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12B1 -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12B1
KR900007712B1 KR1019870012867A KR870012867A KR900007712B1 KR 900007712 B1 KR900007712 B1 KR 900007712B1 KR 1019870012867 A KR1019870012867 A KR 1019870012867A KR 870012867 A KR870012867 A KR 870012867A KR 900007712 B1 KR900007712 B1 KR 900007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indow
control
data
public telephon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156A (ko
Inventor
진도성
Original Assignee
김지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해 filed Critical 김지해
Priority to KR101987001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712B1/ko
Publication of KR89000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간략화 플로우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거리 자동공중전화기 2 : 표시창(DIS)
3 : 표시창제어검출회로 4 : 제어부(IC1)
5 : 프린터포트 6 : 시계부(IC2)
L6: 전송라인군 L13: 제어라인군
LB: 전원라인군
본 발명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시내외의 장거리 자동공중전화기(D.D.D)의 표시창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중전화기의 관리운용을 과학화, 합리화되게한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거리 자동공중전화기(이하 공중전화기라함)는 단순히 수금원이 공중전화기내의 금고(coin box)를 인출하여 전화국에 입금하게 되어있는데 그 총수납액만을 파악하게 되어 있으므로 공중전화기의 총통화량, 잔여금액등의 관리운영에 필요한 자료를 알수가 없었으며, 더우기 동전결손, 수금액누출등의 경우에도 그 사실을 인지할 수 없어 정확한 사용실태를 파악하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그 관리운영이 비효율적이고 비합리적이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거스름돈이 나오지 않으므로 이용자가 필요이상의 요금을 지불하게 되거나 통화를 하게 되어 통화회선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었으며, 상기 거스름돈이 나오는 반환장치를 공중전화기에 장설한 경우 그 경비가 막대하게 되고 잦은 고장에 발생케되는 우려가 있어 공중전화기의 보수관리가 매우 번잡하게 되므로 실용화가 곤란하였다.
이와같이 정확한 통화도수, 통화료, 잔액등의 산출이 불가능하고 수금원에 의해 입금되는 총수납액만을 가지고 그 사용실태를 알게되는 비과학적인 관리운영이었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코저 계산기, 적산기 및 기억장치와 소형프린터로 구성되어 동전의 투입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고 적산기억케하여 수금원이 공중전화기의 금고를 인출하면 금고의 키스위치의 접점에 의해 기억장치에 기억된 최종합계액과 동전수거일시, 총합계액등을 공중전화기에 내장시킨 프린터에 의해 자동인쇄되도록한 것도 있었으나, 이는 단순히 금고에 수납된 금액만을 산출할뿐 이 역시 전화통화 도수에 의한 정확한 통화량, 통화액, 잔액등의 산출이 불가능할뿐만 아니라, 금고의 총수납액이 자동인쇄되도록 공중전화기마다 고가의 프린터를 장착하여야 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소코저 창출된 것인데, 기존 공중전화기의 기본설계 및 제작, 회로를 변경함이 없이 그 표시창만을 개량하여서 된 것으로, 표시창, 검출회로, 제어부, 프린터포트, 시계부로 구성되어서 금고내의 총수납금액, 통화료잔액, 총통화도수를 산출함은 물론 임의의 기간(예컨대 30일간)내의 상기 데이터를 적산하고 휴대용프린터를 이용하여서 임의로 인쇄케 된 것으로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에 있어서, 1은 공지의 공중전화기(D.D.D)이고, 2는 7세그멘트로 구성된 표시창(DIS)이며, 3은 상기 표시창(2)을 제어·검출하여 제어부(IC1)에 데이터를 전달하고 표시창(2)을 구동시키는 표시창제어·검출회로(IC4)(IC5)이다. 4는 제어회로로서, 상기 표시창제어·검출회로(3)와 시계부(6) 프린터포트(5)등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연산·기억처리하고 상기 표시창제어·검출회로(3), 시계부(6), 프린터포트(5)에 제어명령을 내린다. L6는 긴급통화버튼, 재발신버튼 및 다이얼의 데이터전송라인군이고, L13는 공중전화기(1)의 기존회로의 제어라인군이며, LB는 전원라인군이다.
상기의 시계부(6)는 일정기간(예컨대 수년-수십년)의 카렌더가 기억되고 제어부(4)의 매데이터를 기억시키며 필요시 제어부(4)에 의해 판독토록 된다. 또한 표시창제어·검출회로(3)는 기존의 표시창(2)으로 연결되는 제어라인군(L13)과 표시창(2)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라인군(L13)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검출하고 제어부(4)에 전송하여 현재의 투입되는 금액, 통화도수, 잔액등의 정보를 제어부(4)에서 연산처리하고 제어부(4)내의 임시기억회로(도시치 않음)에 기억된다.
또한, 상기 표시창제어·검출회로(3)에 의한 데이터에 의해 표시창(2)의 구동명령을 내리거나 상기 제어라인군(L13), 표시창(2)에 이상이 검출되면 공중전화기(1)의 회선을 차단시킨다.
상기 프린터포트(5)는 수금원이 금고를 인출시에 공지의 휴대용프린터(일예로 일본 세이코전자공업(주) 제품인 MTP102-16BM 등이 있다)를 연결하면 이 정보를 상기 제어부(4)에 전송하고 제어부(4)는 시계부(6)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프린터에서 인쇄되도록 한다.
제3도의 관리장치 회로도에서 우측 상부의 배선군과 ARI 1001, 그 아래의 IC4, IC5등은 검출회로(3)이며 중앙의 IC1(D8749)은 제어부이며 중앙하부의 IC2(MC146818)는 시계부이고 좌측하단 CONNECTOR는 프린터포트이고 상부최우단의 DIS가 표시창이다. 좌측상부에 단자가 13개 있는데 이 단자들이 공중전화기에 연결되어 표시창에 표시할 내용 즉 각선의 "1" 또는 "0"의 디지탈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 정보를 검출부(3)에서 검출하여 제어부(4)로 보내며 제어부(4)에서는 이 정보를 LED에 수자표시하는 원리로 검출하여 프로그램으로 처리분석하여 개요설명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과정은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먼저 초기에 평상시의 자료가 시계부(6)에 의해 기억되어 있다가 공중전화기(1)의 후크스위치가 OFF(송수화기를 이용자가 들고 있는 상태)가 되면 제어부(4)에서 표시창제어·검출회로(3)를 통해 표시창(2) 또는 그 제어라인군(L13)에 장애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장애가 발생하면 즉, 일예로 표시창(3)의 7세그맨트에 숫자가 아닌 문자 또는 도형형태가 표시되면 통화가 불가능하게 회선을 차단케되는데 장애가 없으면 상기 표시창(2)에 표시된 수치를 읽어 이를 제어부(4)에서 시계부(6)에 기억시키고 제어부(4)내의 임시기억회로에도 기억된다.
통화도중, 일정시간마다 발생하는 도수펄스를 표시창제어·검출회로(3)에서 검출하고 제어부(4)에서 이를 연산처리하며 이하의 동작은 상기에서와 같다. 후크스위치가 ON(통화종료)되면 이에따라 통화중 연산처리된 데이터는 시계부(6)에서 적산기억되고 제어부(4)는 이 최종통화시의 데이터만 기억한다. 이때 후크스위치를 OFF시키면 표시창(2)에는 최종통화후의 잔액이 표시되나 이 금액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다시 통화가 시작되면 상기 데이터는 소거되고 제어부(4)는 새로운 데이터를 연산·처리한다. 매통화시마다 상술한 동작이 반복해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시계부(6)에는 통화도수, 통화횟수, 통화료, 금고의 수납액, 잔액등의 데이터가 적산되어 기억되게 되므로, 수금원이 상기의 결과를 산출하고저 공지의 프린터를 프린터포트(5)와 연결시키면 상기 제반사항이 프린터되어 나오게 된다.
[표 1]
Figure kpo00002
표 1은 프린터에 의해 프린트된 자료의 한예인데, 표 1과 같은 경우의 자료는, a는 공중전화기(1)의 고유번호이고, ABC-0001호이며, b는 전회(前回)에 프린트한 년.월.일 시간으로서 1987년 8월 1일 오전 10시 37분에 프린트되었음을 알 수 있다. c는 전회까지의 통화도수 누계로서 2도수였고, d는 전회까지의 기본료통화도수(현행 20원)누계 또는 통화의 횟수누계인데 여기서는 1통화였었다. 현행되는 통화의 도수는 처음 통화가 시작될때 도수펄스가 1이 되고 기본통화시간이 만료되면 도수펄스가 발생되는데 시내통화의 경우는 매도수마다 처음 기본료(현행 20원)가 추가되고 마지막 도수때는 요금추가는 되지않고 통화가 자동종료되나 시외 통화의 경우, 통화거리에 따라 도수펄스발생되는 시간이 다름은 주지된 바와같고 첫통화도수시 기본료는 현행 20원이나 다음 도수부터는 매도수 25원으로 통화료가 추가되게 되므로 상기 기본(20원)의 의통화의 합계도수펄스에서 -1을 한 도수가 통화의 횟수가 된다. e는 전회까지의 금고에 수납된 금액으로 50원이 수납되었었고, f는 전회까지의 통화요금 합계액으로 45원이다.
즉, 표1과 같이 그 도수에서 통화가 1회이므로 기본료(20원)+추가통화요금(25원)=통화료(45원)가 된다. g는 전회까지의 잔액합계로 금고의 수납금액(50)-통화요금(45)=잔액(5)이 되어 5원의 잔액이 남았으며, h는 현재 프린트하는 년.월.일.시.분으로 1987년 8월 2일 오전 10시 40분에 다시 프린트하게 된 것이다.
i는 전회프린트시(b항의 년.월.일.시)와 현재시간(b항의 시간)까지의 기간(이하 기간이라함)중 총통화도수 누계로 기간중 12도수이고 j는 기간중 기본료통화도수의 누계 즉, 통화횟수로 1회였으며, k는 기간중 금고에 수납된 금액으로 300원이 수납되었다. 1은 기간중 통화요금 합계액으로 295원이며, m은 기간중 잔액으로 상기 k항-1항으로 되어 잔액이 5원이다. n은 처음 도수카운트세트(이하 세트라함, set)부터 현재까지의 총도수누계 즉 c항+i항으로 14도수가 되며, O은 세트시부터 현재까지의 기본료통화도수누계 즉, 총통화횟수로 d항+j항으로 2회이다. p는 세트시부터 현재까지의 금고에서의 총수납금으로 350원인데, 이 금액은 세트시부터 전회프린트때까지 수납되었던 금액과 전회이후 현재까지 수납된 금액의 총액이다. q는 세트시부터 현재까지의 총통화요금 합계액으로 340원이며, r는 세트시부터 현재까지의 총잔액의 합계액으로 10원이다.
상기와 같이 n항부터 q항까지의 결과는 처음 회로가 세트(set)된 후부터 계속 적산된 데이터로서 임의의 일정기간(예컨대 30일)을 정해 공중전화기(1)의 제반사항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관리인이 선정되어 관리를 행하게 된 공중전화기(1)의 경우는 사용자가 송· 수화기를 훅스위치에 놓아도 다시 송.수화기를 들게 되면 잔액이 표시창(2)에 표시되어 거스름돈을 받을수 있게되며, 공중전화기(1)내에 금고가 없어도 정확한 수납액이 산출되므로 고의성 동전누출을 방지할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공중전화기(1)의 통화도수별 산출과 수납액 및 잔액등의 기간별 누계 또는 총계를 행하게 되어 전화기의 운용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게 됨은 물론 상기의 자료는 각종 통계 자료에 활용가능하게 되고 수금액의 누출, 손실을 인지 및 방지하게 되며, 통화료 이외의 금액이 정확히 산출되므로 잔액의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되어서 공중전화기 관리의 과학과 및 합리화를 이루고 그 신뢰성이 매우 높게된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1)

  1. 표시창(2), 표시창(2)의 제어라인군(L13), 전송라인군(L6)을 구비한 공지의 시내.외용 장거리 자동공중전화기(1)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2)과 표시창제어라인군(L13)간에 제어부(4)에 의해 검출 및 표시창(2)제어를 행하고 제어부(4)에 표시창(2) 및 제어라인군(L13)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표시창제어·검출회로(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년.월.일.시각이 기억되고 각종 데이터를 적산기억하며, 제어부(4)에 상기 데이터를 제공케된 시계부(6)와, 공지의 휴대용프린터에 전기적으로 연결케하고 제어부(4)의 명령을 상기 프린터에 전송케된 프린터포트(5)와, 상기 표시창제어·검출회로(3), 프린터포트(5), 시계부(6)의 각종데이터를 받아 연산처리 및 기억하고 각 제어명령신호를 전송케된 제어부(4)등을 구비하여서 된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
KR1019870012867A 1987-11-16 1987-11-16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 KR900007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867A KR900007712B1 (ko) 1987-11-16 1987-11-16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867A KR900007712B1 (ko) 1987-11-16 1987-11-16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156A KR890009156A (ko) 1989-07-13
KR900007712B1 true KR900007712B1 (ko) 1990-10-18

Family

ID=1926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867A KR900007712B1 (ko) 1987-11-16 1987-11-16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7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156A (ko) 198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2308A (en) Telephone call metering device
US4585904A (en) Programmable computerized telephone call cost metering device
JP2548185B2 (ja) 郵便料金計再課金装置
US4264956A (en) Call cost monitor
EP0138813B1 (en) Arrangement for a payment system utilising a payment card within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GB2134749A (en) Telephone call cost calculator
GB1463851A (en) Electronic taximeter in a line taxi system
CA1269169C (en) FIXED ODDS BETTING SYSTEM
GB1392469A (en) Taximeter having electronic fare calculating and indicating means
US4065640A (e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a telephone line and a portable calculator
KR900007712B1 (ko) 공중전화기의 관리장치
US4599492A (en) Coin-telephone auditor
US3974362A (en) Flexitime recorder
EP0033573A1 (en) An electronic telephone call debiting meter for a subscriber's telephone set
SK51394A3 (en) Device for accounting particularly charge units of telephone calls and for verifying of fees drawing up
US4091238A (en) Automatic telephone call computer and display
GB2066621A (en) Telephone call charge monitor
JPS59190771A (ja) 電話発信管理装置
GB2028058A (en) Telephone subscriber metering system
JP2706479B2 (ja) プリペイド式電話機
JPH05128383A (ja) 自動通報装置
GB2255690A (en) Telephone call logging apparatus and method
JPH0528844Y2 (ko)
KR950000973B1 (ko) 공중전화기의 단위요금 변경방법
JPS60120649A (ja) 公衆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