전압이 올라가면,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용량이 증대하여, 발진주파수가 내려가고, 따라서 중간주파수는 높아져서, 제3도
Figure kpo00004
와 같은 변화를 얻을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전원전압 VCC변동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저항(20), (21)의 값을 각각 R20, R21,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양극쪽의 전위, 음극쪽의 전위를 각각 VA, VK로 하면,
VA= R21·VCC/ (R20+R21)(3)
VK=VCC(4)
도 되어,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양단에 걸리는 전위차 VCD
VCD=VK-VA(5)
=R20·VCC/(R20+R21)
로 된다.
상기식 (5)은 전원전압 VCC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용량이 전원전압 VCC의 변동에 의해 변화하고, 발진회로(28)의 발진주파수로 전원전압변동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문제가 컸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전원전압의 변동의 영향을 받지않는, 주파수의 안정된 국부발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국부발진장치는, AFC회로의 출력단자를 저항을 개재해서 가변용량다이오우드의 일단에 접속하고 이 일단을 교류적으로 접지함과 동시에 타단을 용량을 개재해서 유전체동축공진기에 접속함과 동시에, 전원전압과, 전원전압으로부터 정(定)전압다이오우드 등을 사용해서 일정전위만큼 강하한 전압과의 전위차를 상기 가변용량다이오우드에 부가하도록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국부발진장치에 의하면, 전원전압의 변동이 발생하여도 AFC의 센터전위도 같은 전위변동분만큼 변화하게되어, 가변용량다이오우드의 양단에 걸리는 전위차는, 전원전압과 AFC의 센터전위와의 차로 결정되므로서, 일정한 전위차가 된다. 따라서, 가변용량다이오우드의 용량도 전원전압의 변동에 대해서 일정하게 되고, 발진주파수도 전원전압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은, 더블슈우퍼방식의 튜너나, CATV용의 콘버어터의 고정국부발진기로서 사용되는 국부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국부발진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동 발진장치를 포함하는 관련회로의 블록도.
제3도는 AFC특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국부발진자장치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국부발진장치를 표시한 것이다. 제4도에 있어서, (31), (32)는 AFC의 센터전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 가변저항기, 저항, (33)은 정전압다이오우드, (34)는 정전압다이오우드(33)에 전류를 흐르게하기 위한 저항, (35)는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양극에 전압을 부여하기 위한 저항, (36)은 직류분 저지용의 용량이다. 또한, (1)은 AFC회로의 일부, (2)∼(10)은 전류밀러용 트랜지스터, (11)∼(17)은 전류밀러용 저항, (18) ∼(22)는 저항, (23)은 가변용량다이오우드, (25), (26)은 결합용량, (27)은 유전체를 사용한 동축공진기, (28)은 발진회로이며, 이상은 제1도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국부발진장치에 대해서, 이하 작용을 설명하나, 트랜지스터(2)∼(10)로 구성되는 부분은 종래예인 제4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유전체를 사용한 동축공진기(27)는, 중심도체부분으로부터 결합용량(26)을 통해서 발진회로(28)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동축공진기(27)는 결합용량(25)을 개재해서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음극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22)을 개재해서 전원전압 VCC에 접속되어 있으며,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음극전위가 설정된다.
한편, AFC의 출력단자 E는 저항(35)을 통해서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양극쪽에 접속되고, 가변용량 다이오우드(23)의 양극쪽은 결합용량(36)을 개재해서 접지된다. 또 AFC의 출력단자 E는 가변저항기(31)를 개재해서 전원전압 VCC에 접속되는 동시에, 저항(32)을 통해서 정전압다이오우드(33)의 양극쪽에 접속된다. 또 정전압다이오우드(33)의 양극쪽은 저항(34)을 개재해서 접지접속되고, 음극쪽은 전원전압 VCC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AFC의 센터전위는 저항(31),(32)의 저항분할비에 의해서 결정된다. 지금 저항(31), (32)의 저항치를 각각 R31, R32,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양극쪽의 전압, 음극쪽의 전압을 각각 VA, VK, 정전압다이오우드(33)의 음극, 양극간의 전위차를 VZ라 하면,
Figure kpo00005
로 되어,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양단에 걸리는 전위차 VCD는,
Figure kpo00006
가 된다. 상기 식(8)은 전원전압 VCC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원전압 VCC의 변동에 대해서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용량은 변화됨이 없이 일정치로 된다.
따라서, 발진회로(8)의 발진주파수도 전원전압 VCC의 변동에 대해서 변화하는 일없이 일정하게 되고, 그영향은 전혀 받지 않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항분할비에 의해서 결정되는 AFC센터전위를, 전원전압을 기준으로한 정전압다이오우드에 의한 일정전위강하분과, 전원전압과의 저항분할비로 설정하도록 하므로서, 전원전압의 변동에 의한 발진주파수의 변동을 방지할수 있으며, 더블슈우퍼방식의 튜너나 CATV용 콘버어터의 국부발진회로에 사용하는데 호적하다.

Claims (2)

  1. 유전체동축공진기를 사용한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동축공진기의 중심도체에 용량을 개재해서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교류적으로 접지된 가변용량다이오우드와, 이 가변용량다이오우드의 타단에 제1의 저항을 개재해서 접속된 주파수 제어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1의 저항과의 접속점에 전원전압단으로부터 소정의 전위강하분만큼 낮은 제1기준전위를 부여하는 수단과, 상기 가변용량다이오우드의 일단을 제2의 저항을 개재해서 상기 전원전압단에 접속하는 수단을 가지고 구성된 국부발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제어회로의 출력부하회로가 전류밀러형의 출력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발진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전위를 부여하는 수단은, 일단이 상기 전원전압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3의 저항을 개재해서 접지되어 있는 정전압다이오우드와, 직렬로 접속되어 그 직렬회로의 양단이 상기 정전압다이오우드의 양단간에 접속되고 또한 그 직렬회로의 중간접속점이 상기 주파수제어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1의 저항과의 접속점에 접속된 제4, 제5의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발진장치.
    요약서
    본 발명은, 더블슈우퍼방식의 튜너나 CATV용 콘버어터의 고정국부발진회로로서 사용되는 유전체동축공진기(27)를 사용한 국부발진장치에 있어서, 이 유전체 동축공진기(27)의 중심도체에 용량(25)을 개재해서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교류적으로 접지된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에 제1의 저항(35)을 개재해서 주파수제어회로의 출력단자(E)로부터 AFC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전원전압(VCC)으로부터 소정의 전위강하분만큼 낮은 제1기준전위(VA)를 부여하고, 이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일단을 제2의 저항(22)을 개재해서 전원전압(VCC)단에 접속하도록한 것으로서, 전원전압(VCC)의 변동이 있어도 가변용량다이오우드(23)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변화하지 않도록하여 발진주파수의 변동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KR1019880700172A 1986-06-20 1987-06-18 국부발진장치 KR900007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5291 1986-06-20
JP61145291A JPH0787345B2 (ja) 1986-06-20 1986-06-20 局部発振装置
PCT/JP1987/000397 WO1987007991A1 (en) 1986-06-20 1987-06-18 Local oscill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493A KR880701493A (ko) 1988-07-27
KR900007928B1 true KR900007928B1 (ko) 1990-10-23

Family

ID=1538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172A KR900007928B1 (ko) 1986-06-20 1987-06-18 국부발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35492A (ko)
JP (1) JPH0787345B2 (ko)
KR (1) KR900007928B1 (ko)
DE (2) DE3790316T (ko)
GB (1) GB2199709B (ko)
WO (1) WO1987007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14763A0 (fi) * 1991-10-09 1991-10-09 Nokia Mobile Phones Ltd Kompensering av en spaenningsstyrd olineaer komponent i en radiotelefon.
US5418503A (en) * 1993-03-08 1995-05-23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Compensation of transient frequency drift in oscillator circuits
EP1638202A1 (en) * 2004-09-21 2006-03-22 Dialog Semiconductor GmbH Oscillator with controlled current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9129B2 (de) * 1971-08-11 1979-03-29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Schaltung zur erzeugung einer stabilisierten abstimmspannung fuer geraete der elektrischen nachrichtentechnik und zur automatischen nachstimmung durch eine steuerspannung
JPS5838646Y2 (ja) * 1974-12-20 1983-09-01 三洋電機株式会社 Uhf チユ−ナノハツシンソウチ
JPS54122705U (ko) * 1978-02-16 1979-08-28
JPS54122705A (en) * 1978-03-15 1979-09-22 Youji Kikata Producing lumber from small diameter wood
JPS5927614A (ja) * 1982-08-07 1984-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fc回路調整装置
DE3304181A1 (de) * 1982-10-05 1984-04-05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Afc-abstimmschaltung
JPS6074335U (ja) * 1983-10-27 1985-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ジオ受信機のafc回路
JPS6221304A (ja) * 1985-07-22 1987-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局部発振器
JPH05181055A (ja) * 1991-12-27 1993-07-23 Olympus Optical Co Ltd 焦点検出装置
JPH0674335A (ja) * 1992-08-26 1994-03-15 Kubota Corp ベルト式変速装置
JPH0762853B2 (ja) * 1993-02-03 1995-07-05 日本電気株式会社 状態遷移図マクロ接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493A (ko) 1988-07-27
GB8803235D0 (en) 1988-03-30
DE3790316T (ko) 1988-06-23
DE3790316C2 (ko) 1991-12-12
US4835492A (en) 1989-05-30
WO1987007991A1 (en) 1987-12-30
GB2199709B (en) 1990-04-18
JPH0787345B2 (ja) 1995-09-20
JPS632416A (ja) 1988-01-07
GB2199709A (en) 1988-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8728B1 (en) Ceramic resonance type electrostatic sensor apparatus
US6538498B2 (en) Gm-C tuning circuit with filter configuration
US3673499A (en) Combined tuning and signal strength indicator circuit with signal strength indication derived from each if amplifying stage
US4590417A (en) Voltage controlled diode attenuator
CA1153076A (en) Resonator coupled differential amplifier
US4492934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linear characteristic
EP0435472B1 (en) Active filter
US3469195A (en) Detector and agc circuit stabilization responsive to power supply changes
EP0086026A2 (en) Integrated notch filter
US4749951A (en) Low-pass filter circuit with variable time constant
KR900007928B1 (ko) 국부발진장치
US4660002A (en) High frequency oscillator using a diode for frequency switching and FM modulation
KR880001978B1 (ko) Fm 수신기용 회로장치
JPS6113644B2 (ko)
US3346805A (en) Variable tau-network attenuator using varactor diodes
EP0351153A2 (en) Frequency modulator
EP0547782B1 (en) Diode mixer
US3174111A (en) Twin-t filter with negative feedback
US5530391A (en) Filter circuit with a resonator operated in series resonance
US4797638A (en) Oscillator including a transistor used both as constant current source and amplifier
US6545554B1 (en) Differential oscillator
US3510580A (en) Gain controlled transistor amplifier with constant bandwidth operation over the agc control range
US3832656A (en) Tuning circuit wherein variation of transistor base bias causes variation of resonance frequency
US4136289A (en) Phase control circuit and oscillator circuit using it
EP0067166B1 (en) Variable capacitanc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