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22Y1 -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 Google Patents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22Y1
KR900007722Y1 KR2019860017713U KR860017713U KR900007722Y1 KR 900007722 Y1 KR900007722 Y1 KR 900007722Y1 KR 2019860017713 U KR2019860017713 U KR 2019860017713U KR 860017713 U KR860017713 U KR 860017713U KR 900007722 Y1 KR900007722 Y1 KR 900007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slide shaft
support
movable suppor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58U (ko
Inventor
히로지 다까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즈미 세이기 세이샤구쇼
이즈미 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즈미 세이기 세이샤구쇼, 이즈미 쥰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즈미 세이기 세이샤구쇼
Priority to KR2019860017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722Y1/ko
Publication of KR880010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0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12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 cl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박리공구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일부를 단면으로 보인 본 고안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외부 사시도.
제6도는 전선 협지부에 있어서의 가동지지체의 이동 설명도.
제7도-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지지체 2 : 가이드 케이스
3 : 메인 프레임 6 :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
10 : 고정핸들 11 : 커터
14 : 물림량 조정부 23 : 가동 지지체
24 : 지지판 26 : 조정나사
본 고안은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특히 슬라이드 샤프트 및 가동 지지체 등에 개량을 한 박리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종류의 전선피복의 박리공구로서는 일본국 실. 공. 소59-3609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대략 환형 형상의 슬라이드 샤프트를 가지는 베이스 지지체와 그 슬라이드 샤프트에 고정되어 전기 베이스지지체에 대향하여 개폐 및 고정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지지체와 전기 베이스지지체에 부착된 커터의 후단부에 대접시켜 전선피복으로의 물림량을 조정하는 물림량 조정부에 의해 구성된 박리공구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전선피복의 박리작업을 하였을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첫째, 베이스지지체와 가동지지체를 연결하고 있는 슬라이드 샤프트가 대략 환형 형상의 샤프트이기 때문에 가공상의 정도오차나 사용중의 마모등이 있었을 경우, 둘레방향으로 덜그덕거리기 쉽고 이 결과 베이스지지체와 가동 지지체와의 대접위치에 간격이 생기고 커터칼끝이 전선피복으로 잘라 들어가기 시작하는 위치차이가 생기고 물림량이 변화하여 피복의 박리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둘째, 종래의 공구에는 전선피복에 대한 커터의 물림위치를 조정하는 기구가 없었기 때문에 상기 쌍방의 지지체에 간격이 생긴 경우나 커터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셋째, 커터가 베이스 지지체의 한쪽에 부착된 구조이기 때문에 피복 박리시에 커터의 부착축이 편하중(偏荷重)을 받아 축이 휘어지거나 커터와 측간에 마모가 발생하여 박리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 문제점을 해결하고 베이스 지지체와 가동지지체와의 오차를 극히 작게함과 동시, 전선피복에 대한 커터의 물림 위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또 커터 취부부의 강성을 높혀 항상 정확한 박리작업이 가능한 박리공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1)편평한 수면을 가지는 베이스 지지체와 슬라이드샤프트에 고정된 전기 베이스지지체와 대향으로 설치하여서 되는 커터등을 가지는 전선피복의 박리공구에 있어서, 전기 슬라이드 샤프트를 각형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슬라이드 샤프트의 소정위치에는 지지판과 그 지지판을 협지하여 전기 가동지지체를 감삽고정하고, 그 가동지지체의 슬라이드 샤프트로의 감삽구부에는 그 가동지지체가 슬라이드 샤프트의 직각방향이며, 또 전선협지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정대를 설치하는 한편, 전기커터는 베이스 지지체에 형성된 단면 그 자상의 커터 취부부의 공간부에 위차형 그 공간부를 삽통하는 핀에 의해 부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피복의 박리공구이며, (2)또, 전기 가동지지체의 전선협지부에 대략 U자상의 협지면을 가지는 전선협지부재를 요동 및 고정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피복의 박리공구로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박리공구에 의하면, 베이스지지체에 설치하여서 되는 슬라이드 샤프트를 각형 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습동면적이 증가하고 마모등에 의한 베이스지지체와의 간격오차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만일 오차가 생겼을 경우에도 가동지지체와 슬라이드샤프트간에 설치한 조정간격에 의하여 가동지지제를 슬라이드 샤프트의 직각방향으로 움직일 수가 있으므로 커터의 전선피복에 대한 잘라드는 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커터는 베이스 지지체에 형성된 단면 그 자상의 커터 취부부에 위치하여 이것을 삽통하는 축에 의해 양쪽이 지지되게끔 지지되어 있으므로 강성이 높아진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되는 박리공구의 외관사시도이며, 제2도는 일부단면의 정면도, 제3도는 동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한쪽면에 전선의 협지부(1A)를 가지는 베이스지지체로 그 일측방(도면중 우측)에는 장방형상으로 중공상의 가이드케이스(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케이스(2)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지지체(1)에 형성된 요(凹)부에 감합하여서되는 메인프레임(3)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케이스(2)내에는 스프링(4)가 내장되고, 이 스프링(4)는 가이드케이스(2)의 저부에 삽통된 핀(5)에 계지됨과 동시, 다른단은 가이드케이스(2)내를 습동하는 각형의 슬라이드 샤프트(6)의 단부에 삽통하여서 되는 스프링핀(7)에 계지되어, 각형의 슬라이드 샤프트(6)를 도면중 우측으로 탄력있게 하였다.
또, 가이드케이스(2)의 윗면에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장공(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2A)로부터 상기 스프링핀(7)의 입단이 돌출하고, 장공(2A)의 양단부에 핀(7)이 접하였을 때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의 최대 스트로오크로 된다.
상기 지지체(1)의 요(凹)부 메인프레임(3)상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록크블록(8)이 메인프레임(3)을 체결하는 나사(9), (9)…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선단부는 제4도와 같이 각형 슬라이드샤프트(6)에 대접하게 되어 있다.
또, 베이스지지체(1)의 일측면에는 단면 그 형상의 커터 취부부(1B)가 형성되고 이 그 자상 공간부에 커터(11)이 그 공간부를 관통하는 스핀들핀(12)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커터(11)는 그 커터(11)의 칼끝이 상기 스핀들핀(12)에 감겨진 스프링(13)에 의해 후술하는 가동지지체(23)의 대략 U자상 협지부(23A)의 대략 중심위치에 경사하여 돌출하도록 탄력있게 함과 동시에 협지부의 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리이드 각을 가지며, 또 협지한 전선의 피복원주면에 직교하여 접선상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커터(11)의 칼끝은 전선피복에 물어들기 쉽게 하기위해 반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물고난 후에는 칼끝의 이동으로 자연히 피복의 축선 방향으로 물고 들어가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각형 슬라이드샤프트(6)를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동시키고, 협지부(23A)와 후술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1) 사이에 피복된 전선을 삽입한 다음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를 복귀시키고 고정핸들(10)을 돌려 고정시킨다.
다음, 전선 또는 본기기를 당기면 커터(11)에 의해 피복이 박리되는 것으로 커터의 물림량 및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한편, 상기 그 자상으로 형성된 커터 취부부(1B)에는 물림량 조정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물림량조정부(14)는 베이스 지지체(1)에 삽입되어 스프링 핀(15)에 의해 지지하여서 되는 스핀들 핀(16)과 그 핀(16)에 스프링(17)을 개재시켜 회동자재로 감삽하여서 되는 조정집게(18)과 그 조정집게(18)과 일체 형성되어서 상기 그 자상 공간부에 위치하고 있는 다단 캠(19)가 전기 커터(11)의 후면부에 대접하므로서 커터(11)의 피복에 대한 물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절집게(18)을 원하는 위치(도면중 1, 2, 3, 4중 택일)에 놓게 되면 조절집게(18)와 다단캠(19)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조절된 단수의 캠이 커버(11)의 배면을 밀어두게 되므로서 커터의 돌출 위치 즉, 전선피복의 물림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부호 20은 강구로 다단캠(19)와의 감함에 의해 물림량 조정후에 캠(19)가 쉽게 회동하지 않도록 계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베이스 지지체(1)의 협지부(1A)에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선의 수면으로 되는 편평한 베이스 플레이트(21)이 나사(22)에 의하여 고정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케이스(2)의 반대측에 돌출하고 있는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에는 전기 베이스지지체(1)과 대향하여 가동지지체(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동지지체(23)에는 대략 U자상의 협지부(23A)가 전기 베이스지지체(1)의 베이스플레이트(21)에 상대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전선은 이 협지부(23A)와 베이스플레이트(21)간에 협지되게 된다.
가동지지체(23)의 각형슬라이드 샤프트(6)에 대한 취부형태는 단면 그 형상으로 형성된 가동지지체(23)의 공간부에 지지판(24)를 삽입 협지시킨후, 상기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을 삽통하여 가동지지체(23)을 전기 베이스지지체(1)에 대접시킨다.
그리고 지지체(24) 및 가동지지체(23)은 제3도와 같이 스프링 핀(25) 및 조정나사(26)의 삽입에 의하여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고정됨과 동시에 쌍방은 고정나사(27)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가동지지체(23)을 제2도에 이점쇄선과 같이 확개하면 각형 슬라이드샤프트(6)는 가이드 케이스(2)내의 스프링(4)에 대항하여 가이드케이스(2)내를 습동하게 된다. 또 확개하여 전선을 협지한 후는 고정핸들(10)을 조이므로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판(24)는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에 대하여 정밀한 감합대를 가지고 감삽되도록 되어 있으나, 가동지지체(23)의 감삽구부에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가동지지체(23)이 슬라이드 샤프트(6)에 대해 직각방향(도면중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간격(S)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S)는 전선이 협지부(23A)에 협지되었을 때 커터(11)에 대한 전선피복의 자르기 시작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간격이며, 조정하는 경우는 전기 고정나사(27)을 느슨하게한 후, 조정나사(26)을 회동하여서 행한다.
즉,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프링 핀(28)에 의하여 탄력있게 지지되어 회동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조정나사(26)은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을 나삽관통하여 그 선단부가 가동지지체(23)과 대접상태에 있으므로 각형 슬라이드샤프트(6)이 나선상으로 이동하므로해서 간격(S)분 만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지지체(23)은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에 상대하여 지지판(24)상을 상기 (S)분 이동한 것이된다.
이때 가동지지체(23)에 감합하여서 되는 지지판(24)는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에 고정상태에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가동지지체(23)이 이동하므로서 베이스지지체(1)에 설치되어 있는 커터(11)과 전선과의 위치관계도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이 생기게 된다.
즉, 베이스지지체(1)과 가동지지체(23)간에 협지되는 전선(29)에 대한 커터(11)의 칼끝의 자르기 시작위치를 도시한 이점쇄선과 같이 가동지지체(23)를 이동시켜서 전선(29)의 협지위치를 간격을 주게 하므로서 조정간격(S)의 범위내에 있어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작상의 정밀도 부족 및 오랜사용으로 가동지지체 및 베이스플레이트의 마모나 커터날이 마모로 간격이 생겼을 경우에도 조정나사(26)를 돌려 조절간격(S) 내에서 가동지지체(23)를 이동시키므로서 협지부(23A)의 위치 즉, 커터의 물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자르기 시작위치의 조정방법은 상기 외에 예를 들어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즉, 제7도에 도시하는 것은 각형 슬라이드 샤프트(6)에 고정되는 가동지지체(30)의 전선협지부에 협지부재(31)을 축(32)를 지점으로 하여 오동 및 고정자재로 부착한 것으로 전선(33)의 협지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는 도의 이점쇄선과 같이 협지부(31)을 움이므로서 조정간격(S)가 형성되게 된다.
또, 제8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하는 것은 커터자체를 이동하도록 한 예이다.
즉,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베이스지지체(34)의 일측방에 요철(凸)상의 단부를 형성하고, 이 단부에 그 자상의 커터지지브라켓(35)를 감합시켜 나사(36)에 의하여 쌍방을 고정한다.
커터(11)은 브라켓트(35)에 핀(37)에 의하여 부착된다.
또, 나사(36)이 삽통하는 요철(凸) 상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조정간격에 해당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커터지지 브라켓트(35)는 나사(36)을 풀어 주므로서 요철(凸)상 단부상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트(35)를 이동하면 커터(11)의 칼끝은 제9도에 이점쇄전과 같이 소정의 칫수(S)만큼 이동하므로서, 이 결과 전선피복의 협지중심선(C)에 대한 커터(11)의 위치도 벗어나서 피복에 대한 자르기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 의하여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박리공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슬라이드 샤프트를 각형 형상으로 하므로서, 종래의 환형 형상의 것에 비해 덜그덕 거리는 발생율이 극히 적어지고, 이 결과 확실하고 안정된 박리작업을 할 수 있는 데다가 공구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2) 가동지지체에 슬라이드지지체와 직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조정대를 설치하므로서 전선피복에 대한 커터의 자르기 시작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커터 칼끝의 마모나 만이 덜그덕 거리기가 생겨도 언제나 최적의 자르기 위치에 조정할 수가 있으므로, 커터의 교환 사이클이 길어져서 코스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3) 커터를 베이스 지지체에 형성된 단면 그 자상의 취부부에 핀에 의하여 양쪽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한쪽이 지지되는 커터에 비하여 강도 강성이 높으며, 다라서 마모나 휩에 의해 전선피복에 대한 커터의 자르기 위치가 벗어나는 일도 없다.

Claims (2)

  1. 편평한 수면(受面)을 가지는 베이스지지체와 슬라이드 샤프트에 고정되어 전기 베이스지지체에 설치하여서 되는 커터등을 가지는 전선피복의 박리공구에 있어서, 전기 슬라이드 샤프트를 각형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슬라이드 샤프트의 소정위치에는 지지판과 그 지지판을 협지하여 전기 가동지지체를 감삽고정하고 그 가동지지체의 슬라이드 샤프트의 감삽구부에는, 그 가동지지체가 슬라이드 샤프트의 직각방향이며, 또 전선협지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조정대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커터는 베이스 지지체에 형성된 단면 그 자상의 커터 취부부 공간부에 위치하여 그 공간부를 삽통하는 핀에 의하여 부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2. 전기 가동지지체의 전선 협지부에 대한 U자상의 협지면을 가지는 전선협지부재를 요동 및 고정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1항에 기재하는 전선피복의 박리공구.
KR2019860017713U 1986-11-13 1986-11-13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KR900007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713U KR900007722Y1 (ko) 1986-11-13 1986-11-13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713U KR900007722Y1 (ko) 1986-11-13 1986-11-13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58U KR880010758U (ko) 1988-07-28
KR900007722Y1 true KR900007722Y1 (ko) 1990-08-23

Family

ID=1925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713U KR900007722Y1 (ko) 1986-11-13 1986-11-13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7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58U (ko) 198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199B1 (ko) 케이블 스트리핑 공구
US9592623B2 (en) Rip fence having dual adjustment for a power tool
RU2023546C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удаления заусенцев
JPH08505093A (ja) 切削プレートのための締めつけ保持器
JP2005040822A (ja) ばね製造機の線材切断装置
KR900007722Y1 (ko) 전선 피복의 박리공구
KR0143979B1 (ko) 열적으로 트립 기능한 회로 차단기
US5125773A (en) Boring bar
US4583391A (en) Adjustable gage stop
CN213829002U (zh) 一种角度可调的机械手固定夹具
JPH0545053Y2 (ko)
JP4685981B2 (ja) ばね製造機の線材切断装置
JPH08163728A (ja) 電線切断工具
US6099210A (en) Tool holder with pivotal adjustment
JPH0520492Y2 (ko)
CN211828299U (zh) 一种新型的刀架旋转终止位置可调节的电线剥皮机
JP4204749B2 (ja) 丸鋸機
JPH0319342Y2 (ko)
JP2576544Y2 (ja) 溶接ワイヤ送給装置
JPH06155113A (ja) 切削加工用工具
JPS633749Y2 (ko)
KR100189568B1 (ko) 공작물 셋팅용 보조 치구
JPS6338972Y2 (ko)
JPH09123115A (ja) 携帯用丸鋸
JP4511256B2 (ja) ばね製造機の線材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