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60B1 -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 Google Patents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560B1
KR900007560B1 KR1019850001651A KR850001651DA KR900007560B1 KR 900007560 B1 KR900007560 B1 KR 900007560B1 KR 1019850001651 A KR1019850001651 A KR 1019850001651A KR 850001651D A KR850001651D A KR 850001651DA KR 900007560 B1 KR900007560 B1 KR 90000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optical fiber
tube
extension
elon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테일러 죤
윌리엄 케네 아이안
Original Assignee
비아이씨씨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스튜어트 후레이저 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이씨씨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스튜어트 후레이저 머리 filed Critical 비아이씨씨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G02B6/4422Heterogeneous cables of the overhead ty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7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electric conductors or elements for information transf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7Optical cables with internal fluted suppor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8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 H01B5/10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stranded around a space, insulating material, or dissimilar conducting material
    • H01B5/108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stranded around a space, insulating material, or dissimilar conducting material stranded around communication or control conducto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95Auxiliary components, e.g. electric conductors or light guides
    • D07B2201/2096Light 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제1도에서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체의 세가지 실시예를 확대도시한 등방투시도.
제4도에서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길쭉한 연장체의 네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광섬유 7 : 가요성튜브
12 : 광섬유리본구조 16 : 길쭉한 연장체
25 : 탄성동선 41 : 중심코어
46 : 길쭉한 격실
본 발명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된 다수의 길쭉한 알몸부재를 구성하고, 장거리에 걸쳐 일정간격 떨어진 지지체에 자유롭게 지지될수 있는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된 적어도 한층의 길쭉한 알몸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가공 가요성 전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전기를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가요성의 길쭉한 연장체, 예를 들어 와이어로우프등도 포함된다.
영국특허 제 1598438호에 발표된 가요성의 길쭉한 연장체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적어도 한층의 길쭉한 금속 또는 합금의 알몸부재와 길쭉한 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길쭉한 격실과 길쭉한 격실 또는 격실의 적어도 하나에 느슨하게 내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광섬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다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가공전선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요성의 길쭉한 연장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길쭉한 몸체는 적어도 한층의 나선형으로 감긴 금속 또는 합금의 알몸부재와, 길쭉한 연장체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길쭉한 격실과, 길쭉한 격실 또는 격실의 적어도 하나에 느슨하게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광섬유체는 가요성튜브의 구멍에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가 느슨하게 내장된 것으로서 튜브가 휘거나 또는 구부릴때 각각의 광섬유가 튜브의 그리고 튜브에 대해 종방향으로 한정된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고, 길이방향의 어느 두 지점간의 직선거리보다 큰 길이방향경로를 따르도록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가 탄성설치되어 있음으로서 탄성튜브가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을때, 튜브의 탄성에 대항하여 튜브가 길이방향으로 곧게 펴지는 경향이 있어 각각의 광섬유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줄어들 것이며, 상기 인장력이 제거되었을때, 튜브의 탄성에 의해 그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된다.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는 완만한 굴곡파형을 따르도록 탄성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굴곡축은 서로 평행하고 튜브의 길이축에 수직하는 것이 유리하다. 완만한 굴곡파형에 의해 탄성튜브가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으면, 튜브는 그 탄성에 대항하여 곧게 펴지는 경향, 즉 완만한 굴곡파형의 반경이 점점 증가될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가 나선튜브의 중심직선축에 대해 5∼15°의 범위에 놓인 나선경로를 따르도록 탄성설치되는 것이다.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는 원형 또는 비원형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 그 횡단면 전체에 걸쳐 방사상 벽두께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튜브의 종단면이 비원형인 경우, 거의 반원형의 양쪽 단부가 서로 접합되어 두개의 평행면을 갖는 길쭉한 형상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가요성튜브는 굴곡축이 가요성튜브단면의 장축에 평행한 완만한 굴곡파형을 따르도록 탄성설치되는 것이 좋다.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는 요구되는 형상의 경로를 따라 용이하게 탄성설치할수 있도록 플래스틱재료 또는 플래스틱재료들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으며, 경우에 따라 탄성금속 또는 금속합금을 이용할수도 있다.
탄성설치된 가요성튜브에 느슨하게 내장된 광섬유 또는 각각의 광섬유는 지지를 받고있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그리고 특히 튜브가 완만한 굴곡파형을 따를 때에는 광섬유체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광섬유가 튜브의 구멍에 느슨하게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리본구조의 구성부분으로 될수도 있다. 이 경우에 광섬유리본구조의 광섬유 그리고 필요하다면 한개 또는 그 이상의 가요성 길쭉한 보강체의 전체 또는 일부가 플래스틱재료로 된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에 나란히 매립되거나, 또는 가요성 테이프의 한쪽 큰표면에 나란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경우,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가 자유진동 또는 강제진동 또는 휘어질때, 광섬유리본구조의 광섬유 또는 각각의 광섬유가 튜브에 대하여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도록하는 콘시스텐시(consistency)의 물이 투과할수 없는 유지매체를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길이 전체에 채워줄 수 있다. 물이 투과할 수 없는 유지매체는 실리콘 겔로 구성되거나, 그 주성분으로서 실리콘 겔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광섬유체는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동시계속 출원 제 84/…호의 요지에 속한다.
길쭉한 격실에 느슨하게 내장됨으로서, 가요성 연장체가 자유진동, 강제진동 또는 휘어질때, 예를 들면 가공 가요성 전선이나 자유롭게 지지된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가 바람에 흔들릴 경우에 광섬유 또는 각각의 광섬유와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간의 제한된 상대운동이 야기될 수 있다.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의 설치중이나 설치후에 원치 및 브레이크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하여 변화하는 인장 하중이 연장체에 작용할 때에도 광섬유체 또는 각각의 광섬유체와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간의 제한된 상대운동이 야기된다. 상기 인장하중은 정해진 처짐상태를 얻기위해 연장체를 인장시켜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설치후에도 외부하중 및 온도의 변화에 의해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에 가해지는 인장하중에 변화가 일어난다. 광섬유체 또는 각각의 광섬유체와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간의 제한된 상대운동은 연장체의 사용중 그리고 크립(creep)이 연장체의 비탄성신장을 야기시킬때에도 일어난다. 상기의 어떠한 상황에서도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에 가해진 인장력이 적어도 일부 느슨하게 내장된 광섬유에 전달될 경우,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는 그 탄성에 대항하여 곧게 펴짐으로서 그렇지 않으면 광섬유에 가해질 수도 있는 인장력을 감소시켜 줄것이며, 인장력이 제거되면, 그 탄성에의해 튜브가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으로서 원주상의 강성인 중심코어의 내부에 그 길이전체에 걸쳐 길쭉한 격실이 있으며,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길쭉한 알몸부재층 또는 층들이 상기 중심코어를 둘러싸고있다. 상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중심코어가 길쭉한 격실을 구성하는 중심구멍을 갖도록 단일 압출된 길쭉한 부재가 있다. 상기 길쭉한 단일부재는 처음에 U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U자의 가지 도는양쪽가지의 단부가 내측으로 휘어서 가지단부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일부 닫혀짐으로서 U자의 가지와 밑면사이의 공간이 길쭉한 격실을 구성하게 할수도 있다. 상기와 달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또는 금속합금테이프를 종방향으로 접어서 튜브모양을 형성한 다음 인접한 테이프모서리를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시켜 중심코어를 구성할수도 있다. 상기 모든경우, 중심코어의 종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중심코어는 영국특허 제 1598438호에 발표된 구조 및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으로서, 중심코어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기지합금으로 되어 있으며, 강철로된 적어도 한층의 길쭉한 알몸부재가 중심코어를 둘러싸고 있고, 원주방향으로 연속된 적어도 한층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기지합금이 길쭉한 알몸부재층 또는 층들을 둘러싸고 있으며, 중심코어 및/또는 그외층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기지합금이 길쭉한 강철 알몸부재사이의 틈새의 적어도 일부 채우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중심코어는 적어도 한 층의 알루미늄 또는 알루이늄합금의 길쭉한 알몸부재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알몸부재는 부채끝모양의 종단면을 가지거나 또는 가요성 연장체가 인장될때 길쭉한 알몸부재사이의 인접한 접촉면사이에 상기 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종단면을 가진다.
상기 모든 경우, 길쭉한 격실에서 광섬유체가 점유하지 않은 부분에는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가 자유진동, 강제진동 또는 휘어질때, 광섬유체 또는 각각의 광섬유체가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는 콘시스텐시(consistency)의 실리콘겔과 같은 물이 투과할 수 없는 유지매체 또는 그와 다른 물이 투과할수 없는 매체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그의 다른 물이 투과할 수 없는 유지매체가 광유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 주성분으로 광유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길쭉한 연장체가 가공전선으로 사용될때, 몇몇 상황에서는 결함 또는 번개에 의해 한정된 시간동안 전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열이 광섬유체 및 광섬유에 전도되거나 광섬유의 광전달 효율을 바람직하지 못한 정도로 감소시키는 손상을 광섬유체 또는 광섬유에 가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발행된 열이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의 플래스틱재료를 연화시켜 느슨하게 내장된 광섬유에 압력을 가하게 됨으로서 그들의 광전달 효율을 바람직하지 못할 정도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광섬유체 또는 각각의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를 단시간동안 약 300℃ 정도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설폰, 폴리에스테르이미드 또는 그외 다른 플래스틱재료를 이용하거나 및/또는 한층의 단열재료를 길쭉한 격실에 내장시켜 광섬유체를 둘러싸게 할수 있다. 단열층은 격실의 경계표면에 접합 또는 접착된 원주상의 연속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층은 길쭉한 격실의 경계표면 전체에 견고히 접합시키거나 또는 경계표면에서 일정간격 떨어진부분에 접합하여 단열층과 경계표면사이의 공기가 추가의 단열기능을 담당하게 할 수 있다. 단열층은 실리콘 고무,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 및 그외 플로오로에틸렌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스터 및 케블러와 같은 단열플래스틱을 피복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효과를 높이기위해서, 상기 플래스틱재료를 다공형으로 할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제1형 광섬유체(1)는 방향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된 가요성튜브(7)의 구멍에 느슨하게 내장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직경이 250㎛인 8가닥의 광섬유(4)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가요성튜브는 그 길이 전체에 걸쳐 거의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벽두께가 0.4㎜ 그리고 튜브의 내경이 1.8㎜이다. 각각의 광섬유(4)는 각기 다른색으로 피복할 수도 있다. 가요성튜브(7)는 곡률반경이 약 60㎜이며 그 굴곡축이 서로 평행하고 튜브의 길이축에 수직인 완만한 굴곡파형(8)을 이루도록 탄성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제2형 광섬유체(11)는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실리콘아크릴레이트로된 길쭉한 연장체(16)에 매립되어 있는 8가닥의 광섬유(14)를 구성하는 광섬유리본구조(12)로 구성된다. 각각의 광섬유(14)는 전체적인 직경이 250㎛이며 각기 다른 색의 피복을 가할 수 있다. 광섬유리본구조(12)는 방향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든 가요성튜브(17)의 구멍에 느슨하게 내장되어 있고, 그 종단면은 거의 반원형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두개의 평행면을 갖게되는 길쭉한 현상을 하고 있다. 가요성튜브(17)는 벽두께가 0.3㎜로서 거의 일정하며, 내부의 장축이 2.5㎜ 그리고 단축이 1.0㎜이다. 광섬유리본구조(12)는 장축이 2.2㎜ 그리고 단축이 0.3㎜이다. 가요성튜브(17)는 그 곡률반경이 약 60㎜이고, 굴곡축이 가요성튜브의 장축에 평행한 완만한 굴곡반경(18)을 이루도록 탄성설치된다.
제3도에 도시된 제3형 광섬유체(21)는 열가소성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그 종단면이 거의 반원형의 양쪽 단부가 서로 접합되어 두개의 평행면을 갖게되는 길쭉한 형상을 하고 있는 길쭉한 연장체(27)로 구성된다. 길쭉한 연장체(27)는 그 장축이 6.0㎜ 그리고 단축이 2.0mm이다. 길쭉한 연장체(27)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구멍(29)은 그 단면이 연장체(27)와 유사하며, 구멍(29)의 양쪽에는 한쌍의 탄성 동선(25)이 매립되어 있다. 구멍(29)에는 두개의 광섬유리본구조(22)가 느슨하게 내장되어 있으며, 각 리본구조는 나란히 배열된 8가닥의 광섬유(24)를 구성하고,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된 길쭉한 연장체(27)에 매립되어 있으며, 각각의 광섬유는 그 전체적인 직경이 250㎛이다. 각 동선(25)은 길쭉한 연장체(27)가 그 곡률반경이 약 60㎜이고 굴곡축이 서로 평행하며 길쭉한 연장체의 장축에도 평행한 완만한 굴곡파형(28)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서 제3도에 도시된 광섬유체(1,11,21)가 인장력을 받을때, 가요성튜브(7,17)와 길쭉한 연장체(27)는 튜브와 동선(25)의 탄성에 대항하여 곧게 펴짐으로서 그렇지 않으면 광섬유(4)와 광섬유리본구조(12,22)에 가해질 인장력을 감소시킨다. 인장력이 제거되면, 튜브(7,17)와 동선(25)의 탄성에 의해 광섬유체(1,11,21)가 그 초기형상으로 회복될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가공 가요성 전선은 U자형 종단면을 가지도록 단일 압출된 길쭉한 알루미늄부재(42)에 의해 구성되는 중심코어(41)를 구성하고, U자의 양쪽 가지(limb)사이의 공간이 길쭉한 격실(46)을 형성한다. 중심코어(41)는 세층(45)의 나선으로 감긴 알루미늄기지합금의 봉선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인접층의 감긴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길쭉한 격실(46)에는 제2도에 도시된 파동형 광섬유체(11)가 느슨하게 내장되어 있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가공 가요성 전선은 중심코어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제4도에 도시된 가공 가요성 전선의 구조와 흡사하다. 편의상 제5도와 제6도의 부품에서 제4도에 도시된 가요성 전선의 부품과 흡사한것은 제4도에 도시된 가요성 전선의 대응하는 부품의 번호에 10 및 20을 더하였다. 제5도에 도시된 가공 가요성 전선에서는 중심코어(51)가 알루미늄기지합금으로된 스트립을 길이방향을 따라 둥글게 접은 튜브(52)형을 하고 있다. 제6도에 도시된 가공 가요성 전선은 그 중싱코어(61)가 U자형 종단면을 가지도록 단일 압출된 길쭉한 알루미늄부재(62)로 되어 있으며, U자의 가지의 단부사이의 간격이 일부 닫혀있음으로서 파동형 광섬유체(11)가 길쭉한 격실(66)에 유지되게 된다.
제7도에 도시된 가공 가요성 전선은 두개의 분리형성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중심코어(71)를 가지며, 그하나는 알루미늄으로 압출한 내측의 길쭉한 부재(72)로서 그 외측표면에는 원주방향의 일정간격으로 4개의 리세스(76)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길쭉한 내측부재를 둘러싸고 있는 알루미늄테이프(73)로서 테이프가 상기 길이방향 리세스위에 중첩됨으로서 원주상의 일정간격으로 4개의 격실(76)을 형성한다. 각각의 격실(76)에는 제2도에 도시된 파동형 광섬유체(11)가 느슨하게 내장되어있다. 중심코어(71)는 나선형으로 감긴 세층(75)이 알루미늄기지합금으로된 봉선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인접한 층의 감긴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다.
제4도에서 제7도에 도시된 가요성 전선에서 각각의 격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실리콘 겔 또는 물이 투과할 수 없는 유지매체를 채워줄수도 있다.

Claims (28)

  1.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적어도 한 층(45,55,65,75)의 길다란 알몸의 금속 또는 금속 합금부재와, 길다란 연장체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길다란 격실(46,56,66,76)과, 길다란 격실 또는 격실의 적어도 하나에 느슨하게 내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체(1,11,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섬유체는 가요성튜브(7,17,27)의 내공에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4,14,24)가 헐겁게 수용된 것으로서 그 튜브가 휘거나 굽어질때 각각의 광섬유가 튜브의 그리고 튜브에 대해 종방향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한 가요성 연장체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어느 두지점사이에서 그 두지점간의 직선거리보다 더긴 길이방향의 연장경로를 따르는 형태로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가 탄성있게 설치되고, 이 탄성튜브가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받을때 튜브의 탄성에 대항하여 튜브가 길이방향으로 곧게 펴지는 성향을 부여하여 각각의 광섬유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저감되게하고, 상기 인장력이 제거되었을때 튜브의 탄성에 의해 그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튜브(7,17,27)가 그 만곡축이 서로 평행하며 튜브의 종축에 수직을 이루는 완만한 굴곡파형(8,18,28)을 따르도록 탄성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3.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가 나선형 연장튜브의 중심 직선축에 대해 5°∼15°의 범위에 놓인 나선형 안정경로를 따르도록 탄성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4. 제1,2 또는 3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7,17)가 비원형 단면을 가지며, 튜브의 방사상 벽두께가 튜브의 전체 횡단면에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5. 제2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7,17)는 대략 반원형의 양쪽단부에 의해 결합된 두개의 평행측부를 갖는 길다란 형태의 횡방향 단면을 가지며, 가요성튜브가 완만한 굴곡파형(18)의 만곡축들이 가요성튜브의 주횡방향축에 평행하도록 탄성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6.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7,17,27)가 하나의 플래스틱재료 또는 여러가지 플래스틱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7. 제6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7,17)가 배향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8. 제6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가요성투브(7,17)가 폴리에테르술폰 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9. 제6항에 있어서, 다수의 길다란 탄성보강체(25)가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27)의 서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매립되어 있으며, 각각의 보강체는 튜브가 원하는 형태의 경로를 따르도록 탄성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0. 제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가요성튜브가 탄성의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만들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1. 제1항에 있어서, 탄성있게 설치된 가요성튜브(7)내에 헐겁게 수용된 개개의 광섬유(4)가 지지되고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2. 제1항에 있어서, 두개 이상의 광섬유(4,14)가 광섬유체의 탄성있게 설치된 가요성튜브의 내공안에 헐겁게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리본구조체(12,22)의 구성부분들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3. 제12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광섬유리본구조체가 플래스틱재료로된 가요성 연장체내에 전부 또는 일부가 나란히 매립되어 있거나 가요성 테이프의 하나의 주된 표면에 고착되고 나란히 정렬된 두개 이상의 광섬유와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연장보강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4.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탄성있게 설치된 가요성튜브의 전체길이에 걸쳐 튜브가 휘거나 또는 굽어질때 광섬유 또는 광섬유리본구조체가 튜브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그리스와 같은 수분불투과성의 매체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5. 제14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의 그리스와 같은 수분 불투과성 매체는 실리콘 겔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 주성분으로서 실리콘 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6. 제1항에 있어서, 길다란 격실이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길다란 알몸부재층(45,55,65,75)으로 둘러싸여 있는 원주상의 강성 중심코어(41,51,61,71)의 내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중심코어가 길다란 격실을 구성하는 중심구멍을 갖도록 단일 압출된 연장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중심코어(41)가 U자형 횡단면을 갖는 단일의 연장부재(42)이며, U자형의 가지와 저면사이의 공간(46)이 길다란 격실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19. 제18항에 있어서, U자형(52,62)의 한쪽 가지 또는 양쪽 가지가 내측으로 굽어있어 가지의 자유단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일부 닫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20. 제17,18 또는 19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압출한 단일의 연장부재(42,52,62)가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21. 제16항에 있어서, 중심코어는 튜브를 형성하도록 횡으로 접혀진 금속 또는 금속합금으로 만들어진 종방향 연장테이프로 되고, 그 테이프의 인접하는 종방향 연장 모서리가 용접 또는 다른 방법으로 서로 고정되어 중심코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22. 제16항에 있어서, 중심코어(71)는 그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76)를 갖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의 길다란 내측부재(72)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길쭉한 내측부재를 둘러싸고 있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 테이프를 구성하는 분리형성된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프를 횡방향으로 접어서 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에 중첩되어 길다란 격실이 형성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23. 제16항에 있어서, 중심코어가 알루미늠 또는 알루미늄기지합금으로 되어 있으며, 강철로된 적어도 한층의 길다란 알몸부재가 중심부재를 둘러싸고 있고, 원주방향으로 연속된 적어도 한층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기지합금이 길다란 강철 알몸부재층 또는 층들을 둘러싸고 있으며, 중심코어 및/또는 외층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기지합금이 길다란 강철 알몸부재 사이의 틈새를 적어도 일부 채우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24. 제16항에 있어서, 중심코어(41,51,61,71)가 거의 원형의 횡단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25.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길다란 격실부분에는 가요성 연장체가 진동하거나 휘어질때 광섬유체가 가요성 연장체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실리콘 겔 또는 그리스와 같은 수분 불투과성 매체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26.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의 길다란 연장체가 가공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27. 제16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가요성 가공전선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승 또는 배전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가요성 가공전선이 시스템의 접지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전송 또는 배전시스템.
KR1019850001651A 1984-03-14 1985-03-14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KR900007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48406636A GB8406636D0 (en) 1984-03-14 1984-03-14 Flexible elongate body
GB6636 1984-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560B1 true KR900007560B1 (ko) 1990-10-15

Family

ID=1055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651A KR900007560B1 (ko) 1984-03-14 1985-03-14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4699461A (ko)
EP (1) EP0155184B1 (ko)
JP (2) JPS60212715A (ko)
KR (1) KR900007560B1 (ko)
AT (1) ATE80492T1 (ko)
AU (1) AU569611B2 (ko)
BR (1) BR8501141A (ko)
CA (1) CA1247905A (ko)
DE (1) DE3586604T2 (ko)
EG (1) EG17520A (ko)
ES (1) ES8609801A1 (ko)
FI (1) FI82995C (ko)
GB (2) GB8406636D0 (ko)
HK (1) HK55489A (ko)
IN (1) IN163397B (ko)
MX (1) MX163179B (ko)
MY (1) MY101168A (ko)
NO (1) NO850999L (ko)
NZ (1) NZ211429A (ko)
SG (1) SG28689G (ko)
ZA (1) ZA851819B (ko)
ZW (1) ZW3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4516E (en) * 1985-09-14 1994-01-18 Stc Plc Optical fibre cable
EP0216548B1 (en) * 1985-09-14 1995-03-08 Nortel Networks Corporation Optical fibre cable
IT1205212B (it) * 1987-06-30 1989-03-15 Pirelli Cavi Spa Cavo a fibre ottiche
US4896939A (en) * 1987-10-30 1990-01-30 D. G. O'brien, Inc. Hybrid fiber optic/electrical cable and connector
DE3820730A1 (de) * 1988-06-18 1989-12-21 Philips Patentverwaltung Freileiter mit einer optischen nachrichtenleitung
GB8902552D0 (en) * 1989-02-06 1989-03-22 Telephone Cables Ltd Optical fibre cable core for submarine use
GB2233779B (en) * 1989-07-01 1993-05-05 Stc Plc Optical fibre cable
JP2557832Y2 (ja) * 1990-02-19 1997-12-17 鹿島建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複合ケーブル
US5074640A (en) * 1990-12-14 1991-12-24 At&T Bell Laboratories Cables which include non-halogenated plastic materials
US5177809A (en) * 1990-12-19 1993-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cal cabl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waveguides
JP2680943B2 (ja) * 1991-06-03 1997-1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ケーブル
GB9126232D0 (en) * 1991-12-11 1992-02-12 Bicc Plc An improved composite overhead electric and optical conductor
GB2271859B (en) * 1992-10-21 1995-10-18 Northern Telecom Ltd Optical fibre cable comprising stack of ribbon fibre elements
US5561731A (en) * 1995-06-15 1996-10-01 Siecor Corporation Flexible casing for optical ribbons
GB2308752B (en) * 1995-12-22 1999-12-29 Pirelli General Plc Suspended line for an optical fibre unit
NO306227B1 (no) * 1996-08-21 1999-10-04 Alcatel Kabel Norge As Fiberoptisk element
KR100337699B1 (ko) * 1997-08-14 2002-07-18 윤종용 광섬유복합가공지선
ITMI981658A1 (it) 1998-07-20 2000-01-20 Pirelli Cavi E Sistemi Spa Cavo ibrido elettrico ed ottico per installazioni aeree
US6714708B2 (en) 2001-03-30 2004-03-30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with high strength component
US6748147B2 (en) 2001-03-30 2004-06-08 Corning Cable Systems Llc High strength fiber optic cable
US6621964B2 (en) 2001-05-21 2003-09-16 Corning Cable Systems Llc Non-stranded high strength fiber optic cable
DE10331486A1 (de) * 2003-07-11 2005-01-27 Alstom Technology Ltd Integrierte Anordnung optischer Fasern in einem Leiter
EP2375208B1 (en) * 2010-03-31 2012-12-05 VALEO AUTOSYSTEMY Sp. Z. o.o. Improved heat exchanger
SE538433C2 (en) * 2014-08-05 2016-06-21 Mee Invest Scandinavia Ab Electrical wire
WO2021126008A1 (ru) * 2019-12-17 2021-06-24 Андрей Васильевич КИУШОВ Канат полимерный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6610A (en) * 1976-01-09 1977-07-19 Hitachi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dripping of drain
US4078853A (en) * 1976-02-25 1978-03-14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Optical communication cable
DK138564B (da) * 1976-11-09 1978-09-25 Nordiske Kabel Traad Fremgangsmåde ved fremstilling af et lysledende element til anbringelse i et rørformet hylster.
DK139490B (da) * 1976-11-09 1979-02-26 Nordiske Kabel Traad Lysledende element til brug ved optisk transmission.
GB1582851A (en) * 1977-01-26 1981-01-14 Bicc Ltd Optical cables
CA1112310A (en) * 1977-05-13 1981-11-10 Peter Fearns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systems
GB1598438A (en) * 1977-05-13 1981-09-23 Bicc Ltd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systems
DE2743260C2 (de) * 1977-09-26 1990-05-31 kabelmetal electro GmbH, 3000 Hannover Nachrichtenkabel mit Lichtwellenleiter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IN157268B (ko) * 1980-10-18 1986-02-22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JPS57130002A (en) * 1981-02-06 1982-08-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Temperature compensating method of optical fiber cable
GB2096656B (en) * 1981-03-06 1985-03-06 Bridon Ltd Cables
JPS57157206A (en) * 1981-03-25 1982-09-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Optical cable
CA1176091A (en) * 1981-06-17 1984-10-16 Charles D. Knipe Optical cable
JPS5833202A (ja) * 1981-07-17 1983-02-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伝送線
JPS5816406A (ja) * 1981-07-20 1983-01-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通信線入り架空送電線路用複合撚線
JPS5895302A (ja) * 1981-11-30 1983-06-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ケ−ブルの製造方法
JPS58150906A (ja) * 1982-03-03 1983-09-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テ−プ光フアイバ心線ユニツト
GB2116746A (en) * 1982-03-18 1983-09-28 Bicc Plc An improved flexible stranded body
ZW8883A1 (en) * 1982-04-22 1983-07-06 Bicc Plc An improved flexible elongate body
DE3246594A1 (de) * 1982-12-16 1984-06-20 Hegler, Wilhelm, 8730 Bad Kissingen Huellwellrohr
ZA844474B (en) * 1983-06-17 1985-02-27 Bicc Plc Optical fibre ribbon structure
GB8316494D0 (en) * 1983-06-17 1983-07-20 Bicc Plc Flexible elongat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986085A (en) 1985-09-19
ES8609801A1 (es) 1986-09-01
EG17520A (en) 1989-06-30
MY101168A (en) 1991-07-31
JPH0623122U (ja) 1994-03-25
NO850999L (no) 1985-09-16
ATE80492T1 (de) 1992-09-15
US4699461A (en) 1987-10-13
ZW3985A1 (en) 1985-06-26
BR8501141A (pt) 1985-11-12
CA1247905A (en) 1989-01-03
FI82995B (fi) 1991-01-31
AU569611B2 (en) 1988-02-11
FI851029A0 (fi) 1985-03-14
EP0155184B1 (en) 1992-09-09
HK55489A (en) 1989-07-21
DE3586604D1 (de) 1992-10-15
GB8506469D0 (en) 1985-04-17
DE3586604T2 (de) 1993-02-25
GB2156095A (en) 1985-10-02
JPS60212715A (ja) 1985-10-25
EP0155184A2 (en) 1985-09-18
EP0155184A3 (en) 1988-08-03
NZ211429A (en) 1988-03-30
MX163179B (es) 1991-09-30
GB8406636D0 (en) 1984-04-18
FI82995C (fi) 1991-05-10
ES541228A0 (es) 1986-09-01
GB2156095B (en) 1987-08-26
FI851029L (fi) 1985-09-15
SG28689G (en) 1989-09-29
IN163397B (ko) 1988-09-17
ZA851819B (en) 198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560B1 (ko)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KR920000222B1 (ko) 가공 가요성 전선
USRE32293E (en)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systems
US5531064A (en) Optical fiber cable containing ribbon fibers
JPS647641B2 (ko)
KR870000602A (ko) 광섬유 복합가공 케이블
CA1254419A (en) Optical fibre element
US4695128A (en) Fiber optic cable
JPS62215912A (ja) 光フアイバ−ケ−ブル
KR900007771B1 (ko) 광섬유 요소
EP0099745A1 (en) An improved flexible elongate body
EP0092980A2 (en) An improved flexible elongate body
GB2182167A (en) Optical fibre cable containing undulating optical fibre ribbons
KR850006183A (ko)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JP2864467B2 (ja) 軟性管
CA1267008A (en) Flexible overhead electric conductor
JP2000075175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H09558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1066477A (ja) 自己支持型光ケーブル